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284B1 -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284B1
KR890002284B1 KR1019850008827A KR850008827A KR890002284B1 KR 890002284 B1 KR890002284 B1 KR 890002284B1 KR 1019850008827 A KR1019850008827 A KR 1019850008827A KR 850008827 A KR850008827 A KR 850008827A KR 890002284 B1 KR890002284 B1 KR 89000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hangul
code
bits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297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284B1/ko
Publication of KR87000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제1도는 한글문자 형태를 분류한 표시도.
제2도는 종래의 3바이트식 조합형 한글표시 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종래의 2바이트식 완성형 한글표시장치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2바이트식 조합형 한글문자코드 변환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성표시버퍼 2 : 중성표시버퍼
3 : 종성표시버퍼 4 및 13 : 초성문자발생기
5 및 14 : 중성문자발생기 6 및 15 : 종성문자 발생기
7,16 및 17 : 쉬프트 레지스터 8,8,11 및 12 : 표시버퍼
10 : 문자발생기 18 : 제어회로
본 발명은 한글 문자코드 변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버퍼(비데오램)에서 출력되는 소정수의 비트신호를 조합하여 일정한 제어신호를 만든다음 이 제어신호에 의해 초성, 중성, 종성의 문자를 발생시키는 문자 발생기의 문자형태(영상코드신호)가 변화되도록한 한글문자코드 변환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문자를 영상화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서에서 한글의 한자음(一字音)(또는 모음)을 8비트로 코드화하는데 5비트는 한글의 자음(또는 모음)을 나타내기위함이고 나머지 3비트는 자음(또는 모음)의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형상 신호이다. 따라서 한글의 한글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초성, 중성, 종성이 필요하므로 초성 8비트 중성 8비트, 종성 8비트 총 24비트가 소요되는데, 8비트를 1바이트로 하면 24비트는 3바이트가 된다.
즉 종래에는 상기 한글코드신호(5비트) 및 문자형상신호(3비트)를 프로세서에서 생성하여 표시버퍼 및 문자발생기를 경유하여 음극선관(CRT)이나 도트 메트릭스 프린터에 표시하였으므로 상기 프로세서의 프로그램이 복잡하고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자형상 신호를 새로운 방법으로 생성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간단하게하고 처리시간을 극소화시키며 표시버퍼의 용량을 최소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세서에서 생성되는 한글코드 신호중 소정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문자형상 신호를 생성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한글문자 형태를 가장 단순하게 분류한 표시도로서 초성 "ㄱ"자의 형상이 받침의 유무와 모음종류에 따라 변화됨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한 형태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3바이트식 조합형 한글표시장치의 블럭도로서, 프로세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된 초성 8비트, 중성 8비트 및 종성 8비트 한글코드 신호가 표시버퍼(1 내지 3)에 각기 기억되고, 이 기억된 상기 코드신호들은 음극선과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의해 초성문자 발생기(4), 중성문자 발생기(5) 및 종성문자 발생기(6)에 각기 입력되는데 상기 문자발생기(4) 내지 (6)에는 한글문자 코드에 해당되는 영상코드들이 기억되어 있어 상기 초성 8비트, 중성 8비트, 종성 8비트의 한글코드에 해당하는 영상코드 신호가 상기 문자발생기에서 출력되어 OR논리게이트 G에서 초성, 중성, 종성의 영상코드신호를 각기 논리합하여 8선으로 출력(병렬출력)시킬 수 있고 상기 8비트 신호를 쉬프트 레지시터(7)를 경유시켜 1선으로 출력(직렬출력)할 수 있다.
제3도는 종래의 2바이트식 완성형 한글표시장치의 블럭도로서, 제2도와 달리 프로세서로부터 16비트 한글코드신호가 표시버퍼(8 및 9)에 8비트씩 각기 입력되어 기억되고 음극선관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표시버퍼(8 및 9)에 입력된 한글코드 신호가 문자발생기(10)에 입력되는데, 이 문자 발생기(10)에는 한글문자코드에 해당되는 영상코드 신호가 기억되어 있어 상기 표시버퍼(8 및 9)에서 출력되는 각 8비트 신호 즉 16비트 한글코드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코드 신호가 8비트씩 2번 출력(병렬출력)되거나 상기 비트영상코드 신호를 쉬프트 레지스터(17)를 경유시켜 1선으로 출력(직렬출력)된다. 그런데 상기 문자발생기(10)에서 8비트씩 두번 출력하는 이유는 상기 문자발생기(10)의 출력단은 8비트인데 한글 한문자의 폭은 16비트이기 때문에, 글자의 형상은 상기 문자발생기 자체에 결정된다.
제2도와 제3도의 차이점은 제2도의 한글문자의 형상이 프로세서에서 결정되는 반면 제3도의 한글문자의 형상이 문자발생기(10)에 의해 결정되는 점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2바이트식 조합형 한글문자코드 변환장치의 블럭도로서, 프로세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16비트 한글코드 신호가 표시버퍼(11 및 12)에 8비트씩 각기 입력되도록 접속되어 상기 한글코드 신호가 상기 표시버퍼(11 및 12)에 입력되면 상기 표시버퍼(11 및 12)는 상기 한글코드 신호를 기억한후 음극선관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제어신호에 의해 초성문자 발생기(13), 중성문자 발생기(14), 종성문자 발생기(15) 및 제어회로(18)에 상기 표시버퍼(11 및 12)에 기억된 한글코드 신호가 소정수의 비트로 각기 입력되도록 접속되는데, 상기 표시버퍼(11)의 8비트 한글코드 신호중 1비트는 한글이라는 것을 표시하여 주는 비트로서 예를들어 "1"이면 한글 "0"이면 영문을 뜻하게 된다. 또한 5비트는 초성문자 발생기(13) 및 문자의 형상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회로(18)에 입력되고 나머지 2비트는 중성문자 발생기(14) 및 상기 제어회로(18)에 입력된다.
한편, 상기 표시버퍼(12)의 8비트 한글코드 신호중 3비트는 상기 중성문자 발생기(14) 및 상기 제어회로(18)에 각기 인가되고 나머지 5비트는 종성문자 발생기(15) 및 상기 제어회로(18)에 각기 인가되는데, 최상위 5비트는 초성문자코드, 다음 5비트는 중성문자코드 최하위 5비트는 종성문자코드를 의미하여 상기 제어회로(18)에서는 상기 표시버퍼(11 및 12)에서 인가되는 한글코드 신호를 조합한 다음 소정의 제어신호 tx를 생성하여 이 tx신호를 상기 초성문자 발생기(13), 중성문자발생기(14) 및 종성문자 발생기(15)에 각기 공급하는데, 상기 제어회로(18)에서는 중성문자코드 및 종성문자코드에 따라 초성의 모양, 상기 초성 문자코드 및 종성문자코드에 따라 중성의 모양과 초성문자코드 및 중성문자코드에 따라 종성의 모양이 각기 결정되도록 소정의 논리신호 tx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문자발생기(13 내지 15)에서는 상기 표시버퍼(11 및 12) 및 제어회로(18)에 의해 공급된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OR논리게이트 G에서 각 영상코드 신호들을 논리적으로 합하여 8개선으로 출력(병렬출력)시키거나 병렬데이타를 직렬데이타로 변환시켜주는 쉬프트레지스터(16)를 경유하여 1선으로 출력(직렬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바이트식 조합형 한글문자 코드 변환장치는 소정의 제어신호 tx의 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글씨체를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처리속도가 보다 신속할 뿐아니라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로세서로부터의 문자코드를 저장하는 표시버퍼와 문자영상 신호를 발생시키는 문자발생기로 구성되는 한글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버퍼(11 및 12)로부터 접속되어 문자의 모양을 결정해주도록 소정수의 논리제어 신호 tx를 발생하는 제어회로(18)와, 상기 표시버퍼(11) 및 제어회로(18)로부터 접속되어 초성영상문자를 발생시키는 초성문자발생기(13)와, 상기 표시버퍼(11 및 12) 및 제어회로(18)로부터 접속되어 중성영상문자를 발생시키는 중성문자발생기(14)와, 상기 표시버퍼(12) 및 제어회로(18)로부터 접속되어 종성영상문자를 발생시키는 종성문자발생기(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문자코드 변환장치.
KR1019850008827A 1985-11-26 1985-11-26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KR89000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827A KR890002284B1 (ko) 1985-11-26 1985-11-26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8827A KR890002284B1 (ko) 1985-11-26 1985-11-26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297A KR870005297A (ko) 1987-06-08
KR890002284B1 true KR890002284B1 (ko) 1989-06-27

Family

ID=1924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827A KR890002284B1 (ko) 1985-11-26 1985-11-26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2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297A (ko) 198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0697A (en) Method of line buffer loading for a symbol generator
KR880008124A (ko) 한문자(漢文字)를 선택, 기억 및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US460471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text characters whose form depends on adjacency of other characters
KR890002284B1 (ko) 한글문자 코드변환 장치
US5777684A (en) Minimization of memory for teletext data
KR880002118B1 (ko) 문자처리장치
EP0200389A2 (en) Proofreading/correction apparatus
GB1419048A (en) Data handl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interrelated character generators
KR840001497B1 (ko) 단일코드에 의한 한글 정보처리 방법
US4931958A (en) Display system with fewer display memory chips
KR870001230B1 (ko) 하드웨어 문자발생에 의한 한글, 영문자 크기의 가변장치
KR930003119Y1 (ko) 한글 표시장치
KR890004056B1 (ko) 한글문자 디스플레이를 위한 모드변환 방법 및 회로
GB2171279A (en) English and Chinese characters:- video signal generation
KR940005438B1 (ko) 한글조합형 코드 변환회로
KR920010444B1 (ko) 문자표시 시스템
KR910000785B1 (ko) 2바이트 완성형 한글방식의 패턴 롬 채용 텔레텍스트
JPS587997B2 (ja) ズケイシンゴウハツセイソウチ
KR880001215B1 (ko) 한글 및 영문 표시장치
KR930005846B1 (ko) 비디오 콘트롤 회로
KR840000051B1 (ko) 한글출력장치
KR890001794B1 (ko) 코드 중복 사용 디스플레이 회로
KR910001562B1 (ko) 한글문자 입력표시 처리방식
JPH02244376A (ja) ユニバーサル言語デイスプレイ・システム
KR820002161Y1 (ko) 한.영문 겸용 CRT(Cathode Ray Tube) 단말장치에 있어서 한글문자의 2-바이트화면 정보 인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