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842Y1 - 흡.차음판넬 - Google Patents

흡.차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842Y1
KR930004842Y1 KR2019900004543U KR900004543U KR930004842Y1 KR 930004842 Y1 KR930004842 Y1 KR 930004842Y1 KR 2019900004543 U KR2019900004543 U KR 2019900004543U KR 900004543 U KR900004543 U KR 900004543U KR 930004842 Y1 KR930004842 Y1 KR 930004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nd absorbing
layer
noise
insul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027U (ko
Inventor
최순근
최재천
Original Assignee
최순근
최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근, 최재천 filed Critical 최순근
Priority to KR2019900004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842Y1/ko
Publication of KR910018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흡·차음판넬
제1도는 내지 제3도는 본고안의 실시예로써, 제1도는 벽체로 사용시의 예시도.
제2도는 사시도.
제3도는 일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차음판넬본체 2 : 안내층
3, 4 : 제1, 2흡음층 5 : 제1차음층
6 : 흡·차음층 7, 8 : 제2, 3차음층
10 : 보강차음층 21 : 구멍
본고안은 흡·차음판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도 및 두께가 각각 다른 재질을 다수겹으로 복합적층시켜 극장, 방송실, 콤퓨터실, 공장이나 발전소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여서 소음공해를 방지하고자 한것이다.
종래의 방음판넬은 극장, 방송실, 콤퓨터실, 공장이나 발전소등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단순히 차단만하는 단일벽 또는 반사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벽에 부딪치는 소음은 투과현상 및 반사현상이 발생되어 소음으로 인하여 작업자는 물론 인근주변에 소음 공해피해를 주는 동시에 청각장애등 직업병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소음을 분석하여 보면 저주파음에서 고주파음에 이르기까지 많은 주파수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고주파음은 파장이 짧기때문에 말도가 큰 재질에 대해서는 반사되어 소음의 차단은 용이하여 외부로의 소음방출은 방지될수 있으나 저주파음은 파장이 길기때문에 밀도가 큰 재질이라 하여도 반사되지 못하고 투과하여 외부로 소음이 방출되는 것이다.
또한 소음방지를 위하여 단일재질로하여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다수겹으로 복합구성 하였다고 하여도 그 밀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고주파음이나 저주파음을 현저하게 차단시키거나 흡수할수 없게 된다.
즉, 벽면에 소음이 입사하여 굴곡현상이 발생하고 굴곡파의 진폭은 입사파의 진폭과 같은 정도로 심하게 진동하는 일종의 공진상태가 되어 차음성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본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철판, 유리섬유, 유리솜, 석고보드, 폴리우레탄등 밀도 및 두께가 다른 재질을 다수겹으로 복합적층시켜 차음 및 흡음을 동시에 도모하도록 하므로써 외부로의 고주파 및 저주파 소음투과를 방지토록하여 인근주변에 소음공해 피해를 줄이고 작자에게도 청각장애등 직업병의 근본원인을 제거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고안의 실시예로써, 부호 1은 흡·차음 판넬본체이며, 그 판넬본체(1)는 안내층(2), 제1흡음층(3), 제2흡음층(4), 제1차음층(5), 흡·차음층(6), 제2, 제3차음층(7)(8)으로 구성되며, 또한 이들을 상기순으로 적층접착하여 복합판넬을 구성한다.
상기 안내층(2)은 0. 5㎜ 두께의 철판을 사용하여, 전면에 다수개의 구멍(21)을 천공하여 구멍(21)으로 소음이 안내통과 하도록 한다.
상기 제1흡음층(3)은 0. 18㎜ 두께의 유리섬유(glass cloth)를 사용하며 제1차음층(2)의 구멍(21)을 통과한 소음을 일차로 흡수하는 동시에 제2흡음층(4)을 보호하도록 한다.
제2흡음층(3)은 50㎜ 두께의 유리솜(glass wool)을 사용하며 제1흡음층(3)을 통과한 소음을 2차로 흡수하도록 한다.
제1차음층(5)은 0. 5㎜ 두께의 판지 또는 철판을 사용하며, 제2흡음층(4)을 통과한 소음을 1차로 차단시키도록 한다.
흡·차음층(6)은 50㎜두께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며 제1차음층(5)을 통과한 소음을 흡수 및 차단시키도록 한다.
제2차음층(7)은 12㎜ 두께의 석고보드를 사용하여 흡·차음음층(6)을 통과한 소음을 2차로 차단시키도록 한다.
제3차음층(8)은 0. 5㎜ 두께의 철판을 사용하며 제2차음층(7)을 통과한 소음을 최종적으로 차단시켜 외부로 방출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공장이나 발전소등에서 발생한 고주파 및 저주파의 소음은 판넬본체(1)의 안내층(2)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21)을 통해 제1흡음층(3)으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안내층(2)을 통과한 소음은 제1흡음층(3)에서 1차로 흡수 소멸하게 된다.
제1흡음층(3)을 통과한 소음은 제2흡음층(4)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다시 그 소음을 2차로 흡수하여 소멸시키게 된다.
이때 흡수되는 소음은 파장이 짧은 고주파가 주로 흡수되어 소멸되고 저주파도 일부 흡수소멸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1흡음층(3)과 제2흡음층(4)은 그 두께 및 밀도가 상호 다르기 때문에 고주파 및 저주파의 소음 2차에 걸쳐서 흡수 및 소멸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제2흡음층(4)을 통과한 소음은 제1차음층(5)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고주파음은 반사되어 다시 제1, 2흡음층(3) (4)으로 되돌아가서 흡수 소멸되는 것이며, 저주파음은 일부 반사되어 제1, 2흡음층(3) (4)에서 흡수소멸되는 동시에 일부는 통과하여 흡차음층(6)으로 투과하게 된다.
즉, 제2차음층(5)은 밀도가 높은 판지 또는 철판을 사용하므로 일부 저주파음을 제외하고는 거의 고주파와 일부 저주파음을 반사시키게 되므로 반사된 소음은 제1, 2흡음층(3) (4)에서 흡수소멸될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판지와 철판은 그 재질 및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반사율의 차이점은 있으나 제1, 2흡음층(3) (4)보다는 밀도가 현저하게 높기때문에 반사율이 높아 소음을 반사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흡·차음층(6)으로 투과된 소음은 반사를 하게 되는데 반사되는 소음은 제1차음층(5)에 의해 다시 역반사하게되고 역사반사된 소음은 또다시 흡·차음층(6)에 의해 반사를 하게 된다.
물론 극소수의 소음은 흡·차음층(6)를 통과하게 되고 반사된 소음은 제1차음층(5)을 투과할수도 있겠으나 제1차음층(5)을 통과한 소음은 제1, 2흡음층(3) (4)에서 또 다시 흡수소멸이 되므로 역반사되는 소음에는 커다란 영향이 끼치지 않고, 이때 제1차음층(5)과 흡·차음층(6)사이에서 계속적으로 반사 및 역반사를 거듭하는 소음은 점차적으로 소멸이 되므로 그 흡·차음층(6)에서 고주파를 거의 차단 및 흡수시킬수가 있는 것이며, 저주파는 파장으로 인해 흡·차음층(6)을 약간의 일부가 통과하여 제3차음층(7)으로 투과하게 되고 또한 상술한 고주파와 함께 반사 및 역반사를 거듭함에 따라 흡수 및 소멸이 되는 것이다.
제2차음층(7)으로 투과된 소음, 즉 극히 일부의 고주파와 약간의 저주파는 다시 3차로 차단이 되어 흡·차음층(6)으로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반사되는 소음은 흡·차음층(6)과 제2차음층(7)사이에서 다시 반사 및 흡수되므로 거의 흡·차음을 소멸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제2차음층(7)에서 거의 흡·차음을 소멸시켜도 극히 약간의 저주파의 소음이 소멸되지 못하고 제2차음층(8)에서 4차로 차단 및 반사하게 되는데 반사되는 저주파는 제2차음층(7)과 제3차음층(8)의 밀도 및 두께의 불균일로 인하여 차단되어 소음을 현저하게 소멸시킬수가 있어 인근 주변에 소음공해를 줄정도의 소음은 제거힐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는 상기 제1차음층(5)의 판자와 철판을 각각 사용하여 제조된 판넬본체(1)를 국립건설시험소에서 음향투과 손실 측정방법에 의거하여 시험한 측정결과도표로써, 이는 5회 측정한 값을 평균한 것이다.
[표 1]
판지의 경우
[표 2]
철판의 경우
* 비고(표 1과 표 2의 측정환경)음원실 용적 203.73㎥, 수음실 용적 203.73㎥개구부면적 3, 76×2. 28=8. 57㎡, 음원 ⅓옥타브 대역 잡음.
상기 표 1과 표 2에서와 같이 저주파 및 고주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며, 또한 판지보다는 철판을 적층한 판넬 본체(1)가 더욱 현저하게 소음을 흡수 및 차단시켜 외부로의 소음 방출을 방지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4도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되 제1차음층(5)과 흡·차음층(6)사이에 석고보드의 보강 차음층(10)을 적층한 것으로 소음이 제1차음층(5)과 보강 차음층(10)을 통과할때 대부분 반사시켜 투과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실시예의 흡·차음 효과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표 3에서 알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차음층(10)은 12㎜의 두께로 형성한다.
[표 3]
단, 측정환경은 상술한 표 1 및 표 2의 조건과 동일하다.
상기 표 3과 같이 표 1과 표 2보다는 소음을 현저하게 흡수 및 차단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밀도가 각각 다른 다수종의 재질을 각각 다른 규격으로 하여 적층 복합시키므로써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수가 있어 매우 유용하며 특히 주거지역내에서의 효과는 더욱 특출한 것이며, 극장, 방송실, 콤퓨터실, 공장이나 발전소등에 매우 실용적인 것이다.

Claims (3)

  1. 밀도와 두께가 각각 다른 재질의 철판의 안내층(2), 유리섬유의 제1흡음층(3), 유리솜의 제2흡음층(4), 판지의 제1차음층(5), 폴리우레탄의 흡·차음층(6), 석고보드의 제2차음층(7), 철판의 제3차음층(8)등을 순서대로 복합적층하고 상기 안내층(2)의 전면에 다수개의 구멍(21)을 천공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층(5)을 철판으로 복합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판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음층(5)과 흡·차음층(6) 사이에 석고보드의 보강차음층(10)을 복합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판넬.
KR2019900004543U 1990-04-14 1990-04-14 흡.차음판넬 KR930004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543U KR930004842Y1 (ko) 1990-04-14 1990-04-14 흡.차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543U KR930004842Y1 (ko) 1990-04-14 1990-04-14 흡.차음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027U KR910018027U (ko) 1991-11-28
KR930004842Y1 true KR930004842Y1 (ko) 1993-07-23

Family

ID=1929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543U KR930004842Y1 (ko) 1990-04-14 1990-04-14 흡.차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8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839B1 (ko) * 2002-05-29 2005-12-20 유니슨 주식회사 고흡음성을 갖는 방음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027U (ko)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839A (en) Sound absorbing diffusor
US5512715A (en) Sound absorber
US3866001A (en) Structural block with septum
US4441580A (en) Acoustical control media
US7467498B2 (en) Flexible sheet materials for tensioned structures, a method of making such materials, and tensioned false ceilings comprising such materials
US3343314A (en) Prefabricated modular panel structure and modular panel units therefor
US5117463A (en) Speaker system having directivity
JP2008505258A (ja) 吸音ブロック及び吸音ブロックの施工方法
JPH02272131A (ja) 音吸収パネル
EP0368135A1 (en) Modular sound-deadening acoustic insulation panel particularly for delimiting areas where noise is produced
KR930004842Y1 (ko) 흡.차음판넬
JP3457804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カバー
KR102195355B1 (ko) 가설 방음판
JPH09228506A (ja) 吸音体
JPS6183743A (ja) 吸音性を有する遮音パネル
KR100400886B1 (ko) 흡음형 방음패널
KR101897467B1 (ko) 댐핑 시트와 반파장 기주공명 부재를 적용한 고성능 흡음형 방음판
JPH0740002Y2 (ja) レゾネータ型防音パネル
JP3909938B2 (ja) 床衝撃音低減構造
JP3065262B2 (ja) 吸音パネル
JP2009215787A (ja) 防音室および防音壁
KR950009151Y1 (ko) 방음판의 구조
SU975945A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панель в.а.терка 1
KR200364348Y1 (ko) 흡음 블록
JP2003082839A (ja) 際根太構造体および床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