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88B1 -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88B1
KR930004588B1 KR1019860700418A KR860700418A KR930004588B1 KR 930004588 B1 KR930004588 B1 KR 930004588B1 KR 1019860700418 A KR1019860700418 A KR 1019860700418A KR 860700418 A KR860700418 A KR 860700418A KR 930004588 B1 KR930004588 B1 KR 93000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eight
cationic
static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342A (ko
Inventor
페이텔 체이타니아
Original Assignee
헬렌 커티스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로이 에이 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렌 커티스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로이 에이 웬츠 filed Critical 헬렌 커티스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700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체의 모발용 컨디셔너(conditioner)에 관한 것이며, 더욱 특히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컨디셔너로 처리된 모발을 마른 상태로 빗을 때 그 모발에 정전기를 감소시키고 헤어 세트 및 스타일을 개선시키는 컨디셔너 및 이들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
주요 정발제로서 4급 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미용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정발제는 4급 질소원자당 하나의 (C12내지 C18)알킬그룹 또는 2개의 (C12내지 C16)알킬그룹과 함께 하나 또는 2개의 4급화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단량성, 비-중합성 분자일 수 있다.
인체 모발은 정상적으로 음이온성이며, 중성 pH 값의 수성 조성물에서 순음전하를 갖는다. 양이온성 정발제는 양이온-음이온 상호작용에 의해 모발에 용착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비교적 저분자량인 정발제를 젖은 상태의 빗질 및 엉기지 않는 것과 같은 적절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마른 머리를 빗을 때 생기는 정전기를 감소시키거나 없앨 수 있는 한편, 이들은 대표적으로 마른 머리를 차분하도록 유연하게 하며, 또한 컨디셔너-처리된 모발의 세트 유지력을 그러한 컨디셔너로 처리하지 않은 유사한 모발의 경우에 나타난 것 보다 낮은 정도로 감소시킨다.
다수의 4급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중합성 조절제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중합성 4급 질소화합물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조성물과 오랫동안 관련된 한가지 문제점은 컨디셔닝한 모발이 건조한 상태에서, 즉 공기중에서나 헤어드라이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건조시킨후 빗질할 때 정전기가 일어나는 점이다.
4급 질소-함유 중합체에 의해 컨디셔닝된 모발에서 빗질에 의해 일어나는 정전기의 원인은 사전의 음이온성 모발을 양이온성으로 만드는 그러한 중합체의 모발에 대한 매우 높은 잔류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모발 섬유에 정전기가 존재함으로써 머리에 원치않는 “흩날리는(fiy-away)”외관을 나타낼 수 있는 섬유-섬유 반발력이 일어난다.
필름-형성 중합체인 중합성 4급 질소-함유 정발제는 또한 컨디셔너로 처리된 건조한 모발에 어느정도의 세트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경우에, 중합성 컨디셔너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세트 유지 특성은 모발에 대한 증가된 정전기 및 그 결과로 생긴 “흩날리는”외관과 같은 손해로 상쇄된다.
그러므로, 4급 질소-함유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양이온성 중합체로 컨디셔닝한 건조한 상태의 모발을 빗질하는 것과 관련된 정전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진다면 유리할 것이다. 또한, 필름-형성, 중합성 4급 질소-함유 정발제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세트 유지 특성은 그러한 정발제가 정상적으로 제공하는 컨디셔닝한 건조한 모발을 빗질할 때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정전기 및 “흩날리는”현상의 증가없이 이용될 수 있다면 유리할 것이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컨디셔닝하여 건조시키고 빗질한 모발에 대해 감소된 정전기를 제공하는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컨디셔너는 20℃에서 액체이며, 26℃에서의 브룩픽드(Broockfield) 점도가 약 50센티포이즈 미만이고, 25℃에서의 굴절율은 약 1.4내지 약 1.5인 비이온성, 수-불용성, 비-유상 유기물질, 예를들면(C12내지 C15)알코올의 호합 벤조에이트 에스테르 또는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된 정전기 감소제 약 0.25 내지 약 4중량%, 다수의 4급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필름-형성중합체 약 0.05내지 약 1.0중량% 및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 약 0.25 내지 약 4중량%의 수성 조성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한 정전기 감소제의 중량비는 약 2 : 1 내지 약 20 : 1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성분들이 안정하게 분산되어 거의 균질한 조성물을 형성하는 수성 에멀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디셔너로 처리된 모발을 건조한 상태로 빗질할 때 그 모발에 대해 감소된 정전기량을 제공하는 헤어 세트-개선용 양이온성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인체 모발을 컨디셔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언급된 인체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이 제공되며, 이는 인체 모발에 거의 균질한 형태로 적용된다. 따라서 컨디셔너 그 자체는 주위 온도에서 거의 균질할 필요는 없으나, 모발에 적용되는 경우에 컨디셔너는 거의 균질한 형태로 존재한다. 즉 컨디셔너는 실온에서 정치시키면 분리될 수 있으나, 사용직전에 흔드는 방법과 같이 교반에 의해 거의 균질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적용된 컨디셔너는 컨디셔너가 모발 섬유와 접촉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모발상에 유지된다. 접촉된 모발 섬유는 그후에 물로 헹구고 물로 헹군 모발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몇가지 이익 및 잇점을 제공한다.
한가지 잇점은 건조한 상태로 빗질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된 모발은 정전기량이 비교적 감소되는 점이다.
본 발명의 잇점은 양이온성, 4급 질소-함유 필름-형성 중합체를 그러한 중합성 정발제가 세트를 유지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부수적인 정진기 없이 컨디셔너로 처리된 모발의 세트 유지특성을 개선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은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중합성 정발제 최소량이 모발에 용착되고, 이에 따라 모발의 부드러움이 증가되기보다는 오히려 컨디셔너-처리된 모발의 세트 유지 특성이 촉진되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은 이하에 기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은 수성 조성물이며 물이외에도, 필수적으로 각기 특정량의 3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성분중의 2가지는 서로에 대해 특정 중량비로 존재한다. 그러한 3가지 성분은 (a)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이온의 염, (b) 다수의 4급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필름 형성 중합체 및 (c) 20℃에서 액체이며 26℃에서의 브룩필드 점도가 약 50센티포이즈 미만이고, 25℃에서의 굴절율은 약 1.4내지 약 1.5인 비이온성, 수-불용성, 비-유상 유기 물질, 예를들면(C12내지 C15)알코올의 혼합 벤조에이트 에스테르 및 카프르 및 카프릴산과 글리세롤과의 혼합 트리글리세라이드 반응 생성물인 정전기 감소제이다.
용어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에는 우지-유도된 지방쇄 중에 C18-알킬 그룹 약 60 내지 70중량%를 함유하는 디메틸 디(수소화 우지)암모늄염과 같은 물질이 포함될 뿐만 아니라 순수하거나 거의 순수한 것으로 명명된 양이온성 화합물이 포함된다. 따라서,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은 또한 그의 알킬그룹 2개가 각기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쇄로 주로, 적어도 약 60 내지 약 70중량%가 구성되는 디알킬디메틸 암모늄염으로 언급될 수 있다.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은 통상적으로 사용된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중합성 4급 질소-함유 정발제로부터 예상되는 바와같이, 대체로 조성물의 세트 유지 효과를 거의 손상시킴이 없이 양이온성, 4급 질소-함유 중합체에 의해 제공된 효과 이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두개의 4급 질소원자와 4급 질소원자당 하나의(C12내지 C18)알킬그룹 또는 2개의 (C12내지 C16)알킬그룹을 함유하는 그러한 통상적으로 사용된 비교적 저분자량의 컨디셔너(1100달통 미만)는 대표적으로 처리된 모발을 처리되지 않은 모발에 비해 비교적 유연하게 만들고 이에 따라 세트 유지력이 감소된다.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은 광범위한 음이온 그룹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에는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요다이드와 같은 할라이드 ; 니트레이트, 니트라이트, 설페이트, 비설페이트, 카보네이트 및 비카보네이트와 같은 일가 또는 이가 무기 음이온 ;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및 푸마레이트와 같은, 탄소원자 약 4개까지를 함유하는 유기 카복실산 ; 및 에틸 설페이트, 메틸 설페이트, 벤젠 설포네이트 및 톨루엔 설포네이트와 같은, 탄소원자 약 8개까지를 함유하는 유기 설페이트 및 설포네이트가 포함된다. 1가 음이온, 및 할라이드(특히, 클로라이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은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전체 조성물의 약 0.25내지 약 4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은 전체 조성물의 약 0.5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은 비교적 저분자량의 단량성(비-중합성) 4급 질소-함유 물질 가운데서 유일한 것 같다. 특히, 컨디셔닝 조성물에 존재하는 정발제로 사용된 이러한 물질의 양을 예정량 이상으로 증가시키더라도, 비교적 소량은 모발에 용착되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의 양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요점은,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본 명세서에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의 예로 사용)의 조성물 1.0중량%에서, 거의 동량의 양이온성 정발제는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모발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조성물의 0.5내지 2중량%의 범위에 걸쳐 존재하는 경우에는 2%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존재하에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용착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그러한 결과는 그 실시예에서 예시된 통상적으로 사용된 다른 정발제를 사용하여 수득한 결과와 비교할 수 있다. 트리글리셀이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용착되는 것과는 다른 양의 정발제가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부재하에 모발에 용착됨을 볼수 있다. 또한 다른 4급 질소-함유 화합물의 증가량은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가 2중량%의 일정한 농도로 유지되는 경우에 그러한 화합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용착된다.
실시예 2의 데이타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물질 모두가 원래 동일한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에, 그 실시예의 통상적으로 사용된 4급 질소-함유 정발제중 어느것에 의해서 용착되는 것보다 적은 양의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이 모발에 용착됨을 더 설명해준다.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이 비교적 최소로 용착되는 것은 그러한 정발제를 사용하여 컨디셔닝한 모발에 의해 나타난 세트 유지특성의 개선에 상당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성매질중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의 컨디셔닝 양의 수용으로 개선된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가 제공된다. 개선된 컨디셔너 조성물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중합성 물질과 같은 추가의 양이온성 정발제, 및/또는 분자당 1또는 2개의 4급 질소원자의 분자당(C12내지 C18) 알킬그룹 1개 또는 (C12내지 C16) 알킬그룹 2개를 함유하는 통상적으로 사용된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중합성 헤어 컨디셔너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다수-양이온성 성분 컨디셔너는 바람직하게는 주요 정발제로서 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염을 함유하며, 즉 염은 존재하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양이온성, 4급 질소-함유 정발제 적어도 약 60중량%를 구성한다. 여하튼, 본 발명의 개선된 인체 모발용 컨디셔닝은 물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인 양이온성, 4급 질소-함유 정발제의 모발-컨디셔닝 양을 함유한다. 그러한 개선된 컨디셔너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모발을 컨디셔닝하고 비-중합성 양이온성 정발제와 일반적으로 관련된 모발의 유연성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유용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은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Sherex Chemical Co., Inc.(Dublin. Ohio)에 의해 AROSURF
Figure kpo00001
TA-100이란 상품명으로 시판됨]이다. 이 물질은 그의 공급자 문헌에 대표적으로 95% 활성이 있으며 유리아민 및 그의 염산염 2%를 함유하는 것으로 언급된 백색 분말로 시판되고 있다. 공급자 문헌에는 섬유에 유연성 및 모우(毛羽, fluffiness)를 부여하고 면, 레이온, 나일론 및 다른 합성 섬유에 대해 개선된 정전기 방지 특성을 부여하는 섬유 유연제로서의 그의 용도가 지시되어 있다.
공급자의 문헌에는 또한 섬유 유연제로서 그의 용도에 대한 가능한 메카니즘이 음전하 표면에 대한 그 물질의 잔류성, 회수성 분산액으로부터 배출되는 그의 능력 및 그러한 기재상에 부착되는 그의 능력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 문헌에는 회석제 중량제와 함께 제품의 13 내지 35중량%를 함유하고 대표적인 제제가 제시되어 있다.
공급자에 의해 제시된 특정 조성물은 4급 섬유 유연제 30중량% 및 회석제 70중량%를 함유한다. 섬유 100파운드 건식 중량에 대해 건조 제제 1.5내지 4온스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공급자의 후자에 제시된 섬유 유연제 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섬유 유연제는 연화될 섬유의 0.028 내지 0.07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산정될 수 있다. 유사한 계산법을 사용하고, 실시예 2의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1ml를 1g의 중량으로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를 0.25내지 4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처리된 모발의 약 0.14 내지 약 2.2중량%로 사용됨을 알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조성물은 섬유 유연제로 사용하기 위해 공급자에 의해 제시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양의 약 5배 내지 약 30배까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더욱 바람직한 양에 대한 유사한 계산방법을 사용하면 그의 농도가 섬유 유연제 용도에 제시된 것보다 약 10배 내지 약 20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에 사용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의 양, 약 0.25내지 약 4중량%가 회수성 분산액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2 및 실시예 7의 결과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섬유 유연제로서 그의 용도에 대해서 제조업자가 제시한 바와같은 조성물로부터 배출되지 않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이러한 정발제의 양을 증가시켜도 연구된 다른 통상의 정발제의 경우에서와 같은 용착량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에 사용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의 양은 섬유 유연제로 사용하는데 제시된 양보다 약 5내지 약 30배 이상이다.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은 통상적으로 사용된 다른 모발용 컨디셔너와 비교하여 모발에 유연성 또는 모우를 제공하지 않음이 또한 주지된다.
그러므로,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의 정발 성분으로써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의 사용은 유연제로서 동일한 물질의 사용과는 다른 것으로 믿어진다.
CTFA 화장품 성분 사전(이하에서는 “CTFA 사전”이라 칭한다)[Cost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gton, D.D.,(1982)에 의해 간행된 제3판]에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디스테아릴디모늄 클로라이드로 명명되어 있으며 그 물질의 2개의 다른 공급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공급처는 이 물질을 상품명,“BENAMIN DSAC”로 판매하는 아메리칸 훽스트 코포레이션 산업화 학부[American Hoechst Corporation Industrial Chemicals Division; Somerville, N.J.,]및 상품명 “KEMAMINE Q-9902C”판매하는 위트코 케미칼 코포레이션의 흄코 화학부[Humko Chemical Division of Witco Chemical Corporation ; Memphis, TN]이다. 본 발명에서는 세개의 공급처로부터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품에 존재하는 활성물질의 백분율을 조정하면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메틸 디(수소화우지) 암모늄염은 CTFA 사전에서 퀘터늄-18(quaternium-18)로 명명되며, 2개의 공급처로부터 구입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공급처는 이 물질을 상품명 “ADOGEN-442, -442-100 P 및 VARISOFT 100”으로 시판하고 있는 쉐링 아.게,산하의 쉐렉스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Sherex Chemical Company, Inc., Dublin, OH, a Subsidiary of Schering A.G.] 및 이 물질을 상품명 “KEMAMINE Q-9702”로 시판하고 있는 워트코 케미칼 코포레이션의 흄코 화학부이다. 비스(수소화 우지) 디메틸암모늄 메틸설페이트로 기재된 유사한 물질은 CTFA 사전에서 쿼터늄-18 메토설페이트라 명명되며, 론짜 인코포레이티드[Lonza, Inc., Fairlawn, NJ]로부터 상품명, “CAROSOFT V-100”으로 구입할 수 있다. 상기 물질 각각도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으며, 존재하는 활성물질의 백분율을 조정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2성분은 정전기 감소제이다. 정전기 감소제는 수-불용성, 비-유상이며, 26℃(79℉)에서의 브룩필드 점도가 약 50센티포이즈 미만이고, 20℃에서 액체이며, 25℃에서의 굴절율이 약 1.4 내지 약 1.5인 비이온성 유기물질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비이온성”은 정전기 감소제가 수성조성물 중에서 이온 전하를 함유하지 않고, 그러므로 4급 암모늄 그룹 또는 양성자를 제공할 수 있는 질소원자와 같은 양이온성 그룹 및 카복실산, 설폰산 또는 인산 작용그룹과 같은 음이온성 그룹을 함유하지 않으며 베타인, 설포베타인으로 밝혀지고 아민 옥사이드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쯔비터 이온성 작용그룹 또한 함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수-불용성”은 본 분야에서 그의 통상적인 의미를 갖는 것을 말하며, 즉 모든 물질이 물에 다소 약간 가용성이라 하더라도, 20℃의 물에 거의 용해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비-유상”은 정전기 감소제가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에 피부에 미끈미끈한 유상의 촉감을 제공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들 정전기 감소제는 26℃(79℉)에서 측정한 경우에 50센티포이즈 미만의 브룩필드 점도를 가지며, 그러므로 저점도를 갖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정전기 감소제는 20℃에서 액체이다.
정전기 감소제의 다른 특징은 이들이 25℃에서 약 1.4 내지 약 1.5의 굴절율을 갖는 것이다. 정전기 감소제는 양이온성 중합체-함유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로 컨디셔닝한 건조한 모발을 빗질할 때 모발에 일어나는 정전기를 저하시키는 외에도, 모발 섬유에 어느정도 용착된다. 이 물질은 모발에 용착되기 때문에, 용착으로 모발의 감도가 적어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결과적으로, 비교적 높은 굴절율이 양이온성 중합체로 처리된 모발을 빗을 때 일어나는 정전기를 감소시키는 능력과 결부되며, 상기 언급한 성질이 정전기 감소제의 추가의 중요한 특징이다.
2개의 정전기 감소제가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물질은 둘다 에스테르이다.
특히 바람직한 한가지는 카프릴산 및 카프르산의 혼합물과 글리세롤과의 반응 생성물, 즉 글리세롤 혼합(C8- C10)-지방산 트리에스테르이다. 이 물질은 아이노렉스 케미칼(Inolex Chemicals, Philadelphia, PA)에 의해 상품명 “LEXOL GT 865 및 855”로 시판되고 있다. 유사한 물질은 상품명 “MYRITOL 318” 및 “STANDAMUL 318”[공급처 : Chemical Specialty division of the Henkel Corporation of Hoboken, NJ], “LIPONATE GC”[공급처 : LIPO Chemicals, Inc., Paterson, NJ], “MIGLYOL-810 중성 오일 및-812 중성 오일”[공급처 : Dynamit Nobel AG(Kay-Fries, Inc 분배처)], 및 “식물성 오일 1400” “NEOBEE M-5” 및 NEOBEE O[공급처 : PVO International, Inc., New York. NY]로 시판되고 있다.
이들 물질은 모두 CTFA 사전에서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로 명명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도 그렇게 명명할 것이다. 카프릴/카르프산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대표적인 물리적 특성에는 약 335 내지 355의 비누화가, 최대 0.1의 산가, 최대 0.5 내지 1.0의 요드가, 약 -8℃이하의 응고점, 0.945내지 0.95의 비중(25℃) 및 1.43 내지 약 1.45의 굴절율(25℃)이 포함된다.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대한 공급자 문헌에는 크림 및 로션에서 피부연화제로서, 목욕용 오일 및 전기면도전용 로션의 담체로서 및 의약, 항생제 및 비타민의 담체로서 이의 용도가 제시되어 있다. 에멀젼의 안정화제로서의 용도 및 화장품 왁스에서의 용도가 또한 제시되어 있다.
제2의 유용한 정전기 감소제는 혼합(C12- C15)-알코올 및 벤조산의 에스테르 반응 생성물이다. 이 물질은 CTFA 사전 명칭(C12내지 C15) 알코올 벤조에이트를 가지며, 피네텍스 인코포레이티드(Finetex Inc., Elmwood Park, NJ)에 의해 상품명 “FINSOLV TN”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 물질은 미합중국 특허 제4,275,222호, 제4,278,655호, 제4,293,544호, 제4,322,545호 및 제4,323,694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하였다.
공급자 문헌에 의한(C12내지 C15) 알코올 벤조에이트의 대표적인 물리적 특성에는 비점 300℃, 빙점 범위 -30° 내지 -12℃, 비중 0.923, 굴절율, 1.479 내지 1.481, 70℉, RVI 스핀들 및 100rpm에서의 브룩필드 점도 40 내지 45센티포이즈 및 비누화가 170 내지 177이 포함된다.
공급자 문헌에는 광유 또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의 유상 감촉없이 신체용 오일, 목욕용 오일 및 피부용 크림에 사용하기 위한 피부 연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비-유상 피부용 윤활제로서의 “FINOSLV TN”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대신에 또한 FINSOL TN으로 언급된다.
FINSOLV TN은 또한 컨디셔닝 삼푸 및 모발용 컨디셔너 뿐만 아니라 상기의 조성물에 무수 탈크 감촉을 부여하는데 특히 적절한 것으로 언급된다.
정전기 감소제는 컨디셔닝 조성물의 약 0.25 내지 약 4중량%로 존재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내지 약 2.5중량%로 존재한다.
실시예 5 및 8의 데이타로부터 나타나는 바와같이, 정전기 감소제는 상기 언급한 양 및 이하에서 기술하는 바와같은 양이온성 필름-형성 중합체에 대한 중량비로 혼합되는 경우에 그 중합체와 상호 반응하여, 유용한 양의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 또한 함유하는 컨디셔너로 처리된 건조한 모발을 빗질하므로써 일어나는 정전기를 감소시킨다. 빗질로 일어난 정전기는 정전기 감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한 조성물에 의해 일어난 정전기보다 낮은 정도까지 감소된다.
표백된-퍼머 머리의 경우, 모발에 유발된 정전기는 중합체 또는 정전기 감소제가 다른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발된 정전기 이하의 수준으로 더 감소될 수 있다. 이들 결과는 아주 예기치 못했던 것이며 그들에 대한 이유는 알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제3성분은 다수의 4급 질소원자를 갖는 양이온성, 필름-형성 중합체, 즉 중합성 4급 질소-함유 정발제이다. 그러한 중합체의 4급 질소원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메틸 치환체를 함유한다.
유용한 중합체는 이들이 수용액중에 순 양이온 전하를 함유하는 점에서 양이온성이다. 용어 “필름-형성”은 중합체-함유 수용액 또는 분산액을 기재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경우에 중합체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중합체의 4급 질소원자는 각기 4개의 탄소원자에 공유 결합되고, 그러므로 질소의 일반적인 원자가는 3이기 때문에 양으로 하전되며 양이온성이다.
양이온성, 필름-형성 중합체의 예로는 (a) CTFA 사전에 폴리쿼터늄-10으로 명명되어 있고 트리메틸암모늄-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의 중합성 4급 암모늄염 반응 생성물이라고 하며, 미합중국 특허 제3,472,840호(이는 참고로 본 명세서에 인용함)에 기술되고 청구되어 있으며, 유니온 카바이드 코포레이션(Union Carbide Corp., Danbury CT)에 의해 상품명 “POLYMER JR-30M, JR-125 및 JR-400”으로 시판되는 물질 ; (b) CTFA 사전에는 폴리쿼터늄-4로 명명되어 있고,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라고 하며 내셔널 스타치 앤드 케미칼 포코레이션(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 Bridgewater, NJ)에 의해 상품명 “CELQUAT H60 및 L200”으로 시판되고 있는 물질[공급자의 문헌에는 양이온성 중합체가 셀룰로즈성 골격에 그래프트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음] : (c) 및 (d) CTFA 사전에 폴리쿼터늄-6 및 -7로 명명되고, 각기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단일중합체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 단량체의 공중합체 반응 생성물이라고 하며, 머크 앤드 캄파니 인포코레이티드의 머크 화학부(Merck Chemical Division of Merch & Co., Inc., Rahway, NJ)에 의해 상품명 “MERQUAT-100 및 550”으로 시판되는 물질 및(MERQUAT-S를 명명한 MERQUAT-550에 대한 설명과 매우 유사한 물질) : (e) CTFA 사전에 폴리쿼터늄-11로 명명되고 디메틸 설페이트와, 비닐 피롤리돈과 디메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의 4급 암모늄 중합체 반응 생성물이라고도 하며, GAF 포코레이션(GAF Corporation, Wayne, NJ)에 의해 상품명 “GAFQUAT-734 및 -755”로 시판되는 물질 : (f) 공급자에 의해 CTFA 명명이 폴리쿼터늄- 15이고, 아크릴아미드와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염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이며 중합체 g당 2.2밀리몰의 4급화도를 갖는 것으로 언급된, 시바-가이기 코포레이션 염료 및 화학부(Ciba-Geigy Corporation Dyestuff & Chemicals Division, Greensboro NC)에 의해 상품명 “BINA
Figure kpo00002
QAT p100”으로 시판되는 물질 : 및 (g) 공급자 문헌에 메틸비닐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와 비닐 피롤리돈의 공중합체라 언급되어 있고, 여기에서 공중합체는 각기 95 : 5. 50 : 50 및 30 : 7의 중량비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며, BASF 아크티엔게젤샤프트(BASF Aktiengesellshaft, Ludwid-Shafan, FRD)에 의해 상품명 “LUVI-QUAT FC-905, -550 및 -37”로 시판되는 물질(또한 ARMAC Industrial Chemical Division, Philadelphia, PA로 부터도 구입할 수 있음)이 있다. 상품명 “POLYMER JR-30M”으로 시판되는 양이온성, 필름-형성 중합체, 폴리쿼늄-10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양이온성 중합체 각각은 정발제로 유용한 것으로 그의 공급자에 의해 제시되거나 본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각각은 또한 필름-형성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거나 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의 세트 유지 특성을 개선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물질들은 각기 원하는 세트유지 및 컨디셔닝 양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모발에 잔류하여 정상적으로 음이온성인 모발이 양이온성으로 되도록하며, 마른 상태로 빗질할때 정전기를 일으키기 쉽다. 본 명세서에서 바람직한 성분들을 조합함으로써 양이온성 중합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존재하는, 빗질로 인한 정전기를 최소로 하면서, 바람직한 컨디셔닝 및 세트 유지 정도가 제공된다.
4급 질소-함유, 필름-형성 중합체는 전체 조성물의 약 0.05내지 약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0.1내지 약 0.5중량%로 존재한다.
양이온성, 4급 질소-함유 중합체에 대한 정전기 감소제의 중량비도 또한 본 발명에 중요하다. 그 중량비는 약 2 : 1 내지 약 20 : 1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그러한 중량비는 약 5 : 1 내지 약 20 : 1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컨디셔닝 조성물에서 정전기 감소제를 사용함으로써 컨디셔닝한 모발을 마른 상태로 빗을때 그 모발에 정전기 감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한 조성물보다 더 적게 정전기를 유발시킨다. 실시예 5의 데이타는 양이온성 중합체에 의해 빗질로 유발된 정전기에 대한 효과, 및 상술한 중량으로 여러 비율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발된 정전기를 감소시킴에 있어서 정전기 감소제의 유리한 효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8의 데이타는 양이온성 중합체 및 정전기 감소제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공된 빗질로 인한 정전기에 대한 효과 및 상술한 중량으로 여러 비율로 함께 사용된 경우에 이들의 상승 효과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모발에 적용될때 거의 균질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안정한, 비-침전성, 비-분리 수성 에멀젼, 즉 성분들이 약 20℃(약 68℉)에서 적어도 1개월간 방치할때 침전되거나 다른 상으로 분리되지 않는 에멀젼이다.
따라서,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컨디셔닝한 모발에 더 적은 정전기를 제공하는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는 것과 같은, 조성물의 기본이며 새로운 특징에 물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술한 안정한 에멀젼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이 유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유화제 및 농조화제의 예로는 세틸 및 스테아릴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 분자당 평균 약 1내지 약 7의 중합화 에틸렌 옥사이드 유니트를 함유하는(C14내지 C18)알코올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예를들면 CTFA 사전에서 파레스-45-7, 세테스-1, 세테스-5, 올레스-3, 스테아레스-2 및 스테아레스-6으로 명명된 물질 및 분자당 평균 약 10내지 약 30의 중합화 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니트를 함유하는 폴리옥시프로필렌(C12내지 C18)알코올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예를들면 CTFA 사전에서 PPG-11 스테아릴 에테르, PPG-15 스테아릴 에테르, PPG-30 세틸 에테르 및 PPG-23 올레일 에테르로 명명된 물질이 있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 등과 같은 비이온성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즈 에테르 유도체는 유용한 농조화제로서 본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들이 모발 섬유에 적용되는 때에만 거의 균질이어야 하며,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안정한-비침전성, 비-분리성 에멀젼 중에 이들의 존재가 필요치 않다. 또한, 정전기 감소제는 수-불용성임이 주지된다.
단순한 조성물은 또한 존재하는 경우에 정전기 감소제가 분산되도록 하여 제조할 수 있고,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의 분산은 본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와같이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유기, 수-혼화성 용매, 예를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에탄올, 글리세롤 등을 사용하여 개선시킨다. 예를들면, 유용한 조성물은 프로필렌 글리콜 2중량%, 카프릴/카프프산 트리글리세라이드 2중량%,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5 내지 2중량% 및 폴리쿼터늄-10, 0.15중량%가 분산된 물을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에탄올 약 5중량%를 함유하는 유사한 조성물 또한 유용하다. 프로필렌 글리콜 약 2중량% 또는 에탄올 약 5중량%와 디스테아릴메틸암모늄염 약 0.25 내지 약 4중량%를 함유하는 추가의 조성물 또한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은 사용직전에 흔드는 것과 같이 교반시켜 균질한 상태로 만들어 모발에 적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생성시킬 수 있다.
유화제 외에,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기본 및 신규 정전기-저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성분들 또한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물질의 예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브롬화 암모늄 등을 포함한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염 할라이드와 같은 점도 조절염 : 염산, 시트르산, 수산화나트륨 등과 같은 pH가 조절제 : 본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같은 보존재, 착색제 및 일광 차단, 자외선 흡수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모발을 컨디셔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는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 (a) 물 및 컨디셔닝 양의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을 함유하는 개선된 헤어 컨디셔너이거나, 또는 (b) 컨디셔닝한 모발을 마른 상태로 빗을때 모발에 빗질로 인한 정전기 양을 감소시키는 세트 유지 양이온성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컨디셔닝하는 경우에 상술한 정전기 감소제 약 0.25 내지 약 4중량%, 4급 질소-함유 컨디셔닝 필름-형성 중합체 약 0.05 내지 약 1.0중량% 및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 약 0.25내지 약 4중량%의 수성 조성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조성물의 4급 질소 함유 중합체에 대한 정전기 감소제의 중량비가 약 2 : 1 내지 약 20 : 1인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렇게 제공된 컨디셔닝 조성물은 인체 모발에 대해 거의 균질한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안정한 에멀젼으로 적용된다. 적용된 컨디셔너는 컨디셔너가 모발 섬유와 접촉하기 충분한 시간동안 모발에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컨디셔너를 손가락을 사용하거나 빗 또는 다른 기구를 사용하여 모발에 물리적으로 도포하여 확실히 접촉되도록 한다. 접촉된 모발 섬유를 물로 헹구고, 물로 헹구어 컨디셔닝한 모발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모발은 마른 상태로 빗질할 때 정전기 감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유사한 조성물로 처리된 모발보다 더 적게 빗질에 의해 생긴 정전기를 갖는다. 상기 방법의 사용으로 본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컨디셔너, 특히 유사한 컨디셔닝 및 낮게 유발된 정전기 효과를 제공하는 다른 컨디셔너와 비교하여 표백하고/하거나 퍼머한 모발과 같은 화학적으로 처리된 새로 샴푸한 모발에 개선된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실시예로 더 설명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실시예 1]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본 실시예는 다수의 4급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필름-형성 중합체와 조합된 정전기 감소제 및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성분 및 이들의 양은 하기 표에 기재하였으며, 계속해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기술하였다.
Figure kpo00003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글리세린과 카프릴 및 카프르산의 혼합 트리에스테르[Inolex Chemicals의 상표명 LEXOL GT 865]
** C12- C15알코올 벤조에이트, 예를 들면 벤조산과 C12- C15알코올의 에스테르[Finetex Inc.의 상표명 FINSOLV TN.]
*** 트리메틸암모늄-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의 중합성 4급 암모늄염[Union Carbide Corporation의 상품명 POLYMER JR-30M)
에멀젼을 제조하는 본 분야의 공지방법에 의해 조성물을 제조한다. 간단히 말해서, 오일상 Ⅰ의 성분들을 함께 제1용기에서 약 80 내지 85℃(약 175 내지 185℉)의 온도로 가열한다. 수상 Ⅱ의 성분들은 함께 제2용기에서 약 77 내지 80℃(약 170 내지 175℉)의 온도로 가열한다. 제2용기의 내용물을 거의 균질한 에멀젼이 형성될때까지 혼합 교반하면서 제1용기의 가열된 내용물에 가한다. 에멀젼을 약 35℃(약 95℉)로 냉각시키고 상 Ⅲ의 성분들을 가한 다음 혼합하여 거의 균질하게 만든다.
[실시예 2]
[모발에서의 양이온 용착]
본 실시예는 모발상에 양이온성 정발제가 지나치게 용착됨이 없이 모발에 양이온성 물질을 용착시키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에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염을 사용하는 유리한 효과를 입증해준다.
대략 4인치 길이 및 약 0.1g의 중량을 갖는 중성 백발의 인체 모발의 다발(DeMeo Brothers, New York)을 약 6인치의 길이와 약 1.75g의 중량을 갖는 표준크기의 모발의 다발에 끼워 넣어 혼합 모발 다발을 형성한다. 각 혼합 모발 다발을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샴푸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세척하고 모발로부터 손가락으로 여분의 물을 제거한다.
물을 제거한 혼합 모발의 다발을 계속해서 개별적으로 프로필렌 글리콜 2중량%,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실시예 1의 정전기 감소제 A) 2중량% 및 이하에 기술하는 형태 및 양의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컨디셔너 조성물 1.0ml를 적용시켜 컨디셔닝한다.
컨디셔너 조성물을 혼합 모발 다발에 1분간 문지른후 모발의 다발을 약 30℃(약 86℉)의 온수로 약 30초간 분무하여 헹군다. 계속해서 처리된 모발의 다발로부터 삽입된 작은 모발의 다발을 회수하여 공지의 루빈염색 시험(rubine dye test)에 의해 다음 방법으로 더 처리한다.
작은 모발의 다발을 각기 약 5분간 루빈 염료 0.5%를 함유하며, pH가 3.5인, 약 40℃(약 104℉)의 수용액중에 액침시킨다. 작은 모발의 다발을 약 25℃(약 77℉)의 물로 약 15초간 헹군다. 처리된 모발 다발의 색을 1(매우 엷은 핑크색) 내지 5(짙은 자주빛 적색) 등급의 색도 기준과 비교한다.
4개의 양이온성 물질을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정전기-감소제의 존재 및 부재하에 0.5내지 2.0중량%의 양의 범위로 검사한다. 정전기 감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양이온성 물질 각각에 대해 색도 기준을 별도로 만든다. 세정하여 건조된 작은 모발 다발에 대해 정전기 감소제를 함유하지 않은 양이온성 물질 공지량을 적용시켜 양이온성 물질 각각에 대해 색도 기준을 만든다. 양이온성 물질을 완전히 흡수되어 건조될 때까지 모발에 문지른다. 처리된 작은 모발의 다발 각각을 계속해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루빈염료 용액으로 처리한다. 기준색 작은 모발 다발을 모발 g당 양이온성 물질 0.3 내지 2.5mg(mg/g)의 범위의 개개의 양이온성 물질로 처리한다.
평가요원에게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중량성 양이온성 물질 4개를 함유하는 컨디셔너 조성물로 처리한 모발 다발을 존재하는 양이온성 물질의 특성 색도 기준에 대해 평가를 요청하고, 그 평가를 모발 g당 존재하는 양이온성 물질의 산정량으로 환산한다.
비교하기 위해, 양이온성 물질 1%를 함유하고 정전기 감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컨디셔너 조성물을 대조용으로 이용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이는 6명의 평가요원에 의해 평가된 한쌍의 모발 다발에 대한 것이다.
Figure kpo00005
* S.D.=표준 편차
** CTFA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이, 1-헥사데칸아미늄, N-헥사데실-N,N-디메틸 클로라이드에 대한 CTFA 명.
상기 데이타로부터,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컨디셔너 조성물은 모발에 최소량의 양이온을 용착시키고 그 양은 거의 정전기 감소제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조사된 조성물에 존재하는 양이온성 물질 0.5 내지 2.0중량% 범위내임을 알 수 있다. 그 결과로부터 또한 디세틸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외하고는 정전기-감소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정전기 감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상응하는 조성물보다 모발에 양이온을 더 적게 용착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웨이브된 모발의 개선된 세트 보유력]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로 컨디셔닝하기 전에 수회의 세척 및 컨디셔닝 처리에 의해 풀려진 커얼(curl)을 갖는 퍼머 머리의 세트 유지를 개선시키는 잇점을 입증해준다.
정상적인, 자연스런 갈색의 인체 모발(DeMeo Brothers, New York)로 부터 약 6인치 길이 및 약 2g중량의 모발 16다발을 일련적으로 만든다. 모발의 다발 각각에 대해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른 “정상”형 모발용 시판 퍼머 제품을 사용하여 퍼머 처리를 한다. 웨이브진 모발의 다발을 통상의 미용실-형 헤어 드라이어 셋트하에서 15분간 공기 온도가 약 31℃(약 89℉)인 “정상의”열세팅으로 건조시킨다. 건조된 모발의 다발을 수직으로 현탁시키고 커얼을 주위 실온 및 습도에서 48시간동안 자연적으로 풀리도록 한다.
4다발의 모발 세트를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시판의 샴푸 및 컨디셔너 동일계 제품으로 세척 및 컨디셔닝한다. 모발을 세척하고 컨디셔닝하는 과정은 이하에 기술한다.
모발 세척 과정은 모발을 물로 세척하고, 모발의 다발당 샴푸 1ml를 적용하여 문지르고 약 1분간 샴푸로 맛사지한 다음 모발에 온수(30℃, 약 86℉)를 약 1800ml/분의 유속으로 1분간 분무하여 헹구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모발로부터 손가락으로 여분의 물을 제거한다.
모발의 컨디셔닝 과정은 모발의 다발당 컨디셔너 제품 1ml를 적용하여 문지르고 약 1분간 컨디셔너로 맛사지한 다음 온수를 30초동안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분무하여 모발을 헹구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모발로부터 손가락으로 여분의 물을 제거한다. 모발의 다발을 미용실-형 헤어 드라이어 세트하에서 약 15분간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의”열 세팅으로 건조시킨다. 처리하여 건조된 다발을 경질고무 빗으로 5회 빗질한다.
전체 처리 과정 한가지는 상기의 모발 세척 및 모발 컨디셔닝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과정은 총 9회 처리하는 동안 전부 반복한다. 10회째 세척 및 컨디셔닝 과정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는데, 단 샴푸한 젖은 모발을 외부 직경이 약 0.5인치(약 1.2cm)인 통상의 플라스틱 헤어로울러에 감아 약 20 내지 22℃(약 68 내지 72℉)의 주위 실온 및 주위 실내 습도 조건하에서 밤새 건조시킨다.
10회 처리한 모발의 다발을 다음과 같이 세트 유지력에 대해 시험한다 : 감아말린 모발의 다발을 상대습도 85내지 90% 및 약 20 내지 22℃(약 68 매지 72℉)의 챔버에서 1시간동안 정상화하고 챔버로부터 모발의 다발을 회수하여 모발로부터 로울러를 제거한다. 감지않은 모발의 다발을 수직으로 현탁시키고 커얼의 현수상태 길이를 측정한다(초기 길이). 모발 다발의 현수상태 길이를 시간에 걸쳐 매시간 측정한다. 특정 시간동안 커얼을 풀은 후 모발에 유지된 세트의 양은 본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으로 다음 식으로부터 산정한다.
Figure kpo00006
상기 식에서
L=완전히 확장된 모발 다발의 길이.
L(o)=모발의 커얼의 초기 길이.
L(t)=시간의 변화에 따른 모발의 커얼의 길이.
세트 보유율은 디아즈 및 윙(Diaz and Wong)에 의해 문헌[“Set Relaxation of Human Hair, ”J.Soc. Cosmet. Chem., 34, pages 205 내지 212(1983)]에 기술된 최소자승 분석법을 사용하여 시간에 대해 그래프를 작성하는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되었다. 세트 유지력은 디아즈 및 윙의 방법에 따른 세트 유지력 함수로 수득된 곡선 아래의 평균 면적으로부터 산정한다.
10회 처리한 모발의 다발에 대한 세트 부유율을 측정한 후 동일한 모발 다발을 상승한 바와 같이 샴푸로 11번째로 세척하고 이전에 사용된 시판된 컨디셔너 대신에 실시예 1의 컨디셔너 조성물로 컨디셔닝 처리한다. 세트 보유율을 시험하고 각 모발 다발의 세트 유지력 함수를 상술한 방법으로 계산한다.
10회 처리후에 수득된 세트 보유율은 처리 각각에 대한 곡선으로부터 산정된 개개의 세트 유지력 함수를 통계적으로 비교함으로써 11회 처리의 세트 보유율에 대해 비교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형태유지력 함수(시간에 대한 세트 보유율로부터 산정된 면적)
Figure kpo00007
상기 데이타로부터, 본 발명의 컨디셔너(실시예 1의 컨디셔너 D)는 퍼머된 모발 다발 각각의 형태 유지력을 약 5내지 약 10% 개선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선도는 시판의 샴푸 및 컨디셔너 제품 A,B 및 D각각으로 처리한 모발 다발의 일련번호 2번, 4번 및 8번에 대한 공지의 스튜던트 t-테스트(student;s t-test)를 기준으로한 95%의 신뢰도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것으로 측정된다.
시판의 컨디셔너 제품의 표지 성분에 따라 존재하는 활성 컨디셔너는 다음과 같다 : 디세틸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제품 A(실시예 2에서 이미 확인함) ; 디세틸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을 함유한 제품 B: 세틸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제품 c ; 및 디세틸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함유한 제품 D.
이 결과는 수회 세척후에 퍼머 머리의 형태 유지력의 개선으로 나타난 본 발명에 따르는 컨디셔너의 유리한 컨디셔닝 효과를 보여준다. 퍼머 머리의 형태 유지력은 그러한 다수의 세척에 의해 약화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기간에 걸쳐 컨디셔닝 처리로부터 퍼머 머리의 형태 유지력은 퍼머 처리에 의한 커얼의 지속성에 매우 유리하다.
[실시예 4]
[웨이브진 머리의 개선된 세트 보유력]
전체 처리 횟수를 중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따라서, 형태 유지력 함수는 하기 표에서 제Ⅰ열의 20회 처리후 및 제Ⅱ열의 21회 처리후에 시간에 따른 세트 보유율 곡선으로부터 얻어진 평균 면적으로부터 산정한다.
형태 유지력 함수(시간에 대한 세트 보유율로부터 산정된 면적)
Figure kpo00008
상기 데이타로부터, 실시예 1의 컨디셔너 D는 웨이브진 모발 다발 각각의 형태 유지력을 약 4내지 약 7%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개선도는 스튜던트 t-테스트 분석을 기준으로 하는 모발 다발의 일련번호 6번의 신뢰도 80% 및 모발 다발 일련번호 2번 및 8번의 신뢰도 90%로 통계학적으로 현저한 것으로 측정된다.
또한, 실시예 3의 데이타 및 본 실시예의 데이타로부터, 모든 결과는 높은 신뢰도로 통계적으로 현저하지 않다 할지라도 세트 유지에 있어서 개선도가 바뀌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개선도가 바뀌지 않는 사실은 높은 신뢰도에서 통계적으로 상당한 차이의 부족이, 기재로서 인체 모발을 사용하여 수득한 데이타의 비교적 광범위한 산포 및 분석 방법으로서 커얼의 풀림에 대한, 각각의 조건에서 사용된 비교적 소수의 다발의 함수인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처리방법간의 세트유지력의 차이는 실재하며 본 발명의 컨디셔닝 조성물은 본 분야의 다른 컨디셔너에 비해 개선된 유지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 5]
[정전기 감소]
본 실시예는 컨디셔닝한, 마른 모발을 빗을때 양이온성 중합체에 의해 일어나는 정전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모발용 컨디셔너에 사용된 정전기 감소제의 유리한 효과를 입증한다.
약 6인치 길이 및 약 2g중량의 자연 갈색 모발의 다발을 일련적으로 만든다. 모발의 다발들을 다수의 4급 질소원자를 갖는 양이온성 필름-형성 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시판 샴푸 제품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세척한다. 손가락으로 모발로부터 여분의 물을 제거한다.
샴푸한 모발 다발들을 개별적으로 모발 다발당 용액 0.5g을 적용하고, 컨디셔너가 약 30초간 모발 섬유와 접촉되도록 하여 이하에서 밝힌 컨디셔닝 용액으로 컨디셔닝한다. 처리된 다발을 각각 약 38℃(약 100℉)의 흐르는 물로 30초동안 헹군다. 컨디셔닝한 모발의 다발 각각을 타올로 건조시키고 통상의 전기 헤어 드라이어로 더 건조시킨다.
건조된 다발 각각을 빗질하여 얽힌 것을 없앤다. 다음에는 상대습도 약 43%의 일정한 습도 챔버에 24시간동안 주위, 실온으로 놔둔다. 정상화된 모발에 정전기를 유발시키고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
정상화, 처리된 모발의 단발의 전동 장치가 장치된 경질고무 빗으로 50회 빗질한다. 빗질로 유발된 정전기의 모발에 대한 전장 강도를 모발의 다발 표면으로 부터 5인치(약 12cm)의 거리에 위치한 감지 탐침에 의해 탐지된 정전기장으로 직접 측정한다. 정전기장 측정은 측정 범위가 0내지 100kv/m인 모델 354AESD모니터(제조원 : Trek, Inc)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검사한 컨디셔닝 처리당 2회 판독의 평균치를 취한다.
컨디셔닝 용액은 에탄올 5중량%, 다수의 4급 질소원자를 갖는 양이온성 중합체 0.05 내지 0.5중량%, 정전기 감소제 0.0 내지 4.0중량% 및 100중량%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의 연수를 함유한다. 3가지 양이온성 중합체 및 2가지 정전기 감소제를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시험한다.
[정전기 감소제]
A.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Inolex Chemicals에 의해 LEXOL GT 865란 상품명으로 공급됨]
B. C12- C15알코올 벤조에이트[Finetex Inc로 부터 FINSOLV TN이란 상품명으로 공급됨]
[양이온성 중합체]
A. 트리메틸 암모늄-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의 중합성 4급 암모늄염(Union Carbide Corp.로부터 POLYMER JR-30이란 상품명으로 공급됨)
B.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와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rp.로부터 CELQUAT 200이란 상품명으로 공급됨)
C.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 단량체의 공중합체 반응 생성물[MERQUAT 550이란 상품명으로 Merck Chemical Division of Merck & Co., 로부터 공급됨]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상기 데이타로 부터 모발에서 빗질에 의해 일어난 정전기는 정전기 감소제의 존재하에서도 증가된 양이온성 중합체의 양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나, 이 데이타로 부터 정전기 감소제는 양이온성 중합체에 의해 유발된 모발의 정전기 감소제가 없는 유사한 조성물에 의해 유발된 정도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알수 있다.
[실시예 6]
[모발에 대한 양이온 용착]
수성 컨디셔닝 조성물이 프로필렌 글리콜 2중량%,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2중량% 및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정전기 감소제 0.5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모발에 대한 양이온 용착 양은 실시예 2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특정 양이온 색도 기준을 바탕으로 한 평가요원의 평가로 부터 산정한다. 결과는 이하에 기재하였다.
Figure kpo00015
상기 데이타로 부터, 실시예 2에 입증된 바와 같이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부터 모발에 대한 양이온 용착의 거의 유사하거나 감소된 양을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정전기-감소제의 유리한 효과가 입증된다.
[실시예 7]
[모발에 대한 양이온 용착]
수성 컨디셔닝 조성물이 실시예 5의 정전기 감소제 B 2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2중량% 및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양이온성) 0.5 내지 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양이온 용착의 양은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특정 양이온 색도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평가요원의 평가로 부터 산정한다. 결과는 이하에 기재하였다.
Figure kpo00016
상기 데이타로 부터, 사용된 범위 전체에 걸쳐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에 의해 생성된 거의 유사한 양의 양이온 용착을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정전기 감소제의 유리한 효과가 입증된다(실시예 2에서 입증된 바와 같은). 이 데이타는 또한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조성물로 부터 배출되지 않고 정전기 감소제와 함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양이온 용착을 증가시키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8]
[모발에 있어서 빗질에 의해 일어난 정전기의 감소]
본 실시예는 5 : 1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함께 사용된 정전기 감소제 및 양이온성 중합체의 상승 효과를 입증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옥시프로필렌(30) 세틸 에테르 물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가능한 유연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 및 폴리옥시프로릴렌(30) 세틸 에테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컨디셔너 조성물 E를 이용한다. 정전기 감소제로서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4급 질소-함유 중합체의 양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화시킨다. 각 조성물에는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2중량%가 존재한다.
약 6인치 길이 및 약 2g중량을 갖는 일련의 정상적인 자연 갈색 모발의 다발(DeMeO Brothers, New York)을 정전기 감소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공지된 통상의 샴푸로 샴푸한다. 샴푸한 다발을 각기 제조된 컨디셔너 조성물중의 한 조성물 0.5g으로 컨디셔닝한다. 컨디셔너를 젖는 모발의 다발에 적용하여 1분간 모발섬유에 접촉시킨다. 모발의 다발을 약 38℃(약 100℉)의 물로 약 30초간 헹군다.
컨디셔닝한 모발의 다발 각각을 데시케이터 챔버에 넣고 20%의 상대습도 및 주위, 실온에서 밤새건조시킨다. 건조한 모발의 다발을 자동 빗질 기구가 장치된 경질고무 빗을 사용하여 분당 84스트로크(stroke)로 50회 빗질한다. 모발에서의 빗질-유발된 정전기의 정전기장 강도를 카이틀리 정전기 측정기(keithly Static Meter) 에 의해 kv/m으로 측정한다.
모발을 상술한 방법으로 처리하기 전에,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시판의 표백 제품으로 표백하고, 시판의 퍼머 제품으로 퍼머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찬가지 방법으로 제2의 일련의 모발 다발을 만든다. 이 일련의 모발 다발은 이하에서 표백된-퍼머 모발이라 칭한다.
사용된 컨디셔너 조성물에 존재하는 정전기 감소제(SRA)와 양이온성 중합체 비율 및 수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17
이 데이타로 부터, 정전기 감소제와 양이온성 중합체는 개별적으로, 빗질할때 2개의 성분을 병용한 경우 보다 건조한 모발에 정전기를 더 유발시키는 것을 알수 있다. 이 데이타는 또한 정전기 감소제와 양이온성 중합체를 병용함으로서 모발에서 빗질에 의한 정전기를 감소시킴에 있어서 상승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태양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을 달리 변경 및/또는 변화시킬 수 있음은 본 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Claims (5)

  1.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C12-15) 알코올 벤조에이트 중에서 선택된 정전기 감소제 약 0.25 내지 약 4중량% ; 다수의 4급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필름-형성 중합체 약 0.05 내지 약 1.0중량% ; 및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 약 0.25 내지 약 4중량%를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한 정전기 감소제의 중량비는 약 2 : 1내지 약 20 : 1인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정전기 감소제가 조성물의 약 1.5 내지 약 2.5중량%로 존재하는 컨디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중합체가 (a) 트리메틸암모늄-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의 중합성 4급 암모늄염 반응 생성물 ; (b)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 (c)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단일중합체 ; (d)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아미드 단량체의 중합체 반응 생성물 ; (e) 디메틸 설페이트와, 비닐 피롤리돈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와의 4급 암모늄 중합체 반응생성물 ; (f) 아크릴아미드와 메타크릴옥시-옥시에틸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반응 생성물 ; 및 (g) 메틸비닐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와,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컨디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염이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인 컨디셔너.
  5. 약 제1.5 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C12-C15)알코올 벤조에이트의 정전기 감소제, 약 0.1 내지 약 0.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트리메틸암모늄-치환된 에폭사이드와 반응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의 반응 생성물인 다수의 4급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필름-형성 중합체 및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약 0.5내지 2중량%가 분산되어 있는 수성 에멀젼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양이온성 중합체에 대한 정전기 감소제의 중량비는 약 5 : 1내지 약 20 : 1인 인체 모발용 컨디셔너.
KR1019860700418A 1984-11-02 1985-10-28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KR930004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774084A 1984-11-02 1984-11-02
US667,740 1984-11-02
US667740 1984-11-02
PCT/US1985/002133 WO1986002546A1 (en) 1984-11-02 1985-10-28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342A KR870700342A (ko) 1987-12-28
KR930004588B1 true KR930004588B1 (ko) 1993-06-01

Family

ID=2467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418A KR930004588B1 (ko) 1984-11-02 1985-10-28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203101A4 (ko)
JP (1) JPS62501003A (ko)
KR (1) KR930004588B1 (ko)
CA (1) CA1260399A (ko)
DK (1) DK166991B1 (ko)
NO (1) NO168923C (ko)
NZ (1) NZ214045A (ko)
WO (1) WO19860025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2653B1 (fr) * 1993-03-16 1995-05-24 Oreal Utilisation en cosmétique ou en application topique d'une dispersion aqueuse à base d'organopolysiloxanes non volatils et d'un polymère réticulé de chlorure de méthacryloyloxyéthyl triméthylammonium .
DE19807510C1 (de) * 1998-02-21 1999-04-15 Goldwell Gmbh Haarfärbemittel
KR100494635B1 (ko) * 1998-03-11 2006-02-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애완동물용 정발제 조성물
CN110536673A (zh) * 2017-04-19 2019-12-03 花王株式会社 覆膜形成用组合物
CN110636829A (zh) * 2017-05-19 2019-12-31 宝洁公司 包含三酯化合物和苯甲酸的脂肪酸酯的毛发护理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74A (en) * 1860-12-11 Glass coffin
JPS552648B1 (ko) * 1971-03-05 1980-01-21
GB1446086A (en) * 1972-12-20 1976-08-11 Electricite De France Method for the passive protection of a nuclear reactor
AU1298876A (en) * 1975-05-19 1977-10-20 American Cyanamid Co Rinse
JPS54135234A (en) * 1978-04-12 1979-10-20 Lion Corp Hair rinse composition
JPS552648A (en) * 1978-06-21 1980-01-10 Shiseido Co Ltd Cosmetic
US4293544A (en) * 1979-03-07 1981-10-06 Finetex Incorporated Fluid and semi-fluid compositions including benzoate esters
JPS57126409A (en) * 1981-01-28 1982-08-06 Kao Corp Hair rinse agent composition
JPS57206605A (en) * 1981-06-11 1982-12-18 Lion Corp Hair-treating composition
JPS582398A (ja) * 1981-06-30 1983-01-07 ライオン株式会社 シャンプ−組成物
DE3201511A1 (de) * 1982-01-20 1983-07-28 Henkel Kgaa Sebosuppressive kosmetische mittel, welche laengerkettige alkanole und antioxidantien enthalten
US4465802A (en) * 1982-10-26 1984-08-14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treating furred animal pelts and/or fur
JPH02135234A (ja) * 1988-11-15 1990-05-24 Lion Corp ビスコーススポン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2562755B2 (ja) * 1991-11-07 1996-12-11 リンナイ株式会社 湯張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60399A (en) 1989-09-26
DK166991B1 (da) 1993-08-16
DK310786A (da) 1986-06-30
WO1986002546A1 (en) 1986-05-09
NO862662L (no) 1986-07-01
NO168923B (no) 1992-01-13
DK310786D0 (da) 1986-06-30
NZ214045A (en) 1989-10-27
JPH0459288B2 (ko) 1992-09-21
EP0203101A4 (en) 1989-01-18
EP0203101A1 (en) 1986-12-03
KR870700342A (ko) 1987-12-28
JPS62501003A (ja) 1987-04-23
NO168923C (no) 1992-04-22
NO862662D0 (no) 198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9104A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method
CA2230224C (en) Improved hair straightening emulsion
US5293885A (en) Hair relaxer and post-relaxer hair brightener system
US3728447A (en) Fatty acid lactylates and glycolates for conditioning hair
AU614750B2 (en) Shine hair conditioner
JPH02237907A (ja) 毛髪セット組成物
JP2004512293A (ja) ヘ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中のモノアルキルクアットおよびジアルキルクアット
EP0292481A1 (en) EMULSIFIABLE PARTICULATE COMPOSITION FOR HAIR LOTION.
EP0312992A2 (en) Hairdressing composition
US4342744A (en) Hair treatment products
AU2009288042B2 (en) Hair styling method
EP2331063A2 (en) Hair styling method
JPH0753337A (ja) 毛髪処理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7529438A (ja) ケラチン含有素材の美容処理のための製剤の使用
RU2128039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защиты кератиновых экзаскелетных частей тела на основе керамидов и полимеров винилпирролидона,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 защиты
KR930004588B1 (ko)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US4391286A (en) Hair conditioning and composition therefor
EP0047116B1 (en) Article and method for conditioning hair
EP0168719B1 (en) Low ph hair conditioner compositions containing amine oxides
US4986983A (en) Superfatted betaine and zwitterionic hair and skin conditioner compositions
US4572220A (en) Composition for altering the configuration of hair
KR100350608B1 (ko) 열 민감성 양이온성 리포솜을 함유하는 모발용품 조성물
KR20190056805A (ko) 손상방지용 세정제 조성물
JPS628087B2 (ko)
JPS63159309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