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961B1 -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 Google Patents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961B1
KR930004961B1 KR1019900012380A KR900012380A KR930004961B1 KR 930004961 B1 KR930004961 B1 KR 930004961B1 KR 1019900012380 A KR1019900012380 A KR 1019900012380A KR 900012380 A KR900012380 A KR 900012380A KR 930004961 B1 KR930004961 B1 KR 930004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mber
main body
hook
toilet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154A (ko
Inventor
가즈요시 오오시마
요오지로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스가사와라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5257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5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2929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2160Y2/ja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스가사와라 히로시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 Y10T403/32319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 Y10T403/32327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including radially spaced detent or latch component
    • Y10T403/32352Pivoted det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청구범위 제1항 및 제2항에 관한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실시예의 록 상태를 표시한 일부확대 종단측면 설명도.
제3도는 제1도 실시예의 록 해제상태를 표시한 일부확대 종단면 설명도.
제4a, b, c, d 도는 제1도 실시예의 록 작동상태와 록 해제작동상태를 순차로 표시한 전체의 각 종단측면 설명도.
제5도는 타의 실시예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6a, b도는 제5도 실시예의 록작동상태를 표시한 각 종단측면 설명도.
제7도는 변좌와 변개에 대한 착설상태를 표시한 동상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3항에 의한 동상 착설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분해사시도.
제9도는 제8도 실시예의 종단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4항에 의한 동상 착설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종단확대 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 장치의 받이부재와 본체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지점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이부재 2 : 착설간
2a : 수나사 3 : 피착설체
4 : 착설공 5 : 괘당부
5a : 경사면 5b : 괘지면
6 : 요조홈 7 : 본체
7a : 정상벽 7b : 후벽
7c : 전벽 7d : 측벽
7e : 절결부 7f : 축공
7g : 스프링받이 7h : 이면
7i : 축공 7j : 브래킷
7k : 커버부 7l : 커버부의 정상벽
7m : 커버부의 측벽 8 : 힌지
8a : 케이스 8d : 가동축
9 : 훅 9a : 상면
9b : 하면 9c : 축공
9d : 계합면 9e : 괘지부
9f : 괘지면 9g : 하면전단부
9h : 스프링받이 9i : 축받이부
9j : 괘지면 9k : 괘지부
9l : 스프링수용공 9m : 홈부
9n : 훅작동부 10 : 지축
11 : 훅캡 12 : 스프링
12a : 일단 12b : 타단
13 : 지축 14 : 변좌
14a : 보스부 15 : 변개
16 : 키 17 : 키홈
18 : 흘리트 19 : 요설부
20 : 박육부 21 : 돌조
22 : 요조홈 23 : 요설부
24 : 돌부 25 : 레버
25a : 축공 25b : 브래킷
25c : 홈조 25d : 괘지면
25e : 괘지부 25f : 상면
25g : 만곡면 25h : 수지괘지부
25i : 수설부 0 : 지점
본 발명은 변좌나 변개 또는 플랩문짝 등의 개폐부재를 피착설체(변기둥)에 착설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좌, 변개를 변기에 착설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공지된바 있다.
즉, 그 하나는 변기에 창출부분을 형성하고 이 창출부분에 횡향한 지축을 삽입하므로서 변기에 대하여 변좌, 변개를 회전자재하게 착설하도록 한것, 더욱이 변기에 삽입공을 종향으로 형성하고, 이 삽입공의 변좌, 변개의 힌지에서 돌설된 핀, 나간등을 삽입하므로서 변기에 대하여 변좌, 변개를 착설하도록 된 것도 있다.
그러나, 전자에서는 실제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지축의 삽입 및 인발이 빽빽하여 간편한 삽탈이 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원터치식이라고 호칭하기 어려운 것이고, 더욱이 창출부분이 있으므로서 청소하기에도 난점이 있다.
또한, 후자도 전자와 같이 실제의 착탈시에 있어서의 핀, 나간등의 삽입 및 인발이 상당히 빡빡하여 변좌, 변개의 용이한 착탈이 어려웠기 때문에 경쾌한 착탈조작이라고는 할 수 없고, 또 변좌, 변개를 해탈하여 청소할 경우, 변기에는 관통되지 아니한 요설공이 있기 때문에 이 요설공에 물이 잔류되어서 청소가 어려울 뿐만이 아니고, 전자, 후자 모두가 착설용 나사부분이 길기 때문에 출하수송시에 곤포하는데 품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고 창안된 것으로서 청구범위 제1항에서는 변기등에 대한 변좌, 변개등의 착설, 해탈을 지극히 간편하게 행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청소시의 해탈조작이나 출하시의 곤포등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는 상기 청구범위 제1항에 더하여 변기등에 대한 변좌, 변개등의 착설, 해탈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확실하게 하는 것이고 더욱이 청구범위 제3항에 서는 당해 착설, 해탈의 조작성을 향상함과 함께 외관을 양호하게 하여 오염을 피하여 내구성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항에서는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착설자재하고, 상면이 후방으로 경사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괘당부를 후방으로 돌설하여서 된 받이부재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힌지에서 상기 받이부재상으로 적중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단이 상기 받이부재의 전단에 계탈자재하게 계감하므로서 지점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이며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며, 하방을 향하여 탄발력이 가세됨과 함께, 상기 받이부재의 당해 괘당부에 괘탈자재하게 하여 당해 괘당부에 상기 탄발력으로 괘지가능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후크로 된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는 하면에서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착설자재한 착설간이 수설되고, 상면이 후방에 경사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과당부를 후방에 돌설하여서 된 받이부재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가동축의 소망회전각도 영역에 있어서 소요된 저항력이 부여되도록 된 힌지에서 상기 받이부재상에 적중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단이 상기 받이부재의 전단에 계탈자재하게 계감하므로서 지점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로서 상하방향에 회동가능하게 하여 하방을 향하여 탄발력이 가세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받이부재의 괘당부에 쾌탈자재하게 하여 괘당부에 상기 탄발력으로 괘지가능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후크로 되는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3항의 경우에는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착설자재하고 상면이 후방에 경사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괘당부를 후방에 돌설하여서 된 받이부재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힌지에서 상기 받이부재상에 적중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이 상기 받이부재의 전단에 계탈자재하게 계감하므로서 지점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있어 상하방향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착되어 하방을 향하여 탄발력이 가세되므로서 상기 받이부재에 형성한 괘당부에 쾌탈이 자재하도록 괘지자재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후크와 동상 본체의 후단부에 있어, 상기 후크를 내장한 상태로 당해 후크와 동축으로 상하방향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착되고, 상기 후크를 상기 탄발력에 항거하여 상방에 회동자재하도록 괘지가능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레버등으로 된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4항에서는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착설자재하고 상면이 후방에 경사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괘당부를 후방에 돌설하여서 된 받이부재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힌지에서 상기 받이부재상에 적중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이 상기 받이부재의 전단에 게탈자재하게 계감하므로서 지점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로서 상하방향에 회동가능하도록 구착되고 하방을 향한 탄발력이 가세되므로서 상기 받이부재에 형성한 괘당부에 괘탈이 자재하도록 괘지자재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후단에서 후크 작동부가 돌설되어 있는 후크와를 구비하고 동상본체의 후단부에 상기후크의 상부 및 측부를 덮도록 연출된 커버부가 설치되어서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1항의 착설장치에 의한때는 그 받이부재는 이것을 미리 접착제등으로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있어서의 소정위치에 고정시켜 두는 것이다.
상기 받이부재와 본체의 양전단 상호를 계감하므로서 지점이 형성되고, 이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본체를 하방(받이부재측)에 압하하여 회동하면 당해 본체의 선단이 설치된 후크의 괘지부가 상기 받이부재의 괘당부의 상면에 당접하지만 다시 본체를 하방에 압입해가면 당해 후크는 탄발력에 항거하여 회전되고, 상기 괘당부에 있어서의 괘지면의 상면은 전방하위에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시 본체를 하방에 압입하여 가면 그 경사면에 연하여 괘지부가 활동하고, 상기 경사면에서 벗어나면 동시에 탄발력의 가세에 의하여 하방에 회전복귀하고, 이 괘지부는 받이부재의 괘당부에 괘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본체는 받이부재상에 적중상태로 록된다.
즉, 상기 본체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 자재한 힌지와는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받이부재에 본체를 록하므로서 변기동에 대하여 변좌, 변개등은 개폐자재하게 착설된다.
또한, 변좌, 변개등을 해탈할때는 훅을 탄발력에 항거하여 들어올리므로서 상기 괘당부에 대하여 괘지부의 괘지가 해리되므로 상기 받이부재에 대하여 훅본체와 한지를 해탈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경우는 상기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의 받이부재의 변기등으로의 고정이 당해 받이부재의 착설간을 미리 변기등에 설치되어 있는 착설공에 압입하므로서 이루어지게 되고 그 점에서는 전자의 작용과 동일하다.
청구범위 제3항의 착설장치에서는 미리 변기등에 고정된 받이부재에 본체를 착탈자재하게 착설하는 것은 상기 청구범위 제1항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해탈할 경우에는 레버를 상방에 회동하면 그 괘지부에 괘지되어 있는 훅은 탄발력에 항거하여 상방에 향하여 회전되고, 받이부재의 괘당부에 대한 훅의 괘지부의 괘지가 해리되므로 상기 받이부재에서 본체 및 힌지 그리고 훅과 레버가 함께 해탈된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4항에서는 청구범위 제3항의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해탈에 있어 훅레버작동부를 본체의 커버부와 함께 파지하므로서 상기 레버부는 상방으로 회동되므로 훅은 탄발력에 항거하여 상방에 회동되고 그 괘지부는 받이부재의 괘당부에 대한 괘지를 해리되고 상기 받이부재에 대하여 본체 및 힌지, 훅을 해탈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청구범위 제1항, 제2항에 관하여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받이부재(1)는 합성수지재등에 의하여 후육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그 하면의 전단부 근방에서 착설간(2)이 일체로 수설되었다.
도시한 받이부재(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기등의 피착설체(3)에 천설된 착설공(4)에 착설간(2)을 압입 끼워맞추므로서 이 변기등의 개폐부재의 상면에 연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착설간(2)의 외주에 수나사(2a)를 각설하고 상기 착설공(4)에 나사돌림하면서 끼워맞추면 변기등에 대하여 이완이 생기는 일없이 견고하게 착설할 수가 있다.
여기에서 물론 당해 받이부재(1)는 착설간(2)을 돌설하여 두는 일없이 접착제에 의하여 피착설체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받이부재(1)에는 그 후단의 좌우 양측부에 한쌍의 괘당부(5)(5)가 돌설되어 있다.
이 괘당부(5)(5)는 그 상면이 기단에서 상단에 경사 하강하는 경사면(5a)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경사면(5a)의 하강전단면에 연속된 괘지면(5b)이 대략 수평상태로 하향하게 형성되었다.
또한 받이부재(1)의 전단면에는 후술하는 본체(7)의 전단과에 의하여 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요조구(6)가 좌우방향(폭방향)으로 길게 요설되어 있다.
상기 받이부재(1)에 대하여 착탈자재하게 되는 본체(7)는 정상벽(7a)과 이 정상벽(7a)에서 일체로 수설된 후벽(7b), 전벽(7c), 좌우의 측벽(7d)(7d)과에 의하여 단면 대략 역향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이부재(1) 상에 피관상태로 적중가능하게 되었다.
이 본체(7)는 힌지(8)의 케이스(8a)에서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설되었다.
상기 힌지(8)로서는 단순하게 경첩등을 사용할 수가 있지만 상기 도시예에서는 공지된바 있는 케이스(8a)에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하게한 가동축(8b)과 함께 회전되는 도시되지 아니한 가동부재가 배설되고, 상기 케이스(8a)내의 고분자 점성유체나 물, 유리등의 점성유체가 당해 케이스(8a)와 가동부재간에 배치되고, 이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력, 또는 이 점성전단 저항력과 내장된 도시없는 스프링에 의한 탄발력과를 이용하므로서 저항력을 얻을 수 있게 형성되고, 당해 저항력에 의하여 변좌, 변개등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재동력이 적시에 부여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본체(7)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폭방향 중앙에 있어 정상벽(7a)에서 후벽(7b)에 걸쳐서 절결에 의하여 형성한 절결부(7a)가 존재하고 여기에는 훅(9)이 중공핀등에 의한 지축(10)으로 상하방향에 회전자재하도록 구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훅(9)은 측면 대략 3각형상이 되도록 수평한 상면(9a)에 대하여 하면(9b)이 전단에서 후단방향에 경사상승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그 전단부에 있어 좌우방향에 관통된 측공(9c)과 상기 본체(7)의 좌우의 측벽(7d)(7d)에 관통한 축공(9c)과 상기 본체(7)의 좌우의 측벽(7d)(7d)에 관통한 축공(7f)과에 상기 지축(10)을 삽통하므로서 당해 훅(9)은 본체(7)에 구지되고 상기 지축(10)은 훅캡(11)에 의하여 발취가 방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훅(9)은 그 전단에 상기 본체(7)에 있어서의 정상벽(7a)의 이면에 당접하기 위한 계합면(9d)이 상향으로 형성됨과 함께 좌우의 양측면에는 상기 받이부재(1)에 있어서의 괘당부(5)(5)의 괘지면(5b)(5b)에 대하여 괘탈자재하게 상향된 괘지면(9f)을 가진 괘지부(9e)(9e)가 좌우대칭으로 돌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훅(9)에 있어서의 괘지부(9e)(9e)의 하면 전단부(9g)는 상기 괘당부(5)의 경사면(5a)에 연하여 활동하기 쉽도록 적의한 곡율의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훅(9)은 상기 지축(10)에 의장된 상태로 축공(9c)에 내장되고, 일단부(12a)를 당해 훅(9)의 스프링받이(9h)에, 타단부(12b)를 본체(7)의 스프링받이(7g)에 각각 괘지하여 개장시킨 스프링(12)에 의하여 동상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통상은 계합면(3d)의 본체(7)의 이면(7b)에 당접되어 있으므로서 당해 훅(9)은 스프링(12)에 의해 가세력이 항거하여 동상도면에서와 같이 상면(9a)이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본체(7)의 전단부에 있어 좌우측벽(7d)(7d)에 축공(7i)(7i)을 대향 관통하고, 중공핀등에 의한 지축(13)을 관통하고 중공핀등에 의한 지축(13)을 삽통고정시키고, 이 지축(13)을 상기 받이부재(1)의 요조구(6)에 끼워 맞춤으로서 제4도와 같이 당해 본체(7)가 상하방향에 회전하기 위한 지점(0)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변기등의 피착설체(3)에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변좌(14)와 변개(15)등의 개폐부재를 착설할때는 제4a도-4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착설체(3)인 변기에 천설되어 있는 착설공(4)에 도시예에서는 그 착설간(2)을 감착하여 받이부재(1)를 당해 변기의 소정위치에 있어 소정방향으로 고정한다.
일방 힌티(8)의 가동축(8B)을 변좌(14), 변개(15)의 보수부(14a)(15a)에 관통된 축공(14b)(15b)에 삽통하고 키이(16)와 키이홈(17)등에 의하여 고정한다.
이어서 변좌(14), 변개(15)와 함께 힌지(8), 본체(7)를 가지고 제4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후방 고위의 후경사 상태로 하여 본체(7)의 지축(13)을 받이부재(1)의 요조구(6)에 끼워맞추고 동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방에 압입하면 훅(9)의 괘지부(9e)(9e)의 하면이 받이부재(1)에 있어서의 괘지면(5)(5)의 경사면(5a)(5a)에 충당하고, 훅(9)은 탄발력에 항거하여 화살표 a가 표시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시 본체(7)를 압입하면 괘지부(9e)(9e)가 괘당부(5)(5)의 경사면(5a)(5a)에 안내되면서 다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경사면(5a)(5a)에서 벗겨지면 동시에 탄발력 가세에 의하여 반시계회동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괘지부(9e)(9e)와 괘당부(5)(5)의 각 괘지면(9f)(5b) 상호가 동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괘지되고, 본체(7)는 받이부재(1)에 대하여 적중상태로 록되고, 변좌(14), 변개(15)는 변기에 착설된다.
또, 변기에서 변좌(14), 변개(15)를 해탈시키는 훅(9)을 동도면(D)에 도시한 바와같이 탄발력에 항거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끌어올려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상기 괘당부(5)(5)의 괘지부(9e)(9e)의 각 괘지면(5b)(9f)과의 괘지가 벗겨지므로서 이 상태에서 본체(7)를 끌어올리면서 변좌(14), 변개(15)를 해탈할 수가 있다.
제5도, 제6a, b도는 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7)와 훅(9)과 스프링(12)이 각각 변개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본체(7)와 훅(9)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훅(9)의 기부에 탄발력을 가지게 하고, 이 탄발력을 이용하여 본체(7)를 받이부재(1)에 룩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즉, 상기 본체(7)는 플라스틱, 금속등의 탄성을 가진 부재로서 힌지(8)의 케이스(8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2개의 슬리트(18)(18)를 좌우방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에 길게 병설하므로서 그 슬리트(18)(18)사이에 훅(7)을 형성하고, 이 훅(9)의 기부 이면에 요부(19)를 요설하므로서 이 기부를 박육부(20)에 기부 이면에 요부(19)를 요설하므로서 이 기부를 박육부(20)에 형성하여 이 박육부(20)에 탄성을 부여함과 함께 그 탄발력에 항거하여 훅(9)이 상방으로 반곡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훅(9)의 하부에는 괘지부(9e)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받이부재(1)와 본체(7)의 양전단부의 지점 O는 상호 괘탈가능하게 돌조(21)와 요조구(22)를 설치하므로서 형성되어 있다.
기타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 받이부재(1)와 본체(7)와 착설하고 해탈도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같다.
더욱이 제1도, 제3도, 제4도, 제5도에 있어서 23은 받이부재(1)의 상부좌우에 절결형성한 요부, 24는 본체(7)의 이면에 있어 상기 요부(23)와 대응하여 설치한 돌부이며, 받이부재(1)와 본체(7)의 록시에 상기 요부(23)와 돌부(24)가 끼워지고 양자의 좌우방향이동을 저지한다.
다음은 청구범위 제3항에 의한 착설장치에 대하여 제8도, 제9도, 제11도에 의하여 이를 설치하면 그 기본구성은 상기의 것과 동등하고, 그 특기하여야 할 상위점은 훅(9)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이에 계당되는 레버(25)가 부가되어 있는 것이다.
즉, 플레이트형의 받이부재(1)에는 2개의 수나사(2a)를 가진 착설간(2)(2)이 돌설되고, 이것을 피착설체(3)의 착설공(4)에 감착하도록 하고, 일개의 괘당부(5)가 그 후단 중앙부에 설치되고 여기에는 상기와 동일한 경사면(5a)과 괘지면(5b)이 형성되어 있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요조구(6)가 그 전단부에 요설되어 있다.
본체(7)도 실질적으로 상기의 것과 동일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받이부재(1)의 피관상태로 적중가능하고, 힌지(8)를 구비함과 함께 제8도와 같이 본체(7)의 후단중앙부에 있어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브래킷(7j)(7j)이 돌설되고, 이 브래킷(7j)(7j)의 축공(7f)(7f)의 축공(7f)(7f)에 상기 훅(9)뿐만이 아니고 레버(25)가 중공핀등에 의한 지축(10)에 의하여 어느것이나 상하방향으로 회동자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상기 훅(9)은 좌우방향으로 축공(9c)을 관통한 축승부(9i)에서 하방에 수설되고, 수평한 괘지면(9f)을 가진 측면 대략 역 ㄴ자 형의 괘지부(9e)와 상기 축승부(9i)에서 후방에 돌설하여 수평한 괘지면(9i)을 형성한 괘지부(9k)가 설치되었다.
또한 상기 훅(9)에는 그 축공(9c)의 일측단부에 확경된 스프링수용공(9l)이 형성되고, 상기 지축(10)에 의장된 상태로서 스피링(12)이 상기 스프링수용공(9l)에 내장됨과 함께 이 스프링(12)의 일단(12a)은 상기 스프링수용공(9l)의 일측에 요설된 스프링받이(9h)에, 타단(12b)은 상기 스프링수용공(9l)의 주벽 일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절결형성한 홈부(9m)에서 외측에 연출하고, 상기 본체(7)의 스프링받이(7g)에 각각 괘지되므로서 당해 훅(9)은 하방을 향하여(제9도에 있어서는 시계회전방향)탄발력이 가세되어 있고, 그 괘지부(9e)가 상기 받이부재(1)의 괘당부(5)에 괘탈자재하게 괘지자재하게 괘지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괘지부(9e)의 하면 전단부(9g)는 받이부재(1)의 괘당부(5)에 있어서의 경사면(5a)에 연하여 활동하기 쉽게 적의한 곡율로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스프링(12)은 스프링수용공(9l)에 감착되는 화셔형상의 훅캡(11)에 의하여 발탈방지가 되어있다.
더욱이 지축(10)에 의하여 본체(7)에 축지된 레버(25)는 그 전단의 좌우 양측에 축공(25a)(25a)을 관통한 한쌍의 브래킷(25b)(25b)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설되어 있고 이 양 브래킷(25b)(25b) 사이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요조구(25c)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저부에 수평하고 상향의 괘지면(25d)을 가진 괘지부(25e)가 형성되고, 상기 훅(9)이 요구조(25c)에 내장된 상태로서 그 괘지부(9k)가 상기 괘지부(25c)에 괘지되고, 당해 레버(25)는 스프링(12)에 의한 탄발력에 항거하여 훅(9)을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요구조(25c)는 상기 받이부재(1)에 본체(7)을 착설한때 훅(9)의 괘지부(9k)가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었다.
더욱이 상기 레버(15)는 측면 대략 3각형이 되도록 수평한 상면(25f)에 대하여 후측면이 내측으로 요입된 호형의 만곡면(25g)으로 형성되고 상면(25f)과 만곡면(25g)과에 의하여 상부 후방에 손가락걸이부(25h)가 돌설됨과 함께 하방에는 수설부(25i)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훅(9)은 덮어져서 외측에서 직시할 수 없게 되었다.
더욱이 상기 본체(7)의 전단부에 있어서 측벽(7d)(7d)에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지축(13)이 가설되어 있고, 이 지축(13)이 가설되어 있고, 이 지축(13)을 상기 받이부재(1)의 전단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길게 설치한 전기한 요조구(6)에 계감하므로서 받이부재(1)에 대하여 당해 본체(7)를 착탈할때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지점 O가 형성되게 되어 있는 것은 상기와 동일하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4항에서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훅(9)에 있어 상술한 괘지부(9k)에 상당한 부분을 후방으로 연설하므로서 훅작동부(25m)가 형성되었다.
일방, 상기 본체(7)는 그 후단에서 커버부(7k)가 후방으로 연설되어 있지만 이것은 상기 훅(9)의 상부에서 축부에 걸쳐서 덮는 것같이 수평한 정상벽(7l)과 이 정상벽(7l)의 좌우 양단에서 하방으로 수설한 좌우의 측벽(7m)(7m)과에 의하여 단면 대략 ()형상으로 후단을 개구하여 형성되며, 그 정상벽(7l)과 상기 훅(9)의 축승부(9i)에서 후방으로 연출시킨 훅장동부(9n)를 모지와 인지등으로 파지하므로서 훅(9)을 탄발력에 항거하여 상방으로 회동하고 그 괘지부(9e)가 받이부재(1)의 괘지부(5)에서 괘지해제되도록 되었다.
여기에서 청구범위 제3항, 제4항에 관한 착설장치에 있어서도 상술한 청구범위 제1항, 제2항의 경우에 있어서의 착설작업과 실질적으로 동일수단으로 변기등에 변좌, 변개등을 회전자재하게 장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청구범위 제1항에 의한때는 받이부재와 본체의 양기단을 계감하고 여기를 지점으로 하여 본체의 선단부를 받이부재에 대하여 압입학, 그리고 훅의 선단을 상방으로 회전시킨다고 하는 용이한 조작에 의하여 변기등에 대한 변좌, 변개등의 착설, 해탈의 작업을 간이, 신속하게 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하여 변기, 변좌, 변개등의 멘테넌스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이들 부재의 소제를 할때는 변좌, 변개등을 간이한 조작으로 해탈시키므로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더욱이 힌지부에 곤포한 나사나 돌출부가 없기 때문에 변좌와 변개등을 착설한 상태에서 출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또 받이부재는 변기등에 착설하여 출하할 수가 있고 더욱이 변좌나 변개등이 판속된 때등의 교환도 간편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2항의 경우는 청구범위 제1항에 더하여 받이부재를 그 착설간의 압입조작만으로서 피착설체에 확실하게 고정이 되고 나사고정 작업등을 하지 아니하고 또 너트등의 별개부품도 불필요하게 된다.
다음은 청구범위 제3항의 착설장치에 의할때는 상기 청구범위 제1항에 더하여 훅이 레버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훅과 그 괘지부와 받이부재와의 괘지부분등이 음폐되어 있으므로서 외과상의 의장적 감각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고 더욱이 받이부재에 대하여 본체를 착탈때 그들 괘지부분에 손가락등을 물리는 일도 없고, 레버에 의한 괘지해제를 위한 조작성도 양호한 것이다.
더욱이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는 본체에서 연설된 커버부에 의하여 훅 및 그 축지부나 스프링등은 엎혀지기 때문에 더욱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을 뿐더러 훅축지부등에 때가 부착하는 것도 방지되고 또 훅에서 돌설된 훅작동부를 본체의 커버부와 함께 찝는 것같이 조작하므로서 훅을 회동할 수 있으므로 더욱 당해 훅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4)

  1.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착설자재하고 상면이 후방으로 경사하강하는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는 괘당부를 후방에 돌설하여서 된 받이부재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힌지에서 상기 받이부재상으로 적중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단이 상기 받이부재의 전단에 계탈자재하게 계감하므로서 지점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되 하방을 향한 탄발력이 가세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받이부재의 괘당부에 괘탈자재하며, 당해 괘당부에 상기 탄발력으로 괘지가능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훅으로된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2. 하면에서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착설자재한 착설간이 수설되고, 상면이 후방으로 경사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괘당부를 후방으로 돌설하여서 된 받이부재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가동축의 소방회전 각도 영역에 있어서, 소요의 저항력이 부여되도록 한 힌지에서 상기 받이 부재상에 적중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전단이 상기 받이부재의 전단에 계탈자재하게 계감하므로서 지점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있어 상하방향에 회동가능하게 하여 하방을 향하며, 탄발력이 가세됨과 함께 상기 받이부재의 괘당부에 괘탈자재하게 하여 당해 괘당부에 상기 탄발력으로 괘지가능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훅으로된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3.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착설자재하고 상면이 후방으로 경사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패당부를 후방에 돌설하여서 된 받이부재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힌지에서 상기 받이부재상에 적중가능하게 설치하되, 전단이 상기 받이부재의 전단에 계탈자재하게 계감하므로서 지점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착되고, 하방을 향하여 탄발력이 가세되므로서 상기 받이부재에 형성된 괘당부에 괘탈자재하도록 괘지자재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훅과 동상 본체의 후단부에 있어 상기 훅을 내장한 상태로 당해 훅과 동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착되며, 상기 훅을 상기 탄발력에 항거하여 상방으로 회동자재하도록 괘지가능한 괘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레버로 된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4. 변기등의 피착설체에 착설자재하되, 상면이 후방으로 경사하강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패당부를 후방에 돌설하여서 된 받이부재와 변좌, 변개등의 개폐부재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자재한 힌지에서 상기 받이부재상에 적중 가능하게 설치하되, 전단이 상기 받이부재의 전단에 계탈자재하게 계감하므로서 지점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 있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착되고 하방을 향하여 탄발력이 가세되므로서 상기 받이부재에 형성한 괘당부에 괘탈이 자재하도록 괘지자재한 괘지부가 설치됨과 함께 후단에서 훅 작동부가 돌설되어 있는 훅과를 구비하고, 동상 본체의 후단부에 상기 훅의 상부 및 축부를 덮도록 연출된 커버부가 설치되어서된 변조, 변개의 착설장치.
KR1019900012380A 1989-08-11 1990-08-11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KR930004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5257 1989-08-11
JP9525789U JPH07159Y2 (ja) 1989-08-11 1989-08-11 便座、便蓋の便器への取付け装置
JP89-95257 1989-08-11
JP2-42292 1990-04-20
JP4229290U JPH0722160Y2 (ja) 1990-04-20 1990-04-20 便座、便蓋等の水平軸に取り付けられた開閉部材の取付装置
JP90-42292 1990-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154A KR910004154A (ko) 1991-03-28
KR930004961B1 true KR930004961B1 (ko) 1993-06-11

Family

ID=2638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380A KR930004961B1 (ko) 1989-08-11 1990-08-11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75891A (ko)
EP (1) EP0412813B1 (ko)
KR (1) KR930004961B1 (ko)
AU (1) AU629378B2 (ko)
CA (1) CA2023085C (ko)
DE (1) DE69003903T2 (ko)
IE (1) IE62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193B1 (ko) * 2005-08-17 2006-12-14 좌승열 양변기 시트 개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2360B1 (fr) * 1993-03-09 1996-03-01 Allibert Dispositif de liaison amovible et d'articulation d'une assise et/ou d'un couvercle sur une cuvette de w.c. par l'intermediaire d'une plaque de verrouillage.
USD385020S (en) * 1995-06-07 1997-10-14 Rfsu Rehab Ab Hinge
US5933875A (en) * 1997-04-03 1999-08-10 Bemis Manufacturing Company Lift-off toilet seat hinge
AU735029B2 (en) * 1997-07-04 2001-06-28 Caroma Industries Limited An assembly for connecting a toilet seat hinge support to a toilet pan bolt
US6070295A (en) * 1998-09-22 2000-06-06 Bemis Manufacturing Company Quick release toilet seat hinge with swivel
DE50110021D1 (de) * 2000-09-29 2006-07-20 Vaillant Gmbh Scharnier zur Befestigung eines Deckels
US6381762B1 (en) 2001-03-15 2002-05-07 Scott A. Moser Quick release toilet seat hinge assembly
US6449783B1 (en) 2001-06-29 2002-09-17 Scott A. Moser Energy transferring toilet seat
DE10391930D2 (de) * 2002-04-23 2005-05-19 Asem Industrieberatung Und Ver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die Absenkung einer Toilettenabdeckung mit Schnellbefestigung
JP2003329029A (ja) * 2002-05-15 2003-11-19 Fujitsu Ltd ヒンジ構造及び表示装置
US7338247B2 (en) * 2004-03-16 2008-03-04 Ateca Steven J Quick release fastener
US7155748B2 (en) * 2004-04-01 2007-01-02 Kohler Co. Releasable toilet seat assembly
US7281276B2 (en) * 2004-04-01 2007-10-16 Kohler Co. Releasable toilet seat assembly
US8631521B1 (en) 2004-08-21 2014-01-21 Theodore W. Baker Toilet seat hinge
US7647652B1 (en) 2004-08-21 2010-01-19 Baker Theodore W Toilet seat hinge
US7389549B2 (en) * 2004-09-24 2008-06-24 Kohler Co. Quick release toilet seat hinge assembly
US20060113504A1 (en) * 2004-12-01 2006-06-01 China Cat, Inc. Quick release hinge assembly
DE102005014185B4 (de) * 2005-02-14 2010-04-15 Hamberger Industriewerk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US20080178372A1 (en) * 2007-01-29 2008-07-31 Matalon Sara Toilet seat holder
US8943618B2 (en) * 2010-07-13 2015-02-03 Centoco Plastics Limited Toilet seat hinge assembly
CA2848059C (en) * 2011-09-15 2019-11-05 Bemis Manufacturing Company Toilet seat hinge
GB2511790B (en) * 2013-03-13 2018-03-14 Croydex Ltd Toilet seat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80115510A (ko) * 2017-04-13 2018-10-23 주식회사 대우전자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힌지 장치
US11564538B2 (en)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0220A (en) * 1938-09-09 1941-04-29 B R E Mfg Co Water closet seat
US4173802A (en) * 1978-03-16 1979-11-13 Wikstrom Karl Erik Toilet seat
US4326307A (en) * 1978-06-02 1982-04-27 Baillie Kenneth D Releasable toilet seat clamp
US4319365A (en) * 1980-02-11 1982-03-16 Bemis Manufacturing Company No tool toilet seat hardware
US4438535A (en) * 1980-09-24 1984-03-27 Candelario Paredes Seat and cover assembly for a toilet bowl
US4426743A (en) * 1982-08-24 1984-01-24 Sani-Seat, Incorporated Toilet seat lifting device
EP0538240A3 (en) * 1984-10-19 1993-06-02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Hinge
US4688274A (en) * 1985-12-06 1987-08-25 Kohler Co. Toilet covering hinge assembly
US4729134A (en) * 1985-12-06 1988-03-08 Kohler Co. Toilet covering hinge assembly
AT386862B (de) * 1985-12-10 1988-10-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AT383852B (de) * 1986-04-10 1987-09-10 Blum Gmbh Julius Scharnier
US4847948A (en) * 1986-06-14 1989-07-18 Paul Hettich Gmbh & Co. Hinge for connecting two relatively movable furniture components
DE3701720A1 (de) * 1987-01-22 1988-08-04 Pag Presswerk Ag Toilettenabdeckung
FR2627371B1 (fr) * 1988-02-18 1991-05-24 Tissot Sa Abattant pour cuvette de w.c.
US4974262A (en) * 1988-07-11 1990-12-04 Ginsey Industries, Inc. Hinge for toilet seat and l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193B1 (ko) * 2005-08-17 2006-12-14 좌승열 양변기 시트 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017290A (en) 1991-02-14
EP0412813A1 (en) 1991-02-13
AU629378B2 (en) 1992-10-01
CA2023085A1 (en) 1991-02-12
DE69003903T2 (de) 1994-02-10
US5175891A (en) 1993-01-05
IE62415B1 (en) 1995-01-25
IE902901A1 (en) 1991-04-10
DE69003903D1 (de) 1993-11-18
EP0412813B1 (en) 1993-10-13
CA2023085C (en) 1993-10-12
KR910004154A (ko) 199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961B1 (ko) 변좌, 변개등의 착설장치
US3653077A (en) Quick detachable toilet seat hinge structure
US4889304A (en) All plastic display hook with locking feature
KR20000028656A (ko) 유아용 운반구 받침대
US4404695A (en) Automatic-locking toilet seat lid
AU645933B1 (en) Device for holding doors and windows
KR101432470B1 (ko) 가구용 옷걸이 걸이대의 지지 브래킷
US5566917A (en) Receptacle bracket
CN106132259A (zh) 防溅组件和安装支架
JPH0121206Y2 (ko)
KR101623307B1 (ko) 가구용 옷걸이 걸이대의 지지 브래킷
JPH067095Y2 (ja) シャワーフック
KR20170000742U (ko) 일체형 낚싯대 거치구
KR880002148Y1 (ko) 진공 소제기의 헤드 연결봉 각도 조절장치
JPH07159Y2 (ja) 便座、便蓋の便器への取付け装置
JP3559202B2 (ja) タオル等の掛け具
KR970006706Y1 (ko) 낚시대 끌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CN213640546U (zh) 一种电热水壶
JPH0722160Y2 (ja) 便座、便蓋等の水平軸に取り付けられた開閉部材の取付装置
JP4444058B2 (ja) 扉のラッチ装置
KR200141386Y1 (ko) 자동차용 코트 후크
KR200321983Y1 (ko) 낚시받침틀
JPS6329194Y2 (ko)
CA2420636C (en) Plug lock for electrical appliances
KR880000849Y1 (ko)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