KR930005913Y1 - 오버로크 재봉기 - Google Patents

오버로크 재봉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13Y1
KR930005913Y1 KR2019880018558U KR880018558U KR930005913Y1 KR 930005913 Y1 KR930005913 Y1 KR 930005913Y1 KR 2019880018558 U KR2019880018558 U KR 2019880018558U KR 880018558 U KR880018558 U KR 880018558U KR 930005913 Y1 KR930005913 Y1 KR 930005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machine
plate
sealing
fo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328U (ko
Inventor
다께시 오다
사찌오 니시우라
Original Assignee
페가시스 미싱세이죠 가부시기가이샤
미마 다이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가시스 미싱세이죠 가부시기가이샤, 미마 다이도오 filed Critical 페가시스 미싱세이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3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3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8Seams for protecting or securing edges
    • D05B1/20Overedge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D05B73/04Lower casings
    • D05B73/12Slides; Needl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버로크 재봉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오버로크 재봉기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오버로크 재봉기의 전체를 도시한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제3a도 내지 제3f도는 실시예 장치에 의한 봉환(縫環)의 처리과정을 도시한 요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4도는 종래예의 요부 평면도.
본 고안은 설구(舌具)에 실을 감아 형성한 봉환을 다음 포지(布地)의 솔기에 봉입하도록 한 봉환(縫環, Chain Stritch)봉입장치를 구비한 오버로크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일본국 특개소 53-128443호 등에 개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지에 형성된 솔기에 연결되는 봉환을 바늘 낙하부 보다 뒤쪽에서 흡인튜브내로 흡입하여 이 흡인튜브의 구멍내에 설치한 절단기로 봉환을 재봉기 측에서 절단하고, 이 재봉기측에 남아있는 봉환의 자우단을 풍압에 의하여 바늘 낙하부 바로 앞측으로 이동시켜, 이렇게 이동된 봉환의 자유단을 봉환 자유단 흡인부에 의하여 흡인한 다음, 크로스 플레이트의 작업명상에 배치된 봉환 협지부를 작동시켜 봉환의 자유단을 협지한 후 이것으로 재봉기측에 남아있는 봉환을 바늘판 상면에 유지하고, 이 봉환을 다음 포지의 솔기중에 봉입하는 것으로, 특별한 해지작업을 하지 않고도 봉합 시작부에서 솔기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한 봉환 봉입장치를 구비한 오버로크 재봉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오버로크 재봉기 바늘판(100)에는 바늘 낙하부(101)를 기점으로 하여 뒤쪽(도면에서 화살표 B측)으로 뻗는 틈새(102)를 사이에 두고 이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제축(X)과 평행한 바늘판(100)의 측면(100a)과 대향하는 설편(舌片)(10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봉환은 단 가장자리에 솔기를 형성한 포지가 바늘낙하부(101)를 통과한 후 설편(103)의 실이 감겨지게 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봉환 봉입장치를 구비한 오버로크 재봉기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늘낙하부 보다도 뒤쪽에 설치한 흡인구멍내에서 절단한 봉환의 자유단을 풍압에 의하여 바늘낙하부 바로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동시에 실고리(ch)의 기단부(cho)가 제4도에서와 같이 바늘낙하부(101)측으로 당겨져서 바늘 낙하부(101)와 겹쳐지는 일이 있었다.
이와 같이 봉환(ch)이 바늘낙하부(101)와 겹쳐지게 되면, 다음 포지에 솔기를 형성할때에 바늘(도시하지 않음)이 봉환(ch)을 관통하기 때문에 실이 감겨져 물쳐진 상태로 되어 품질이 좋은 제품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봉환봉입장치에 의해 소정위치에 배치된 봉환이 바늘 낙하부에서 봉합되지 않는 오버로크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오버로크 재봉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편의 후단부에서 이 설편의 바늘판의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변에 봉환 기단부 결합용 단부(段部)를 오목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한 것에 의하여 앞의 포지에 형성한 솔기에서 절단하여 분리된 봉환이 흡인 구멍내에서 바늘낙하부 바로 앞측으로 풍압에 의해 이동될때에, 재봉기측과 연결되어 있는 봉환의 기단부는 설편에 형성한 봉환기단부 결합용 단부에 결합한다. 이때문에 기단부에서 앞서의 봉환은 설편위에 놓이게 되어 바늘 낙하부와 겹쳐지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오버로크 재봉기의 크로스플레이트로서, 이 크로스플레이트(1)의 작업면(1a)위에는 재봉기 바늘(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는 위치에 바늘판(2)이 끼워져 있다.
이 바늘판(2)은 볼트(3)에 의해 재봉기 본체에 부착된 브라케(171)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면은 작업면(1a)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바늘판(2)에는 작업면(1a)을 상하로 관통하는 바늘낙하부(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바늘판(2)에는 설편(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5)은 바늘낙하부(4)를 기점으로 하여 뒤쪽으로 뻗는 틈새(18)를 사이에 두고 바늘판(2)의 측면(2a)과 평행하게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설편(5)의 측면(2a)과의 대향변(5a)에는 그 후단부측(도면에서 화살표 B측)에 이 후단부를 직각으로 절개한 봉황기단부 결합용 단부(5b)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단측의 정상부(5c)를 개재하여 대향변(5a)과 쌍을 이루는 이 설편(5)의 다른 한쪽변(5d)은 앞쪽(도면에서 화살표 A측)을 향하여 이 설편(5)의 폭을 넓게하는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x는 바늘낙하부(4)를 통과하는 포지 이송방향과 일치하는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제축으로서, 바늘판(2)의 측면(2a)은 이 봉제축 (x)과 평행하다.
제2도는 바늘판(2)에 상기와 같은 설편(5)이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봉환 봉입장치를 구비한 오버로크 재봉기의 사시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부호7은 협지판으로서, 이 협지판(7)은 설편(5)의 바로 앞쪽, 즉 바늘 낙하부(4)의 바로 앞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이 작업면(1a)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협지판(7)은 평면에서 보아 역 L자형으로 형성된 제2협지판(72)과, 이 제2협지판(72)의 L자형 코너에 끼워지는 제1협지판(71)으로 구성되며, 이들 제1협지판 (71)과 제2협지판(72)에는 바로 앞쪽에서 이들 각판을 브라켓(172)에 연결하는 볼트(17)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케(172)는 재봉기 본체(M)에 고정된 브라케(171)에 볼트로 고정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제1협지판(71)과 제2협지판 (72)은 평상시는 봉제축(X)과 평행한 부분에서 밀착하고 있으며, 제1협지판(71)을 구동하여 볼트(17)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양협지판 사이에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봉환 삽입구(H)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19는 제1협지판(71)을 구동하는 제1구동기구로서, 크로스플레이트(1)의 아래쪽에 배치한 제1에어실린더(20)를 작동시켜 이 피스톤로드(20a)에 의하여 로드(21)를 압축스프링(24)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로드(21)에 설치한 결합부재(22)(제3a도 내지 제3f도 참조)로 제1협지판(71)을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부호 26은 제2협지판(72)을 구동하는 제2구동기구로서, 크로스플레이트 (1) 아래쪽의 제2에어 실린더(27)를 작동시켜 이 제2에어 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 (27a)에 의해 L자형 요동암(28)의 일단(28b)을 밀어 누르는 데 따라서 코너부(28a)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이 요동암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2협지판(72)을 회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부호 8a는 바늘판(2)사이에 포지를 협지하는 압착구로서, 이 압축구(8a)는 포지 압착 위치와 압착 해제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설편(5)의 뒤쪽에는 봉제축(X)과의 사이에 소정간격을 두는 한편, 이 봉제축(X)과 평행인 포지가이드(9)가 작업면(1a)으로 부터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이 포지가이드(9)에 형성된 가이드 면의 안쪽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봉환 절단부(10)를 갖추고 있다. 이 봉환절단부(10)는 공기흡인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동시에, 포지가이드(9)의 안쪽을 내벽의 일부로한 흡입통로(11)를 가디며, 이 흡인통로(11)의 흡입구멍(11a)은 바늘판(2)의 후단부 근처에서 포지가이드(9)에 뚫려있다. 또 제3a도 내지 제3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통로(11)에는 그 도중에 흡입구멍 (11a)측으로 공기를 보내기 위한 가느다란 직경의 송풍파이프(13)가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흡입구멍( 11a)에는 제1절단기(1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제1절단기(12)는 흡입구멍(11a)의 하면에 날끝을 고정시킨 고정칼(12a)과 흡인통로(11)의 상면에서 이 흡인통로(11)내에 삽입되는 가동칼(12b)로 구성되며, 이 가동칼(12b)은 재봉기의 주측과 연동하는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그 날끝이 고정칼(12a)의 칼날과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칼(12b)의 구동은 반드시 재봉기의 구동에 연동하지 않아도 좋으며, 예를들면 포지의 종단이 바늘 낙하부(4)를 통과한 후 바늘의 운동회수를 세어 바늘의 운동회수가 설정회수에 도달한 시점에서 재봉기를 정지시킨 후,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구동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혹은 작업자가 봉환이 필요한 길이로 만들어진 것을 확인하고 발판조작등에 의하여 구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흡입구멍(11a)의 경사진 앞쪽에는 작업면(1a)에 관통된 긴구멍(14)에서 돌출한 송풍파이프(15)의 노즐(15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노즐(15a)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면(1a)위를 따라서 협지판(7)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한 옆으로 길게 형성된 공기분출구(15aa)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16은 선단에 공기분출구인 노즐(16a)을 구비한 송풍파이프로서, 이 송풍파이프(16)는 제1협지판(71)이 구동되는 곳에 의해서 형성되는 삽입구(H)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재봉기 본체(M)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설편(5)과 협지판(7)사이에는 각각 봉제축(X)과 평행한 날끝을 가진 고정칼(30a)과 가동칼(30b)로 구성되는 제2절단기(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절단기 (30)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협지판(72)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제2절단기 (30)와 교차하는 봉환을 절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부호 31은 포지의 유물을 검지하는 포검시센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오버로크 재봉기의 동작을 제3a도 내지 제3f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오버로크 재봉기는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지(N)의 단 가장자리에 솔기(S)를 형성한 후 설편(5)에 실을 감아 묶으면서 포지(N)의 종단에 연결되는 봉환 (ch)을 만들어 낸다. 이 봉환(ch)은 작업자가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지(N)의 종단을 이동시켜 제1절단기(12)와 교차시키는 것을 미싱측에 일정한 길이를 남기고 포지(N)에서 절단 분리된다.
재봉기측에 남아있는 봉환(ch)의 자유단은 제1절단기(12)의 고정칼(12a)과 가동칼(12b)이 교차하지 않고, 흡입구멍(11a)의 앞쪽을 통과하여 흡인통로(11)내에 흡입되어 있으며, 이 흡인력에 의해 실고리(ch)는 잡아당겨지는 한편, 설편(5)에 감아 묶어진 부분의 대부분이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cho)를 남기고 이 설편(5)으로 부터 빠져나간다. 또 기단부(cho)는 이 설편(5)의 단부(5b)보다 뒤쪽에 감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봉환(ch)을 절단한 후 구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재봉기의 발판(도시하지않음)을 밟는 동작등에 의하여 압착구(8a)를 상승시킨다.
이어서 흡입구멍(11a)에 접속된 공기 흡입원의 작동을 정지하고, 송풍파이프 (13)를 통해 공기를 보낸다. 이 송풍파이프(13)를 통해 보내진 공기는 제3b도에 화살표(E2)로 표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멍(11a)측으로 보내지며, 이에따라 이 흡입구멍 (11a)내에 흡입되어 있던 재봉기측에 남아있는 봉환(ch)을 제3b도에서와 같이 흡입구멍(11a)앞쪽의 비스듬한 공기분출구(15aa)앞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송풍파이프(13)를 통해 공기를 보내는 것을 정지한 다음, 송풍파이프(15)의 노즐(15a)를 통해 공기를 분출시키는 동시에, 제1에어 실린더(20)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20a)를 운동시키는 한편, 송풍파이프(16)의 노즐(16a)에서 공기를 분출시킨다.
따라서 봉환(ch)의 자유단이 노즐(15a)의 공기 분출구(15aa)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협지판(7)측으로 이동하고, 한편 이와동시에 피스톤로드(20a)의 운동에 따라서 제1협지판(71)이 볼트(17)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제3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낙하부 바로 앞쪽에 삽입구(H)를 개방한다.
그리고 또한 노즐(16a)을 통해 아래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봉환(ch)의 자유단은 제3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H)에 불려 들어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봉환(ch)의 자유단은 송풍파이프(13)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 및 송풍파이프(15)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바늘낙하부(4)의 바로앞쪽으로 이동되며, 또한 송풍파이프(16)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삽입구(H)내로 불러들어가지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환(ch)의 기단부(cho)는 봉제축(X)과 평행한 설편(5)의 대향변(5a)에 오목하게 형성한 단부(5b)보다 뒤쪽에 감겨져 있기 때문에, 이동시에는 이 단부(5b)에 결합하여 이 봉환(ch)이 바늘낙하부(4)의 바로 앞쪽으로 당겨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늘 낙하부(4)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봉환(ch)이 삽입구(H)에 불려들어가면, 계속하여 제1에어실린더(20)의 구동을 정지하여 피스톤로드(20a)를 후퇴시키고, 삽입구(H)를 폐쇄하여 제1협지판(71)와 제2협지판(72)사이에 봉환(ch)을 협지한다. 또한 노즐(16a)에서의 공기 분출시간을 제1에어실린더(20)의 구동시간보다도 길게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로드(20a)가 후퇴하기 시작하여 삽입구(H0가 폐쇄되기가지의 시간에도 노즐(16a)에서 공기를 분출하여 제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환(ch)을 느슨하지 않는 상태로 협지하도록 하고 있다. 봉환(ch)은 이상과 같이하여 다음 포지에 봉입되도록 작업면(1a)상에 고정되어 지지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단부(cho)가 설편(5)의 단부(5b)에 결합하여 바늘낙하부(4)의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바늘낙하부(4)에 겹쳐져 고정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보다 확실하게 봉환(ch)을 느슨하지 않은 상태로 협지할 수 있도록 삽입구(H)의 아래쪽에 개방부를 가진 흡인파이프를 배치하여 송풍파이프(16)와 병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3d도에 도시한대로 봉환(ch)을 협지한 후 압착구(8a)를 바늘판(2)위의 포지압착위치에 하강시킨다.
다음, 재봉기의 압착구 상승용 발판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압착구(8a)를 압착해제 위치로 상승시켜 포지(도시하지 않음)를 소정위치에 삽입한 후, 압착구(8a)를 하강시켜 이 압착구(8a)와 바늘판(2)사이에 포지를 끼우고 이 상태에서 재봉기를 구동시켜 포지의 단 가장자리에 솔기를 형성하는 것이지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환(ch)은 바늘낙하부(4)와 겹쳐지지 않고 정해진 곳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재봉기의 바늘과 교차하는 일 없이 솔기와 포지사이에 봉입되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검지센서(31)로 포지의 유무를 검지하고, 그 신호에 따라 구동원인 에어실린더(8c)에 의하여 압착구 (8a)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오버로크 재봉기에서는 포지의 단 가장자리가 바늘낙하부를 통과하고나서 몇바늘 봉제된 시점에서 다시 제3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협지판(71)을 회동시켜 협지해제하고, 봉환을 봉입하는 포지의 선단부가 봉환에 당겨져서 주름지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솔기 형성을 위해 재봉기를 구동시키고 나서 소정시간이 지난후에 제2에어실린더(27)을 작동시켜 피스톤로드(27a)를 전진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따라 요동암(28)이 코너부(28a)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제2협지판 (72)은 제1협지판(71)측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이 회동시에 제2협지판(72)은 제3f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환(ch)을 제1협지판(71)측으로 밀어 내고, 이 봉환(ch)을 제2절단기(30)와 교차시킨다. 따라서 봉환(ch)은 제2절단기(30)의 고정칼(30a)과 가공칼(30b)사이에 삽입되어 절단된다. 이상에서 분명하게 알살수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제2협지판(72)을 구동시키는 타이밍을 적당하게 설정하면 포지에 봉입되는 봉환(ch)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제2절단기(30)로 절단하기 때문에 봉환(ch)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이 봉환(ch)의 기단부(cho)는 설편(5)의 단부(5b)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바늘낙하부(4)의 위치까지 이동되어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에 한전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삽입구의 위쪽에서 공기를 불어넣도록 하여 바늘낙하부 바로 앞쪽으로 이동되어온 봉환을 삽입구내로 삽입하도록 하고 있으나, 삽입구 아래쪽에서 공기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봉환을 삽입구에 삽입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봉한을 협지하는 기구도 여러가지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버로크 재봉기에 의하면, 봉환의 자유단을 풍압에 의해 바늘낙하부의 뒤쪽에서 바로 앞쪽으로 이동시킬때에 이 봉환의 기단부가 바늘낙하부의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봉환이 바늘낙하부와 겹쳐서 고정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바늘판 위에 공정된 봉환을 다음포지에 봉입할때에 바늘이 봉환과 교차하여 뭉쳐진 상태로 되는 일 없이 품질이 좋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

  1. 바늘판(2)에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바늘낙하부(4)를 기점으로 하여 뒤쪽으로 뻗는 틈새(18)를 사이에 두고 바늘판(2)의 측면(2a)과 대향하는 설편(5)에 실을 감아 묶는 것에 의해 포지의 단 가장자리에 봉입하는 것으로 형성된 솔기에 연결되는 봉환(ch)을 만들어내는 동시에, 이 봉환(ch)을 바늘낙하부(4)보다 뒤쪽에 설치한 흡입구멍(11a)에서 흡인하여 이 흡인구멍(11a)내에서 절단하고, 재봉기측에 남아있는 자유단측을 바늘낙하부(4) 바로 앞쪽으로 풍압에 의해 이동시켜 이 바늘낙하부(4) 바로앞쪽에서 협지하여 이 협지된 봉환(ch)을 다음 포지에 형성되는 솔기중에 봉입하는 봉환봉입장치를 구비한 오버로크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설편(5)의 후단부에서 이 설편(5)의 상기 바늘판(2)의 측면(2a)과 대향하는 대향변(5a)에 봉환 기단부 결합용 단부(5b)를 오목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로크 재봉기.
KR2019880018558U 1987-12-28 1988-11-15 오버로크 재봉기 KR93000591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200360 1987-12-28
JP1987200360U JPH0515918Y2 (ko) 1987-12-28 198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328U KR890013328U (ko) 1989-08-08
KR930005913Y1 true KR930005913Y1 (ko) 1993-09-04

Family

ID=1642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558U KR930005913Y1 (ko) 1987-12-28 1988-11-15 오버로크 재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5918Y2 (ko)
KR (1) KR9300059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725B1 (ko) * 2010-05-19 2012-01-20 주식회사 미싱이야기 오버로크 재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871B2 (ja) * 1990-08-31 1995-12-13 ジューキ株式会社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の空環保持装置
JP2543342Y2 (ja) * 1991-04-30 1997-08-06 ジューキ株式会社 縁かがりミシンの針板
JP5490507B2 (ja) * 2009-12-09 2014-05-14 株式会社グローバル・ニュークリア・フュエル・ジャパン 燃料集合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725B1 (ko) * 2010-05-19 2012-01-20 주식회사 미싱이야기 오버로크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01497U (ko) 1989-07-07
KR890013328U (ko) 1989-08-08
JPH0515918Y2 (ko) 199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9478A (en) Control device for a chain of stitches in a sewing machine
US5269244A (en) Thread processing machine having a thread changing device
US3704884A (en) Stacking device for flexible workpieces
EP0322783B1 (en) Chaining thread sew-in device
KR930005913Y1 (ko) 오버로크 재봉기
CH624721A5 (en) Device for orientating and retaining the chain of stitches at the start of a seam.
JPH0217195B2 (ko)
US4796552A (en) Latch tacker
US4607583A (en) Cutting device in a sewing machine for cutting at least one thread chain or a sewn-on tape
US5123365A (en) Taped chaining thread sewing device
US4763590A (en) Residual thread chain back tacking device for overlock stitch machines
US5203270A (en) Sewing machine with latch back device
KR930005114B1 (ko) 오버로크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KR930005113B1 (ko) 오버로크 재봉기의 봉환(縫環)봉입장치
US4922842A (en) Hemmer seamer assembly
US4825785A (en) Latch tacker
US5029543A (en) Accessory unit for a sewing machine for automatically sewing pieces of ribbon material onto a sewing material
US4834009A (en) Sleeve backtack
US4401046A (en) Pneumatic thread undercutter
KR100186838B1 (ko) 2중 스텝 스티치 재봉틀에서 재봉초기에 바늘의 실단부를 단축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S6029183A (ja) 縁かがり縫いミシンに用いる空環縫い込み装置
JPH0572240B2 (ko)
US4785753A (en) Latch tacker
JPH0418554Y2 (ko)
GB2199854A (en)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