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578Y1 - 제도기용 필기 장치 - Google Patents

제도기용 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578Y1
KR930003578Y1 KR2019910003646U KR910003646U KR930003578Y1 KR 930003578 Y1 KR930003578 Y1 KR 930003578Y1 KR 2019910003646 U KR2019910003646 U KR 2019910003646U KR 910003646 U KR910003646 U KR 910003646U KR 930003578 Y1 KR930003578 Y1 KR 930003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chuck
pipe member
reservoi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626U (ko
Inventor
켄이치로오 이아이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6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5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8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 B43K21/10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the writing-cores fed by screws with separate writing-core remnants ejecting-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0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 B43L13/02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automatic
    • B43L13/024Drawing hea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도기용 필기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6도는 종래 기술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필기구 3 : 승강 기구
4 : 노커 5 : 케이싱
6 : 파이프 부재 7 : 슬리이브 부재
8 : 심 저장통 9 : 조절구
10, 30 : 스톱퍼 11, 28, 34, 38 : 압축 코일 스프링
20, 35 : 심 안내구 25 : 보유통
26 : 부싱 27 : 심 보유 부싱
29 : 척크 링 30 : 심 척크
31 : 강 구제 36 : 환형 공간
37 : 결합편 A, C : 심
본 고안은 제도기용 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심이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밀려나올 수 있고 충분한 제도 연필 누름 압력으로 제도 작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도기용 필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필 심을 자동적이고 순차적으로 밀어내기에 적합한 제도기용 필기 장치들이, 예컨대 일본국 특히 공고번호 소57-36879호 및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소57-519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도기용 필기 장치들에는 잔류 심을 매출하거나 제거하는 어떠한 특수 기구도 제공되어 있지 않으므로, 잔류심이 다음의 새로운 심에 의해 밀려날 수 없게 하도록 통상의 심 밀기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잔류심 배출 동작 자체가 귀찮고 오랜 시간을 요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 제도기용 필기 장치로서, 일본국 실용 신안 공개 공고 번호 소62-41585(국내 실용 신안 공고 번호89-4914호에 대응함)에 개시된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 필기 장치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선단부에 심 안내구(a)를 구비한 케이싱(b)이기부(c)상에 장착되며, 선단부 측에 단단하게 고정된 척크 링(d)을 지니는 파이프 부재(e)가 수직으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케이싱(b)내에 삽이되며, 선단부에 심 척크(f)가 제공된 심 저장통(g)이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파이프 부재(e)내에 삽입되며, 코일 스프링(h)이 심 척크(f)가 척크 링(d)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변형, 즉, 수축되는 위치로 심 척크를 편향시켜 유지하도록 심 저장통(g)과 척크 링(d) 사이에 설치되며, 기부(c)에는 파이프 부재(e)를 수직 이동시키는 승강 기구(i)와 심 저장통(g)의 상향 이동을 제어하는 스톱퍼(j)가 제공되어, 파이프 부재(e)가 승강 기구(i)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때에는 심이순차적으로 밀어내어 지고, 파이프 부재(e)가 심 저장통(g)이 스톱퍼(j)에 접하는 위치 너머로 이동될 때에는 심 척크(f)가 반경방향으로 확장하도록 변형되어 새로운 심이 심 저장통(g)으로 부터 떨어져 잔류심에 접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도가용 필기 장치에 있어서, 심을 밀어내는 작동이 심 척크(f)에 의해 보유된 심을 심 안내구(a) 밖으로 밀어내도록 파이프 부재(e)를 하강 시키는 작동과, 심이 심 안내구(a)에 의해 보유된 동안 심 척크(f)가 그 심을 놓도록 파이프 부재(e)를 상승시키는 작동에 의해 행해지므로, 심 척크(f)의 심 보유력을 증가시킨 경우, 즉,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코게 한 경우, 파이프 부재(e)가 윗쪽으로 이동하여도 심 척크(f)가 심을 놓지 않고 심을 보유한 채로 심과 함께 윗쪽으로 이동되어 심을 밀어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심 척크(f)의 심 보유력은 약간 약하게 설정된다.
또한, 심 가루가 심 척크(f)에 쌓이거나 또는 심의 직경이 소정치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도 작동이 행해질때 제도 용지상에 가해지는 제도 연필 누름 압력의 작용에 의해 심이 심 척크(f)에 대해 상방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게 되어 심 척크가 제도 연필에 충분히 누름 압력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도 연필이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밀려나올수 있고 충분한 제도 연필 누름 압력으로 제도 작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도기용 필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제도기용 필기 장치는 홀더로서 작용하는 기부에 단단하게 고정된 소정길이의 긴케이싱; 그 케이싱의 선단부에 단단하게 고정된 심 안내구;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케이싱의 타단부로부터 그 케이싱안에 삽입된 소정 기리의 긴 파이프 부재; 파이프 부재의 선단 부분에 내측에 고정된 척킁 링(chuck ring); 파이프 부재의 타단부측 부분의 외주면에 꼭 맞게 끼워져 그 표면에 고정되며 승강 기구에 연결된 슬리이브 부재; 선단부가 척크 링의 후단부에 대향하여 있고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파이프 부재의 탄단부로부터 그 파이프 부재 안으로 삽입되며, 선단부측 중앙에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심 삽입 구멍과 그 심 삽입 구멍으로부터 후단부 측까지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심 저장 공간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심 저장통; 선단측 부분이 척크 링과 협력하여 반경방향으로 변형, 즉,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도록 심 저장통의 선단부 부분에 고정되며, 심 저장통의 심 삽입구멍과 일치하여 중앙에 형성된 심 삽입 구멍을 가지는 심 척크; 평상시 심 저장통과 심 척크를 파이프 부재와 척크 링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후단부측으로 밀어붙이도록 척크링과 심 저장통 사이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 및 심 척크가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척크 링에 대해 후단부 측으로 밀어붙여질 때 상기 심 척크가 심을 단단하게 보유할 수 있도록 그 심 척크를 반경방향으로 변형, 즉, 수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조절구가 소정의 행정 만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심 저장통의 후단부에 끼워지고;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이 평상기 조절구를 심 저장통의 길이 방향 후단부측을 향해 밀어붙이도록 상기 조절구와 슬리이브 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노커(knocker)가 상기 조절구를 아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조절구 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양태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도기용 필기 장치는, 소정의 행정 만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심 저장통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절구와, 그 조절구를 소정의 행정을 지나 윗쪽으로 밀어붙이도록 조절구와 파이프 부재의 상단부 사이에 장착된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과, 조절구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노커를 포함하며, 제도 작동중에는 노커가 조절구로 부터 멀어지도록 윗쪽으로 이동되어 보조 압축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심 척크의 심 보유력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되는 한편, 심이 밀려나올때는 조절구가 노커에 의해 아랫쪽으로 이동되어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이 심 척크의 심 보유력으로 이용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제도기용 필기 장치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 제1도를 참조하면, 이 필기 장치는 원하는 방향으로 제도용지에 평행하게 이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동 가능한 홀더의 역할을 하는 기부(1)를 포함하며, 그 기부(1)상에는 필기구(2), 승강기구(3), 및 노커(knocker)(4)가 장착되어 있다. 필기구(2)는 원통형 케이싱(5)을 가지며, 그 케이싱(5)내에는 파이프 부재(6)가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케이싱(5)으로부터 돌출하는 파이프 부재(6)의 상부 부분의 외주에는 슬리이브 부재(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 부재(6)의 내측에는 심 저장통(8)이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심 저장통(8)의 상부 부분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의 조절구(9)가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심 저장통(8)의 최상단부의 내측에는 스톱퍼(10)가 고정적으로 끼워져 있다.
슬리이브 부재(7)와 조절구(9) 사이에는, 조절구(9)가 스톱퍼(10)에 접합때까지 그 조절구를 윗쪽으로 탄력적으로 밀어붙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11)이 설치된다. 스톱퍼(10)는 조절구(9)의 상부 요홈부(9a)내에 수용된다. 조절구(9)위에 배치된 전술한 노커(4)는, 예컨대 회전식 솔레노이드 또는 공기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케이싱(5)은 기부(1)에 고정된 홀더(12)를 통해 기부(1)에 의해 유지된다. 전술한 승강 기구(3)는,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슬리이브 부재(7)에 연결된 두 갈래진 부재이다.
다음, 필기구(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통형의 케이싱(5)의 선단부에는 심 안내구(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심 안내구는 그의 내부에 연속적이고 동심으로 형성된 대직경 구멍(22), 소직경 구멍(23) 및, 심 삽입구멍(24)을 가지고 있다. 보유통(25)이 대직경 구멍(22)내에 꼭 맞게 끼워져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부싱(26)이 보유통(25)과 소직경구멍(23) 모두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부싱(26)은 대직경의 상부 구멍(26a)을 가지며, 그 구멍(26a)안에는 고무로 만들어진 심보유 부싱(27)이 끼워진다. 심 보유 부싱(27)은 보유통(25)에 형성된 심 입구(25a)와 동심으로 형성된 구멍(27a)을 가지고 있다. 보유통(25)의 심 입구(25a)와 심 보유 부싱(27)의 구멍(27a)은 모두 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윗쪽으로 확대되어 벌어진 깔대기 형태로 되어 있다. 부싱(26)은 그 부싱이 보유통(25)의 상부 부분에 접하는 그의 상부 위치로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해 밀어붙어져 있고,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편향력에 거슬러 그의 하부 위치로 이동되어 소직경 구멍(23)의 바닥에 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케이싱(5)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 파이프 부재(6)의 하부 부분에는 내주면(29a)이 아랫쪽으로 확장되어 있는 형태인 척크 링(chuck ring)이 끼워져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심 척크(30)의 하부 부분의 외주 표면에 끼워진 강 구체들(31)이 척크 링(29)의 내주면(29a)에 압압 접촉되어 유지된다.
심 척크(30)는 그의 직경방향 변형, 즉 확장 및 수축이 허용되도록 그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 개방슬릿(32)을 갖는다. 심 척크(30)의 상부 부분은 파이프 부재(6)의 상부 부분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 원통형 심 저장통(8)의 저부(8a)에 끼워져 단단하게 고정된다. 심 저장통(8)의 저부(8a)에 천공된 심 삽임 구멍(33)이 심 척크(30)와 동심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척크 링(29)과 심 저장통(8)의 하단 표면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심 척크(30)는 압축 코일 스프링(34)과 상기한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척크 링(29)에 대해 윗쪽으로 밀어 붙여져 있다.
간단히 말해, 심 저장통(8)이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11)과 압축 코일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파이프 부재(6)에 대해 윗쪽으로 밀어붙여져 있으므로, 심 저장통(8)에 끼워져 단단하게 고정된 심 척크(30)는 파이프 부재(6)에 끼워져 단단하게 고정된 척크 링(29)에 대해 윗쪽으로 밀어 붙여져 있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강 구체들(31)이 척크 링(29)의 내주면(29a)에 강제로 접촉되어 심 척크(30)가 직경 방향으로 변형(즉, 수축)되어 심 척크의 심 보유력을 증가시켜 심을 단단하게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심 안내구(35)가 심 척크(30)의 상부분에 끼워져 보유통(25)에 형성된 심 입구(25a)쪽으로 연필심이 확실하게 떨어지게 하도록 심 삽입 구멍(33)에서 떨어지는 연필심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케이싱(5)은 작은 내경을 가지는 하부 부분(5a)과 큰 내경을 가지는 상부 부분(5b)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부재이다. 파이프 부재(6)의 하부 부분(5a)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며, 대직경의 상부 부분(5b)과 파이프 부재(6)사이에는 환형 공간(36)이 형성된다.
이 환형 공간(36)에는 파이프 부재(6)의 대략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단단하게 고정된 링 형태의 결합편(37)이 환형 공간(36)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결합편(37)은 대직경의 상부 부분(5b)의 개방단부에 강제로 끼워지거나 나사식으로 끼워짐으로써 단단하게 고정된 링 형태의 스톱퍼(39)에 접하도록 압축 코일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윗쪽으로 밀어붙여져 있다. 그리하여 케이싱(5)으로부터 돌출하는 파이프 부재(6)의 외주면에 단단하게 고저된 슬리이브 부재(7)가 항상 소정의 고정 위치에 있을 수 있게 그 슬리이브 부재(7)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리이브 부재 위치 유지 기구가 제공된다.
다음, 상기한 필기 장치의 작동을 아래에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도 작동중, 노커(4)는 조절구(9)로부터 멀리 윗쪽으로 이동되며, 기부(1)는 심(A)이 제도용지(B)에 압입되도록 제도용지(B)를 향해 이동된다. 기호 C;는 예비심을 나타낸다.
동시에 심 척크(30)가 압축 코일 스프링(34)과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척크 링(29)에 대해 상방으로 밀어붙여져 있기 때문에, 심 척크(30)의 심 보유력이 증가되므로, 제도 작동이 수행될때 발생하는 제도 연필 누름 압력에 기인하여 심(A)이 심 척크(30)에 대해 윗쪽으로 미끄럼 이동됨이 없이 충분한 제도 연필 누름 압력이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심을 밀어내는 작동이 수행되어야 할 때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커(4)가 아래로 이동되어 조절구(9)를 파이프 부재(6)에 대해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조절구(9)가 스톱퍼(10)로 스톱퍼(10)로 부터 떨어져 유지되게 한다.
따라서,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11)의 탄성력이 조절구(9)를 통해 노커(4)엔 의해 지지되고 심 저장통(8)에 발휘되지 못하게 되므로, 심 척크(30)가 압축 코일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서만 척크 링(29)에 대한 윗쪽으로 밀어붙여지게 된다. 그 결과, 심 척크(30)의 심 보유력이 상기 한 동작이 수행될 때 보다 약하게 되므로, 슬리이브 부재(7)를 통하여 승강 기구(3)에 의해 파이프 부재(6)를 소정의 행정 만큼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심(A)이 아래로 밀어 내어질 수 있게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예비심(C)을 보충하거나 공급해야 할 때에는 노커(4)가 더욱 아래로 이동되어 스톱퍼(10)를 아래로 누름으로써 심 저장통(8)을 파이프 부재(6)에 대해 아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인해 심 척크(30)가 척크 링(29)에 대하여 아랫쪽으로 이동되게 되어 척크 링(29)의 내주면(29a)으로부터 강 구체들(31)을 분리시킴으로써 심 척크(30)가 확장되게 한다. 그 결과, 심 저장통(8)내 예비심(C)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잔류심(A´)의 상단부에 접할때까지 하강하게 되어 잔류심(A)을 축출함으로써 예비심(C)에 의한 제도 작동이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결합편(37), 압축 코일 스프링(38) 및 스톱퍼(39)가 제공되어 있지만,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사실예에서는, 그러한 구성 요소들이 생략될 수 있다.
위에 상세히 설명되었듯이, 본 고안에 따라서는, 제도 작동이 이루어질때, 노커(4)가 조절구(9)로부터 멀리 윗쪽으로 이동되므로 심 저장통(8)에 고정된 심 척크(30)가 압축 코일 스프링(34)과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파이프 부재(6)에 고정된 척크 링(29)에 대해서 윗쪽으로 밀어붙여지게되어 심 척크(30)의 심 보유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제도 작동 중 충분한 제도 연필 누름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심을 밀어야 할 때에는 노커(4)가 아래로 이동되어 조절구(9)를 심 척크(30)를 향하여 이동시키므로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11)의 탄성력이 노커(4)에 의해 지지되게 되어 심 척크(30)에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심 척크(30)의 심 보유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심이 파이프 부재(6)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바깥으로 밀어 내어지게 된다.

Claims (2)

  1. 홀더로서 기능하는 기부(1)에 고정된 소정길이의 긴 케이싱(5); 그 케이싱의 선단부에 고정된 심 안내구(20);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5)의 타단부로 부터 그 케이싱내에 삽입된 소정 길이의 긴 파이프 부재(6); 그 파이프 부재의 선단 부분의 내측에 고정된 척크 링(29); 상기 파이프 부재(6)의 타단부측 부분의 외주면에 꼭 맞게 끼워져 그 표면에 고정되며 승강 기구(3)에 연결된 슬리이브 부재(7); 선단부가 상기 척크 링(29)의 후단부에 대향하여 있고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부재(6)의 타단부로 부터 그 파이프 부재안으로 삽입되며, 선단부측 중앙에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심삽입 구멍(33)과 그 심 삽입 구멍(33)으로 부터 후단부측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심 저장 공간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심 저장통(8); 선단측 부분이 상기 척크 링(29)과 협동하여 반경방향으로 변형, 즉,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도록 상기 심 저장통의 선단부 부분에 고정되며 심 저장통의 심 삽입 구멍(33)과 일치하여 중앙에 형성된 심 삽입 구멍을 가지는 심 척크(30); 평상시 상기 심 저장통(8)과 상기 심 척크(30)를 파이프 부재(6) 및 상기 척크 링(29)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후단부측으로 밀어 붙이도록 상기 척크 링과 상기 심 저장통 사이에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34) 및; 상기 심 척크(30)가 압축 코일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척크 링에 대하여 후단부측으로 밀어붙여질 때 상기 심 척크가 심을 단단하게 보유할 수 있도록 그 심 척크를 반경방향으로 변형, 즉, 수축시키는 수단(31)을 포함하는 제도기용 필기 장치에 있어서, 조절구(9)가, 소정의 행정 만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심 저장통(8)의 후단부에 끼워지고; 보조 압축 코일 스프링(11)이, 평상기 상기 조절구(9)를 상기 심 저장통(8)의 길이방향 후단부 쪽으로 밀어 붙이도록 상기 조절구와 상기 슬리이브 부재(7) 사이에 배치되며; 노커(4)가, 상기 조절구(9)를 아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조절구 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기용 필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5)의 내주면은 그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계단진 부분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작은 직경의 선단부측 부분(5a)과 큰 직경의 후단부측 부분(5b)으로 나뉘어지고, 작은 직경 부분(5a)에는 상기 파이프 부재(6)의 선단 부분이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큰 직경 부분(5b)의 내주면과 상기 파이프 부재(6)의 외주면 사이에는 환형 공간(36)이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부재의 대략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파이프 부재와 함께 환형 공간(36)내에서 파이프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배치된 링 형태의 결합편(37)과, 상기 환형 공간을 막도록 상기 큰 직경 부분(5b)의 개방 단부에 고정된 스톱퍼(39) 및, 상기 링 형태의 결합편(37)을 상기 스톱퍼(39)에 접하도록 밀어붙이기 위해 상기 케이싱(5)에 형성된 상기 계단진부분과 상기 결합편(37) 사이에 배치된 압축 코일 스프링(38)으로 이루어진 슬리이브 부재 위치 유지 기구가 상기 환형 공간(36)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도기용 필기 장치.
KR2019910003646U 1990-03-20 1991-03-19 제도기용 필기 장치 KR9300035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27625 1990-03-20
JP1990027625U JPH03118692U (ko) 1990-03-20 1990-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626U KR910016626U (ko) 1991-10-26
KR930003578Y1 true KR930003578Y1 (ko) 1993-06-19

Family

ID=1222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646U KR930003578Y1 (ko) 1990-03-20 1991-03-19 제도기용 필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50525A (ko)
EP (1) EP0448377B1 (ko)
JP (1) JPH03118692U (ko)
KR (1) KR930003578Y1 (ko)
CA (1) CA2038247C (ko)
DE (1) DE69102916T2 (ko)
HK (1) HK1038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7799B2 (ja) * 1990-08-28 1999-02-17 武藤工業 株式会社 プロッタにおける自動給芯装置
US5571322A (en) * 1995-06-13 1996-11-05 China Textile Institute Pencil marking device for clipped cloth
US8721944B2 (en) * 2010-12-27 2014-05-13 Crani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rking a three-dimensional surface
KR200489623Y1 (ko) * 2017-11-27 2019-07-12 주식회사 엑시옴 휀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5640A (en) * 1966-03-30 1967-10-03 Robert H Sicking Mechanical pencil for automatic data plotting equipment
JPS5114424A (en) * 1974-07-26 1976-02-04 Seiko Instr & Electronics Jidoseizukitono penshirusochi
DE2729320C2 (de) * 1977-06-29 1982-07-22 Fa. A.W. Faber-Castell, 8504 Stein Füllminenstift mit durch den Schreibdruck bewirktem, automatischem Vorschub der Mine
US4346392A (en) * 1979-04-12 1982-08-24 Mutoh Industry Ltd. Plotting head for use in drawing machine
JPS575193A (en) * 1980-06-13 1982-01-11 Tanaka Denki Kouonshitsu Kk Warning device
JPS5736879A (en) * 1980-08-15 1982-02-27 Hitachi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DE3125441C2 (de) * 1981-06-27 1983-07-07 Fa. A.W. Faber-Castell, 8504 Stein Füllminenstift mit automatischem Minenvorschub und Nachschub der Folgemine
JPS6241585A (ja) * 1985-08-14 1987-02-23 Hitachi Ltd 復水器脱気装置
US4704797A (en) * 1985-08-30 1987-11-10 Yoshida Kogyo K.K. Drawing device for use in a drafting machine and a drawing pencil used therewith
US4705419A (en) * 1985-11-19 1987-11-10 Nicolet Instrument Corporation Mechanical pencil with automatic lead advance
US4905016A (en) * 1987-08-21 1990-02-27 Graphtec Kabushiki Kaisha Recorder with a pencil pen and method therefor
ES2011099A6 (es) * 1988-07-01 1989-12-16 Investronica Sa Sistema de accionamiento de utiles de marcado para una maquina de dibujo o similar.
JPH0744749B2 (ja) * 1988-08-16 1995-05-15 郁夫 陶山 筒型音響変成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626U (ko) 1991-10-26
DE69102916T2 (de) 1995-04-06
EP0448377B1 (en) 1994-07-20
CA2038247C (en) 1993-11-09
JPH03118692U (ko) 1991-12-06
EP0448377A1 (en) 1991-09-25
US5150525A (en) 1992-09-29
DE69102916D1 (de) 1994-08-25
HK103897A (en) 1997-08-15
CA2038247A1 (en) 199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1893A1 (en) Writing instrument
KR930003578Y1 (ko) 제도기용 필기 장치
US4538934A (en) Automatic lead advancing mechanism for a mechanical pencil
US50563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ipping a workpiece from a supporting device
EP0709233A1 (en) Slider for mechanical pencil
EP1325818B1 (en)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US5509743A (en) Cartridge for automatic pencil
JPS6114825A (ja) 供給・組み込み用チヤツク
US2561113A (en) Gravity and inertia fed pencil
JPH0425360Y2 (ko)
JPH0357514Y2 (ko)
US5882132A (en) Side knock-type mechanical pencil
JPH07290880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S5842151Y2 (ja) シヤ−プペンシル
CN219027218U (zh) 取料笔
JPH0615720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H0340638Y2 (ko)
JPS591839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880003397Y1 (ko) 샤아프 펜슬
KR890004914Y1 (ko) 제도기용 필기장치
KR970003358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JPH0214474Y2 (ko)
JPH0518064Y2 (ko)
JPH0123320B2 (ko)
JP2570684Y2 (ja) プロッタ用ペンシルツ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