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231B1 - 씨알티(crt)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씨알티(crt)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231B1
KR900003231B1 KR1019870009522A KR870009522A KR900003231B1 KR 900003231 B1 KR900003231 B1 KR 900003231B1 KR 1019870009522 A KR1019870009522 A KR 1019870009522A KR 870009522 A KR870009522 A KR 870009522A KR 900003231 B1 KR900003231 B1 KR 90000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gate
m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557A (ko
Inventor
김주은
주현오
김태수
김정희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하인츠 디터 케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하인츠 디터 케루트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231B1/ko
Publication of KR89000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5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씨알티(CRT) 제어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씨알티 제어회로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모드선택부의 회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팔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 4 도 내지 제 6 도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보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장치 2 : 씨알티콘트롤러
3 : 멀티플렉서 4 : 스크린버퍼메모리
5 : 래치 6 : 캐랙터코드래치
7 : 폰트롬 8 : 병렬/직렬변환기
9 : 모니터 10 : 모드선택부
11 : 팔회로 12, 13 : 카운터
14, 16 : 낸드게이트 15 : 플립플롭
111, 116 : 오아게이트 112 : 인버터
113, 114 : 앤드게이트 115, 117 : 노아게이트
본 발명은 씨알티(CRT)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 또는 수자를 필요에 따라 전각, 3/4각, 반각으로 씨알티에 표시할 수 있게한 씨알티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텍스(Teletex)에는 영문만을 표기하는 피씨(PC)모드 및 한글, 한자, 영문표기가 가능한 티티엑스(TTX)모드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씨알티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한글과 한자는 전각(24dot×24dot)으로 표시하고, 수자와 영문자는 일반칩을 사용하여 반각(12dot×24dot)으로 표시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프린터에서는 통상 수자 또는 영문자를 3/4각으로 인자하게 되어 있으므로 씨알티상에 표시되는 문자의 길이와 프린터로 인자되는 문자의 길이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문자편집이 어렵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글 및 한자는 전각으로 표시되고, 영문자 및 수자는
Figure kpo00001
각 또는 반각으로 표시되게 하여 씨알티상에 표시되는 문자의 길이와 프린터로 인자되는 문자의 길이가 일치될 수 있도록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씨알티 제어회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 및 씨알티콘트롤러(2), 멀티플렉서(3), 스크린버퍼메모리(4), 래치(5), 캐랙터코드 래치(6), 폰트(Font)롬(7), 병렬/직렬변환기(8), 모니터(9)로된 씨알티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씨알티콘트롤러(2)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인에이블신호(DISPEN) 및 상기 캐랙터모드래치(6)에서 출력되는 모드특성비트신호(M0, M1), 피씨/티티엑스모드신호
Figure kpo00002
를 조합하여 상기 병렬/직렬 변환기(8)에 로드래치신호
Figure kpo00003
를 인가하게 모드선택부(10)를 연결구성한 것이다.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의 모드선택부(10)의 상세블록도이고, 제 3 도는 제 2 도의 팔(PAL)회로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트클럭신호(dck)가 클럭단자(CLK)에 인가되게 한 카운터(13)의 입력단자(A, C)를 전원단자(Vcc)에 접속하고 입력단자(B, D)를 접지하여 그의 출력단자(QB),(QD)를 낸드게이트(16)의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낸드게이트(14)를 통하여 그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04
에 접속하며, 이 카운터(13)의 출력단자(QC)를 카운터(12)의 클럭단자(CLK) 및 플립플롭(15)의 클럭단자(CLK)에 공통접속한다. 또, 피씨/티티엑스모드신호
Figure kpo00005
가 앤드게이트(113), (114)의 입력단자에 공통인가되게 접속하고, 모드특성비트신호(M0),(M1)가 오아게이트(111)를 통하여 상기 앤드게이트(114)의 다른 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함과 아울러 모드특성비트신호(M0)가 상기 앤드게이트(113)의 다른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하며, 상기 카운터(12)의 캐리단자(CY)를 노아게이트(115)의 입력단자 및 상기 플립플롭(15)의 입력단자(D)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앤드게이트(113),(114)의 출력단자를 오아게이트(116)의 입력단자 및 노아게이트(117)의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하고, 디스플레이인에이블신호(DISPEN)가 인버터(12)를 통하여 상기 노아게이트(115),(117) 및 오아게이트(116)의 다른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하며, 이 노아게이트(115) 및 오아게이트(116), 노아게이트(117)의 출력단자를 상기 카운터(12)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06
및 입력단자(A),(B)에 각각 접속함과 아울러 그의 입력단자(C, D)에 전원단자(Vcc)를 접속하며, 상기 플립플롭(15)의 출력단자(Q)를 상기 낸드게이트(16)의 또다른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신호가 상기 병렬/직렬변환기(8)에 로드래치신호
Figure kpo00007
로 인가되게 구성한 것으로, 제1도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Figure kpo00008
는 사용제어신호로 이 사용제어신호
Figure kpo00009
가 저전위 상태에서는 중앙처리장치(1)의 어드레스버스가 멀티플렉서(3)를 통하여 스크린버퍼메모리(4)에 연결하고 고전위 상태에서는 씨알티콘트롤러(2)의 어드레스버스가 멀티플렉서(3)를 통하여 스크린버퍼메모리(4)에 연결되고 고전위 상태에서는 씨알티콘트롤러(2)의 어드레스버스가 멀티플렉서(3)를 통하여 스크린버퍼메모리(4)에 연결되고 고전위 상태에서는 씨알티콘트롤러(2)의 어드레스버스가 멀티플렉서(3)를 통하여 스크린버퍼메모리(4)에 연결됨과 아울러 캐랙터코드래치(6)가 스크린버퍼메모리(4)에서 출력되는 캐랙터코드를 래치하는 상태로 되며, (
Figure kpo00010
)는 읽기/쓰기 제어신호로 이 읽기/쓰기제어신호(
Figure kpo00011
)가 고전위상태에서는 스크린버퍼메모리(4)가 읽기상태로 되고 저전위상태에서는 스크린버퍼메모리(4)가 쓰기상태로 되며, DIR는 방향지시신호로 이 방향지시신호(DIR0가 고전위 상태에서는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래치(5)를 통하여 스크린버퍼메모리(4)에 인가되고 저전위 상태에서는 스크린버퍼메모리(4)에서 출력되는 데이타가 래치(5)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에 인가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처리장치(1)의 사용구간, 즉 사용제어신호
Figure kpo00012
가 저전위 상태에서는 중앙처리장치(1)의 어드레스신호가 멀티플렉서(3)를 통하여 스크린버퍼메모리(4)의 번지를 지정하여 데이타를 기록하거나 그 지정된 번지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읽어가게 된다. 즉, 읽기/쓰기 제어신호(
Figure kpo00013
)가 저전위 상태이고, 방향지시신호(DIR)가 고전위 상태인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1)에서 출력된 데이타가 래치(5)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스크린버퍼메모리(4)의 지정된 번지에 기록되고, 반대로 읽기/쓰기제어신호(
Figure kpo00014
)가 고전위상태이고 방향지시신호(DIR)가 저전위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스크린버퍼메모리(4)의 번지를 지정할때 그 지정된 번지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가 출력된 후 래치(5)를 통하여 중앙처리장치(1)에 인가된다.
그리고, 씨알티콘트롤러(2)의 사용구간, 즉 사용제어신호
Figure kpo00015
가 고전위 상태에서는 씨알티콘트롤러(2)의 어드레스 신호가 멀티플랙서(3)를 통하여 스크린버퍼메모리(4)의 번지를 지정하게 되며, 이때 읽기/쓰기 제어신호(
Figure kpo00016
)가 고전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지정된 번지에 기록되어 있는 캐랙터코드 데이터가 출력되고, 이 캐랙터코드 데이타는 캐랙터코드래치(6)에 저장되어 그 16비트의 캐랙터코드데이타중 14비트의 캐랙터코드 데이타를 폰트롬(7)의 번지를 지정하게 되고 2비트의 코드데이타는 모드특성비트신호(M0, M1)로서 모드선택부(10)에 인가된다. 한편 이때 씨알티콘트롤러(2)에서 스캔어드레스신호(SA)가 출력되어 폰트롬(7)의 스캔어드레스를 지정함으로써 폰트신호가 출력되어 병렬/직렬변환기(8)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모드특성비트신호(M0,M1)에 따른 로드래치신호
Figure kpo00017
가 하기에서와 같이 모드선택부(10)에서 출력되어 병렬/직렬변환기(8)에 인가됨으로써 폰트롬(7)에서 출력된 병렬폰트신호는 병렬/직렬변환기(8)에서 래치되어 직렬폰트신호로 변환된 후 모니터(9)에 표시되어 있다. 제 2 도에서 dck는 그래픽도트 클럭신호로서 이 도트클럭신호(dck)는 카운터(13)의 클럭단자(CLK)에 제4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으로 인가되고, 또한 그 카운터(13)의 입력단자(A),(C)에는 고전위가 인가되고, 입력단자(B)(D)에는 저전위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QA),(QB),(QC),(QD)에는 제4도의 (b),(c),(d),(e)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신호가 출력된다.
즉, 카운터(13)의 출력단자(QB),(QD)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될 때 낸드게이트(14)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그 카운터(13)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18
에 인가되므로 초기 상태로 로드되고, 이에따라 그의 출력단자(QA),(QB),(QC),(QD)에는 제4도의 (b),(c),(d),(e)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카운터(13)의 출력단자(QC),(QD)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서로 상반된 신호로서 도트클럭신호(dck)가 6개 발생될때 1개 발생되며, 이하 이 출력신호를 6도트클럭 신호
Figure kpo00019
,
Figure kpo00020
라 한다. 이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21
는 카운터(12)의 클럭단자 및 플립플롭(15)의 클럭단자(CLK)에 공통인가되고,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22
및 카운터(13)의 출력단자(QB)에서 출력된 신호는 낸드게이트(16)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한편, 영문만을 표기하는 피씨모드에서는 피씨/티티엑스모드신호
Figure kpo00023
가 저전위 상태를 유지하므로 앤드게이트(113),(114)의 출력단자에는 모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인에이블신호(DISPEN)가 제 5 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 상태에서는 인버터(112)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노아게이트(115),(117) 및 오아게이트(116)에 인가되므로 노아게이트(115),(117)의 출력단자에는 제5도의 (d),(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12)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24
및 입력단자(B)에 각각 인가되고, 오아게이트(116)의 출력단자에는 제 5 도의 (c)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12)의 입력단자(A)에 인가된다.
따라서, 이때 카운터(12)는 로드상태를 유지하여 그의 입력단자(A),(B)에 입력되는 고전위 및 저전위신호를 그의 출력단자(QA),(QB)에 제 5 도의 (f) 및 (g)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출력하게 되고, 또 이때 카운터(12)의 캐리출력단자(CY)에는 제5도의 (h)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플립플롭(15)의 출력단자(Q)에는 제5도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속 저전위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낸드게이트(16)의 출력단자에는 제5도의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속 고전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인에이블신호(DISPEN)가 고전위 상태로 되면 인버터(11)에서 저전위신호가 출력되므로 노아게이트(115)에서 제5도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12)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25
에 인가되고 오아게이트(116) 및 노아게이트(117)에서 제 5 도의 (c),(d)에 각각 도시한 바와같이 저전위 및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12)의 입력단자(A),(B)에 인가된다. 따라서, 카운터(12)는 로드상태에서 해제되어 다음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26
가 입력될때 그의 출력단자(QA),(QB)에는 제 5 도의 (f),(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위 및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후 다시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27
가 입력될때 카운터(12)의 출력단자(QA),(QB)에는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그의 캐리단자(CY)에 제5도의 (h)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따라, 노아게이트(115)에서 다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12)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28
에 인가된다. 결국,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29
가 입력됨에 따라 카운터(12)의 출력단자(QA),(QB) 및 캐리단자(CY)에는 제5도의 (e),(f),(g)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카운터(12)의 캐리단자(CY)에서 출력된 신호는 플립플롭(15)의 입력단자(D)에 인가되므로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30
가 그의 클럭단자(CLK)에 입력됨에 따라 그의 출력단자(Q)에는 제5도의 (h)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신호가 출력된다.
이와같이 플립플롭(15)에서 출력된 신호는 낸드게이트(16)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 이때 그 낸드게이트(16)의 다른 입력단자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6도트클럭신호(ψ) 및 카운터(13)의 출력단자(QB)에서 출력된 신호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제5도의 (i)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형신호가 출력된다. 즉, 낸드게이트(16)에서 출력되는 로드래치신호
Figure kpo00031
는 상기 제4도의 그래픽도트클럭신호(dck)가 12개 출력될때 1개 출력되어 병렬/직렬변환기(8)에 인가된다. 따라서, 폰트롬(7)에서 출력되는 폰트신호는 병렬/직결변환기(8)에 12도트 단위로 로드되어 직렬변환되므로 모니터(9)에 반각으로 표시되어진다.
그리고, 한글, 한자, 영문을 표시하는 티티엑스 모드에서는 피씨/티티엑스모드신호
Figure kpo00032
가 고전위 신호로 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앤드게이트(113),(114)의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그리고 이때 디스플레이인 에이블신호(DISPEN)가 저전위 상태에서는 상기 피씨모드 상태와 동일하게 카운터(12)는 로드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 카운터(12)의 입력단자(A),(B)에는 고전위 및 저전위 신호가 각각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인에이블신호(DISPEN)가 고전위 상태로 되면 상기와 동일하게 노아게이트(115)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12)가 로드상태에서 해제된다. 그러나, 이때 오아게이트(116) 및 노아게이트(117)의 출력신호는 모드특성비트신호(M0),(M1)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피씨/티티엑스모드신호
Figure kpo00033
가 고전위 상태로 앤드게이트(113),(114)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 앤드게이트(113),(114)의 출력신호는 모드특성비트신호(M0),(M1)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모드특성비트신호(M0),(M1)는 반각모드(12dot×24dot)에서는 저전위 및 고전위 상태가 직각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모드특성비트신호(M0),(M1)가 모두 고전위 및 저전위 상태인 3/4각 모드에서는 앤드게이트(113),(114)에서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오아게이트(116) 및 노아게이트(117)에는 제6도의 (c),(d)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위 및 저전위 신호가 각각 출력되어 카운터(12)의 입력단자(A),(B)에 인가된다.
따라서, 다음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34
가 인가될때 카운터(12)의 출력단자(QA),(QB)에는 제6도의 (f),(g)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위 및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후 다시 6도트클럭신호(ψ)가 인가될때 그 카운터(12)의 출력단자(QA),(QB)에는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그의 캐리단자(CY)에 제6도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이에따라 노아게이트(115)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12)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35
에 인가되므로 다음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36
가 인가될때 카운터(12)의 출력단자(QA),(QB)에는 고전위 및 저전위 신호가 각각 출력되고, 다시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37
가 인가될때 카운터(12)의 출력단자(QA),(QB)에는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그의 캐리단자(CY)에 다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결국 이상태에서는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38
가 인가됨에 따라 카운터(12)의 캐리단자(CY)에는 제 6 도의 (h)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형 신호가 출력되어 플립플롭(15)의 입력단자(D)에 인가되고, 이에 따라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39
가 인가됨에 따라 그 플립플롭(15)의 출력단자(Q)에는 제 6 도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플립플롭(15)의 출력단자(Q)에서 출력된 신호는 낸드게이트(16)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또 이때 그 낸드게이트(16)의 다른 입력단자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6도트클럭신호 및 카운터(13)의 출력단자(QB)에서 출력된 신호가 인가되고 있으므로 그의 출력단자에는 제6도의 (j)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 신호가 출력된다. 결국, 이때 낸드게이트(16)에서 출력되는 로드래치신호
Figure kpo00040
는 상기 제 4 도의 그래픽도트클럭신호(dck)가 18개 출력될때 1개 출력되어 병렬/직렬변환기(8)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폰트롬(7)에서 출력되는 폰트신호는 병렬/직렬변환기(8)에 18도트단위로 로드되어 직렬변환되므로 모니터(9)에서 3/4각으로 표시되어진다.
그리고, 모드특성비트신호(M0),(M1)가 각각 저전위 및 고전위 상태인 전각모드에서는 앤드게이트(113)에서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앤드게이트(114)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므로 오아게이트(116) 및 노아게이트(117)에서 모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카운터(12)의 입력단자(A),(B)에 인가된다. 따라서, 카운터(12)는 상기와같은 방식으로 로드된 후 첫번째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41
가 인가될때 그의 출력단자(QA),(QB)에 모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두번째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42
가 인가될때 그의 출력단자(QA),(QB)에 고전위 및 저전위 신호가 각각 출력되며, 세번째 6도트 클럭신호
Figure kpo00043
가 인가될때 그의 출력단자(QA),(QB)에 모두 저전위 및 고전위 신호가 각각 출력되고, 네번째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44
가 인가될때 그의 출력단자(QA),(QB)에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그의 캐리단자(CY)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된다. 결국, 이때는 6도트클럭신호
Figure kpo00045
가 4번인가 될때마다 카운터(12)의 캐리단자(CY)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므로 그래픽도트클럭신호(dck)가 24개 출력될때 낸드게이트(16)에서는 1개의 로드래치신호
Figure kpo00046
가 출력된다.
따라서, 폰트롬(7)에서 출력되는 폰트신호는 병렬/직려변환기(8)에 24도트 단위로 로드되어 직렬변환되므로 모니터(9)에 전각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널(Null)상태, 즉 모드특성비트신호(MO),(M1)가 모두 고전위 상태에서는 앤드게이트(113),(114)에서 모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므로 오아게이트(116) 및 노아게이트(117)에서 고전위 및 저전위 신호가 각각 출력된다. 결국 이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반각모드상태와 동일하게 되어 모니터(9)에 반각으로 표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병렬/직렬변환기에 인가되는 로드래치신호를 모드비트특성신호에 따라 12도트, 18도트, 24도트당 발생시키므로 한글, 한자는 전각으로 표시하고, 영문, 숫자는 필요에 따라 반각 또는 3/4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중앙처리장치(1) 및 씨알티콘트롤러(2), 멀티플렉서(3), 스크린 버퍼메모리(4), 래치(5), 캐랙터코드래치(6), 폰트롬(7), 병렬/직렬변환기(8), 모니터(9)로된 씨알티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씨알티콘트롤러(2)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인에이블신호(DISPEN) 및 상기 캐랙터 코드래치(6)에서 출력되는 모드특성 비트신호(M0, M1), 피씨/티티엑스모드신호
    Figure kpo00047
    를 조합하여, 피씨모드에서는 12도트마다 로드래치신호
    Figure kpo00048
    가 상기 병렬/직렬변환기(8)에 인가되고 티티엑스모드에서는 상기 모드특성비트신호(M0, M1)에 따라 12도트, 또는 18도트, 또는 24도트마다 로드래치신호
    Figure kpo00049
    가 상기 병렬/직렬변환기(18)에 인가되게 모드선택부(10)를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알티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씨/티티엑스모드신호
    Figure kpo00050
    가 앤드게이트(113), (114)의 일측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모드특성비트신호(M0),(M1)가 오아게이트(111)를 통하여 앤드게이트(114)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모드특성비트신호(M0)가 앤드게이트(113)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하여 그 앤드게이트(113),(114)의 출력단자를 오아게이트(116) 및 노아게이트(117)의 일측입력단자에 각각 접속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인에이블신호(DISPEN)가 인버터(112)를 통하여 노아게이트(115),(117) 및 오아게이트(116)의 타측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하여 팔회로(11)를 구성하고, 이 팔회로(11)의 노아게이트(115) 및 오아게이트(16), 노아게이트(117)의 출력단자를 카운터(12)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51
    및 입력단자(A),(B)에 각각 접속하고, 그래픽도트클럭신호(dck)가 클럭단자(CLK)에 인가되게 접속함과 아울러 입력단자(A),(C)를 전원단자(Vcc)에 접속하고 입력단자(B),(D)를 접지한 카운터(13)의 출력단자(QA),(QB)를 낸드게이트(16)의 입력단자에 접속함과 아울러 낸드게이트(14)를 통하여 그의 로드단자
    Figure kpo00052
    에 접속하며 이 카운터(13)의 출력단자(Qc)를 상기 카운터(12)의 클럭단자(CLK) 및 플립플롭(15)의 클럭단자(CLK)에 접속하여 그 카운터(12)의 캐리단자(CY)를 상기 노아게이트(115)의 일측입력단자 및 플립플롭(15)의 입력단자(D)에 접속하며, 이 플립플롭(15)의 출력단자(Q)를 상기 낸드게이트(16)의 입력단자에 접속하여 모드선택부(1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알티 제어회로.
KR1019870009522A 1987-08-29 1987-08-29 씨알티(crt) 제어회로 KR900003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522A KR900003231B1 (ko) 1987-08-29 1987-08-29 씨알티(crt)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522A KR900003231B1 (ko) 1987-08-29 1987-08-29 씨알티(crt)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57A KR890004557A (ko) 1989-04-22
KR900003231B1 true KR900003231B1 (ko) 1990-05-11

Family

ID=19264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522A KR900003231B1 (ko) 1987-08-29 1987-08-29 씨알티(crt)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2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557A (ko) 198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89789A (ja) 表示装置
JPH0469794B2 (ko)
JPS59214079A (ja) ビデオ表示制御回路
EP0395916A2 (en) Separate font and attribute display system
US4563677A (en) Digital character display
US5093902A (en) Memory control apparatus for accessing an image memory in cycle stealing fashion to read and write videotex signals
KR900003231B1 (ko) 씨알티(crt) 제어회로
US5065356A (en) Shared use of keyboard and memory lines
JPS6329291B2 (ko)
US4401985A (en) Full page display apparatus for text processing system
KR92000824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문자표시제어회로
KR890002035Y1 (ko) 표시(display) 제어장치
EP0273749B1 (en) Display system with fewer display memory chips
KR940003625B1 (ko) 퍼스널 컴퓨터의 수평, 수직 2배 표시 회로
EP0261629A2 (en) Display apparatus
KR890003230Y1 (ko) Crt 표시제어장치
KR930003119Y1 (ko) 한글 표시장치
KR880002118B1 (ko) 문자처리장치
KR900005589B1 (ko) Lcd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회로
KR910006681Y1 (ko) 고해상도 출력장치
KR940008868B1 (ko) Crt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문자발생기 선택회로
KR900006114Y1 (ko) 한글, 한자 표시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KR950005229B1 (ko) 그래픽 모드의 택스트 생성을 위한 실제 어드레스 발생기
KR930004903Y1 (ko) 한글 제2바이트신호 표시시간 제어회로
KR870001230B1 (ko) 하드웨어 문자발생에 의한 한글, 영문자 크기의 가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