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749B1 - 보오링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보오링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749B1
KR100188749B1 KR1019940026127A KR19940026127A KR100188749B1 KR 100188749 B1 KR100188749 B1 KR 100188749B1 KR 1019940026127 A KR1019940026127 A KR 1019940026127A KR 19940026127 A KR19940026127 A KR 19940026127A KR 100188749 B1 KR100188749 B1 KR 10018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boring machine
housing
screw rod
positio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534A (ko
Inventor
임동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26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749B1/ko
Publication of KR96001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23Q5/20Adjusting or stopping working-spindle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04Adjus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보오링 머신의 축간거리를 미세조정하기 위하여, 스핀들을 축 지지하는 하우징의 일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에 면접촉하는 위치조정부재를 나사봉과 나사결합하여 이 나사봉의 회전조작에 의해 위치조정부재가 전후진하면서 상기한 하우징의 변위를 일으켜 실질적으로 스핀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보오링 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Description

보오링 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보오링 머신의 스핀들 위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프레임 4,6 : 스핀들
8 : 커버 18,20,22 : 위치조절수단
24 : 하우징 26 : 경사면
28 : 위치조정부재
본 발명은 보오링 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대의 보오링 머신으로 다수개의 구멍을 정밀한 치수관리로 보오링 가공할 수 있는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오링 머신은 주로 대형의 복잡한 기계부품과 가공하는 구멍이 동축상 또는 각면에 산재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보오링 가공을 행하는 기계이다.
이러한 보오링 머신은 일거에 다수개의 보오링 가공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다축 헤드를 갖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다축 스핀들 보오링 머신은 스핀들 사이의 축간 거리가 항시 일정하게 관리되어야 정밀한 보오링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정밀제품을 보오링 가공하는 경우에는 0.02밀리 이하의 공차를 요구하는 최종제품 가공에서는 다수개의 스핀들 사이의 거리 관리가 매우 중요한 사항이므로 스핀들 사이의 거리 조절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다축 스핀들을 보유하는 보오링 머신은 스핀들 사이의 축 거리조정을 행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핀들이 열변형을 일으키는 경우, 정밀한 보오링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공정을 분리하여 가공 구멍수에 해당하는 공정으로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이러한 경우 적어도 2-3대의기계가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1대의 보오링 머신으로 다수개의 보오링 가공 개소를 정확하게 가공 할 수 있도록 하는 축간거리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축 헤드를 갖는 보오링 머신에 있어서, 스핀들을 축 지지하며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한 경사면에 면접촉하는 위치조정부재와, 상기한 위치조정부재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작용으로 이 위치조정부재를 전후진시키는 나사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위치조정부재는 스피들의 주위에 적어도 3개소 이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오링 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하는 보오링 머신의 정면도로서, 프레임(2)과, 이 프레임의 상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는 동력모터(도시생략)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4,6)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스핀들(4, 6)은 정면에 가공용 틀을 장착하여 보오링 가공을 행하게 되는데, 이 스핀들의 종단부에 커버(8, 10)가 설치된다.
이 커버(8, 10)는 다수개의 곳에 평면부(12, 14, 16)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평면부는 각각 위치조절수단(18, 20,22)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제2도는 상기한 위치조절수단들(18, 20, 22)의 확대 측단면도로서, 커버(8)의 내측으로 하우징(24)이 위치되어 상기한 스핀들(4, 6)과의 사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하우징(24)에는 경사면(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경사면과 접촉하는 면접촉을 이루는 위치조정부재(28)가 상기한 하우징(24)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있다.
이 위치조정부재(28)는 프레임(2)에 형성된 홈(3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데, 위치조정부재(28)의 중앙으로 나사봉(32)이 나사결합되면서 이 나사봉의 종단부는 프레임(2)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수단(18, 20, 22)들은 모든 스핀들 주위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는, 스핀들(2)과 또다른 스핀들(4) 사이의 거리를 미세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린더 블럭에 형성된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를 동시에 보오링 가공할 때 각각의 실린더 보어 중심이 정확히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 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한 스핀들(2)과 또다른 스핀들(4)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해당하는 스핀들의 위치조절수단을 사용하여 축간 거리를 미세조정할 수 있다.
즉 나사봉(32)을 적당한 드라이버등으로 돌리게 되면 이 나사봉에 나사결합된 위치조정부재(28)가 나사봉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조정부재(28)의 전후진 이동은 위치조정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하우징(24)의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그것은 하우징의 경사면(26)과 위치조정부재(28)가 접촉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2도에서 볼 때 위치조정부재(28)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핀들(4)을 지지하고 있는 하우징(24)이 아래측으로 변위를 갖게 되며, 반대로 위치조정부재(28)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우징(24)은 상측으로 변위를 갖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의 변위는, 제1도에서 볼 때 위치조절수단(18,20, 22)이 스핀들(4,6)을 3점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스핀들을 방사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스핀들 주위에 제공된 위치조절수단을 조절하게 되면 축간 거리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데, 이것은 열변형이나 지그의 변형이 있는 경우 가공결과를 확인하고 조정대응이 가능한 것이므로 종래에 정밀기계 가공에 의존해야만 하는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

  1. 다축 헤드를 갖는 보오링 머신에 있어서, 스핀들을 축 지지하며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한 경사면에 면접촉하는 위치조정부재와, 상기한 위치조정부재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작용으로 이 위치조정부재를 전후진시키는 나사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위치조정부재는 스핀들의 주위에 적어도 3개소 이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오링 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KR1019940026127A 1994-10-12 1994-10-12 보오링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KR10018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127A KR100188749B1 (ko) 1994-10-12 1994-10-12 보오링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127A KR100188749B1 (ko) 1994-10-12 1994-10-12 보오링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34A KR960013534A (ko) 1996-05-22
KR100188749B1 true KR100188749B1 (ko) 1999-06-01

Family

ID=1939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127A KR100188749B1 (ko) 1994-10-12 1994-10-12 보오링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7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34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165211A (ja) 内面加工機
JP2018075667A (ja) 工作機械
KR100188749B1 (ko) 보오링머신의 스핀들 축간거리 조정장치
WO1996006704A1 (en) Cnc machining system
US4642861A (en) Machine tool construction
US4165661A (en) Machine tool construction
KR100563950B1 (ko) 복합가공테이블 및 이 테이블을 구비한 수직선반
US5539966A (en) Machining head for machining boards
JP2001252825A (ja) 多軸タップ加工装置
JP3570694B2 (ja) 工作機械のターンテーブル
KR100764944B1 (ko) 스핀들 위치 보정장치
KR200178001Y1 (ko) 머시닝센터팔레트테이블의슬라이딩면조정장치
US3026156A (en) Adjustable spindle bearing
JPH09248724A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
KR20020095668A (ko) 공작기계용 스핀들
KR20000008197U (ko) 연삭기의 공작물 각도조절장치
KR20040082433A (ko) 가공품-베어링 스핀들을 구비한 다축 머신닝센터
JP7192578B2 (ja) 加工装置およびワークの支持治具
KR20090123769A (ko) 수직형 비티에이 드릴링 머신
KR200320197Y1 (ko) 공작기계용 이송테이블의 백래쉬 제거장치
KR100555368B1 (ko) 인풋 샤프트의 슬롯 홈 연마기
JPH08141866A (ja) 送り台駆動装置
KR100217935B1 (ko) B축 회전체를 갖는 복합가공선반
JPH09207011A (ja) ガイドバー装置
RU2124419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очностью обработки детал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