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01Y1 -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01Y1
KR930004501Y1 KR2019910008255U KR910008255U KR930004501Y1 KR 930004501 Y1 KR930004501 Y1 KR 930004501Y1 KR 2019910008255 U KR2019910008255 U KR 2019910008255U KR 910008255 U KR910008255 U KR 910008255U KR 930004501 Y1 KR930004501 Y1 KR 930004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upport
fixed
colum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416U (ko
Inventor
백선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정명식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8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501Y1/ko
Publication of KR930000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3/00Accessories or equip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designed to form part of, gear-cutting machines
    • B23F23/02Loading, unloading or chucking arrangements for workpieces
    • B23F23/06Chuck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지지장치가 호빙머신(Hobbing Machine)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라 죠우(Jaw)가 원통형 척(Chuck)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지지장치가 호빙머신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장치 10 : 안내테이블
20 : 지지대 30 : 원통형 척(Chuck)
40 : 죠우(Jaw) 50 : 로울러블럭(Roller Block)
100 : 호빙머신(Hobbing Machine) 120 : 컬럼(column)
본 고안은 호빙머신(Hobbing Machine)에서 나사가공되는 기어를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어의 상단부를 방사형으로 지지하여 컬럼의 상부로 상단부가 돌출되는 장축의 기어를 지지하도록 된 장축의 기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빙머신(10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10)의 상부에 공작대(112)가 위치되고, 상기 공작대(112)의 상부로는 기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고정지그(114)가 위치되며, 본체(110)의 좌,우측으로는 호빙머신(100)을 작동시키는 제어부(116)와, 축기어(118)를 고정하는 컬럼(column)(120)이 각각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6)에는 공작대(112)측으로 나사를 가공하는 호브(122)가 장착된 호브헤드(124)가 위치되고, 상기 컬럼(120)에는 공작대(112)측으로 축기어(118)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공하고자 하는 기어(118)는 하단부가 고정지그(114)에 고정되고, 상단부는 지지장치(130)에서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된 센터 부재(13a) 사이에 위치되어 공작대(11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고, 호브헤드(124)의 호브(122)가 상,하 이동함으로써 기어(118)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빙머신(100)에서 기어(118)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종래의 지지장치(13)는, 컬럼(120)에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20a)이 안내테이블(132)에 활주가능토록 연결되고 복수개의 고정보울트(134)가 상기 안내테이블(132)을 관통하여 가이드레일(120a)에 고정되며, 상기 안내테이블(132)에 고정핀(136)과 중심 조정핀(138)을 매개로 지지대(140)의 일측이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40)의 타측에는 하부로 센터부재(130a)가 돌출되고, 상부면에 복수개의 아이볼트 구멍(eye bolthole)(미도시)이 형성되어, 가공하고자하는 기어(118)의 길이에 맞추어 지지장치(130)를 상,하로 이동시킨 다음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지지장치(13)는 센터부재(130a)가 기어(118)의 상단부를 상부로부터 압압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컬럼(120)의 높이에 따라 호빙머신(100)이 가공할 수 있는 기어(118)의 길이가 제한되는 것이었다.
즉, 컬럼(120)의 최상단부까지 상승되어 가이드레일(120a)에 고정된 지지장치(13)는, 센터부재(130a)와, 공작대(112)위의 고정지그(114)사이에 형성된 거리(ℓ)보다 큰 길이를 갖는 장축(長軸)의 기어에 대해서는 장착할 수가 없게되어 가공하고자 하는 기어(118)의 길이에 따라 별도의 호빙머신(100)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어의 상단부를 상부로부터 압압지지하지 않고 방사형으로 지지하여 컬럼의 상부로 상단부가 돌출하는 장축의 기어를 나사가공할 수 있도록 된 장축의 기어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컬럼에 활주가능토록 장치되고, 복수개의 고정보울트로 고정되는 안내 테이블, 상기 안내 테이블에 고정핀과 중심조절핀으로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관통구멍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축기어를 방사형으로 고정하는 죠우가 다수개 갖춰진 원통형 척과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서 호브의 진입방향과 반대측으로 축기어의 일측을 지지하는 로우러블럭, 을 포함하는 장축의 기어 지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지지장치(1)는 컬럼(120)의 가이드레일(120a)에 활주가능토록 장착되고, 복수개의 고정보울트(134)로 고정되며, 종래기술의 안내테이블과 동일한 구성을 갖춘 안내테이블(10)을 갖추고 있다. 상기 안내테이블(10)에 고정핀(12)과 중심조절핀(14)을 매개로 일측이 연결되는 지지대(20)는 타측에 하방으로 향한 관통구멍(20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20a)의 내부에 단부(段部)(2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20a)의 내부에는 베어링(22), 바람직하게는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이 위치되고, 상기 베어링(22)내부에 원통형척(30)이 위치되어, 상기 원통형척(30)이 지지대(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토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척(30)은 십자형(十字形) 안내홈(32)이 방사형으로 다수개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32)으로부터 외측면(30a)을 향하여 연통되도록 암나사 구멍(3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십자형 안내홈(32)과 대응하는 십자형 단면의 죠우(40)가 상기 안내홈(32)에 활주가능토록 고정보울트(42)와 조임 보울트(44)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죠우(40)에는 일측면(40a)에 상기 원통형 척(30)의 암나사 구멍(34)으로 진입하는 고정보울트(42)가 관통되도록 상기 암나사구멍(34)과 동일축상으로 형성된 구멍(46)을 갖추고, 상단면(40b)의 일부가 절단되어 형성된 상단면(40c)에는 상기 구멍(46)과 상부로부터 연통되는 암나사구멍(48)이 형성되어 조임 보울트(44)가 나사결합하고 있다. 상기 고정보울트(42)는 상기 원통형 척(30)과 죠우(40)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구멍(34) 및 구멍(46)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추고, 상기 암나사구멍(34)에 대응하는 숫나사를 외주면에 갖추며, 단부에는 직경이 일정크기로 축소되어 원주방향으로 일정크기의 요홈이 형성된 홈부(42a)가 형성되어 원통형 척(30)의 암나사구멍(34)을 통하여 죠우(40)의 구멍(46)으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삽입된 고정보울트(42)는 상기 죠우(40)의 암나사구멍(48)으로 진입하는 조임보울트(44)에 의해서, 상기 홈부(42a)가 상기 조임보울트(44)의 단부(44a)에 걸리게 되어 죠우(40)가 고정보울트(42)에 연결되고, 고정보울트(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죠우(44)는 안내홈(32)을 전,후로 활주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의 상단면(20a)에는 호브(122)의 진입방향과 반대측으로 축기어(118)의 일측을 지지하는 로울러 블록(50)이 위치되고, 상기 로울러 블록(50)은 축기어(118)의 외주면에 접하는 한쌍의 로울러(52)(52′)가 회전 가능토록 일측단부에 고정되고, ㄱ자형으로 절곡되어 타측단부가 상기 지지대(20)의 상단면(20a)에 고정된 지지블럭(54)과, 상기 지지블럭(54)에 근접하여 상기 지지대(20)의 상단면(20a)에 고정되고, 축기어(118)를 향하여 상기 지지블럭(54)을 밀어주는 고정보울트(56)가 갖춰진 고정블럭(58)을 갖추고 있다. 미설명부호(P)는 원통형 척(3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호빙머신(100)의 컬럼(1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20a)과 안내테이블(10)을 연결시켜 고정하고, 상기 안내테이블(10)에 고정핀(12)과 중심조절핀(14)을 매개로 지지대(20)를 연결한다.
다음, 가공하고자 하는 장축의 기어(118) 상단부를 원통형 척(30)에 형성된 공간(P)으로 진입시키고, 하단부를 고정지그(114)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원통형 척(30)에 마련된 죠우(40)를 활주이동시켜 기어(118) 외주면을 견고히 고정한다. 이때, 작업자는 원통형 척(30)의 외주면(30a)으로 돌출한 고정보울트(42)의 머리부를 각각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보울트(42)와 연결된 각각의 죠우(40)는 원통형 척(30)의 안내홈(32)을 따라 활주하여 기어(118) 외주면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죠우(40)가 진입하는 방향은 기어(118)의 중심축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로울러 블록(50)의 고정블럭(58)에 나사결합된 고정보울트(56)를 회전시켜 지지블럭(54)을 기어(118)측으로 밀어주게 되면 지지블럭(54)의 로울러(52)(52′)가 기어(118)의 외주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기어(118)는 공작대(112)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원통형 척(30)이 베어링(22)을 매개로 지지대(2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되고, 로울러블럭(50)의 로울러(52)(52′)도 기어(118)의 외주면에 접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회전되고, 이때 작업자는 호브(122)를 진입시켜 기어(118)의 외주면에 원하는 나사를 가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나사 가공하고자 하는 기어(118)의 길이가 컬럼(120)의 높이보다 길어서 컬럼(120)의 상부로 돌출하는 경우에도 원통형 척(30)의 공간(P)으로 기어(118)의 상단부를 관통돌출시켜 본 고안의 지지장치(1)와 고정지그(114) 사이에서 기어(118)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호빙머신(100)에서 가공할 수 없었던 장축(長軸)의 기어(118)가 쉽게 가공된다. 또한 지지대(20)위에 고정된 로울러 블록(50)이 호브(122)의 진입방향과는 반대측으로 기어(118)를 지지하기 때문에 나사 가공중에 보다 견고히 장축의 기어(118)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호빙머신의 컬럼 상부로 돌출하는 장축의 기어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호빙머신을 준비하지 않아도 나사가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장축의 기어가 원통형척을 관통하여 방사형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고속회전 작업이 가능하고, 보다 안전한 기어 가공작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Claims (1)

  1. 호빙머신(100)의 컬럼(120)에 장착되어 기어(118)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컬럼(120)에 활주가능토록 장착되고, 복수개의 고정 보울트(134)로 고정되는 안내테이블(10), 상기 안내테이블(10)에 고정핀(12)과 중심조절핀(14)으로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관통구멍(20a)이 형성된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의 관통구멍(20a)에 베어링(22)을 매개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기어(118)를 방사형으로 고정하는 죠우(40)가 다수개 갖춰진 원통형 척(30);과, 상기 지지대(20)의 상단면(20a)에서 호브(122)의 진입방향과 반대측으로 기어(118)의 일측을 지지하는 로울러블럭(5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축의 기어 지지장치.
KR2019910008255U 1991-06-05 1991-06-05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KR930004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255U KR930004501Y1 (ko) 1991-06-05 1991-06-05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255U KR930004501Y1 (ko) 1991-06-05 1991-06-05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16U KR930000416U (ko) 1993-01-20
KR930004501Y1 true KR930004501Y1 (ko) 1993-07-21

Family

ID=19314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255U KR930004501Y1 (ko) 1991-06-05 1991-06-05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5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16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774B1 (ko) 캘리퍼 가공 장치 및 방법과 캘리퍼 가공용 지그
CA2373085C (en) Quickly adjustable multiple clamping system
AU663221B2 (en) Toolholder assembly and method
US4191366A (en) Universal planetary clamping device
US3228265A (en) Boring and facing tool
US4141278A (en) Polygonal turning machine
US3709622A (en) Drill press attachment assembly
KR930004501Y1 (ko)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US4674908A (en) Mechanism for clamping a second machine part which is supported movably with respect to a first machine part
KR860008825A (ko) 동력구동식 나사깍기 기계용 나사깍기 다이 헤드
CN210231574U (zh) 一种多功能钻床
KR950004527B1 (ko) 공작기계의 공구이송장치
JP3202795B2 (ja) 対向主軸旋盤における主軸台クランプ装置
KR200178001Y1 (ko) 머시닝센터팔레트테이블의슬라이딩면조정장치
US4524545A (en) Grinding machine
KR100348897B1 (ko) 선반가공물을 지지하는 지그
RU2043452C1 (ru) Рельсосверлильный станок
KR100188749B1 (ko) 보오링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KR900008006Y1 (ko) 다축 심압(心押)대 장치
US4099349A (en) Cam grinding machine with swing table support device
KR19990009871A (ko) 공작용 밀링바이스
KR950007475Y1 (ko) 탁상용 절단기의 바이스장치
JPH0418725Y2 (ko)
KR890006538Y1 (ko)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US4566228A (en) Workpiece gu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