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19Y1 - 한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19Y1
KR930003119Y1 KR2019870023522U KR870023522U KR930003119Y1 KR 930003119 Y1 KR930003119 Y1 KR 930003119Y1 KR 2019870023522 U KR2019870023522 U KR 2019870023522U KR 870023522 U KR870023522 U KR 870023522U KR 930003119 Y1 KR930003119 Y1 KR 930003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l
initial
neutral
ram
hang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3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271U (ko
Inventor
박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23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119Y1/ko
Publication of KR890014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2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19Y1/ko

Links

Landscapes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글 표시장치
제1도는 종래의 조합형 코드의 한글표시장치.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한글 표시장치.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KSC 5601-82의 한글 16비트 조합형 한글 자모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IBM에서 사용하는 한글 16비트 조합형 자모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한글 코드 매핑램의 초기치 설정흐름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초성, 중성 및 종성 매핑램의 초기치 설정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성래치 2 : 중성래치
3 : 종성래치 4 : 초성 어드레스 멀티플렉서
5 : 중성 어드레스 멀티플렉서 6 : 종성어드레스 멀티플렉서
7 : 초성 매핑 램 8 : 중성 매핑 램
9 : 종성 매핑 램 10 : 초성 글자발생기
11 : 중성 글자발생기 12 : 종성 글자발생기
13 : 뱅크 선택기 14 : 3입력 OR 게이트
15 : 시프트 레지스터
본 고안은 동일 장치내에 다수의 한글 조합형 코드를 장치의 변경없이 표시하기 위한 한글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한글 조합형 코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CPU) 및 CRT 제어기(CRTC)에 의하여 입력되는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어드레스 멀티플렉서(MUX)에 입력되어 그 출력이 스크린 램(SCREEN RAM)에 표시하려는 글자 코드들이 제3도 및 제4도로서 쓰여지면, CRT 제어기(CRTC)에서 스크린 램(SCREEN RAM)의 내용을 한글자마다 초성래치(LATCH), (1), 중성래치(2), 종성래치(3)에 쓰여지게 함으로써 초성글자 발생기(4), 중성글자 발생기(5), 종성 글자발생기(6)를 통하여 한글 글자 모양을 OR 게이트(7)을 통해 시프트 레지스터(8)에 적재하면 CRT 제어기(CRTC)에서 발생하는 도트(dot)클럭에 의해 비데오 신호를 출력하여 한글 글자를 표시하게 된다.
즉, 한가지의 한글 코드만을 표시하므로 해서 다른 종류의 한글 코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장치를 만들어 필요에 따라 각각의 장치를 여러개 준비하여 설치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 장치내에 다수의 한글 조합형 코드를 필요에 따라 쉽게 표시할수 있는 한글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한글 조합형 코드를 적재한 중앙처리장치(CPU)와 CRT 제어기(CRTC)에 의하여 입력되는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어드레스 멀티플렉스(MUX)와 스크린 램(SCREEN RAM)에 표시하려는 한글코드가 쓰여지고, 상기 스크린 램(SCREEN RAM)에 연결된 초성 래치(1), 중성래치(2) 및 종성래치(3)의 각 출력이 뱅크(BANK) 선택기(13)와 초성어드레스 멀티 플렉서(4), 중성어드레스 멀티플렉스(5) 및 종성 어드레스 멀티플렉스(6)에 연결되며, 그 출력이 뱅크 선택기(13)에서 각각 선택되어진 한글 조합형 코드가 초성 매핑램(7), 중성 매핑램(8) 및 종성 매핑램(9)에 입력되어 그 출력이 초성 글자 발생기(10), 중성 글자발생기(11) 및 종성 글자 발생기(12)를 통하여 한글 모양이 형성되고, 상기 글자발생기에 연결된 3입력 OR 게이트(14)를 통하여 시프트 레지스터(15)에서 비데오 신호가 모니터로 출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수의 한글 조합형 코드인 IBM에서 사용되는 한글 16비트 조합형 한글 자모표와 KSC 5601-82의 한글 16비트 조합형 자모표를 표시하기 위하여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성매핑 램(7), 중성 매핑 램(8) 및 종성 매핑 램(9)을 뱅크 선택기(13)로 선택하여 원하는 한글코드를 중앙처리장치(CPU)에 적재하여 스크린 램(SCREEN RAM)에 내용을 초성래치(1), 중성래치(2) 및 종성래치(3)에 입력된다.
또한 각 래치들의 출력이 뱅크선택기(13)와 함께 연결된 초성 어드레스 멀티플렉서(4), 중성 어드레스 멀티플렉서(5) 및 종성 어드레스 멀티플렉서(6)를 통해 초성 매핑 램(7), 중성 매핑 램(8) 및 종성 매핑 램(9)의 어드레스에 입력되면 각 매핑 램의 내용에 따라 코드가 변환되고, 그 출력이 변환코드로서 초성글자 발생기(10), 중성글자 발생기(11) 및 종성글자 발생기(12)를 통하여 한글 모양이 형성되어 3입력 OR 게이트(14)를 거쳐 시프트 레지스터(15)에 적재되면 CRT 제어기(CRTC)에서 발생하는 모든 클럭에 의하여 비데오 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하여 한글 글자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제5도에서는 한글 코드 매핑램의 초기치 설정 흐름에 대해 나타낸 것으로, CRT 제어기(CRTC)의 값을 초기화 시킨 후에 원하는 한글 코드를 선택하고 (단계 100), 그 선택되어진 한글 코드에 따라 각각 #1, #2, #3 뱅크를 선택하여 제6도의 초성매핑 램(7), 중성 매핑 램(8) 및 종성 매핑 램(9)의 초기치 설정예에 따라 그 내용을 초기화 시킨다. (단계 101~103).
즉, 뱅크 선택기(13)를 중앙 처리장치(CPU)의 어드레스로 선택한 후에 초성 매핑 램(7), 중성 매핑 램(8) 및 종성 매핑 램(9)에는 중앙처리장치(CPU)의 어드레스가 각각 전달되고, 초성 매핑 램(7), 중성 매핑 램(8) 및 종성 매핑 램(9)을 기록하여 인에이블(enable)시키면 중앙처리장치(CPU)에서는 각각 초성 매핑 램(7), 중성 매핑 램(8) 및 종성 매핑 램(9)에서 원하는 초성자음, 중성자음 및 종성자음의 값을 적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성, 중성 및 종성 매핑램을 초기화 시킨후에 스크린 램(SCREEN RAM)에 한글 코드를 써주면 CRT 제어기(CRTC)에 의해 스크린 램(SCREEN RAM)에 나타나게 되고, 상기 스크린 램(SCREEN RAM)의 데이터 입출력에 한글 코드가 나타나 초성래치(1), 중성래치(2) 및 종성래치(3)를 통해 초성어드레스 멀티플렉서(4), 중성 어드레스 멀티플렉서(5) 및 종성어드레스 멀티 플렉서(6)에 나타나고, 초성매핑 램(7), 중성 매핑 램(8) 및 종성 매핑 램(9)에서 한글코드를 변환시켜 초성글자 발생기(10), 중성글자 발생기(11) 및 종성글자 발생기(12)에서 글자 모양을 나타내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 한글 코드가 고정되어 있어 다른 한글 코드를 사용하려면 새로운 장치를 만들어서 기존의 장치에 대치해야만 했으나, 본 고안은 초성매핑 램, 중성매핑 램 및 종성 매핑 램에 원하는 한글 코드를 초기에 적재한 후에 사용하면 한글 코드의 변환을 쉽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CRTC와, 어드레스 멀티플렉서와, 스크린램과, 데이타버퍼와 초성래치, 중성래치 및 종성래치와 초성글자 발생기, 중성글자 발생기 및 종성글자 발생기와, OR 게이트와, 시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진 한글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버퍼와 연결되어 한글코드의 뱅크(#1, #2, #3)를 선택하는 뱅크선택기(13)와, 상기 어드레스 멀티플렉서와 상기 스크린램을 통해 입력된 상기 초성래치(1), 중성래치(2) 및 종성래치(3)의 출력이 상기 뱅크선택기(13)와 함께 입력되는 초성어드레스 멀티플렉서(4), 중성어드레스 멀티플렉서(5) 및 종성어드레스 멀티플렉서(6)와, 상기 초성, 중성 및 종성 어드레스 멀티플렉서의 출력과 상기 뱅크선택기에서 선택된 한글조합형 코드가 입력되고, 상기 초성, 중성 및 종성 글자 발생기에 출력하도록 연결된 초성 매핑램(7), 중성 매핑램(8) 및 종성 매핑램(9)으로 이루어지고, 선택된 한글 조합형 코드에 따라 상기 초성매핑램(7), 중성 매핑램(8) 및 종성 매핌램(9)의 내용으로 코드가 변환되고 출력되어 다수의 한글코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표시 장치.
KR2019870023522U 1987-12-29 1987-12-29 한글 표시장치 KR930003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522U KR930003119Y1 (ko) 1987-12-29 1987-12-29 한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3522U KR930003119Y1 (ko) 1987-12-29 1987-12-29 한글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71U KR890014271U (ko) 1989-08-10
KR930003119Y1 true KR930003119Y1 (ko) 1993-05-27

Family

ID=1927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3522U KR930003119Y1 (ko) 1987-12-29 1987-12-29 한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1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313A (ko) * 1997-05-03 1998-12-05 윤종용 한글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271U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9306A (en) Addressing system for a multiple language character generator
US4586156A (en) Word processing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full character and layout mode
US4903013A (en) Display system for plural display areas on one screen
JPH0570832B2 (ko)
KR930003119Y1 (ko) 한글 표시장치
US4755814A (en) Attribu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5774108A (en) Processing system with display screen scrolling
JPS58159578A (ja) 表示装置
US4931958A (en) Display system with fewer display memory chips
JPS649635B2 (ko)
KR890002284B1 (ko)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KR870001797Y1 (ko) 음극선관 단말기의 문자 크기 확대장치
KR910001562B1 (ko) 한글문자 입력표시 처리방식
KR100213003B1 (ko) 문자확대장치
KR880002118B1 (ko) 문자처리장치
JPH0610393Y2 (ja) キヤラクタデイスプレイ装置におけるカ−ソル幅制御回路
JPS587997B2 (ja) ズケイシンゴウハツセイソウチ
KR890002035Y1 (ko) 표시(display) 제어장치
KR920010444B1 (ko) 문자표시 시스템
KR940005438B1 (ko) 한글조합형 코드 변환회로
KR900003231B1 (ko) 씨알티(crt) 제어회로
JPS6134154B2 (ko)
KR930004903Y1 (ko) 한글 제2바이트신호 표시시간 제어회로
JPS6245224Y2 (ko)
KR890003230Y1 (ko) Crt 표시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