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849Y1 -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849Y1
KR880000849Y1 KR2019850003884U KR850002884U KR880000849Y1 KR 880000849 Y1 KR880000849 Y1 KR 880000849Y1 KR 2019850003884 U KR2019850003884 U KR 2019850003884U KR 850002884 U KR850002884 U KR 850002884U KR 880000849 Y1 KR880000849 Y1 KR 880000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handle
sides
connector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식
Original Assignee
정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식 filed Critical 정도식
Priority to KR2019850003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8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849Y1/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요부구조를 설치한 베이비카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받침연결구 부분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
본 고안은 베이비카아에 있어서의 좌석위에 다리를 거는 모양으로 가로로 장착되는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이비카아(BABY CAR)는 차체에 좌석을 구성하는 해먹(HAMMOCK)에 부착하고 그 해먹에 붙어있는 다리가랭이띠를 손잡이 난간대에 감아서 고정하고 다리가랭이띠의 좌·우 양측에 각각 다리를 통하여 다리가랭이띠로 신체가 미끄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베이비카아에 타는 어린이가 젖먹이 아이일 경우에는 다리가랭이띠 및 손잡이 난간이 안정성의 면에서 꼭 필요하지만, 그 젖먹이 아이를 내리거나 할때에 혹은 비교적 커진 아이가 타거나 할때에는 손잡이 난간이 방해가 되거나 타고 내릴때 곤란을 느끼게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위와같은 불편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손잡이 난간이 차체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한것이 여러가지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것들은 애기들이 성장하여 얌전히 앉아있을 수 없을때에 손잡이 난간대를 제거하여야만 사용할 수 있게한 것으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조작이 번거롭고 엄마가 애기를 태우고 또는 내리고 하거나 애기의 기저귀를 바꿀때마다 간단히 착탈할수 없는 결함이 있어, 일상 사용에 있어서 간단히 착탈조작을 할 수 있는 손잡이 난간대의 취부장치의 개발이 요망시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단 일회조작으로 손잡이 난간대의 착탈을 가능하게한 것을 목적으로 하여서, 위와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차체의 상부전단 양쪽에 손잡이 난간대를 재승(載承)하는 받침연결구를 고착하고, 이 받침 연결구 차입요부(差入凹部)에 감합된 손잡이 난간대에 스프링 탄발력으로 작동케한 조작레버를 괘합시키도록 한것이 받침연결구 몸체에 절결형성한 차입요부에 감합하는 손잡이 난간대의 괘지공에 대하여 스프링힘으로 작동케되는 조작레버의 괘지돌기부(掛止突起部)가 감입하므로서 손잡이 난간대는 차체와 일체의 받침연결구에 괘지된 채로 보호유지된다.
또한 받침연결구에 취부된 조작레버를 스프링 힘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압동(押動) 조작하므로서 괘지돌기가 손잡이 난간대의 괘지공에서 빠지고 손잡이난간대는 받침연결구의 차입요부로부터 탈착자재가 되는 것이다.
또한 좌·우의 받침연결구에 취부된 조작레버는 한쪽만을 조작하여 손잡이난간대를 회동하고 해먹이 바깥쪽으로 위치시킬수도 있게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A)는 앞 지지간(1), 뒤지지간(2), 손잡이누름간(3)뒤로 기대는 틀(4)등의 조립에 의하여 접고, 조립자재토록 형성된 차체에서 앞지지간(1)과 뒤지지간(2)의 하단에는 각각 차축(車軸)을 취부되고 차륜(5)이 회전자재로 취부되어있고, 차체의 상부에 해먹(B)이 결려있다.
차체(A)에 있어서의 상부 전단양측 즉, 앞지지간(1)과 뒤지지간(2)의 상단이 합치하는 부분에는 받침연결구(6)를 설치하여 이 받침연결구(6)에 앞지지간(1)과 뒤지지간(2)의 각각 상단을 리베트(7)로 고착하여 차체(A)를 조립구성한다.
위에 설명한 받침연결구(6)는 합성수지재, 혹은 금속재로 편평상자(偏平箱子)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후면은 개구시켜서 앞지지간(1), 뒤지지간(2)을 자유자재로 끼워넣을 수 있게하고, 또한 상부에는 상면으로부터 적당한 차입요부(差 "t1" 凹部) (8)를 절결형성하고, 나아가서 그 차입요부(8)와 연통하는 듯이 전면부가 절결되어서 그 절결부(10)에 조작레버(9)가 감합되고, 조작레버(9)의 중간정도후부가 받침연결간(6)에 핀(11)으로 회동자유롭게 축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받침연결간(6)에 있어서의 절결부(10)안의 후벽면 하부에는 보스(BOSS) (12)가 돌출형성되고 그 보스(12)에 코일스프링(13)의 일단을 감합계지하고, 다른 일단을 조작레버(9)의 후측에 구획형성한요소(凹所) (14)에 감합하여 이조작레버(9)의 상부가 받침연결구(6)와 당접하는 방향으로 언제든지 눌러주게되어 있다.
조작레버(9)의 상부에 있어서의 받침연결구(6)의 후벽면과 대향하는 면에는 차입요부(8)에 감합되는 손잡이 난간대(15)의 양측으로 통하게 뚫은 괘지공(16)에 감합하는 괘지돌기(17)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괘지돌기(17)의 선단부는 끝이가는 테이퍼상으로 형성하고 괘지공(16)으로의 감입이 원만하게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난간대(15)는 금속제 파이프의 양측에 차입요부(8)에 감합하는 두터운 금속평판을 접속고착하던가 또는 파이프의 양측을 압괴하여 평판상을 만들고 그 평판부에 괘지공(16)을 착설하고, 파이프에 외측에는 발포(發泡)우레탄등의 완충재로 형성되는 튜우브(18)가 피복되어서 손촉감을 양호하게하는 동시에 충격완화를 할수있게 만든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작레버(9)의 하부를 코일스프링(13)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압압하면 상부가 바깥쪽으로 회동하고, 괘지돌기(17)가 손잡이난간대(15)의 괘지공(16)으로부터 이탈하고, 손잡이난간대(15)는 차입요부(8)로부터 빼내기가 자유자재로 된다.
따라서 좌·우의 조작레버(9)를 압압조작하면 손잡이 난간대(15)는 차체로부터 완전히 빼낼수 있고, 한쪽의 조작레버(9)만을 압압조작했을 경우는 다른쪽의 괘지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할 수 있고, 해먹(B)의 상방부를 개방상태로 할수 있고, 유아의 승강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받침연결구(6)에 있어서의 차입요부(8)가 세로방향(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것이지만 이 차입요부(8)는 받침연결구(6)에 전면일측으로부터 후면일측을 향하여 수평상으로 형성해도 물론 좋다.
더우기 베이비카아를 구성하는 차체의 형태는 첨부된 도면에 표시한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늘날 주지되어 있는 형태라도 물론 좋은 것이다.
본 고안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는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차체에 고정한 좌·우의 받침연결구에 차입요부를 절결하고, 그 차입요부에 감합된 손잡이 난간대에 스프링 탄발력으로 작동케한 조작레버를 계탈(係脫)자재로 한 것이기 때문에 조작레버를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압압하므로서 이 조작레버의 괘지돌기가 손잡이 난간대의 괘지공으로부터 이탈하고 손잡이난간대는 차입요부로부터 빼내기가 자유자재로 된다.
따라서 좌·우의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손잡이난간대를 완전히 빼낼수 있고, 다른쪽의 조작레버만을 조작한 경우는 다른쪽의 괘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바깥쪽으로 회동할 수 있고, 여하튼 간에 해먹의 상방은 개방상태로 할수 있고 유아의 승강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따라서 본 고안 장치로서만 일회조작으로 손잡이난간대의 착탈을 실시할 수 있는 편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체의 상부전단 양측에 손잡이 난간대(15)를 재승하는 받침연결구(6)를 고착하고, 그 받침연결구에 손잡이난간대의 양측부를 감합하는 차입요부(8)를 절결 형성하는 동시에 이 받침연결구에는 차입요부에 감합한 손잡이 난간대의 양측의 괘지공(16)에 끼워 빼내는 괘지돌기(17)를 가진 조작레버(9)를 회동가능으로 장착하고, 조작레버는 그 괘지돌기(17)가 손잡이 난간대(15)의 괘지공(16)에 감입하는 방향으로 탄발작동토록한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KR2019850003884U 1985-04-10 1985-04-10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KR880000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884U KR880000849Y1 (ko) 1985-04-10 1985-04-10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884U KR880000849Y1 (ko) 1985-04-10 1985-04-10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849Y1 true KR880000849Y1 (ko) 1988-03-16

Family

ID=1924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884U KR880000849Y1 (ko) 1985-04-10 1985-04-10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8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783A (ko) * 2018-07-03 2020-01-14 중산 아이푸바오 데일리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유모차용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783A (ko) * 2018-07-03 2020-01-14 중산 아이푸바오 데일리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유모차용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290B2 (ja) 幼児キャリヤ取付けシステム
US7032922B1 (en) Stroller with a detachable seat member
JPH0434171U (ko)
JPH04154477A (ja)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機構
US5533786A (en) Child restraint apparatus for a child seat
US5004253A (en) Guard attachment/removal structure in baby carriage
US5951112A (en) Seat belt device and a method for stabilizing a seat belt
KR880000849Y1 (ko) 베이비카아의 손잡이 난간대 착탈장치
KR200487545Y1 (ko) 유아 겸용 좌변기시트
US5134733A (en) Car bed for infants
US4381568A (en) Combination potty seat and step stool
CN209932152U (zh) 多功能组合式儿童餐椅
CN209932153U (zh) 多功能组合式儿童餐椅的织带收纳储存装置
TW202229046A (zh) 可調整的前置護體及安全座椅
JP200220558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H0527336Y2 (ko)
JP2719898B2 (ja) 幼児用便器
CN211893377U (zh) 具有新型扶手伸缩调整结构的童车
JP3643668B2 (ja) 幼児用便器
CN210095245U (zh) 多功能组合式儿童餐椅的背靠调节装置
KR200187438Y1 (ko) 유아용 양변기 보조커버
JP3021749U (ja) 小児用便座のカバー取付構造
JPH041022Y2 (ko)
JPS5927178Y2 (ja) 子供用椅子
JPH03561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