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933B1 -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을 위한 지향성 서보 및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기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을 위한 지향성 서보 및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기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933B1
KR930004933B1 KR1019900701380A KR900701380A KR930004933B1 KR 930004933 B1 KR930004933 B1 KR 930004933B1 KR 1019900701380 A KR1019900701380 A KR 1019900701380A KR 900701380 A KR900701380 A KR 900701380A KR 930004933 B1 KR930004933 B1 KR 930004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tracted
amplitude
processe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747A (ko
Inventor
아놀드 아이. 클레이만
Original Assignee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에이. 더블유. 카람벨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에이. 더블유. 카람벨라스 filed Critical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Publication of KR90070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을 위한 지향성 서보 및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기록 장치 및 그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향성 서보를 사용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지향성 서보의 상세도.
제3도 및 제4도는 가산 신호 부분이 감산 신호와 함께 향상된 변형도.
제5도는 자동 잔향 제어를 포함하는 본 출원인의 기준 특허 제4,748,669호의 회로도.
제6도는 제5도의 회로의 잔향 필터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기술된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중 대역 서보된 이퀼라이저의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의 회로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7도의 다중 대역 서보된 이퀼라이저의 상세한 블럭도.
제10도는 다중 대역 서보된 이퀼라이저들이 지향성 서보없이 사용된 경우에 가신 신호를 동적(動的)으로 부스트하기 위한 배열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지향성 서보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동적으로 부스트된 가산신호와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를 조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변형된 가산 신호 향상 기술을 사용하는 지향성 서보의 하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출원은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이란 명칭으로 1988년 5월 31일 특허된 본 출원인의 기존 미합중국 특허 제4,748,669호와 관련되어 있다. 이 기존 특허에서 공개된 내용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참조된다.
[본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스테레오 음향 이미지 향상(stereo sound image enhanceme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좌우측 채널 음향의 지향성(directiv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기술의 설명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에 대한 본 출원인의 기존 특허 제4,748,669호에서는, 가산 및 감산 신호(sum and difference signal)들이 감산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성분들을 부스트(boost)하고 상대적으로 가산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성분들을 약화시키도록 프로세스된 스테레오 음향 이미지 향상 시스템을 기술하였다. 이에 더하여,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진폭은, 하나의 레코드로부터 다른 레코드로 또는 주어진 레코드내의 한 시점으로부터 다른 시점까지, 비교적 일정한 스테레오 음향을 유지하도록 서보메카니즘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출원인의 기존 특허인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과 방법”의 응용품 및 다수의 다른 스테레오 음향 시스템은 스테레오 음향 이미지의 지향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상당한 이익을 얻는다. 지향성이 증가된다는 것은, 스테레오 음향의 한쪽 측면 또는 다른쪽 측면의 음향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스테레오 음향 이미지의 한쪽 측면 또는 다른쪽 측면으로부터 또는 이미지의 중앙에서 벗어난 영역으로부터 음향이 퍼지도록 음향을 확대 또는 증폭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특수한 기구와 같은, 상이한 소오스의 음향 소자가 중앙 스테이지의 한쪽 측면 또는 다른 측면과 고정 위치에 배치될 경우, 이러한 음향 소오스의 재생시에 이러한 각각의 기구가 오디오 영상의 중앙으로부터 떨어진 특정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거나 향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향상된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하기 위해 전체 음향 이미지의 외형 폭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지향성을 향상시키도록 배열함으로써, 각각의 기구 및 기타 고정음반의 측방향 변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청중의 음장(sound field)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물체의 음향에 의해 발생된 이동의 효과가 크게 증가된다. 예를들어, 텔리비젼 또는 영화 스크린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횡단하여 이동하는 고속의 자동차 또는 항공기를 볼 때, 시청자는 스크린을 횡단하는 차량을 볼 뿐만 아니라 가시 영상이 스크린 상에 나타나기 전에 스크린의 우측면에 접근하는 차량의 음향을 듣는다. 좌측으로부터의 음향은 이때에 매우 낮은 강도로 된다. 그래서, 차량이 스크린의 좌측 연부를 지나 사라질 때, 스테레오 음향 이미지의 좌측면으로부터의 음향은 증가되고 우측으로부터의 음향은 감소된다. 초기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 음향은 우측으로부터만 들려오게 된다.
차량이 스크린의 좌측면으로 사라짐에 따라 차량 음향은 좌측으로부터만 들려오게 된다. 주로 우측으로부터 들려오는 소리나 스테레오 사운드 이미지의 좌측으로부터 주로 들려오는 소리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확대시킴으로써,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시각적 및 음향적 이동에 대한 전체적인 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즉, 음향 이미지의 지향성이 증가된다. 소정의 가시 영상이 없을 경우에도 지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음향 이미지의 이동이 더욱 실감나게 된다. 이동하는 음향 이미지 또는 측방향으로 변위된 고정 음향 소오스 성분에 대한 지향성 향상기술은 출원인이 인식하고 있는한 종래의 기술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레오 음향 이미지에 대해 지향성 향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한 측면 또는 다른 측면으로부터 또는 한 채널 또는 다른 채널로부터의 입력 신호의 진폭에 응답하여 스테레오 감산 신호를 제어 가능하게 증폭하기 위한 지향성 서보가 제공된다. 특히, 스테레오 감산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지향성이 향상된 신호를 출력으로 제공하는 진폭 제어 회로가 제공된다. 진폭 제어 회로는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 및 스테레오 입력 신호예들 중 1개의 신호에 응답하는 서보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신호는 지향성 향상된 신호를 나타내는 궤환 신호를 발생시켜서 이를 스테레오 입력 신호와 조합함으로써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관련하여, 지향성이 향상된 감산 신호는, 선택된 비(ratio)로 스테레오 입력 신호와 조합된 궤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지향성 향상 전의 감산 신호와 비교된다. 조합된 신호는 증폭기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적분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 내에 도시된 시스템은 본 출원인의 기존 특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제1도는 기존 특허의 회로에 본 발명의 지향성 서보들을 포함하여 변형시킨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 스테레오 입력 신호(L 및 R)은 스테레오 입력 신호(Lin 및 Rin)을 제공하기 위해 서브소닉 필터(subsonic filter ; 12 및 14)를 통해 공급된다. 입력 스테레오 신호들은 감산 및 가산 신호[(L-R) 및 (L+R)]을 제공하기 위해 감산회로(11) 및 가산 회로(13)에 공급된다.
스테레오 입력 신호(Lin, Rin)(본 명세서 내의 모든 실시예는 이와 같이 표기함)가 스테레오 소오스로부터 직접 또는 통상적으로 방송(broadcast)되는 가산 및 감산 신호로부터 간접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은 이해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수신된 가산 및 감산은 상술한 바와같이 처리되고, 신호(Lin, Rin)은 가산 및 감산 신호를 가산하거나 감산하여 획득된다. 감산 신호는 선정된 주파수 대역 그룹 내의 감산 신호의 서로 다른 성분들의 상대적인 진폭을 나타내는 다수의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스펙트럼 분석기(17)에 공급된다. 이 스펙트럼 분석기 출력 신호는 감산 신호 진폭이 보다 적은 주파수 대역 내의 감산 신호성분의 진폭을 부스트하는 다이나믹 감산 신호 이퀼라이저(19)에 공급된다. 즉, 통상적으로 잠잠한 이 주파수 대역들 내의 감산 신호의 성분은 이퀼라이저(19)에 의해 부스트된다.
스펙트럼 분석기의 출력은 또한 감산 신호가 잠잠한 대역들 밖에 있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가산 신호 성분을 상대적으로 부스트하는 다이나믹 가산 이퀼라이저(21)에 공급된다. 또한 다이나믹 감산 신호 이퀼라이저(19)의 출력은 좀더 이퀼라이즈시키기 위해 고정된 감산 신호 이퀼라이저(18)에 공급된다.
이퀼라이저(18 및 19)에 의해 처리되어진,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에 대한 서보 루프는 이득 제어된 증폭기(22) 및 제어 회로(30)을 거쳐 제공된다. 여러가지의 이퀼라이저와 마찬가지로 이 서보 루프는 기존 특허에 상세히 기술되었다. 프로세스되지 않은 가산 및 감산 신호[(L+R) 및 (L-R)] 및 증폭기(22)의 출력, 즉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에 응답하여, 제어회로(30)은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CTRL)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장치는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와 프로세스되지 않은 가산 신호 사이의 거의 일정한 선정된 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기존 특허의 시스템은 다이나믹 신호 이퀼라이저(19 및 21) 모두에 공급된 잔향 제어 신호(reverberation control signal ; RCTRL)를 발생시키는 제어회로(30)내의 회로에 의해 잔향 제어를 포함한다. 입력 신호(Lin 및 Rin) 및 프로세스된 가산신호[(L+R)p]는 혼합기(35)에 공급된다. 기존 특허에서도, 이득 제어된 증폭기로부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는 혼합기에 공급된다. 종래 특허에서, 프로세스된 가산 및 감산 신호는 소정의 시스템 효과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 전위차계(adjustment potentiometer)를 통해 공급된다. 기존 특허에서, 혼합기는 아래식에 의해 정의된 바와같은 좌우측 출력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몇몇 입력들에 작용한다.
Lout=Lin+K1(L-R)p+K2(L+R)p 식(1)
Rout=Rin+K2(L+R)p-K3(L-R)p 식(2)
여기서, K1, K2및 K3은 상수이다.
이 식에서, -K3(L-R)p의 양은 +K3(R-L)p와 동일하고, 기존 특허에서, 인버터는 감산 신호[(R-L)p]을 제공하도록 프로세스된 감산신호[(L-R)p]를 반전하기 위해 혼합기 내에 제공된다. 기존 특허의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는 좌측 스피커(36)에 혼합기에 의해 제공된 신호 부분이고, 프로세스된 감산신호[(R-L)p]는 우측 스피커(37)에 혼합기에 의해 제공된 신호부분이다. 혼합기(35)로부터의 신호는 구동기 증폭기(39, 41)을 거쳐 스피커에 공급된다. 제1도가 지향성이 향상된 출력을 갖고 있는 변형된 혼합기의 출력을 수신하는 스피커(36, 37)을 도시한 것이라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기존 특허의 혼합기 출력은 식(1) 및 식(2)에 의해 정해지지만 도면 내에 도시하지 않았었다.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는, 본 발명의 혼합기는 기존 특허의 혼합기로부터 인버터를 제거하고, 이득 제어된 증폭기(22)의 출력과 기존 특허의 시스템에 부가된 지향성 서보들 중 1개의 서보사이에 인버터를 배치하였다는 것이다. 이득 제어된 증폭기(22)의 출력과 혼합기(35) 사이에 부가 배치된 좌우측 지향성 서보(40, 44)를 도시한 이 배열은 제1도에 도시되었다. 인버터의 위치를 변경하고 지향성 서보를 부가한 것이 본 발명의 시스템과 기존 특허와의 다른 점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득 제어된 증폭기(22)로부터의 프로세스된 감산신호[(L-R)p]는 좌측 지향성 서보(40)에 1개의 입력으로서 공급되고, 또한 우측의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R-L)p]를 제공하는 인버터(42)에 공급된다. 우측의 프로세스된 감산신호[(R-L)p]는 우측 지향성 서보(44)에 1개의 입력으로 공급된다. 좌우측 서보(40 및 44)는 각각 좌측 스테레오 입력 신호(Lin) 및 우측 스테레오 입력신호(Rin)를 제2입력으로서 수신한다. 이 서보들은 그 출력으로 지향성이 향상된 좌측 감산 신호[(L-R)pe] 및 지향성이 향상된 우측 감산 신호[(R-L)pe]를 제공한다. 이 신호들은 지향성 서보 출력 또는 바이패스 라인(50, 52)에 선택적으로 접속된 한 쌍의 조를 이룬 2개의 위치 스위치(46, 48)을 거쳐 제공된다. 바이패스 라인은 지향성 서보들이 제2위치 또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로 조를 이룬 스위치를 이동함으로써 단순히 디스에이블되거나 바이패스되도록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입력[(L-R)p, (R-L)p]에 직접 접속된다.
저주파 신호가 커다란 에너지 용량을 갖기 때문에, 좌우측 신호(Rin 및 Lin)내의 날카로운 배이스 과도(sharp bass transient)에 의해 발생된 역효과(adverse effect)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좌우측 입력 신호는 각각 지향성 서보(40 및 44)에 공급되기 전에 필터(57 및 59)를 거쳐 제공된다. 이 필터들은 150Hz 이상을 비교적 평평하게 하고 150Hz에서 날카로운 롤 오프(roll off)을 갖으며, 이 이하에서 옥타보(octavo)당 약 12dB에서 롤링 오프된다. 효과적으로 이들은 150Hz 정도에서 상당히 날카로운 컷오프를 갖는 고역 통과 필터이다.
지향성이 향상된 좌우측 감산 신호[(L-R)pe 및 (R-L)pe]가 스테레오 입력 신호(Rin 및 Lin) 및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L+R)p]와 함께 혼합기(35)에 공급된다. 후자는 전위차계(56)에 의해 조절된 진폭이다. 지향성이 향상된 좌우측 감산 신호는 혼합기로 진행하는 좌우측 스테레오 감산 신호의 양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함께 조절가능한 집합(ganged) 진폭 조절 전위차계(23a 및 23b)를 거쳐 혼합기에 공급된다. 효과적으로, 전위차계(23a 및 23b)의 조절은 혼합기 출력 신호에 의해 제공된 스테레오 이미지의 시폭(appear width)을 조절한다.
혼합기(35)는 상기한 입력들을 받아들여 스피커 시스템(36, 37)에 아래 식에 따라 출력(Lout 및 Rout)를 제공한다.
Lout=Lin+K1(L+R)p+K2(L-R)pe 식(3)
Rout=Rin+K1(L+R)p+K3(R-L)pe 식(4)
여기서, K1, K2및 K3은 상수이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좌측 감산 신호[(L-R)p]가 우측 지향성 서보(44)를통해 혼합기에 공급되기 전에 반전되는 반면에, 기존 특허에서는, (L-R)p의 반전이 혼합기에서 발생하여 신호 [(R-L)p]로 제공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각각의 좌우측 지향성 서보의 상세한 설명은 제2도에 도시하였다. 2개의 서보들은 1개의 서보가 좌측 채널 신호에 작용하고 다른 1개의 서보가 우측 채널 신호에 작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서로 거의 동일하므로 1개의 채널의 설명만으로 모두 충분히 설명된다.
각각의 지향성 서보는 각각의 입력 신호(Lin 및 Rin)의 증가에 따라서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 또는 (R-L)p]에 증분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제2도에 도시한 좌측 채널 서보를 참조하면, 입력 신호(Lin)은 (Lin)의 증가에 응답하여 부(-) 진행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 피크 검출기(60)에 공급된다. 역으로, 이것은 입력신호(Lin)의 감소에 응답하여 정(+) 진행 신호를 제공한다. 피크 검출기의 출력은 입력 신호의 반전된 진폭 엔벨로프이다. 피크 검출된 입력 신호는 연산 증폭기(66)의 반전 입력에 있는 가산점(64)에 입력 저항기(62)를 통해 공급된다. 캐패시터(68)은 증폭기가 적분기로서 동작하게 하기 위해 증폭기 출력과 이의 반전입력 사이에 접속된다. 가산점(64)에서 증폭기의 반전입력은 궤환 저항기(70) 및 캐패시터(71)로 구성되는 병렬 RC 회로로부터의 제2입력을 가지며, 병렬 RC 회로는 입력 피크 검출기(60)로부터 제공된 극성과 반대인 신호 극성을 가진 신호를 궤환 피크 검출기(72)로부터 수신한다. 피크 검출기(72)의 출력은 입력의 진폭 엔벨로프이다. 증폭기(66)의 출력은 입력으로서 신호[(L-R)p], 즉 이득 제어된 증폭된 (22)로부터의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제1도)를 수신하는 전압 제어된 증폭기(80)에 공급된다. 전압 제어된 증폭기(80)은 출력으로서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L-R)pe]을 제공한다.
감산 궤환 회로(82)는 제1입력으로서 이득 제어된 증폭기(22)로부터의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를 수신하고, 제2입력으로서 증폭기(80)의 출력으로부터 지향성 향상된 좌측 감산 신호[(L-R)pe]을 수신한다. 감산 궤환 회로(82)는 지향성 향상된 감산신호[(L-R)pe]에서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를 뺀 크기에 비례하는 진폭을 갖고 있는 라인(86)상의 궤환 신호를 제공한다. 이 궤환 신호는 궤환 피크 검출기(72)에 대한 입력으로서 제공된다. 피크 검출된(진폭 엔벨로프) 궤환 신호는 궤환 저항기(70)을 거쳐 증폭기(66)의 반전입력에 공급된다.
궤환 저항기(70)은 입력 저항기(62)의 2 내지 3배 정도의 값을 갖는다. 저항기(62)에 대한 저항기(70)의 비는 지향성 서보에 의해 제공된 지향성 향상의 양을 결정한다. 보통 이 비는 약 2대 1과 3대 1 사이이다. 이 비가 2대 1 미만인 경우 지향성 서보의 효과는 매우 적게 되고, 반면에 이 비가 3대 1 이상인 경우 지향성 효과의 부자연성은 너무 뚜렷해진다. 저항기(62, 70)의 1개 또는 모두는 지향성 향상량을 제한한 양만큼 조절하기 위해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좌측 지향성 서보의 동작에 있어서, 입력 신호(Lin)이 증가되고 그러므로 피크 검출기(60)의 출력이 감소된다고 가정한다. 증폭기의 접지된 비-반전 입력에서의 총 입력(전압)과 거의 동일하게 지점(64)에서의 총 입력(전압)을 유지하게 하는 방식으로 증폭기의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감소된 신호가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인 가산점(64)에 제공된다. 증폭기의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폭기의 적분 캐패시터(68)은 충전되고, 전압 제어된 증폭기(80)에 대한 제어전압은 또한 증가한다. 증폭기(80)의 이득은 증폭기(66)으로부터 제어 신호 입력의 부재시에 1이다. 이득은 결코 1 이하로 감소되지 않지만, 증폭기(66)으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증가될 때 증가된다. 증폭기(80)의 이득이 증가함에 따라, 지향성 향상된 좌측 감산 출력[(L-R)pe]이 따라서 증가하게 된다. 전압 제어된 증폭기의 증가된 출력은 궤환 검출기(72)의 궤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감산 회로(82)에서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e]만큼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후자는 피크 검출기(60)으로부터의 신호와 반대극성의 증가된 신호를 비-반전 입력에 제공한다.
각각의 프크 검출기로부터의 2개의 전압은 캐패시터(68)을 통한 증폭기 궤환에 의해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에 접지된 입력과 동일한 값에서 안정화하려는 조합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저항기(62, 70)에 의해 형성된 저항성 가산 네크워크에서 조합된다. 저항기(70)의 저항값과 저항기(62)의 저항값의 비가 3대 1이라 가정하면, 가산점(64)에서의 증폭기 입력 신호는 궤환 피크 검출기(72)로부터의 피크 검출된 궤환 신호의 전압이 입력 피크 검출기(60)으로부터의 신호의 전압의 약 3배일 때 안정화된다.
이 배열에 의해, 제어된 궤환량은 적분 증폭기 출력을 제어된 양만큼은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증폭기(66)의 이 증가 출력은 전압 제어된 증폭기(80)에 공급된 제어 전압을 제어된 양만큼 증가시키게 된다.
전압 제어된 증폭기(80)이 피크 검출기(60)의 출력인 기준 신호의 변화에만 응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이하로 강하되지 않는 이득을 갖는 전압 제어된 증폭기의 출력은 입력[(L-R)p] 미만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감산회로(82)로부터의 궤환 신호는 지향성 서보가 기준 신호의 변화에만 응답하게 한다. 기준 신호[피크 검출기(60)의 출력]의 변화가 전혀 없는 경우, 증폭기(80)에 대한 제어 신호가 전혀 존재하지 않고 출력이 입력과 동일하므로, 피크 검출기(72)에 제공된 궤환 신호도 전혀 없다. 감산 회로(82)의 사용은 입력 기준 신호(Lin)의 변화에 관련하여 [(L-R)p](예를 들어, 전압 제어된 증폭기의 입출력 사이의 감산)의 변화량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결과는 입력 신호(Lin)의 증가가 전압 제어된 증폭기의 출력에서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L-R)pe]를 발생시키기 위해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향상된(확장된) 증가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선택된 저항기(70)의 값이 저항기(62)값의 2배 내지 3배 이므로,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진폭의 증가는 입력 신호 진폭의 증가의 2배 내지 3배이다. 증폭기(80)의 이득이 1 미만이 아니므로(Lin) 진폭의 감소는[(L-R)p]의 소정의 향상된 감소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같이, 지향성 향상된 좌측 감산 신호는 바이패스 스위치(46) 및 스테레오 이미지 폭 조절 전위차계(23a)를 거쳐 혼합기에 공급된다.
궤환 저항기(70) 양단에 접속된 케패시터(71)은 빠른 이동 현상에 대해 증가된 궤환율을 제공한다. 피크 검출기(60)의 출력의 비교적 느린 변화에 대해, 캐패시터(71)은 실질적으로 비동작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출력의 신속한 변화에 대해서는, 피크 검출기(72)로부터의 궤환은 궤환 응답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캐패시터(71)을 통해 신속히 전송된다.
우측 지향성 서보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물론 같지만, 이 서보는 바이패스 스위치(48) 및 스테레오 이미지 폭 조절 전위차계(23b)를 거쳐 혼합기에 공급되는 지향성 향상된 우측 감산 신호[(R-L)pe]를 제공하기 위해 Rin[인버터(42)로부터 수신된][(R-L)p]에 응답하여 동작한다.
우측 서보는 좌측 서보와 같은 소자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앞에 1을 갖고 있는 동일한 참조번호에 식별되므로 좌측 채널 향상된 피크 검출기(60)은 우측 채널 피크 검출기(160)에 대응하고, 좌측 채널 증폭기(66)은 우측 채널 증폭기(166)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우측 채널 지향성 서보는 피크 검출기(160 및 172), 가산 저항기(162, 170), 캐패시터(171), 가산점(164), 적분증폭기(166), 궤환 캐패시터(168), 전압 제어된 증폭기(180), 감산 회로(182) 및 궤환라인(186), 기술된 좌측 채널의 대응하는 번호를 붙인 소자와 동일한 모든 소자를 포함한다.
제2도의 캐패시터(71 및 171)은 각각의 채널의 2개의 피크 검출기(60, 72) 및 (160, 172)로부터 공급된 신호의 요구된 비를 유지하기 위해 각각 감산 증폭기(66, 166) 양단에 궤환 캐패시터(68 및 168)과 관련하여 동작한다.
캐패시터(71)은 캐패시터(68) 보다 훨씬 큰 약 4배(예를들어, 전자가 약 16μF이고, 후자는 약 4.7μF)이다. 캐패시터(168, 171)의 임피던스 비는 동일하다. 그러므로, 음향의 고속 변화에 대해서도 바람직한 지향성 향상이 달성된다.
특히, 텔리비젼 또는 영화 상영과 같은 소정의 상태하의 장면은 총성, 질주하는 차량, 측방향으로 변위된 기구 또는 이와같은 큰 측면 잡음이 음향 이미지의 중앙에서 대화와 함께 발생하므로, 측면 음향의 지향성 향상은 중앙 스테이지 대화를 압도하거나 최소한 부분적으로 잠입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 스테이지 대화 음향은 다이나믹하게 향상되거나 부스트되어 잠입되는 이러한 경향을 부부적으로 극복하게 된다. 이러한 중앙 스테이지의 음향 향상을 달성하기 위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배열이 사용된다. 이 도면들은 각 채널의 전압 제어된 증폭기(80 및 180)에 제공된 입력에 대해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L+R)p]의 부분을 부가하기 위한 예시적인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이 지향성 서보들이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뿐만 아니라 또한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일부를 향상시키게 한다. [(L+R)p] 일부의 부가는 제3도에 도시되었다. 지향성 향상된 성분인 [(L+R)pe]의 분리와 독립적인 진폭제어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가산 신호의 일부를 다이나믹하게 향상시키고 이것을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와 함께 조합하기 위한 별도의 배열은 제12도에 도시되고 후술된다.
제3도 및 제4도의 회로는 지향성 서보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중앙 스테이지가 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스템이 제작될 경우 제2도에 도시한 입력 대신에 사용된다. 제4도는 제3도의 회로와 함께 사용된, 지항성 서보 출력 및 다른 신호의 변형된 처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이나믹 가산 이퀼라이저(21)(제1도)로부터의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L+R)p]는 신호 K[(L+R)p]를 유도하는 감쇠 전위차계(202)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약 3대 2의 지향성 서보의 궤환이 사용되는 경우, K 값은 전위차계(202)가 다이나믹 가산 이퀼라이저(21)로부터 제공된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의 진폭의 약 1/4의 진폭을 갖고있는 프로세스된 가산신호를 제공하도록 약 1/4의 이다. 감쇠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는 각각 궤환(212, 214)를 갖고 있는 제1 및 제2반전 연산 증폭기(208, 210)의 각 반전 입력에 저항기(204, 206)을 거쳐 공급된다. 저항기(216) 및 인버터(215)를 거쳐 증폭기(208)의 반전 입력에 제공된 제2신호는 제1도의 이득 제어된 증폭기(22)로부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이다. 증폭기(208)의 저항기들(204, 212 및 216)이 서로 같을 경우, 증폭기의 출력은 반전 입력에 인가되고 반전입력에 가산된 감산 및 가산 신호 부분의 합이다. 이 출력은 (L-R)p-K(L+R)p이다.
저항기(220)을 거쳐 증폭기(210)의 반전 입력에 제공된 제2신호는 증폭기(208)의 출력이다. 그러나 증폭기(210)의 출력의 위상이[제2도의 인버터(42)가 제2도의 하부 채널내의 (L-R)p를 반전하도록 사용된 이유와 같은 이유로] 증폭기(208)의 출력의 위상과 반대이므로, 증폭기(210)에 의해 관찰된 (L+R)p 성분을 스케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저항기들(220 및 214)를 동일하게 하고 저항기(206)의 2배의 값을 각각 갖게 함으로써 수행되는데, 이것은 증폭기(210)에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를 공급한다. 실질적으로 저항기들의 이러한 스케일링은 2배인 [전위차계(202)의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 성분으로부터 유도된] 증폭기(210)의 출력단에서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 성분을 제공한다. 그러나, 증폭기(210)의 저항기(220)을 통한[증폭기(208)의 출력으로부터의] 다른 입력이[전위차계(202)로부터의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의 위상에 대하여] 반대 위상의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K(L+R)p]의 성분을 또한 제공하므로, 2개의 반대 위상인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는 증폭기(210)내에서 효과적으로 감산되고 순수 결과는 증폭기(210)의 출력단에서 적당한 위상의 성분[-K(L+R)p]이 된다.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 성분은 전위차계(202)로부터의 1개의 위상을 가지고 보다 작은 저항기(206)을 거쳐 공급되는 반면, 반대 위상을 가진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 성분이 증폭기(208)의 출력으로부터의 저항기(220)을 거쳐 제공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그러므로, 증폭기(210)의 최종 출력은 (R-L)p-K(L+R)p이고, 증폭기(208)의 출력은 (L-R)p-K(L+R)p이다. 각각의 좌우측 채널 신호가 여기에 동일한 양의 프로세스된 신호를 가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것은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의 일부이지만 중앙 스테이지 음향의 잠입 효과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증폭기(208)의 출력은 제2의 신호[(L-R)p]와 같이 라인(230)상에 출력을 갖고 있는 전압 제어된 증폭기(80)에 공급된다. 유사하게, 증폭기(210)의 출력은 제2도의 인버터(42)의 출력과 같이 라인(232)상에 출력을 갖고 있는 전압 제어된 증폭기(180)의 입력에 공급된다. 제2도내에 도시된 지향성 서보의 모든 다른 소자(제3도에 도시하지 않음)는 제3도의 배열에 또한 사용된다. 제3도가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나머지 지향성 서보의 부분이 동일하고 제2도의 전압제어된 증폭기에 대한 입력들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라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서보 출력들은 제4도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이하게 조절된다.
중앙 스테이지 향상의 결과는 지향성 서보가 감산 신호 및 가산 신호의 일부상에 동작을 수행하게 하므로, 효과적으로 지향성 향상이 가산 및 감산 신호 모두에 적용되지만 감산 신호에 보다 강하게 적용된다.
부스트되고 향상된 감산 신호 성분[(L-R)pe 및 (R-L)pe]과 함께 제3도의 회로의 출력 라인(230 및 232)상에 나타나는 부스트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 성분[(L+R)pe]의 진폭을 별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두 성분들의 상대적인 진폭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지향성 서보에 의해 가산 신호 성분의 향상 또는 부스트가 매우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부스트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 성분은 제4도의 회로에 도시한 바와같이 분리되고 감쇠된 다음 혼합기내의 다른 성분과 조합된다. 향상된 가산 성분[(L+R)pe]의 진폭을 별도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성분은 제3도의 지향성 서보들의 출력(230 및 232)들에서 향상된 감산 신호 성분[(L-R)pe 및 (R-L)pe]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인(230)상의 제3도의 좌측 채널 지향성 서보의 출력 및 라인(232)상의 제3도의 우측 채널 지향성 서보의 출력은 제1도의 전위차계(23a 및 23b)에 대응하는(대신에 사용되는) 한쌍의 집합(ganged) 스테레오 이미지 폭 조절 전위차계(223a 및 223b)에 공급된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외형 스테레오 이미지의 폭을 제어하는 이 집합(gonged) 전위차계들의 출력은 Rin, Lin 및 [(L+R)p]과 함께 혼합기에 제공된다. 제3도 및 제4도의 배열은 상이하다. 가신 신호의 일부가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경우에, 집합(ganged) 폭 조절 전위차계(223a 및 223b)의 출력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혼합기에 공급된다. 혼합기들은 가산 증폭기(240 및 242)를 포함한다. 제4도에 도시한 회로는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감산 신호 성분의 진폭에 비례하여 이것의 진폭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 성분을 분리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혼합기들은 또한 스테레오 입력(Lin 및 Rin)을 또한 수신하지만,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L+R)p]을 수신하지 않는다. 대신에 혼합기들은 제4도의 회로를 거쳐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L+R)pe]을 수신한다.
전위차계(223a 및 223b)로부터의 신호들은 각각 (L-R)pe-K[(L+R)p 및 (R-L)pe-K[(L+R)pe이다.(이 성분들내의 상수(K)는 폭 조절 전위차계들에 의해 발생된 감시를 포함한다). 이 신호들은 저항기(244, 246)으로 이루어진 분압기에서 조합되어, 이 저항기들의 접점(248)에서 반대 위상의 감산 신호 성분이 상호 상쇄되게 된다. 접점(248)에서의 잔류 가산 신호 성분은 분압기 저항(244, 246)을 거쳐 공급된 신호의 합을 출력으로서 제공하는 감산 신호 증폭기(250)의 반전 입력에 공급된다. 반대 위상의 감산 신호 성분이 이 가산에 의해 삭제됨으로써 증폭기(250)의 출력은 실제로 +2K(L+R)pe이다. 그러므로,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 성분은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감산신호 성분과 독립적으로 제공된다.
이 가산 신호 성분은 진폭 조절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 성분[+K1(L+R)pe]을 출력으로 나타내는 제2독립 진폭 제어 전위차계(266)[제1전위차계는 제3도의 전위차계(202)이다]을 통과시킴으로써 적당한 진폭으로 조절되는데, 여기서, 상수 기호(K1)은 이 성분의 진폭이 단지 지향성 서보로부터 발생되는 가산 성분의 진폭과 상이하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좌측 채널 혼합기는 모두 증폭기의 반전 입력 및 증폭기 궤환 저항기(288)에 공통으로 접속된 저항기(280, 282, 284 및 286)으로 이루어진 저항성 가산 네트워크 입력을 갖고 있는 증폭기(240)으로 형성된다. 인버터(241)에 의한 반전후 혼합기 증폭기(240)의 출력은 Lout=Lin+K4(L+R)pe+K5(L-R)pe이다. 이것은 필요한 경우, 부수적인 증폭에 의해 좌측 채널 스피커에 공급된다. 저항기(282)는 전위차계(266)에 의한 감쇠전에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 성분인 증폭기(250)의 출력을 수신한다. 저항기(284)는 전위차계(223a)의 와이퍼 아암(Wiper arm)으로부터 프로세스되고 조합된 감산 및 가산 신호성분을 공급받고, 저항기(286)은 또한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이지만 전위차계(266)에 의해 선택적으로 감쇠된 성분을 수산한다. 몇몇의 저항기(280, 282, 284 및 286) 및 궤환 저항기(288)은 혼합 증폭기(240)에 몇몇 입력의 진폭의 요구된 관계를 제공하도록 비례한다.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이 저항기들의 값은 아래와 같다. 저항기(280)은 10K, 저항기(282)는 10K, 저항기(284)는 5K, 저항기(288)은 26K이다. 전위차계(266)으로부터의 독립적으로 진폭 조절가능한 가산 성분은 저항기(286)을 통해 혼합기(240)에 공급되고, 그러므로 2개의 저항기(282 및 286)을 거쳐 증폭기에 공급된 가산 신호의 조합된 부분의 유효 진폭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우측 채널 혼합기 증폭기(242)는 좌측 채널 증폭기 및 가산 네트워크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므로, 우측 채널 혼합기 증폭기(242)는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모두 접속되는 저항기(290, 292, 294, 296) 및 궤환 저항기(298)로 구성된 저항성 입력 가산 네트워크를 구비하는데, 증폭기(240)과 같이 비-반전 입력 접지를 갖는다. 인버터(243)에 의한 반전후, 우측 채널 혼합기 증폭기(242)의 출력은 Rout=Rin+K4(L+R)pe+K(R-L)pe이다. 이것은 부수적인 증폭에 의해, 필요한 경우 우측 채널 스피커에 공급된다. 저항기(290)은 우측 스테레오 입력 신호(Rin)을 수신한다. 저항기(292)는 증폭기(250)의 출력으로부터 증폭된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가산 신호성분을 수신한다. 저항기(294)는 우측 채널의 라인(264)상에서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감산 신호 성분을 수신하고, 저항기(296)은 좌측 채널의 저항기(286)에 상술한 바와같이 공급되는 전위차계(266)의 출력을 수신한다. 저항기(290, 292, 294, 296 및 298)의 상대적인 값은 좌측 채널의 대응 저항기의 상대적인 값과 동일하므로 상술한 양호한 실시예내에서의 값은 아래와 같다. 저항기(290)은 10K, 저항기(292)는 10K, 저항기(294)는 5K, 저항기(296)은 5K, 저항기(298)은 26K이다.
혼합기에 대한 입력에서 저항기들의 상대적인 값은 가산 신호 진폭에 관련하여 감산 신호 진폭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 감산 신호의 상대적인 부스트는 제1도의 이퀼라이저(18, 19, 21) 및 증폭기(22) 또는 제7도 및 제9도의 서보된 이퀼라이저들에 의해 달성된(개선된 스테레오 음향 이미지에 대한) 감산 신호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도 않고 감산 신호 향상의 일부분도 아니며 단순히 감산 신호의 고정 진폭 감소에 대한 보상으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진폭 감소는 감산 신호 향상 이전에 진폭 제어 회로(도시안됨)에 의해 제공된다. 이 고정 진폭 감소(도시안됨)은 진폭 클램핑이 여러가지 증폭기들내에서 다르게 발생되는 값이하로 향상된 감산 신호 진폭을 유지하도록 해준다.
기술된 지향성 서보는 본 출원인의 종래 특허의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회로에 특히 유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향성 향상을 위한 본 발명의 원리가 좌측 및 우측 음향을 제공하는 다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중채널 서보 이퀼라이즈화에 의한 스테레오 향상]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지향성 서보의 배열은 전위차계(266)의 와이퍼 아암에서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는 제1도의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의 개선된 형태 및 제5도에 도시한 제1도의 향상 시스템의 간략화한 형태에 직접 유용하다. 제1도의 것과 유사하고(그러나 제1도의 지향성 서보를 갖지 않음) 제5도에 도시한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1988년 5월 31일 허여된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에 대한 기존 특허 제4,748,669호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었고 기술되었다. 본 특허에서 공개된 내용은, 충분히 후술하겠으나, 본 명세서 내에 병합되는 것으로 한다. 기존 특허의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에 있어서, 스테레오 이미지의 향상은 감산 신호의 하부 및 상부 주파수 대역내의 신호성분을 효과적으로 부스트하는 이퀼라이즈화 회로(equalization circuit) 및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대 가산신호의 선택된 비를 유지하는 서보 회로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이 회로들은 입력내로 인입된 인공적인 잔향음상에 동작한다. 그러므로, 종래 특허의 시스템은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이 인공적으로 인입된 잔향음상에 미치는 불필요한 효과(예를들어, 불필요한 부스트)를 제거 및 보상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자동 잔향 제어를 사용한다.
제5도에 도시한 시스템(즉, 기존 특허의 제4도에 도시한 시스템)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채널 스테레오 입력은 서브소닉 필터(312, 314)에 공급된 후 각각의 감산 및 가산신호[(L-R) 및 (L+R)]을 제공하기 위해 감산 및 가산 회로(311 및 313)에 공급된다.
이 신호들은 고정 감산 신호 이퀼라이저(315) 및 고정신호 가산 신호 이퀼라이저(317)에 공급된다. 고정 감산 신호 이퀼라이저의 출력은 신호[(L+R) 및 (L-R)]을 입력으로서 수신하고, 또한 전압(이득) 제어된 증폭기(325)의 출력으로부터 라인(341)상에 궤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회로(340)으로부터의 신호(CTRL)의 제어하의 이득 제어된 증폭기(325)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340)은 또한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L+R)p]를 출력으로 나타내는 이득 제어된 증폭기(327)을 거쳐 이퀼라이저(317)로부터의 신호(L+R)에 적은 부스트양을 제공하도록 공급된 잔향 제어 신호(RCTRL)을 제공한다.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증폭기(325)의 출력은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를 제공하기 위해 잔향 제어 신호(RCTRL)에 의해 제어되는 잔향 제어 필터(329)를 통해 공급된다. 프로세스된 감산 및 가산 신호는 집합(ganged)폭 제어 전위차계(319 및 323)에 공급되는데, 이러한 집합(ganged) 폭 제어 전위차계의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혼합기(321)에 공급되게 될 프로세스된 감산 및 가산 신호가 제공된다. 또한 혼합기는 좌우측 채널 스테레오 입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들을 조합하며, 각각 라인(322 및 323)상에 좌우측 출력 신호(Lout, Rout)을 제공한다.
잔향 필터(329)는 감지된 인공적인 잔향음의 존재시 소정의 중간-대역 주파수들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통상적으로, 중창단 또는 독창가수(Vocalist or soloist)는 중앙 스테이지에서 나타나도록 녹음되고, 그러므로, 독창가수 음향은 가산 신호(L+R)내에 주도적으로 나타난다. 증폭기(325)의 출력에서의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는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를 가산 신호 사이의 선정된 고정비(기존 특허에서 모두 상세히 설명됨)를 유지하기 위해 가산 신호(L+R)에 효과적으로서 보화된다. 그러므로, 인공적으로 유도된 잔향음에 의해 발생된 바와같은(L+R)의 증가는 예를들어, 소정의 감산 신호 성분에 미치는 시스템의 향상 효과를 바람직하지 못하게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잔향 필터(329)는 과도 잔향음이 감지될 때, 약 300 내지 4,000Hz의 주파수 대역내의 감산 신호를 선택적으로 감쇠하도록 기존 특허의 시스템에 사용된다.
과도 잔향을 감지하기 위해, 기존 특허의 시스템은 선정된 평형 상태로부터 가산 신호(L+R)의 증가를 감지하여(L+R)의 이러한 증가가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인공적으로 유도된 잔향음에 기인한 것이라는 가정하에 동작한다. 감지된 잔향음에 응답하여 중간-대역 주파수를 감쇠시키는 것 외에 가산 신호는 RCTRL의 제어하에 증폭기(327)에 의해(보다 작은 정도로) 부스트된다.
잔향 필터(329)는, 각각 약 300Hz 및 4000Hz에서 교차점(cross over points)을 갖고 있는 곡선(326)에 의해 나타낸 저역 채널 필터, 곡선(328)에 의해 나타낸 고역 채널 필터, 곡선(330)에 의해 나타낸 중간-대역 채널 필터를 포함하는 날카로운 차단 및 상승 시간을 갖고 있는 필터들에 의해 제6도에 포괄적으로 도시한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기존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이 잔향 필터의 중심 채널은 제어 회로(340)으로부터의 신호 RCTRL의 제어하에 가변 감쇠를 제공하고 그러므로, 중앙 채널 응답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감지된 잔향음의 양이 변함에 따라서 곡선(330)으로부터 곡선(330a 또는 330b)로 변화하게 된다.
제5도의 회로를 보다 자동화시키고, 보다 단순하고 저단가로 개량하기 위해, 출원인은 제5도의 바람직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잔향 필터를 제거하는 스테레오 향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개선된 배열은 제7도에 블럭 형태로 도시되었다. 이 배열은 제5도의 고정 가산 및 감산 신호 이퀼라이저(315, 317) 대신에 또한 이득 제어된 증폭기(325, 327), 제어 회로(340), 및 잔향 필터(329) 대신에 다중-채널, 저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를 사용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측 입력 신호들은 각각 감산 및 가산 신호[(L-R) 및 (L+R)]를 제공하기 위해 감산회로(411) 및 가산회로(413)에 공급된다. 가산 및 감산 신호에 대한 다이나믹 이퀼라이저 또는 고정 이퀼라이저에 이 신호들을 공급하는 대신에, 가산 및 감산 신호들은 고역 및 저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415, 417)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감산 신호는 저역 및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들 모두에 공급되고 가산 신호는 저역 및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들 모두에 공급된다.(이렇게 접속함으로써, 가산 신호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기준 신호로서만 사용된다.) 이 2개의 별개의 서보된 이퀼라이저 채널들의 저역 및 고역 프로세스된 출력[(L-R)pl 및 (L-R)ph]는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를 제공하기 위해 가산 증폭기(420)에서 프로세스되지 않은 감산 신호(L-R)과 함께 조합된다. 이 신호 및 가산 신호(L+R)는 기본적으로 제1도의 지향성 서보들과 동일하고, 특히, 상술한 제3도, 제4도에 도시한 지향성 서보들의 형태와 동일한 좌우측 지향성 서보(440, 444)에 공급된다. 이 서보들에 대한 입력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데, 가산회로(413)으로부터의 가산신호(L+R)가 제3도의 반전 증폭기(200)에 공급되고, 가산 증폭기(420)으로부터의 감산 신호[(L-R)p]가 제3도의 인버터(215)에 공급된다. 유사하게, 신호(Lin, Rin)은 상술한 바와같이, 각각 필터(457 및 459)를 거쳐 지향성 서보에 제공된다. 제7도의 대부분의 부품들은 제1도의 부품과 유사하거나 제1도의 부품에 대응하는 것이고 제7도 내의 이러한 부품들은 제1도의 참조번호 앞에 4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면 제1도와 같은 동일 참조번호에 의해 식별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제7도의 가산회로(413)은 제1도의 가산회로(13)에 대응하고, 제7도의 감산회로(411)은 제1도의 감산회로(11)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제5도 회로의 대응 소자들은 제1도내에 사용된 것과 같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하지만 제5도 내지 이러한 참조번호는 예를들어, 제5도의 가산회로(313)이 각각 제1도 및 제7도의 회로(13 및 423)에 대응하도록 번호 3을 앞에 추가하였다.
제7도는, 이퀼라이저들, 이득 제어된 증폭기들, 제어 회로 및 잔향 필터들이 저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 및 가산 회로(420)에 의해 대체되고, 좌우측 지향성 서보가 제1도에 도시한 방법으로 이퀼라이저 회로와 혼합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5도의 회로를 변형한 것이다. 좌우측 지향성 서보(440, 444)의 출력은 집합(gonged) 폭 조절 전위차계(423a 및 423b)(제4도의 대응 부품(223a, 223b와 동일함)에 공급된다. 폭 조절 전위차계(423a 및 423b)의 와이퍼 아암으로부터의 출력은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된 분리 및 진폭 조절 회로(445)에 공급되어, 혼합기(447)에 공급된다. 부수적인 증폭을 갖거나 갖지 않는 스피커에 제공될 좌우측 스테레오 출력은 혼합기(447)의 출력으로서 제공된다.
제7도의 배열에 있어서, 전체 감산 신호를 이퀼라이징하는 대신에, 이 신호는 제6도에 도시한 특성을 갖고 있는 제5도의 잔향 필터에 사용된 대역 보다 다소 크게 분리된 몇몇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된다. 그러므로, 약 237Hz까지의 저대역을 조절하는 저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417)이 제공된다.
제7도의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는 약 7,000Hz 이상의 고주파수 성분을 조절하도록 제공된다. 라인 416으로 구성되는 중앙 채널은 후술하는 바와같은[저항기(421)을 거쳐] 가산회로 증폭기(420)에 직접 감산 신호(L-R)을 공급한다.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주파수 대역은 중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약 237Hz와 7000Hz 사이에 걸쳐 있는 중앙 대역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고역 및 저역 통과 대역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이퀼라이징 함으로써, 그리고 동시에, 가산 신호의 대응하는 고역 및 저역 통과 대역에 대해 감산 신호의 이 고역 및 저역 통과 대역을 서보함으로써, 인공적으로 유도된 잔향음에 의해 발생된 중간-주파수 대역의 바람직하지 못한 향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다음, 효과적으로, 저역 및 고역 통과 대역내에만 향상 서보를 사용함으로써, 인공적으로 유도된 잔향음에 의해 유도된 불필요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향상 없이 스테레오 이미지가 향상되므로, 소정의 잔향 제어 필터의 필요성이 제거된다. 기존 특허에 기술한 바와같이, 이 저역 및 고역 대역은 감산 신호 성분이 통상적으로 낮은 진폭을 갖는 주파수, 예를들어 감산 신호 음향이 보다 잠잠한 주파수이다.
제8도는 제7도의 고역 및 저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의 유효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제6도의 곡선(326)에 대응하는] 곡선(426)은 약 237Hz에서 컷오프를 갖고 옥타브당 약 6dB의 강하를 하는 저역 통과 소보된 이퀼라이저(417)을 도시한 것이다. [제6도의 곡선(328)에 대응하는] 곡선(428)은 약 7000Hz에서 옥타브당 6dB로 완만히 증가하며, 7000Hz 이상에서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 채널에 대한 응답이 거의 평평한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415) 응답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곡선(430)은 제7도의 저항성 라인(416)의 평평하고 비교적 감쇄된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므로, 효과적으로, 제7도의 저역 및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들이 잔향 필터(329)에 대응하지만, 감산 신호 성분의 중간-대역 서보잉의 나쁜 영향 없이 요구된 필터링을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회로는 효과적으로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대 가산 신호들의 기술된 비를 각각의 대역내에서 독립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대역들내의 부스트 양을 변화시킨다.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의 상세한 블럭도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좌우측 입력 신호들은 상술한 바와같이 각각 감산 및 가산회로(411, 413)에 공급된다. 회로(411)로부터의 감산신호(L-R)은 제8도의 곡선(426)의 특성을 갖고있는 저역 통과필터(450)에 공급되며, 저역 통과필터(450)의 출력은 이득제어된 증폭기(VCA ; 452)에 공급된다. 증폭기(452)의 출력은 비반전 피크 검출기(454)에 공급되며, 이의 DC 출력은 저역 통과 서보되고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성분의 진폭 폭락을 나타내는 DC 신호를 제공한다. 이것은 제어신호발생회로(460)의 가산 증폭기(458)에 가산 저항기(456)을 거쳐 제1입력으로서 1개의 극성으로 공급된다. 회로(460)은 적분 기능을 수행하고, 소정의 단순한 변화에 의해, 기존 특허 제4,748,669호의 제3도의 대응제어회로(50)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또한 이 회로는 적분 및 제어 다이오드 전압 제한을 제공하는 증폭기(458)에 대한 몇몇 궤환 경로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가산 회로(413)으로부터의 가산신호(L+R)은 필터(450)과 동일한 응답 특성을 갖고 있는 대응하는 저역 통과필터(462)에 공급되고, 그 후 저항기(456)에 공급된 신호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제2DC 입력을 제공하는 반전 피크 검출기(464)에 공급되며, 제2가산 저항기(466)을 거쳐 증폭기(458)에 공급된다. 증폭기(458)의 출력은 증폭기(452)의 출력이 감산신호의 서보되고 프로세스된 저역 통과성분[(L-R)pl]을 라인(470)상에 제공하도록 전압 제어된 증폭기(452)의 제어 신호로서 궤환된다. 이것은(제7도의 가산 증폭기(420)에 대응하는) 가산증폭기(471)에 제1입력으로서 공급된다.
신호(L-R)은 제8도의 곡선(428)에 의해 도시된 응답 특성을 갖고있는 고역 통과필터(472)를 포함하는 고역 통과서보 이퀼라이저 채널을 통해 공급된다. 필터(472)의 출력은 가산 증폭기(471)에 제2입력으로서 공급된 고역 통과 서보되고 이퀼라이즈된 감산 신호성분[(L-R)ph]을 라인(476)상에 출력으로서 공급하는 제2전압 제어된 증폭기(VCA : 474)에 공급된다.
전압 제어된 증폭기(474)의 출력은 증폭기(474)로부터의 고역 통과 서보되고 프로세스된 감산신호 성분의 진폭 엔벨로프를 나타내는 DC 신호가 출력으로 제공되는 비반전 피크 검출기(478)에 또한 공급되고, 제2제어회로 증폭기(482)의 입력에 제1가산 저항기(480)을 거쳐 공급된다. 점선 박스(484)내에 포함되도록 나타내는 증폭기(482)의 제어 회로는 저역 통과 서보 이퀼라이저 채널의 제어 회로(460)과 동일하다.
제2가산 저항기(486)을 거쳐 증폭기(482)에 대한 제2DC 입력은 제8도의 곡선(428)에 의해 도시된 바와 동일한 응답 특성을 갖고 있는 고역 통과 필터(490)을 수신하고, 고역 통과필터(482)로서 동일한 응답 특성을 반전 피크 검출기(488)의 출력으로부터 제공한다. 몇몇 피크 검출기들은 각각의 입력의 진폭 엔벨로프인 출력을 제공한다. 고역 통과필터(490)에 대한 입력은 가산회로(413)으로부터의 가산신호(L+R)이다. 증폭기(482)의 출력은 저역 통과증폭기(458)의 출력과 유사한 방법으로 전압 제어된 증폭기(474)에 제어 연산에 다시 공급되므로 라인(476)상에 프로세스되고 서보된 고역 통과 감산신호 성분[(L-R)ph]의 제어 진폭에 다시 공급된다. 라인(470 및 476)상에 서보되고 프로세스된 저역 및 고역 통과 감산신호 성분은 저항기(494)를 거쳐 가산증폭기(471)에 공급된 프로세스되지 않은 감산 신호(L-R)과 조합된다. 그러므로, 가산 증폭기(471)의 출력은 상호 분리되고 독립적으로 서보되고 이퀼라이저된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감산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프로세스된 감산신호[(L-R)p]를 나타낸다. 또한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는 저항기(494)에 의해 단순히 감쇠된 광대역(시스템의 전체 오디오 밴드폭) 감산 신호 성분을 포함한다.
제9도의 적분 회로(460)에 대해서 저항기 가산 네트워크(456, 466)의 출력은 가산신호(L+R)을 수신하는 반전 피크 검출기(463)의 출력은 가산 신호(L+R)을 수신하는 반전 피크 검출기(463)의 출력을 감산 신호(L-R)을 수신하는 비반전 피크 검출기(46)의 출력과 비교하는 비교회로(459)의 출력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스위치(457)을 거쳐 증폭기(458)의 반전 압력에 제공된다. 비교 회로(459)의 출력은 회로(484)의 증폭기(482)의 반전 입력과 이 회로의 저항기(480, 486)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463)을 동작시키도록 사용되고, 필요한 경우, 지향성 서보 적분 증폭기(66, 166)(제2도)의 반전 입력과 이 증폭기들의 입력 저항기 사이에 접속된 유사한 스위치(도시안됨)을 동작시킨다. 이 스위치들의 목적은 스테레오의 부재시 향상 회로(필요한 경우, 지향성 서보)의 동작을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치(457, 463)은 기존 특허의 대응 적분 증폭기의 궤환 회로내의 대응 스위치된 제너 다이오드를 동작시킬 때와 같은 방법으로 동작된다. 제9도에 도시된 회로에 있어서, 효과적인 스테레오 검출기인 감산 신호 피크 검출기의 출력은 비교기(459)에 대한 입력에 제공된 저항성 가산 회로(465, 467)내의 가산 피크 검출기(463)의 출력과 비교한다. 피크 검출기(461)의 출력이 피크 검출기(463)의 출력의(예를들어, 감산 신호는 가산 신호에 비해 매우 낮은) 선정된 비율 1/5 이하인 경우 비교기의 출력(459)는 스위치(457 및 463)을 개방시키도록 동작하므로, 스테레오 향상(필요한 경우, 지향성 서보들)을 디스에이블한다. 피크 검출기(461)의 출력에서의 감산 신호 엔벨로프 진폭이 피크 검출기(463)의 출력에서 가산 신호 엔벨로프 진폭의 1/5보다 유효하게 커지도록 스테레오의 양이 증가할때, 비교기 출력은 스위치(457, 463)을 폐쇄하고 향상 회로는 상술한 바와같이 동작가능하다. 가산 신호대 감산 신호의 비가 5대 1인 것은 저항기(465, 467)의 비례값에 의해 정해진다. 이 비는 필요한 경우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서보 이퀼라이저 채널에 있어서, 감산신호의 각각의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성분은 각각 증폭기(458 및 482)에서의 저항성 가산 네트워크의 입력내의 가산 신호의 대응 저역 또는 고역 통과 성분과 개별적으로 유효하게 비교한다. 각각의 경우에, 가산 네트워크 저항기 값은 대응 대역의 가산 신호에 대해 특정 대역의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성분의 요구되고 고정된 관계(진폭의 비)를 유지하도록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프로세스된 감산신호 성분을 공급되는 저항기(456)의 저항값은 최소한 가산신호 성분에 공급되는 저항기(466)의 저항값 만큼 커야 한다는 것이 양호하다. 저항기(456 내지 466)의 비가 약 1대 1 내지 약 3대 1 정도[저항기(456)이 후자의 경우에 보다 큼]이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저항기(456 내지 466)의 비는 크게 제조(양호하게 이 비는 이것이 언급한 제한내에 선택적으로 변화될 수 있을지라도, 소정의 시스템에 대해 고정됨)되므로, 서보임 동작은 저역 통과 프로세스되지 않는 가산 신호성분에 비례하여 저역 통과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성분을 크게 증가시키는 진폭을 유지한다. 제9도에 도시된 시스템이 제3도 및 제4도 또는 제12도에 도시된 지향성 서버에 사용된때, 저항기(456 및 466)의 1대 1비는 지향성 서보 자체가 감산 신호성분의 부수적인 향상 및 부스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용가능하다.
저역 통과 채널의 입력 저항기(456, 466)의 저항 값을 지배하는 상술한 고려는 고역 통과 채널의 입력 저항기(480 및 486)에 동일하게 인가한다. 따라서, 이 저항기들은 1대 1 내지 3대 1의 범위 이내의 비율을 갖는다. 즉, 저항기(480)은 고역 통과 서보되고 이퀼라이즈화된(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성분이 고역 통과 대역의 프로세스되지 않은 가산 신호 성분보다 크게 되도록 최소한 저항기(486)과 동일하거나 보다 크다.
프로세스된 신호[(L-R)p]인 가산 증폭기(471)의 출력은 제3도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같이 지향성 서보들(또는 제12도에 도시하고 후술하는 바와같은 지향성 서보)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가산 증폭기(471)의 출력은 이들 제어증폭기(22)로부터 수신될 때 상술한 신호 대신에 제3도의 인버터(215)에 공급된다. 유사하게(이 지점 이상으로 더이상 프로세싱을 수신하지 않는) 가산 회로(413)로부터 가산 신호는 제3도에 도시된 신호[(L+R)p] 대신에 제3도의 인버터(200)에 공급된다. 제3도의 회로로부터의 제3도의 회로에 대한 이 입력들에 있어서, 지향성 서보가 요구된 시스템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4도의 회로에 공급된 라인(230 및 232) 상에 출력은 제공하는 제3도의 회로소자와 상술한 바와같다.
이 지점에 기술된 시스템은 각각의 2개의 대역이 서로 독립하여 부스트된 감산 신호의 저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의 상당히 서보된 부스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부스트 또는 향상된 가산 신호(L+R)에 의해 수행된 바와같은 중앙 스테이지 음향을 잡입(swamp or drown out)하는 정도로 발생된다. 즉, 이 지점으로 상승을 기술한 시스템은 청중에서 주관로 나타나도록 가산 신호(L+R)내의 실시로서 증앙 스테이지 음향이 배경을 손실되게 한다. 그러므로, 이 간이화한 서보 이퀼라이저 시스템에 있어서, 가산신호(L+R)의 다이나믹 부스트를 제공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러한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 신호를 지향성 서보내에 특히, 전위차계(266)의 와이퍼 아암에서 제4도의 회로내에 제공된다. 이 회로는 상술한 바와같이, 지향성 서보의 본질이 입력 스테레오 신호대의 증가를 감지하고 최종 프로세스된 가산 및 감산 신호에 커다란 증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가산 신호의 다이나믹 부스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9도의 서보된 이퀼라이저 배열이 지향성 서보에 입력을 제공하도록 사용될때, 경미한 조절은 와이퍼 아암상에 나타내는 신호의 진폭내의 증가의 경미한 정도를 제공하기 위해(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 신호 성분만이 나타내는) 전위차계(266)의 와이퍼 아암으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전위차계(266)에서 다아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지향성 서보의 회로들은 함께 사용되어, 제9도에 도시된 개량되고 간이화된 분리된 서보 이퀼라이즈화시킨다.
제9도가 서보 이퀼라이즈화의 2개의 주파수 저역 통과 대역 및 고역 통과 대역만을 도시하였을지라도, 부수적인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주지되었다. 그러므로, 고역 통과 대역 및 고역 통과 대역인 각각의 도시된 대역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일한 서보잉 성분을 각각 갖고 있는 2개 이상의 별개의 저역 또는 고역 통과 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저역 통과 대역이 2개의 상이한 저역 통과 대역으로 분할될 수 있는 경우, 서보된 이퀼라이저화는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에게 명백해지는 바와같이, 모든 가산된 채널들을 갖는 저역 주파수 채널내의 2개의 소자 각각의 2개의 필터(450), 2개의 증폭기, 및 저역 통과 대역에 대해 제9도에 도시한 2개의 각각의 다른 성분을 제공한다.
서보된 이퀼라이즈화의 분리 대역에 의한 개선된 향상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정 가산 및 감산 이퀼라이저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관련하여 기술되었다. 제1도 내에 도시된 시스템은 다이나믹 가산 및 감산 신호 이퀼라이저(21 및 19) 및 고정 감산 신호 이퀼라이저(18)을 모두 사용한다. 서보된 이퀼라이즈화 배열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곳에서, 다이나믹 가산 및 가산 이퀼라이저는 제9도의 시스템이 고정 감산신호 이퀼라이저(18), 이득제어된 증폭기(22), 및 제어회로(30)을 포함하는 회로 대신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제9도 및 제3도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같은 지향성 서보에 입력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9도의 분리 고역 통과 및 저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즈화 대역은 특히 제4도의 회로가 제9도의 프로세싱 배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필요한 성분을 제공하므로 제3도 및 제4도의 지향성 서보를 사용하는 시스템과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필요한 성분은 상술한 바와같이, 제4도의 전위차계(266) ; 상의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 성분이다.
그러나 제9도의 분리 대역 서보된 이퀼라이저 배열은 지향성 서보와 함께 사용될 필요는 없지만 전혀 지향성 서보들은 갖지 않는 시스템내에 사용된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회로는 서보된 이퀼라이저의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고역 및 저역 통과 대역과 조합하기 위해 다이나믹하게 향상되거나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 신호 성분을 별도로 발생시키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지향성 서보가 사용되지 않은 곳에서, 가산 신호 성분의 이러한 지향성 서보를 제공하기 위한 회로는 좌우측 스테레오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가산 신호 출력(L+R)을 제공하는 가산 회로(513)을 도시하는 제10도에 도시된다. 가산 신호는 가산 신호의 진폭 앤벨로프를 제공하는 반전 피크 검출기(520)에 공급된 후 제1가산 저항기(524)를 거쳐 가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 공급된다. 증폭기(522)은 입력을 적분용으로 제공하기 위해 출력과 반전 입력 사이에 궤환 경로에 캐패시터(526)을 갖는다. 증폭기(522)의 출력은 입력으로서 가산 회로(513)으로부터 가산 신호(L+R)을 수신하는 전압 제어된 증폭기(530)의 이득을 제어하도록 공급된 라인(528)상의 다이나믹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른 VCA와 같이, 증폭기(530)은 최소 이득이 1이다. 증폭기(530)의 출력에서 조절된 이득으로부터의 궤환은 다이나믹하게 조절된 가산 신호의 진폭 엔벨로프를 나타내는 DC 신호가 제공된 출력에서 비반전 피크 검출기(534)의 입력에 제공된다. 이 엔벨로프는 제9도의 증폭기(458 및 482)와 같은 다른 가산 증폭기들을 갖는 경우일때, 저항기(524)에 공급된 신호의 극성과 반대극성으로 증폭기의 반전 입력에서의 저항성 가산 네트워크의 제2저항기(536)에 공급된다. 양호하게도, 저항기(536 및 524)는 약 2대 1의 저항값 비 [저항기(536)의 저항값이 저항기(524)의 약 2배임]을 갖는다.
제10도에 도시된 배열에 있어서, 신호(L+R)내의 증가는 보다큰 증가는 전압제어된 증폭기의 출력에 나타내도록 도시된 회로에 의해 감지되어 효율적으로 증폭된다. 제10도의 회로는 효율적으로 VCA의 출력이 피크 검출기(520)에 (L+R)입력의 증가와 관련하여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게 하지만, VCA의 출력은 제9도의 가산 증폭기(471)의 출력에서 서보되고 이퀼라이즈화된 감산신호[(L-R)p]와 함께 혼합기에 공급될 라인(541)상에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 신호 성분[(L+R)p]를 나타내는 출력으로부터 진폭 조절 전위차계(540)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제1도의 이 시스템이 제3도 및 제4도의 지향성 서보의 사용없이 사용될 경우, 제4도의 지향성 회로의 전위차계(266)에 의해 다르게 제공된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 신호의 보충은 제10도의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 신호 회로에 의해 대신 제공된다.
제9도의 시스템이 지향성 서보없이 사용된 곳에서, 서보되고 이퀼라이즈화된 감산 신호의 성분[(L-R)p은 (L-R) 및 (R-L)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인버터를 통해 분할되어 공급된다. 제10도의 라인(541)로부터의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성분(L-R)p 및 (R-L)p 및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신호[(L+R)b]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혼합기에 공급된다. 제7도의 가산 증폭기(420)으로부터의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L-R)p]는 폭 조절 전위차계(552)에 공급된 출력을 가산 증폭기(550)내의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 가산 신호(L-R)b와 조합된다. 반대 위상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R-L)p]는 출력이 제2폭 조절 전위차계(556)에 공급된 가산 증폭기(554)내의 부스트된 가산 신호[(L+R)b]와 조합된다. 전위차계(552, 556)의 보호된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취해진 신호는 혼합기 출력 신호[Lout 및 Rout]을 제공하기 위해 혼합기(560)내의 입력 신호(Lin 및 Rin)을 조합한다.
가산 신호의 분리대역에 의해 서보된 이퀼라이즈화 뿐만 아니라, 가산신호가 다이나믹하게 부스트된다는 것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즉, 가산 신호내의 소정의 증가가 지향성 서보 동작 또는 제10도의 다이나믹 부스트 회로의 동작에 의해 확대된다. 부수적으로, 증가된 가산 신호 성분의 량을 가산 신호가 보호된 폭 조절 전위차계 제11도의(552, 556) 또는 제4도의 (223a, 223b)를 통해 공급된다. 보호된 전압 제어된 감쇠기와 같은 보호된 감쇠 회로의 다른 형태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여러가지 보호된 전위차계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인지할 수 있다. 잔향 필터를 제거하기 위해 유도된 다중-채널 서보된 이퀼라이저 배열의 사용의 주요 및 예기치 못한 장점은 감산 신호의 상부 또는 하부 주파수 대역의 독립 제어에 제공된다. 종래의 시스템이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와 가산 신호 사이에 고정된 비를 유지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그러므로 예를들어, 가산 신호가 하부 주파수내의 진폭으로만 증가해야 하므로, 기존 특허의 시스템은 이 시스템에 의해 조절된 전체주파수 대역에 걸쳐 감산 신호의 부스트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가산 신호의 상부 주파수내의 증가는 종래 시스템의 전체 대역에 걸쳐 감산 신호의 부스트를 발생시킨다. 제7도내에 도시된 다중 채널 배열에 있어서, 하부 주파수 대역에서만 발생하는 가산 신호내의 증가는 예를들어, 대응하는 하부 주파수 대역내에서만 감산 신호내의 부수적인 부스트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감산 및 가산 신호들 사이의 바람직한 고정비는 대역과 대역을 보다 정밀하게 유지시킨다. 즉, 필요한 경우, 본 명세서에 기술된 회로는 필요한 경우 이 2개의 대열들의 이외의 대역에 요구된 비를 부당하게 왜곡하지 않고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와 상부 대역내에서만 또는 하부대역내에서만의 가산 신호 사이의 요구된 고정비를 유지한다.
다중-채널 서보된 이퀼라이저 시스템의 다른 장점은 종래의 시스템의 잔향 필터에 의해 유도된 위상 전이에 대한 정정 필요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배열이 지향성 서보들을 통해 공급된 가산 신호 성분들에 대해 2개의 분리되고 독립적인 진폭 제어 또는 감쇠 전위차계에 제공된다. 이 감쇠 제어들 중 제1제어는 제3도의 전위차계에 의해 제공되고, 이 독립적인 제어들 중 제2제어는 제4도의 전위차계(266)에 의해 제공된다. 지향성 서보를 사용하는 시스템내의 가산 신호 성분의 이 감쇠는 가산 신호까지 향성 서보의 동작을 지배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지배(domination)는 지향성 서보의 일차 기능이 감산 신호를 향상하기 위한 것이므로 방지될 수 있다.
지향성 서보를 통해 조합된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일부의 가산 신호와 감산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제3도 및 제4도내의 배열은 지향성 서보들을 사용할 때 독창자와 같은 중앙 스테이지 소오스의 페이딩을 현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게 한다. 제3도 및 제4도의 배열이 지향성 향상된 좌우측 감산 신호와 혼합기(240, 242)내의 좌우측 입력 신호를 조합하는 전위차계(266)의 출력에서 부수적인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부분을 제공한다는 것을 회상해야 한다. 제12도는 중앙 전압 제어된 증폭기를 포함하는 간략화한 회로를 사용하여 중앙 스테이지 신호의 페이딩 현산을 방지하기 위해 이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부분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2도의 회로는 특히 제9도의 다중-대역 서보된 이퀼라이저 배열과 사용될 수 있도록 배열되었다. 제2도의 동일 부품인 제12도의 소자들은 제12도의 피크 검출기(560)이 제2도의 피크 검출기(60)에 대응하고 제12도의 전압 제어된 증폭기(580)이 제2도의 전압 제어된 증폭기(80)에 대응하며, 제12도의 피크 검출기(660), 증폭기(666), 및 전압 제어된 증폭기(680)이 제2도의 피검출기(160), 증폭기(166) 및 전압 제어된 증폭기(180)에 각각 대응하도록 참조번호(5)를 앞에 붙인 동일 참조 번호를 붙였다. 제12도내의 몇몇의 예시적인 부품은 제2도의 참조번호가 100 이하 또는 100 이상의 여부에 따라(참조번호 5 대신에) 번호 6을 앞에 붙였다. 예를들어, 제12도의 증폭기(680)은 제2도의 증폭기(180)에 대응한다. 제2도의 동일부품(제12도에 동일함) 뿐만 아니라 제12도는 또는 이득조절 회로(590), 중앙 전압 제어된 증폭기 회로(592), 평균 회로(594), 및 통상적인 혼합기(596, 598)을 포함한다.
제12도내에 도시된 변형된 지향성 서보는 제9도의 가산 증폭기(471)로부터 신호[(L-R)p]를 수신하고 인버터(542) 거쳐 또는 직접 전압 제어된 증폭기(580 및 680)에 이 신호들을 공급한다. 전압 제어된 증폭기들의 입출력은 각각 비-반전 피크 검출기(572 및 672)에 궤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 감산 회로(582 및 682)에 비교된다. 피크 검출기의 출력은 각각 입력 신호(Lin 및 Rin)을 수신하는 피크 검출기(560 및 660)의 출력과 비교된다. 이것은 증폭기(566)에 대한 입력 저항성 네트워크(562, 570) 및 증폭기(666)의 입력에 대한 저항성 네트워크(662, 670)을 거쳐 증폭기(566 및 666)에 제어된 비입력을 제공한다. 증폭기 입력 저항기의 비는 제2도의 대응 입력 저항기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증폭기(566 및 666)의 출력은 제어 신호로서 좌우측 지향성 서보의 각각의 전압 제어된 증폭기(580 및 680)에 제공된다. 증폭기(566 및 666)의 출력에서의 2개의 제어 신호들은 가산되어 제9도의 가산 회로(413)으로부터 획득된 가산 신호(L+R)의 이득의 선택된 고정된 조절을 제공하는 이득 조절 회로(590)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중앙 또는 가산 신호 전압 제어된 증폭기(592)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평균 회로(594)내에 2개로 분할된다. 그러므로 중앙 전압 제어된 증폭기(592)의 출력은 좌우측 채널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신호들에서 전압 제어된 증폭기(580, 680)의 출력을 각각 수신하는 폭 조절 전위차계(523a 및 523b)의 와이퍼 아암으로 보호된 와이퍼 아암을 갖고 있는 K(L+R)로서 제12도에 동일한 가산 신호의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변환이다. 몇몇 신호들은 좌측 채널 입력(Lin), 지향성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감산 신호[(L-R)pe] 및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K[(L+R)]을 우선 조합함으로써, 좌우측 혼합기(596, 598)에 조합된다. 우측 혼합기(598)를 각각 출력신호(Lout, Rout)을 제공하기 위해 우측 채널 입력(Rin), 우측 채널 프로세스되고 향상된 지향성 신호[(R-L)pe] 및 전위차계(523)으로부터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K(L+R)]을 조합한다.
가산 신호의 일부가 중앙 스테이지 음향의 페이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향성 서보된 좌우측 채널 신호와 조합되는 제12도의 배열은 제3도 및 제4도의 배열과 기능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가된 가산 신호는 스테레오 영상 폭을 조절하기 위해 좌우측 채널신호의 모든 3개의 성분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좌우측 채널의 전위차계(523a 및 523b)의 어떠한 조절과 함께 전위차계(523)내의 진폭내로 조절된다.
제1도, 제4도, 제11도 및 제12도의 혼합기 출력은 이 시스템이 기록하기 위해 사용된 곳에서 스피커 대신에 음향 기록 디바이스에 공급된다. 본 시스템의 기존 특허 제4,748,669호에 기술한 바와같은 통상적인 플레이백 시스템상에 플레이백에 대해 향상된 신호를 기록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통상적인 플레이백 디바이스상에 플레이백될때 상술한 바와같이 여러가지 향상된 성분을 갖고있는 좌우측 신호 입력의 변형인 좌우측 스테레오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실시에 따른 설명이 현재로서 양호할지라도, 디지탈 실시가 또한 해석된다. 예를들어, 제7도내에 도시한 시스템은 모두 또는 대부분 회로에 디지탈 기술을 사용하거나 모든 음향 신호에 아날로그 회로에 사용하고 제어 회로에 디지탈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여러가지 회로에 사용된 바와같이 기술된 피크 검출기가 엔펠로프 검출기의 몇몇 공지된 형태중 한 검출기이고 다른 형태의 엔벨로프 검출기가 이곳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8)

  1. 좌우측 스테레오 입력 신호들의 가산 및 이 신호들 사이의 감산을 각각 나타내는 가산 및 감산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프로세스된 가산 및 감산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가산 및 감산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 상기 1개의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진폭을 갖고 있는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입력 신호들중 1개의 신호의 진폭(제1진폭)의 변화 및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와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한 서보 수단, 및 상기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 및 상기 향상된 감산 신호에 응답하여 좌우측 스테레오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수단이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진폭을 상기 제1진폭보다 큰 제2진폭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입력 신호의 제1진폭의 진폭 증가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폭이 상기 제1진폭보다 약 2 내지 3배 사이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수단이 상기 지향성 향상된 신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 및 상기 1개의 입력신호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수단이,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진폭 변화를 나타내는 궤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1개의 입력 신호 및 상기 궤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 수단이 지향성 향상된 신호와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사이의 감산 신호를 나타내는 궤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궤환 신호 및 상기 1개의 입력 신호의 함수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감산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스된 가산 및 감산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호 반대위상의 좌우측 프로세스된 감산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수단이 지향성 향상된 좌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좌측 입력 신호의 진폭 변화 및 지향성 향상된 좌측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좌측 프로세스된 감산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한 좌측 서보 수단 ; 및 상기 지향성 향상된 우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우측 입력 신호의 진폭 변화 및 지향성 향상된 우측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우측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한 우측 서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좌우측 서보 수단이 제어 입력을 갖고 있고 신호 입력으로서 상기 좌우측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들중 1개의 신호를 갖고 있으며 출력으로서 상기 지향성 향상된 좌우측 신호들중 관련된 1개의 신호를 제공하는 증폭기 ; 증폭기의 신호 입력과 출력 사이의 감산을 나타내는 궤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궤환 신호를 스테레오 입력 신호들중 1개의 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수단 ; 및 제어 신호를 증폭기의 제어 입력에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9. 좌우측 스테레오 입력 신호들의 가산 및 이 신호들 사이의 감산을 각각 나타내는 가산 및 감산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감산 신호와 중간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성분들의 진폭을 상기 가산 신호의 해당 고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성분들의 진폭에 비례하여 부스트하기 위한 제1수단, 상기 감산 신호의 중간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저주파수 대역내에 있는 성분들의 진폭을 상기 가산 신호의 해당 저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성분들의 진폭에 비례하여 부스트하기 위한 제2수단, 및 좌우측 스테레오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감산 신호의 상기 부스트된 성분 및 상기 가산 신호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 대역내의 진폭을 독립적으로 부스트하기 위하여 상기 감산 신호를 고주파수 대역 성분과 저주파수 대역 성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 대역들이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응답 수단이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내의 상기 감산 신호 성분을 상기 부스트된 성분들과 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이 저주파수 감산 신호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감산 신호에 응답하는 제1저역 통과 주파수 필터 ; 저주파수 가산 신호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가산 신호에 응답하는 제2저역 통과 주파수 필터 ; 및 상기 저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과 상기 저주파수 가산 신호 성분의 선정된 진폭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선정된 비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저주파수 가산 신호 성분의 진폭 값 미만이 아닌 값에서 상기 저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의 진폭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비가 1대 1 내지 3대 1 사이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선정된 비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부스트된 저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을 제공하기 위해 감산 신호의 상기 저주파수 성분에 응답하는 전압 제어된 증폭기 ;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감산 신호의 상기 저주파수 성분 및 상기 가산신호의 상기 저주파수 성분에 응답하는 수단 ;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 제어된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으로 갖고 있고 제1입력을 갖고 있는 연산 증폭기 ; 및 상기 저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의 진폭 대 상기 저주파수 가산신호 성분의 진폭의 선정된 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1입력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단이 고주파수 부스트된 감산 신호 성분을 제공하고 ; 상기 제2수단이 저주파수 부스트된 감신 신호 성분을 제공하고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 부스트된 감산 신호 성분들과 상기 감산 신호를 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진폭을 갖고 있는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입력 신호들중 1개의 신호의 진폭 변화 및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서보 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19. 좌우측 스테레오 입력 신호들의 가산 및 이 신호들 사이의 감산을 각각 나타내는 가산 및 감산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 비교적 저주파수 대역내에 있는 저역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성분을 제공하고, 대응하는 저주파수 대역 내에 있는 가산 신호 성분의 진폭에 비례하여 부스트된 진폭을 갖기 위해 가산 및 감산 신호들에 응답하는 저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 수단, 비교적 고주파수 대역내에 잇는 고역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성분을 제공하고 대응하는 고주파수 대역내에 있는 가산 신호 성분의 진폭에 비례하여 부스트된 진폭을 갖기 위해 상기 가산 및 감산 신호들에 응답하는 고역 통과 서보된 이퀼라이저 수단, 합성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감산 신호를 상기 저역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성분 및 상기 고역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성분과 조합하기 위한 수단,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및 좌우측의 향상된 스테레오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합성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 상기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 및 상기 입력 신호들을 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가산 신호를 제1입력으로 갖고 있고, 상기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를 출력으로 갖고 있는 전압 제어된 증폭기 ; 상기 다이나믹하게 제어된 가산 신호 및 상기 가산 신호의 선정된 비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 및 상기 전압 제어된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조합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가산 신호 및 상기 합성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의 일부를 조합하기 위한 수단, 상기 1개의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진폭을 갖고 있는 지향성 향상된 광대역 합성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입력 신호들 중 1개의 입력 신호의 진폭 변화 및 상기 합성 신호에 응답하여, 지향성 향상된 가산 및 감산 신호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합성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기 위한 서보 수단들 ; 및 상기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합성 신호로부터 상기 지향성 향상된 신호 성분과 상기 지향성 향상된 감산 신호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가산 신호를 입력으로 갖고 있고, 상기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를 출력으로 갖고 있는 중앙 전압 제어된 증폭기 ; 좌우측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 합성된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좌측 및 우측 제어 신호들을 조합하기 위한 수단 ; 및 상기 중앙 전압 제어된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조합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 장치.
  23. 음향 기록 플레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 기록 장치가, 좌측 및 우측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을 변형시킨 변형인 좌우측 스테레오 출력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음향 기록 응답 장치와 동작하기에 적합한 신호 발생 수단을 가지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스테레오 출력 신호들이, (1) 상기 좌우측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의 감산을 나타내는 입력 감산 신호를 중앙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고주파수 대역에서 변형시킨 프로세스된 고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 (2) 상기 좌우측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의 감산을 나타내는 입력 감산 신호를 상기 중앙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저주파수 대역에서 변형시킨 프로세스된 저주파수 입력 감산 신호 성분, (3) 상기 좌우측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의 가산을 나타내는 입력 가산 신호를 변형시킨 다이나믹하게 향상된 가산 신호 성분을 포함하는 신호 성분들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스된 고역 및 저역 감산 신호 성분들이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들내의 입력 가산 신호 성분들에 비례하여 부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록 플레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 기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된 고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 및 대응하는 고주파수 대역내의 가산 신호 성분이 일정한 선정된 진폭 관계를 갖고, 상기 프로세스된 저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 및 대응하는 고주파수 대역내의 상기 입력 가산 신호 성분이 일정한 선정된 진폭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록 플레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 기록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이 상기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내에 존재하는 스테레오 정보량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감산 신호 성분의 부스트량을 연속 조절하기 위해 상기 입력 가산 및 감산 신호들중 1개의 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진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록 플레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 기록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프로세스된 고주파 및 저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들이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내에 있는 입력 가산 신호 크기에 비하여 1대 1 내지 3대 1 사이의 범위에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록 플레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 기록 장치.
  27. 좌우측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로부터 스테레오 음향을 기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좌우측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의 사이의 가산 및 이 신호들 사이의 감산을 나타내는 가산 및 감산 신호들을 제공하는 단계, 독립적으로 중앙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저주파수 대역내에 있는 상기 감산 신호 성분들을 대응하는 저주파수 대역내에 있는 상기 가산 신호의 성분에 대하여 부스트하는 단계,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부스트된 고주파수 및 부스트된 저주파수 감산 신호 성분들을 상기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대역 사이의 주파수를 갖고 있는 감산 신호와 조합하는 단계, 스테레오 향상된 좌우측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가산 신호를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와 조합하는 단계, 스테레오 향상된 좌우측 출력 신호들을 음향 기록 장치에 공급하는 단계, 및 음향을 기록하기 위해 상기 음향 기록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측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로부터 스테레오 음향을 기록하기 위한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입력 신호의 진폭 변화에 따라 진폭을 변화시키고, 지향성 향상된 좌측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스테레오 향상된 좌측 및 우측 출력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지향성 향상된 좌측 신호를 상기 프로세스된 가산 신호와 조합함으로써 상기 프로세스된 감산 신호를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측 스테레오 소오스 신호들로 부터 스테레오 음향을 기록하기 위한 방법.
KR1019900701380A 1988-11-02 1989-09-14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을 위한 지향성 서보 및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930004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6,467 1988-11-02
US07/266,467 US4866774A (en) 1988-11-02 1988-11-02 Stero enhancement and directivity servo
US266467 1988-11-02
PCT/US1989/003942 WO1990005438A1 (en) 1988-11-02 1989-09-14 Stereo enhancement and directivity serv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747A KR900702747A (ko) 1990-12-08
KR930004933B1 true KR930004933B1 (ko) 1993-06-10

Family

ID=2301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380A KR930004933B1 (ko) 1988-11-02 1989-09-14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을 위한 지향성 서보 및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기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866774A (ko)
EP (2) EP0400106B1 (ko)
JP (1) JP3046319B2 (ko)
KR (1) KR930004933B1 (ko)
AU (1) AU614191B2 (ko)
CA (1) CA1309031C (ko)
DE (1) DE68928180T2 (ko)
HK (1) HK1002150A1 (ko)
WO (1) WO1990005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0338A (nl) * 1989-06-02 1991-01-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gitaal transmissiesysteem, zender en ontvanger te gebruiken in het transmissiesysteem en registratiedrager verkregen met de zender in de vorm van een optekeninrichting.
US5550925A (en) * 1991-01-07 1996-08-27 Canon Kabushiki Kaisha Sound processing device
US5251260A (en) * 1991-08-07 1993-10-05 Hughes Aircraft Company Audio surround system with stereo enhancement and directivity servos
JPH05130699A (ja) * 1991-11-08 1993-05-25 Sony Corp 音声再生装置
KR940011504B1 (ko) * 1991-12-07 1994-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2채널 음장재생 장치 및 방법
US5274708A (en) * 1992-06-01 1993-12-28 Fusan Labs, Inc. Digital stereo sound enhancement unit and method
US20050259833A1 (en) * 1993-02-23 2005-11-24 Scarpino Frank A Frequency responses,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audio signals
US6275593B1 (en) * 1996-05-10 2001-08-14 True Dimensional Soun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harmonic enhancement of electronic audio signals
US5487113A (en) * 1993-11-12 1996-01-23 Spheric Audio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udiospatial effects
DE4435224A1 (de) * 1994-09-30 1996-04-04 Nokia Deutschland Gmbh Tonwiedergabeanordnung
US5661808A (en) * 1995-04-27 1997-08-26 Srs Labs, Inc. Stereo enhancement system
US5692050A (en) * 1995-06-15 1997-11-25 Binaur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ly enhancing stereo and monophonic signals
US5850453A (en) * 1995-07-28 1998-12-15 Srs Labs, Inc. Acoustic correction apparatus
US5708719A (en) * 1995-09-07 1998-01-13 Rep Investment Limited Liability Company In-home theater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US5930370A (en) * 1995-09-07 1999-07-27 Rep Investment Limited Liability In-home theater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US6118876A (en) * 1995-09-07 2000-09-12 Rep Investment Limited Liability Company Surround sound speaker system for improved spatial effects
US5677957A (en) * 1995-11-13 1997-10-14 Hulsebus; Alan Audio circuit producing enhanced ambience
US6130954A (en) * 1996-01-02 2000-10-10 Carver; Robert W. High back-emf, high pressure subwoofer having small volume cabinet, low frequency cutoff and pressure resistant surround
US5937074A (en) * 1996-08-12 1999-08-10 Carver; Robert W. High back emf, high pressure subwoofer having small volume cabinet, low frequency cutoff and pressure resistant surround
RU2106073C1 (ru) * 1996-02-12 1998-02-27 Владимир Анатольевич Ефремов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ая звуковоспроизводящая система
KR0175515B1 (ko) * 1996-04-15 1999-04-01 김광호 테이블 조사 방식의 스테레오 구현 장치와 방법
US5970152A (en) * 1996-04-30 1999-10-19 Srs Labs, Inc. Audio enhancement system for use in a surround sound environment
US5878145A (en) * 1996-06-11 1999-03-02 Analog Devices, Inc. Electronic circuit and process for creation of three-dimensional audio effects and corresponding sound recording
US6096960A (en) * 1996-09-13 2000-08-01 Cryst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eriod forcing filter for preprocessing sound samples for usage in a wavetable synthesizer
US5744739A (en) * 1996-09-13 1998-04-28 Crystal Semiconductor Wavetable synthesizer and operating method using a variable sampling rate approximation
US5917917A (en) * 1996-09-13 1999-06-29 Crystal Semiconductor Corporation Reduced-memory reverberation simulator in a sound synthesizer
US5889820A (en) * 1996-10-08 1999-03-30 Analog Devices, Inc. SPDIF-AES/EBU digital audio data recovery
US5912976A (en) * 1996-11-07 1999-06-15 Srs Labs, Inc.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system for use in recording and playback and methods for providing same
TW388183B (en) * 1996-11-08 2000-04-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 arrangement, a system, a circuit and a method for enhancing a stereo image
JP3663461B2 (ja) 1997-03-13 2005-06-22 スリーエス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周波数選択的空間感向上システム
US6281749B1 (en) 1997-06-17 2001-08-28 Srs Labs, Inc. Sound enhancement system
US6088461A (en) * 1997-09-26 2000-07-11 Crystal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volume control system
US6091824A (en) * 1997-09-26 2000-07-18 Crystal Semiconductor Corporation Reduced-memory early reflection and reverberation simulator and method
US6823072B1 (en) * 1997-12-08 2004-11-23 Thomson Licensing S.A. Peak to peak signal detector for audio system
US6285767B1 (en) 1998-09-04 2001-09-04 Srs Labs, Inc. Low-frequency audio enhancement system
US6448846B2 (en) * 1998-10-01 2002-09-10 Stephen R. Schwartz Controlled phase-canceling circuits/systems
US6590983B1 (en) 1998-10-13 2003-07-08 Srs Lab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pseudo-stereophonic outputs from a monophonic input
US6993480B1 (en) 1998-11-03 2006-01-31 Srs Labs, Inc. Voice intelligibility enhancement system
US6947564B1 (en) 1999-01-11 2005-09-20 Thomson Licensing Stereophonic spatial expansion circuit with tonal compensation and active matrixing
US6711265B1 (en) 1999-05-13 2004-03-23 Thomson Licensing, S.A. Centralizing of a spatially expanded stereophonic audio image
KR100699454B1 (ko) * 1999-05-13 2007-03-27 톰슨 라이센싱 스테레오 오디오 시스템
US7031474B1 (en) 1999-10-04 2006-04-18 Srs Labs, Inc. Acoustic correction apparatus
EP1232672A1 (en) 1999-11-25 2002-08-21 Embracing Sound Experience AB A method of processing and reproducing an audio stereo signal, and an audio stereo signal reproduction system
US7277767B2 (en) 1999-12-10 2007-10-02 Srs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streaming audio
US7136493B2 (en) * 2000-06-28 2006-11-14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Sub-harmonic generator and stereo expansion processor
US20040013272A1 (en) * 2001-09-07 2004-01-22 Reams Robert W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data
US20020118839A1 (en) * 2000-12-27 2002-08-2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ircuit for providing a widened stereo image
KR100370222B1 (ko) * 2001-01-17 2003-0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433483B2 (en) 2001-02-09 2008-10-07 Thx Ltd. Narrow profile speaker configurations and systems
US7254239B2 (en) * 2001-02-09 2007-08-07 Thx Ltd. Sound system and method of sound reproduction
EP1308925A1 (en) * 2001-10-24 2003-05-07 Peavey Electronics Corp. Sub-harmonic generator and stereo expansion processor
US7630507B2 (en) * 2002-01-28 2009-12-08 Gn Resound A/S Binaural compression system
US6735314B2 (en) * 2002-05-13 2004-05-11 Thomson Licensing S.A. Expanded stereophonic circuit with tonal compensation
US7242779B2 (en) 2002-05-30 2007-07-10 Peavey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harmonic generation, stereo expansion and distortion
US20050244019A1 (en) * 2002-08-02 2005-11-03 Koninklijke Phil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the reproduction of music content
SE527062C2 (sv) 2003-07-21 2005-12-13 Embracing Sound Experience Ab Stereoljudbehandlingsmetod, -anordning och -system
US7522733B2 (en) * 2003-12-12 2009-04-21 Srs Labs, Inc. Systems and methods of spatial image enhancement of a sound source
US7929708B2 (en) * 2004-01-12 2011-04-19 Dts, Inc. Audio spatial environment engine
US20060106620A1 (en) * 2004-10-28 2006-05-18 Thompson Jeffrey K Audio spatial environment down-mixer
WO2006050112A2 (en) * 2004-10-28 2006-05-11 Neural Audio Corp. Audio spatial environment engine
US7853022B2 (en) * 2004-10-28 2010-12-14 Thompson Jeffrey K Audio spatial environment engine
TW200627999A (en) 2005-01-05 2006-08-01 Srs Labs Inc Phase compensation techniques to adjust for speaker deficiencies
WO2006126473A1 (ja) * 2005-05-23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音像定位装置
CN101263739B (zh) 2005-09-13 2012-06-20 Srs实验室有限公司 用于音频处理的系统和方法
KR101346490B1 (ko) * 2006-04-03 2014-01-02 디티에스 엘엘씨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SE530180C2 (sv) * 2006-04-19 2008-03-18 Embracing Sound Experience Ab Högtalaranordning
US8050434B1 (en) 2006-12-21 2011-11-01 Srs Labs, Inc.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system
WO2008112571A1 (en) * 2007-03-09 2008-09-18 Srs Labs, Inc. Frequency-warped audio equalizer
US20090052701A1 (en) * 2007-08-20 2009-02-26 Reams Robert W Spatial tele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JP2009260628A (ja) * 2008-04-16 2009-11-05 Sony Corp オーディオ再生装置
US9380385B1 (en) 2008-11-14 2016-06-28 That Corporation Compressor based dynamic bass enhancement with EQ
TWI491277B (zh) * 2008-11-14 2015-07-01 That Corp 動態音量控制和多空間處理保護(二)
EP2362996B1 (en) * 2008-11-14 2012-10-24 THAT Corporation Dynamic volume control and multi-spatial processing protection
US8259960B2 (en) * 2009-09-11 2012-09-04 BSG Laboratory, LLC Phase lay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mplete audio signal
US8571232B2 (en) * 2009-09-11 2013-10-29 Barry Stephen Goldfarb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mplete audio signal
JP5463924B2 (ja) * 2010-01-15 2014-04-09 ヤマハ株式会社 音響処理装置
KR101712101B1 (ko) * 2010-01-28 2017-03-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9628930B2 (en) 2010-04-08 2017-04-18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udio spatial effect enhancement
EP2661907B8 (en) 2011-01-04 2019-08-14 DTS, Inc. Immersive audio rendering system
US8867749B2 (en) 2011-04-18 2014-10-21 Paul Blair McGowan Acoustic spatial projector
PL2798737T3 (pl) 2011-12-27 2019-05-31 Dts Inc System wzbogacania niskich tonów
RU2680423C2 (ru) 2013-03-13 2019-02-21 ТиЭйчИкс ЛТД Аку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узкого профиля
WO2014190140A1 (en) 2013-05-23 2014-11-27 Alan Kraemer Headphone audio enhancement system
US9288601B2 (en) 2013-05-28 2016-03-15 Audio Design Experts, Inc. Broad sound loudspeaker system
US9369817B2 (en) * 2013-05-28 2016-06-14 Audio Design Experts, Inc. Broad sound field loudspeaker system
US9197963B1 (en) 2013-05-28 2015-11-24 Audio Design Experts, Inc. Broad sound field loudspeaker system
US9326086B2 (en) 2014-02-21 2016-04-26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Neural induced enhancement of audio signals
US9588490B2 (en) 2014-10-21 2017-03-07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Neural control holography
CN107004427B (zh) * 2014-12-12 202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增强多声道音频信号内语音分量的信号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5105A (en) * 1970-03-09 1972-05-23 Univ Leland Stanford Junior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location and movement of sound
US3848092A (en) * 1973-07-02 1974-11-12 R Shamma System for electronic modification of sound
US4696036A (en) * 1985-09-12 1987-09-22 Shure Brothers, Inc. Directional enhancement circuit
US4748669A (en) * 1986-03-27 1988-05-31 Hughes Aircraft Company Stereo enhanc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0005438A1 (en) 1990-05-17
KR900702747A (ko) 1990-12-08
EP0400106A1 (en) 1990-12-05
EP0400106B1 (en) 1997-07-16
EP0773702A2 (en) 1997-05-14
DE68928180D1 (de) 1997-08-21
HK1002150A1 (en) 1998-07-31
DE68928180T2 (de) 1997-11-13
AU4310489A (en) 1990-05-28
AU614191B2 (en) 1991-08-22
JPH03502635A (ja) 1991-06-13
US4866774A (en) 1989-09-12
CA1309031C (en) 1992-10-20
JP3046319B2 (ja) 200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933B1 (ko) 스테레오 이미지 향상을 위한 지향성 서보 및 향상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갖는 음향기록 장치 및 그 방법
US5420929A (en) Signal processor for sound image enhancement
EP0478096B1 (en) Stereo enhancement system
JP3964459B2 (ja) ステレオ増強システム
US8045731B2 (en) Sound quality adjustment device
US20070127731A1 (en) Selective audio signal enhancement
US5113447A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udio imaging in an automotive listening environment
JPH01198818A (ja) 車載音響再生装置における自動ラウドネス補償装置
WO19980549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the audio image created by an audio signal
KR940000106Y1 (ko) 초저음 및 입체음향신호 동시처리회로
JPH04301907A (ja) 音声信号再生装置
JPH0787640B2 (ja) 3次元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