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6538Y1 -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6538Y1
KR890006538Y1 KR2019860001414U KR860001414U KR890006538Y1 KR 890006538 Y1 KR890006538 Y1 KR 890006538Y1 KR 2019860001414 U KR2019860001414 U KR 2019860001414U KR 860001414 U KR860001414 U KR 860001414U KR 890006538 Y1 KR890006538 Y1 KR 890006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screw
workpiece
transportating
machin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1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3237U (ko
Inventor
신승철
Original Assignee
신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철 filed Critical 신승철
Priority to KR2019860001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6538Y1/ko
Publication of KR870013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32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6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53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 B25J15/02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parallel grippers actuated by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 : 안내홈
2 : 스크류 3 : 작동간
5 : 죠 6 : 고정나사
8 : 압간
본 고안은 수치제어 콘트롤에 의해 가공하는 공작기계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료를 척의반대측에 위치되는 공구대에 고정시켜 재료를 간단하고 견고히 물도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직경의 재료를 죠에 물릴수 있도록 고안된 재료이송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작기계에서는 재료공급을 척의배면측에서 공급하도록 되어있으므로 큰 작업반경과 복잡한 여러가지 이송장치가 부설되어야 했었다.
이러한 이송장치는 설치가 난이하고 그 값이 고가이였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송작업이 원활하지 못하여 정확한 정밀도를 얻어야 하는 가공에서는 가공오차가 크게되는 원인이 되었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과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홈(1')에 안내되고 왼나사부(2a)와 오른나사부(2b)로 각각 상하분리된 스크류(2)에 작동간(3)을 나사맞춤시켜 대칭되게 위치한 작동간(3)을 일시에 상하 이동가능케하며 핀(4)으로 작동간(3)에 유설된 죠(5)의 양측으로는 고정나사(6)에 지지된 압축스프링(7)을 압간(8)사이에서 탄발되게하여 핀(4)을 중심으로 죠(5)가 공작물(A)을 물리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공작기계의 공구내에 물리도록 몸체(1)에 나사맞춤된 고정간, 10은 나사를 육각렌치로 회전조작하도록한 육각요홈을 각각 표시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치제어에 의한 프로그램으로 모든절삭가공과 이송을 하도록한 공작기계에 재료의 일단은 통상의 물림척에 고정시키고 그 타단은 몸체(1)의 죠(5)에 물리도록 하는데 프로그램된 재료 이송시에 이를 일정거리로 공작물(A)을 이송시켜 정확한 칫수로서 가공을 하게 된다.
공구대(도시없음)의 이송으로 이에 물려고정되는 몸체(1)가 이동됨에 따라 공작물(A)을 이송시키게 된다.
가공하고자하는 공작물(A)은 그 직경이 다양하므로 이를 죠(5)에 물리기전에 작동간(3)의 중앙에 나사맞춤되는 스크류(2) 상단으로 요설된 육각요홈(10)으로 유각렌치(도시없음)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작동간(3)이 상하로 이송하게 된다.
즉, 스크류(2)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왼나사부(2a)와 오른나사부(2b)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나선진행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이다.
스크류(2)를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작동간(3)이 동시에 대칭적으로 중심을 향해 이동되거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게되면 그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공작물(A)의 직경에 무관하게 어떠한 공작물(A)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작동간(3)이 이동됨에 따라 이에 유설된 죠(5)도 함께 상, 하로 이동하게됨은 물론이다. 이어서, 본 고안의 죠(5)에 관하여 설명한다.
죠(5)의 내측 저부로는 핀(4)에 의해 유설되어 회전이 가능한 상태에서 그 양쪽 외측로는 고정나사(6)와 압간(8)사이에 강하게 탄발지지된 압축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압간(8)이 작동간(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죠(5)의 선단으로만 그 탄발력이 작용되므로 핀(4)을 중심으로 죠(5)는 오므라지는 일종의 모멘트가 양쪽에서 항시 작용되어 그 중앙에 위치되는 공작물(A)이 자연히 고정되는 것이다.
공작물(A)을 처음에 죠(5)에 물리고자 할때는 강제로 상하의 죠(5)사이에 공작물(A)을 압압시키게 되는데, 이때 압축스프링(7)이 압축되면서 죠(5)가 양쪽으로 벌려지게 되고 완전히 공작물(A)이 물려지도록 삽입시킨 후에는 자동적으로 다시 압축스프링(7)의 탄발력이 죠(5)의 양끝단에 작용되어 공작물(A)을 단단히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압축스프링(7)의 양측에 위치된 압간(8)과 고정나사(6)의 간격에 따라서 압축스프링(7)의 탄발력이 상이해지므로 죠(5)의 물림력도 이에따라 변하여 공작물의 종류나 정밀도, 무게에따라 고정나사(6)를 회전시켜 압축거리를 조절하여 그 힘을 적절히 변화시켜 대응한다. 죠(5)의 내측에는 걸림돌기를 구개돌설하여 가공중의 재료의 슬립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간단히 압축스프링(7)의 압축력에 의해 항시 작용되는 모멘트로서 공작물(A)을 견고하고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어떠한 직경이라도 스크류(2)만을 회전운동시켜 죠(5)와의 간격조절로 다양하게 공작물을 고정시키므로서 정밀가공을 위한 수치제어로 정밀한 가공과 이송을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공작물(A)을 고정시키고 이를해지시키는 방법이 용이하여 신속하고 연속적인 가공작업을 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몸체(1)에 요설된 안내홈(1')에 안내되고 왼나사부(2a)와 오른나사부(2b)로 각각 상하분리된 스크류(2)에 작동간(3)을 나사맞춤시켜 상하이동 가능케하며 핀(4)으로 작동간(3)에 유설된 죠(5)의 양측으로는 고정나사(6)와 압간(8)사이에 압축스프링(7)을 탄지시켜 핀(4)을 중심으로 죠(5)가 공작물(A)에 물리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KR2019860001414U 1986-02-08 1986-02-08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KR890006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414U KR890006538Y1 (ko) 1986-02-08 1986-02-08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1414U KR890006538Y1 (ko) 1986-02-08 1986-02-08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237U KR870013237U (ko) 1987-09-07
KR890006538Y1 true KR890006538Y1 (ko) 1989-09-28

Family

ID=1924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1414U KR890006538Y1 (ko) 1986-02-08 1986-02-08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65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237U (ko) 198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0638A (en) Jaw-advancing, -alignment and -adjusting means for machine-tool vises
EP0744249A2 (en) Multiple jaw vise with floating actuator
JPS5761407A (en) Boring quill
US11383354B1 (en) Vise
US4404878A (en) Bar stock feed apparatus
US4580470A (en) Sideward-located bar puller
KR890006538Y1 (ko) 공작기계의 재료이송용 고정구
CN212578021U (zh) 一种机床加工件的辅助承托台
US5456146A (en) Bar stock prealignment collar
US4716688A (en) Fixture for holding a hole-cutting tool having cutting edges to be ground
US4709603A (en) Adjustable sidewardly located bar puller
US4712954A (en) Tube cutting device
EP0232018A3 (en) Nut runner mechanism
US2762630A (en) Automatic chuck
US3589708A (en) Clamping device
KR200228088Y1 (ko) 외경 조절이 가능한 센터 지지장치
CN216463066U (zh) 一种适用于钻床加工斜孔的工装夹具
KR0118464Y1 (ko) 볼링공의 파지구멍 가공용 지그
US20220305621A1 (en) Vise
JPS5924443Y2 (ja) 球面切削アタッチメント
US2720132A (en) Work holding tool
JPH0340508Y2 (ko)
KR890004718Y1 (ko) 수동식 공작물 이송장치
KR920006720Y1 (ko) 자동선반의 유압작동용 유니버셜 죠우(universal jaw)
KR930004501Y1 (ko) 장축(長軸)의 기어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