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383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383B1
KR930004383B1 KR1019890005437A KR890005437A KR930004383B1 KR 930004383 B1 KR930004383 B1 KR 930004383B1 KR 1019890005437 A KR1019890005437 A KR 1019890005437A KR 890005437 A KR890005437 A KR 890005437A KR 930004383 B1 KR930004383 B1 KR 93000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heat exchanger
main
indo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697A (ko
Inventor
기시오 오오구보
고오지 모찌즈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0210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739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8590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0186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다실(多室)형으로 한 경우의 개략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동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4도는 동일체형 공기조화기를 다실형 시스템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접속하는 실내유니트의 단면도.
제5도는 동 다실형 공기조화장치로 했을 경우의 냉동사이클도.
제6도는 동 다시형 공기조화장치로 했을 경우의 전기회로도.
제7도는 동 다실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예를 도시한 실내의 레이아우트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체형의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9도는 동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다실형 시스템으로 했을 경우의 냉동사이클도.
제10도는 종래예를 표시한 다실형 공기조화기의 시스템 구성도.
제11도는 다른 종래예의 시스템 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제12도는 동 공기조화기의 본체부의 내부구성을 표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 실내쪽흡입구 2b : 실내쪽분출구
5, 6 : 냉매배관 A, B : 실내유니트
C : 일체형 공기조화기 1 : 일체형 공기조화기본체
1a : 외부상자 1b : 기판
1c : 실외쪽흡입구 1d : 실외쪽분출구
3 : 주실내쪽 열교환기 7 : 배관 접속부
7a : 고압쪽 접속구 7b : 저압쪽 접속구
8 : 커버 11 : 간막이판
10 : 원심팬 11 : 프로펠러팬
12 : 실외쪽 열교환기 14 : 압축기
16 : 열교환기 19, 20 : 보조개폐밸브
17 : 송풍기 22 : 주감압기
18 : 주개폐밸브 23, 24 : 보조감압기
본 발명은, 창, 벽등에 설치하는 공기조화기에 복수의 실내유니트가 접속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방을 공기조정하는 공기조화기는,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동도면에 있어서, (101)은 실외유니트, (102), (103)은 실내유니트, (104), (105)는 상기 실내유니트(102), (103)과 실외유니트(101)을 접속하는 냉매배관, 및 접속전선을 모울드한 접속밸브체이다. 상기 실외유니트(101)는, 벽에 뚫은 관통 구멍을 통해서 유도되는 접속냉매 배관으로 접속되고, 베란다, 혹은 실외의 마루위에 배치된다.
이 구성은, 소위 분리형 멀티공기조화기이다.
또, 미국특허 제4641503호 명세서에는, 제11도, 제12도에 표시한 구성의 공기조화기가 표시되어 있다,
동도면에 있어서, (201)은 본체이고, 통형상의 외부상자(202)와, 기관(203), 이기관(203) 위에 재치된 압축기(204), 열원쪽 열교환기(도시않음)와 송풍기(205)를 구비한 열원쪽 유니트(206), 상기 압축기(204), 열원쪽 유니트(206)을 차폐하는 간막이판(207), 또 복수의 실내유니트(301), (302)와의 접속부 a.b.c.d.e.f.g.h 및, 전기제어회로가 내장된 전기장치상자(208)가 형성되어 있다.
(301a).(301b).(302a).(302b)는 각각 상기 본체(201)와 실내유니트(301).(302)에 형성된 접속부, (210a).(210b).(211a).(211b)는 각각 접속부(a)와 (301a), 접속부(b)와 (301b), 접속부(c)와 (302a), 접속부(d)와 (302b)를 접속하는 배관으로 상기 외부상자(202)에 형성된 절결부(212)를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1)는, 제12도에 표시한 조운(213)에 실내의 벽 혹은 창이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실내유니트(301).(302)는, 실내의 벽면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앞서의 구성은, 실외 유니트(101)의 설치장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특히 고층주택에 있어서는, 설치장소가 되는 베란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설치의 제약조건이 한정되고, 베란다가 없는 고층주택에는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또, 상기 종래의 후자의 구성은, 본체(101)를, 벽을 관통해서, 혹은 창을 관통해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앞서의 과제는 해결될 수 있다. 실내에 돌출한 본체(101)에는, 그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기능은 없고, 어느 한쪽의 실내유니트(301)를 병설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일은, 실내의 공기조화를 행하기 위하여 본체(101)를 돌출시키는 공사와 실내유니트(301)를 장치하는 공사가 필요하게 되고, 공사가 대형으로 된다. 또, 본체(101)는 단지 실내에 돌출하고, 그 실내의 공기조화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의 미관을 손상할 마이너스 요인이 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출기, 실외쪽열 교환기, 감압장치 및 실내쪽열교환기를 배설한 본체 소위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실내유니트와의 접속부를 형성하고, 멀티공기조화 시스템구성을 가능하게 해서 공기조화장치로서의 부가가치를 높임과 동시에 실내유니트를 접속하는 일 없이 본체만의 사용에 의해서도 공기조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기본으로해서, 간단한 구성변경에 의해서 복수의 실내유니트의 접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유니트, 즉 본체의 실내유니트의 각각에,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기능을 가지게 하고, 유니트의 설치장소의 제약조건을 완화하면서 복수의 실내가 합리적으로 공기조화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일체형 공기조화기)와 복수의 실내유니트와의 접속부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실내유니트의 운전중에 있어서, 압축기가 정지했을때의 냉동사이클의 압력밸런스가 단시간에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실내유니트의 운전시에 있어서의 본체쪽의 헛된 송풍을 방지하고, 공기조화 되어있지 않는 실내에서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실내 공기조화를 행하고, 또 냉동사이클 시스템과 송풍장치를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이 냉동 사이클에, 다른 방을 공기조화하기 위하여 별도 설치한 실내유니트와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배관접속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수단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배관접속부를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옆면에 형성하고, 또 상기 배관접속부를 덮는 커버를 착설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수단은, 실내의 공기조화를 행하고, 또 냉동사이클 시스템과 송풍장치를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에, 다른방에 설치된 실내유니트의 배관을 분기해서 착설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수단은, 실내의 공기조화를 행하고, 또한, 냉동사이클 시스템과 송풍장치를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에, 다른방에 설치된 실내유니트의 배관을 분기해서 착설하고, 또 상기 냉동사이클과 분기로에 각각 개폐밸브를 착설한 것이다.
상기 수단에 의해, 실내에 설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서 실내의 공기조화가 행하여 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 다른방을 공기조화하는 실내유니트와의 접속이, 임의로 행하여진다.
또, 배관접속부를 덮은 커버에 의해, 실내의 미관향상을 도모한다.
또, 실내에 설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에, 다른 방을 공기조화하는 실내유니트를 분기해서 접속하므로서, 복수실의 공기조화가 행하여 짐과 동시에, 실외유니트를 설치하는 전용의 스페이스도 불필요 하게 되고, 합리적인 설치를 행할 수 있다.
도,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과 분기로에 각각 개폐밸브를 착설하므로서, 공기조화하는 실내가 선택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의 제1도 및 제6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의해, 전체의 개략시스템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A.B)는 각각 상이한 실내에 장착되는 실내유니트, (C)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이 일체형 공기조화기(C)의 냉동사이클에는, 상기 실내유니트(A.B)의 냉매배관(5.6)이 분기해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1도를 포함해서, 제2도 및 제4도에 의해, 상기 일체형 공기조하기(C)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1)은 일체형 공기조화기 본체로, 통형상의 외부상자(1a)와, 이 외부상자(1a)내에 수납된 기관(1b)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외부상자(1a)의 옆면에는, 실외쪽 흡입구(1c)가 형성되고, 또 외부상자(1a)의 뒤쪽에는, 실외쪽분출구(배면 개구)(1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관(1b)위에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실외쪽과 실내쪽으로 간막이 하는 간막이판(1e)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외쪽에는, 압축기(14), 실외쪽 열교환기(12), 상기 실외쪽흡입구(1c)로 부터 실외쪽분출구(1d)로의 실외쪽 통풍회로를 구성하는 프로펠러팬(11), 이 프로필러팬(11)의 에어가이더(13), 상기 간막이판(1e)에 장착쇠장식(15a)를 개재해서 장착된 팬모우터(15)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실내쪽에는, 주실내쪽 열교환기(3), 상기 팬모우터(15)에 의해서 구동되는 원심팬(10)이 설치되고, 이들은 상기 간막이판(1e), 천판(10a)등과 같이 실내쪽 통풍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4)는 상기 실내쪽 통풍회로의 분출구(4a)쪽에 착설된 좌우풍향변경 날개이다. (7)은 상기 간막이판(1e)에 있어서의 분출부쪽면 위치에 형성된 배관접속부로서, 고압쪽 접속구(具)(7a)와 저압쪽접속부(7b)의 짝이 2조 착설되어 있다. (9)는 상기 실내쪽의 분출구(4a)하부에 착설된 전기장치상자로, 일체형 공기조화기(c) 및 복수의 실내유니트(A, B)를 접속했을 경우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전기회로 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9a)는 상기 실내 유니트(A, B)의 전원이 되는 코넥터 받침으로서, 전선이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상자(1a)의 실내쪽에는, 상기 배관접속부(7)가 노출되도록 절결부가 형성되고, 그 절결부의 한 가장자리에는 코넥터받침(9a)를 포함해서, 배관접속부(7)를 덮는 커버(8)가 나사고정되는 고정판(1f)이 착설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8)의 상단에는, 내매배관(5, 6) 및 전선이 관통하는 절결부(8a)가 형성되어 있다.
(2)는 상기 실내족에 착탈가능하게 착설된 앞면 그릴로서, 강기 주실내쪽 열교환기(3)와, 대향하는 실내쪽 흡입구(2a)와, 상기 분출부(4a)에 대향하는 실내쪽분출구(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내쪽 분출구(2b)에는, 상하 풍향변경 날개(2c)가 착설되어 있다.
또, 실내유티트(A, B)는, 주지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의 구성으로 되며,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앞면에 흡입구(D)와 분출구(E)가 형성되고, 내부에 열교환기(16)와 송풍기(17)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에 의해 제1도에 도시한 시스템구성의 냉동사이클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1도~제4도와 마찬가지의 것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일체형 공기조화기(C)의 주냉동 사이클은, 압축기(14), 실외쪽 열교환기(12), 주개폐밸브(18), 주감압기(22), 주실내쪽 열교환기(3), 측압기(23)를 고리형상으로 연결하므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실내 유니트(A, B)의 각 분기회로는, 고압쪽은, 실외쪽 열교환기(12)와 주개폐밸브(18)의 사이와 , 고압쪽접속부(7a)를, 보조개폐밸브(19, 20)와 보조감압기(23, 24)를 개재해서 접속하므로서 구성되고, 저압쪽은, 주실내쪽 열교환기(3)와 압축기(14)의 사이와, 저압쪽접속부(7b)를 접속하므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프로펠러팬(11), 원심팬(10)이 동도면과 같이 위치한다.
또, 실내유니트(A, B)는 열교환기(16)를 배관(5, 6)을 개재해서 상기 고압쪽접속부(7a), 저압쪽접속부(7b)와 접속하므로서, 주냉동사이클과 같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17d)는 송풍기(17)를 구동하는 팬모우터를 표시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전기회로구성에 대해서, 제6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주로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관련하는 냉동사이클의 제어를 위한 전기회로에 대해서 설명하고, 실내유니트(A, B)의 송풍기(17)등의 제어회로에 대해서는 주지된 거승로 되며, 또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관계 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 제1도 ~제5도와 마찬가지의 것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40)은 일체형 공기조화기(C)의 운전과, 실내유니트(A, B)의 운전을 절환하는 절환스위치로서, 단자(a)쪽에 있을때는 일체형 공기조화기(C)가 운전되고, 단자(b)쪽에 있을 때는 실내유티트(A, B)가 운전된다, (41)은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스위치로서, 정지스위치(OFF), 송풍량의 단순한 송풍(FAN LOW), 대풍량의 단순한 송풍(FAN HI), 냉풍상태에서의 송풍량의 송풍(COOL LOW), 냉방상태에서의 대풍량의 송풍(COOL HI)의 운전모우드를 선택할 수 있다. (42)는 압축기(14)에의 통전을 제어하는 릴레이이다. (43)은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C)에 착설된 온도조절기로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체형 공기조화기(C)에 의해서 냉방되는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44, 45, 46)은 각각 실내유니트(A, B)를 운전하는 경우에 동작하는 릴레이로, 릴레이(44, 45)는 각 실내유니트의 운전스위치(50, 51)의 ON조작에 연동해서 각접점(44a, 44b, 45a, 45b, 45c)를 구동하고, 릴레이(46)는 절환스위치(40)의 단자(b)쪽으로의 조작시에 연동해서 각접점(46a, 46b, 46c)를 구동한다. (47, 48)은 각각 사기 각 실내유니트(A, B)에 착설된 온도조절기로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 실내유니트(A, B)에 의해서 냉방되는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C), 실내유니트(A, B)의 설치예를 제7도에 표시한다.
이 설치예에서는, 일체형 공기조화기(C)를 거실등의 C실에, 실내유니트(A)를 침실등의 A실에, 실내유니트(B)를 어린이 방등의 B실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C실을 냉방하는 경우는, 절환스위치(40)를 단자(a)쪽에 투입한 상태로 하고, 운동제어스위치(41)를 예를 들면 COOL LOW로 조작한다.
따라서, 팬모우터(15)가 통전되고, 또 주개폐 밸브(18)도 통전되기 때문에 개방 상태에 있다.
도, 온도조절기(43)는 실온이 높기 때문에 ON상태에 있고, 또 릴레이접점(46C)은 릴레이(46)이 비통전상태이기 때문에 미리 폐쇄상태에 있다. 이에 의해, 릴레이(42)가 통전되고, 과부하 계전기(49)를 개재해서 압축기(14)의 운전이 개시된다.
한편, 실내유니트(A, B)쪽에 대해서는, 운전스위치(50, 51)가 조작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보조개폐밸브(19, 20)은 폐쇄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냉매는, 압축기(14), 실외쪽 열교환기(12), 주개폐밸브(18), 주감압기(22), 수실내쪽 열교환기(3), 축압기(32), 압축기814)의 순으로 순환하고, C실의 냉방이 가능해진다.
또한 C실의 온도제어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온도조절기(43)의 ON/OFF 동작에 의해, 압축기(14)가 ON/OFF 동작하므로서 행하여진다. 온도조절기(43)가 OFF되었을 때, 주개폐밸브(18)는, 상시 통전되고 있기 때문에 개방상태를 계속하고 있다. 그때문에, 압축기(14)의 정지에 수반되는 냉동사이클의 압력밸런스는 이 주개폐밸브(18), 주감압기(22)를 개재해서 행하여지고, 압축기(14)의 재기동시의 부하가 경감된다.
또, 냉방운전 도중에서 운전제어 스위치(41)를 OFF했을 경우에도, 주개폐밸브(18)은 개방상태를 계속하고, 다음 운전개시에 지장이 없도록 냉동사이클의 압력밸런스가 행하여 진다.
다음에, A실 또는 B실의 어느 1실(설명의 편의상 A실을 냉방한다고 가정함)의 냉방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는, 먼저 절환스위치(40)를 단자(b)쪽에 투입한다.
이 조작에 의해, 릴레이(46)가 통전되고, 실내유니트(A, B)의 접점(46a, 46b)를 폐쇄상태로 하고, 실내유니트(A, B)의 어느 한쪽의 조작을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이 상태에서는, 일체형 공기조화기(C)의 운전은 할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운전스위치(50)를 ON조작하면, 온도저절기(47), 접점(46a)을 개재해서 릴레(44)가 통전되고, 각 접점(44a, 44b)이 각각 동작하고, 압축기(14), 팬모우터(15)가 각각 운전되고, 또 주개폐밸브(18) 및 보조개폐밸브(20)가 각각 폐쇄상태에 있고, 보조개폐밸브(19)가 개방상태가 된다. 물론 실내유니트(A)의 송풍기(17)는, 운전스위치(50)의 조작에 의해, 운전되고 있다.
따라서, 냉매는, 압축기(14), 실외쪽 열교환기(12), 보조개폐밸브(19), 실내유니트(A)의 열교환기(16), 축압기(32), 압축기(14)와 순환하고, A실의 냉방이 가능해진다.
물론 A실의 온도제어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온도조절기(47)의 ON/OFF 동작에 의해, 압축기(14)가 ON/OFF 동작하므로서 행하여진다. 온도조절기(47)가 OFF했을때, 보조개폐밸브(19)는 폐쇄상태가 되나, 주 개폐밸브(18)가 릴레이(44, 45)의 접점(44b, 45b)를 개재해서 통전되므로 개방상태가 된다. 그때문에, 압축기(14)의 정지에 수반되는 냉동사이클의 압력밸런스는, 앞서의 C실 만의 냉방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재폐밸브(18), 주감압기(22)를 개재해서 행하고, 압축기(14)의 재기동시의 부하가 경감된다.
또, 냉방운전도중에서 운전스위치(50)를 OFF한 경우일지라도, 주개폐밸브(18)는 릴레이접점(44b, 45b)을 개재해서 통전되고, 개방상태가 되어, 다음운전 개시에 지장이 없도록 냉동사이클의 압력밸런스가 행하여 진다.
상기 제어는, B실만의 냉방을 행할 경우 일지라도, 마찬가지로 실내유니트(B)의 운전스위치(51)를 조작하므로서 행하여진다.
다음에, A실과 B실을 병행해서 운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는, 절환스위치(40)를 단자(b)쪽에 투입하고, 실내유니트(A, B)의 조작을 대기하는 상태는 앞서의 A실을 냉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이 상태에 대해서도, 일체형 공기조화기(C)의 운전을 할 수 없다).
그리고, 실내유니트(A, B)의 운전스위치(50, 51)를 각각 ON에 투입하면, 릴레이(46, 44, 45)의 각 동작에 의해서 주 개폐밸브(18)가 폐쇄상태가 되고, 보조 개폐밸브(19, 20)가 각각 개방상태가 된다. 부가해서 압축기(14), 팬모우터(15)도 운전된다. 물론 실내유니트(A, B)의 송풍기(17, 17)은, 운전스위치(50, 51)의 조작에 의해, 운전되고 있다.
따라서, 냉매는, 압축기(14), 실외쪽열교환기(12)와 흐르고, 분기부에서 보조 개폐밸브(19, 20), 보조감압기(23, 24)와 분류하고, 각각의 실내유니트(A, B)의 열교환기(16)를 흘러서, 축압기(32), 압축기(14)와 순환하고, A실, B실의 냉방을 행할 수 있다.
물론 A실, B실의 온도제어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각실의 온도조절기(47) 혹은 (48)의 ON/OFF 동작에 의해 행하여 진다. 예를 들면, A실이 빨리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조절기(47)가 OFF하고, 보조개폐밸브(19)가 폐쇄상태가 되어 실내유니트(A)의 열교환기(16)에의 냉매의 유통을 정지하고, 실내유니트(A)에 의한 냉방을 중단한다(이때 실내유니트A의 팬모우터(17a)는 계속해서 운전되고, 실내공기에 순환을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분류되고 있던 냉매는 실내유니트(B)에만 흐르고, B실의 냉방을 계속한다.
그리고, B실의 온도도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온도조절기(48)가 OFF 동작하고, 압축기(14)에의 통전이 차단되고, 압축기(14)는 정지한다. 이때, 보조개폐밸브(20)도 폐쇄상태가 되나, 주 개폐밸브(18)이 릴레이(44, 45)의 접점(44b, 45b)를 개재해서 통전되므로서 개방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압축기(14)의 정지에 수반되는 냉동사이클의 압력밸런스는, 앞서의 C실만의 냉방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주 개폐밸브(18), 주감압기(22)를 개재해서 행하여지고, 압축기(14)의 재기동시의 부하가 경감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는 실내유니트(A, B)가 운전될때는, 일체형 공기조화기(C)에 의한 냉방운전을 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압축기의 능력이 큰 것이라면, A, B, C의 동시운전도 가능해진다(이 경우는, 전기 회로를 약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 냉방을 행하는 A~C실의 조합은, 상기의 C실만, A실만 또는 B실만, A, B실 동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주 개폐밸브(18), 보조개폐밸브(19, 20)의 조합으로 임의로 얻게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일체형 공기조화기(C)를, 실내유니트(A, B)를 접속하는 일없이 단독으로 사용하면, 종래와 마찬가지의 1실의 공기조화를 행할 수 있고, 그리고 이 일체형 공기조화기(C)의 배관접속부(7)에, 필요에 대수의 실내유니트(A, B)를 접속하므로서, 일체형 공기조화기(C)에 의한 실내의 공기조화는 물론, 다른 방의 공기조화도 행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A, B, C의 각실이 선택적으로 냉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특히 C실을 냉방하지 않는 상태일지라도 C실에 송풍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라면, 공기조화장치를 운전하고 있는 한 C실에 송풍을 행하게 되고, C실에서는 항상 송풍음이 발생하여, C실의 거주자로서는 불유쾌한 생각을 하게 된다. 또, 마간가지로 공기조화 장치를 운전하고 있는 한 팬모우터(15)의 진동이 간막이판(1e)를 개재해서 전달되고, 한층 불쾌감은 증대한다.
다음에, 앞에서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제8도 및 제9도를 참고로 설명한다.
여기서, 앞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것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앞에서의 실시예와 크게 상이한 점은, 일체형 공기조화기(C)에 있어서의 팬모우터(15)를, 실내쪽 팬모우터(30)와 실외쪽팬모우터(15)로 분할한 점이고, 다른 냉동사이클 및 실내유니트(A, B)의 구성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또, 전기회로에 대해서는, 독립된 회로도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그일례로서 제6도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팬모우터(30)를 접속하고, 실내쪽, 실외쪽의 각 팬모우터(30), (15)가 독립해서 운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따라서, 일체형 공기조화기(C)에 의한 C실만의 냉방, 실내유니트(A, B)에 의한 A실 또는 B실 어느 실의 냉방, 실내유니트(A, B)에 의한 A실 B실 동시 냉방은, 앞에서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절환스위치(40), 운전제어스위치(41), 운전스위치(50, 51)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운전상태에 있어서는, 어느 경우에도 실외쪽 팬모우터(15)는 운전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실내쪽 팬모우터(30)는, 일체형 공기조화기(C)를 운전할때에 운전되고, 실내유니트(A, B)를 운전하는 경우에는 정지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므로서, 앞에서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문제점인 불쾌감은 해소되고, 한층 쾌적한 공기조화장치로 된다.
도, 일체형 공기조화기(C)의 팬모우터를, 실내쪽 팬모우터(30)와 실외쪽 팬모우터(15)로 분할하므로서, 실외쪽 팬모우터(15)의 속도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서, 한층 복잡한 제어 예를 들면, 일체형 공기조화기 단독운전시에 있어서의 과부하제어(회전수의 증감), 비교적 외기온도가 낮은 상태에서의 적절한 냉방운전제어 등, 각종 조건에 대응한 제어도 가능해 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방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냉난방가능한 히이트 펌프식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또, 접속부가할 수 있는 실내유니트의 수에 대해서도, 설계상 허용될 수 있는 수로 증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필요에 따라서 별도 실내유니트만을 증설하므로서, 다른 방도 공기조화할 수 있는 것이며, 다른 방을 공기조화하고,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방이 공기조화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방으로 송풍을 정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증설에 요하는 스페이스가, 실내유니트를 장착하는 스페이스만으로 되어, 증설에 부수되는 설치조건도 완화된다.
또, 본 발명의 다실형 공기조화기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주냉동사이클에, 별도실내 유니트의 사이클을 분기 접속한 구성이기 때문에,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같이 실외유니트의 설치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 이 일체형 공기조화기가 실외유니트의 기능을 경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실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합리적인 설치가 되고, 설치하는 가옥의 제약조건을 완화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쪽 송풍기, 실외쪽 송풍기에는 각각 독립된 팬모우터가 탑재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체형 공기 조화기가 설치된 방의 설내에의 송풍을 공기조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송풍을 정지할 수가 있고, 또한 일체형 공기조화기 단독으로서의 운전시에는, 팬모우터의 회전수 제어에 의한 과부하조건, 냉방저온조건, 드리이 운전조건시등 여러가지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통형상으로 형성된 외부상자(1a) 및 이 외부상자(1a)내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된 기판(1b)에 의해서 공기조화기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기판(1b)에, 이 공기조화기본체(1)내를, 실내쪽과 실외쪽으로 간막이하는 간막이판(1e)을 설치하고, 상기 실외쪽에, 압축기(14), 실외쪽열교환기(12), 실외쪽팬(11) 및 실외쪽에 개구하는 실외쪽흡입구(1c)와 실외쪽 분출구(1d)를 가지고, 또한 상기 실외쪽 열교환기(12), 실외쪽팬(11)을 내장한 실외쪽 통풍회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실내쪽에, 주실내쪽 열교환기(3), 실내쪽팬(10) 및, 실내쪽에 개구하는 실내쪽 흡입구(2a)와 실내쪽분출구(2b)를 가지고, 또한 상기 주실내쪽 열교환기(3), 실내쪽팬(10)을 내장한 실내쪽 통풍회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압축기(14), 실외쪽 열교환기(12), 주감압기(22), 주 실내쪽 열교환기(3)를 순차고리형상으로 연결한 주냉동사이클을 가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주냉동사이클에, 주냉동 사이클내의 냉매가 분류하는 분기회로를 형성하고 이 분기회로를 일단부가 상기 실외쪽 열교환기(12)와 주감압기(22)의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부에 고압쪽 배관 접속구(7a)를 설치한 고압쪽 분기관과, 일단부가 상기 주실내쪽 열교환기(3)와 압축기(14)의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부에 저압쪽 배관접속구(7b)를 설치한 저압쪽분기관으로 구성하고, 또 상기 주냉동사이클에 있어서의 주감압기(22)와 고압쪽분기관 분기점의 사이에, 주개폐밸브(18)를 설치하고, 또 상기 고압쪽 분기관에, 보조개폐밸브(19, 20)와 보조 감압기(23, 24)로 이루어진 직열회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열교환기(16) 및 송풍기(17)를 가진 실내유니트(A)와 상기 열교환기(16)의 일단부를 상기 고압쪽배관접속부(7a)와 접속하고, 타단부를 상기 저압쪽 배관 접속구(7b)와 접속한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압쪽배관접속구(7a) 및 저압쪽배관접속구(7b)를, 공기조화기본체(1)의 옆면에 장착하고, 이 공기조화기본체(1)의 옆면에, 상기 고압쪽 배관접속구(7a) 및 저압쪽배관접속구(7b)를 덮는 커버(8)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공기조화장치.
  3. 간막이판(1e)에 의해 , 내부가 실외쪽과 실내쪽으로 간막이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쪽에, 압축기(14), 실외쪽 열교환기(12), 실외쪽팬(11) 및 실외쪽에 개구하는 실외쪽 흡입구(1c)와 실외쪽 분출구(1d)를 가지고, 또한 상기 실외쪽 열교환기(12), 실외쪽팬(11)을 내장한 실외쪽통풍회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실내쪽에, 주실내쪽 열교환기(3), 실내쪽팬(10) 및, 실내쪽에 개구하는 실내쪽 흡입구(2a)와 실내쪽 분출구(2b)를 가지고, 또한 상기 주실내쪽 열교환기(3), 실내쪽팬(10)을 내장한 실내쪽 통풍회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압축기(14), 실외쪽 열교환기(12), 주감압기(22), 주실내쪽 열교환기(3)를 순차고리형상으로 연결한 주냉동사이클을 가진 주공기조화기(c)를 구성하고, 또, 상기 주공기조화기(C)와는 별실에 장착된 실내유니트(A, B)를 설치하고, 이 실내유니트(A, B)를, 흡입구(D)와 분출구(E)를 가진 본체와, 이 본체내에 형성되고 또 상기 흡입구(D)와 분출구(E)에 연통한 통풍회로와, 이 통풍회로내에 형성된 열교환기(16), 및 송풍기(17)로 구성하고, 상기 열교환기(16)의 일단부를, 감압기(23, 24)를 가진 고압쪽배관을 개재해서 상기 실외쪽 열교환기(12)와 주감압기(22)의 사이에 접속하고, 타단부를 저압쪽배관을 개재해서 상기 실내쪽 열교환기(3)와 압축기(14)의 사이에 접속한 공기조화장치
  4. 통형상으로 형성된 외부상자(1a) 및 이 외부상자(1a)내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된 기판(1b)에 의해서 공기조화기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기판(1b)에, 이 공기조화기본체(1)내를, 실내쪽과 실외쪽으로 간막이하는 간막이판(1e)을 형성하고, 상기 실외쪽에, 압축기(14), 실외쪽열교환기(12), 실외쪽팬(11) 및, 실외쪽에 개구하는 실외쪽 흡입구(1c)와 실외쪽분출구(1d)를 가지고, 또한 상기 실외쪽 열교환기(12), 실외쪽팬(11)을 내장한 실외쪽 통풍회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실내쪽에, 주실내쪽 열교환기(3), 실내쪽팬(10) 및, 실내쪽에 개구하는 실내쪽흡입구(2a)와 실내쪽분출구(2b)를 가지고, 또한 상기 주실내쪽 열교환기(3), 실내쪽팬(10)을 내장한 실내쪽 통풍회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압축기(14), 실외쪽 열교환기(12), 주감압기(22), 주실내쪽 열교환기(3)를 순차 고리형상으로 연결한 주냉동사이클을 가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주냉동 사이클에, 이 주냉동사이클내의 냉매가 분류하는 분기회로를 형성하고, 이 분기회로를 일단부가 상기 실외쪽 열교환기(12)와 주압압기(22)의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부에 고압쪽 배관접속구(7a)를 착설한 고압쪽분기관과, 일단부가 상기 주실내쪽 열교환기(3)와 압축기(14)의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부에 저압쪽 배관접속구(7b)를 착설한 저압쪽 분기관으로 구성하고, 또 상기 주냉동사이클에 있어서의 주감압기(22)와 고압쪽 분기관분기점의 사이에, 주개폐밸브(18)를 형성하고, 또 상기 고압쪽 분기관에, 보조개폐밸브(19, 20)와 보조감압기(23, 24)로 이루어진 직열회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공기조화기와는 별실에 장착된 실내유니트(A, B)를 설치하고, 이 실내유니트(A, B)를, 흡입구(D)와 분출구(E)를 가진 본체와, 이 본체내에 형성되고, 또 상기 흡입구(D)와 분출구(E)에 연통한 통풍회로와, 이 통풍회로내에 형성된 열교환기(16) 및 송풍기(17)로 구성하고, 상기 열교환기(16)의 일단부를, 고압쪽 배관을 개재해서 상기 고압쪽 배관접속구(7a)에 접속하고, 타단부를 저압쪽배관을 개재해서 상기 저압쪽 배관접속구(7b)에 접속하고, 또, 상기 고압쪽배관접속구(7a) 및 저압쪽 배관접속구(7b)를, 상기 공기조화기본체(1)의 앞면에 장착하고, 이 공기조화기본체(1)의 옆면에, 상기 고압쪽배관접속구(7a) 및 저압쪽 배관접속구(7b)를 덮는 커버를 착탈가능하게 착설하고, 또, 상기 주개폐밸브(18), 보조개폐밸브(19, 20)의 개폐제어를 행하는 밸브제어수단을 착설하고, 이 밸브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시는, 상기 주개폐밸브(18)를 개방, 보조개방밸브(19, 20)를 폐쇄상태로 유지하고, 또 상기 실내유니트(B, C)의 운전시는, 상기 주개폐밸브(18)를 폐쇄, 보조개폐밸브(19, 20)를 폐쇄상태로 유지하고, 또 상기 실내유니트(A, B)의 운전시에 있어서, 압축기(14)의 정지시에 상기 주개폐밸브(18)를 개방, 보조개폐밸브(18)를 폐쇄하도록 한 공기조화장치.
  5. 통형상으로 형성된 외부상자(1a) 및 이 외부상자(1a)내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된 기판(1b)에 의해서 공기조화기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기판(1b)에, 이 공기조화기 본체(1)내를, 실내쪽과 실외쪽으로 간막이하는 간막이판(1e)을 설치하고, 상기 실외쪽에, 압축기(14), 실외쪽열교환기(12), 실외쪽팬(11), 이 실외쪽팬(11)을 구동하는 실외쪽 팬모우터(15), 실내쪽 팬모우터(30) 및 실외쪽에 개구하는 실외쪽 흡입구(1c)와 실외쪽 분출구(1d)를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실외쪽열교환기(12), 실외쪽팬(11)을 내장한 실외쪽통풍회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실내쪽에 주실내쪽 열교환기(3), 상기 실내쪽 팬모우터(30)에 의해서 구동되는 실내쪽팬(10), 실내쪽에 개구하는 실내쪽흡입구(2a)와 실내쪽분출구(2b)를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주실내쪽 열교환기(3), 실내쪽팬(10)을 내장한 실내쪽통풍로를 형성하고, 또 상기 압축기(14), 실외쪽열교환기(12), 주감압기(22), 주실내쪽 열교환기(3)를 순차고리형상으로 연결한 주냉동사이클을 가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주냉동사이클에, 이 냉동사이클내의 냉매가 분류하는 분기회로를 형성하고, 이 분기회로를, 일단부가 상기 실외쪽 열교환기(12)와 주감압기(22)의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부에 고압쪽배관접속구(7a)를 착설한 고압쪽분기관과, 일단부가 상기 실내쪽열교환기(3)와 압축기(14)의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부에 저압쪽배관 접속구(7b)를 착설한 저압쪽 분기관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열교환기(16) 및 송풍기(17)를 가진 실내유니트(A)의 상기 열교환기(16)의 일단부를 상기 고압쪽배관접속구(7a)와 접속하고, 타단부를 상기 저압쪽 배관접속구(7b)와 접속하며, 운전시는, 상기 주개폐밸브(18)를 폐쇄, 보조개폐밸브(19, 20)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또 상기 실내유니트(A, B)의 운전시에 있어서, 압축기(14)의 정지시에 상기 주개폐밸브(18)를 개방, 보조개폐밸브(19, 20)를 폐쇄하도록 한 공기조화장치.
KR1019890005437A 1988-04-25 1989-04-25 공기조화장치 KR930004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02102A JPH01273960A (ja) 1988-04-25 1988-04-25 一体型または多室型空気調和機
JP63-102102 1988-04-25
JP63185904A JPH0650186B2 (ja) 1988-07-26 1988-07-26 一体型および多室型空気調和機
JP63-185904 1988-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97A KR900016697A (ko) 1990-11-14
KR930004383B1 true KR930004383B1 (ko) 1993-05-27

Family

ID=2644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437A KR930004383B1 (ko) 1988-04-25 1989-04-25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930004383B1 (ko)
ES (1) ES2013905A6 (ko)
GB (1) GB2217826B (ko)
HK (1) HK36294A (ko)
MY (1) MY1049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15434T2 (de) * 1990-10-25 1996-05-30 Toshiba Kawasaki Kk Klimagerät
JP3063316B2 (ja) * 1991-11-15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TW299019U (en) * 1995-03-07 1997-02-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Indoor units of airconditioner
JPH11118202A (ja) * 1997-08-13 1999-04-30 Toshiba Corp スプリットエアコン
CN102109204B (zh) * 2011-03-23 2012-10-1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三管制热回收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29795A (en) * 1962-06-28 1966-05-18 Riello Condizionatori S P A D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ir conditioning units
SE309426B (ko) * 1965-09-14 1969-03-24 Stal Refrigeration Ab
US3677028A (en) * 1970-12-01 1972-07-18 Carrier Corp Refrigeration system
CA1023571A (en) * 1975-04-22 1978-01-03 Emhart Industries Refrigeration system
US4505129A (en) * 1982-04-30 1985-03-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lid air-conditioning machine
US4487031A (en) * 1983-10-11 1984-12-11 Carri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ressor capacity
US4697431A (en) * 1984-08-08 1987-10-06 Alsenz Richard H Refrigeration system having periodic flush cycles
AU576905B2 (en) * 1984-10-18 1988-09-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ntegral type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S61143662A (ja) * 1984-12-14 1986-07-01 サ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冷房冷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97A (ko) 1990-11-14
ES2013905A6 (es) 1990-06-01
GB2217826B (en) 1992-04-29
HK36294A (en) 1994-04-29
MY104902A (en) 1994-06-30
GB8909404D0 (en) 1989-06-14
GB2217826A (en)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835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20076029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2295951A (ja) 冷蔵庫用ダンパ装置およびこのダンパ装置を使用した冷蔵庫
KR20170086721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930004383B1 (ko) 공기조화장치
US5050398A (en) Ice making machine with remote vent
US4397157A (en) System for conditioning air of an internal space
JP2005114274A (ja) 空気調和機
JPH0933066A (ja) 空気調和機
JPH01296031A (ja) 空気調和装置
JPH022952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698910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JP2000213766A (ja) カセット型空気調和機および躯体蓄熱空調システム
JP2008137415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JPS5855056Y2 (ja) 車輛用空気調和装置
JP252699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459447B1 (ko) 욕실형 공기조화기
JP746004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758330B2 (ja) 躯体蓄熱空調システム
JPH0245726Y2 (ko)
JP2616308B2 (ja) 空気調和ユニット
JP2658526B2 (ja) 空気調和機
JPH08247534A (ja) 空気調和機
JP2780930B2 (ja) 外気処理設備
KR20030059888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