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934B1 - 다수의 동일전압원을 구비한 동일전압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동일전압원을 구비한 동일전압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934B1
KR930002934B1 KR1019900700070A KR900700070A KR930002934B1 KR 930002934 B1 KR930002934 B1 KR 930002934B1 KR 1019900700070 A KR1019900700070 A KR 1019900700070A KR 900700070 A KR900700070 A KR 900700070A KR 930002934 B1 KR930002934 B1 KR 930002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time
switch device
tran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618A (ko
Inventor
베르너 폴마이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닉스도르프 인포마찌온스지테머 아게
볼프강라움,하인즈 하 호오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닉스도르프 인포마찌온스지테머 아게, 볼프강라움,하인즈 하 호오만 filed Critical 지멘스 닉스도르프 인포마찌온스지테머 아게
Publication of KR90070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06F1/305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의 동일전압원을 구비한 동일전압 공급시스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2개의 전압원과 2개의 전압출력을 가진 전압공급시스템.
제 2 도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장치.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시간에 걸쳐 제어신호의 경과와 스위치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일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전압출력이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전압출력중 하나는 제 1 동일전압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일전압원으로부터 연결부재를 거쳐 그때그때 교호적으로 공급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전압원중 하나로부터만 고정 공급되는 동일전압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압공급을 위하여 고가의 전자시스템(예 : 컴퓨터 시스템 또는 안전장치)을 필요로 한다. 어느 전압원이 고장인 때에는 해당전압출력이 또 다른 전압출력으로부터 자동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중단없는 전압공급이 보장된다. 많은 응용에 있어서, 이러한 2개의 전압원중 하나로부터만 고정공급되는 또하나의 전압출력이 존재한다. 이에 의하여 전자시스템의 전압공급은 전압손실에 대하여 민감한 구성단위(예 : 축전지)가 교호적으로 공급되는 전압출력으로부터 공급받고, 그 이외의 전압출력이 전압공급이 주부하를 떠맡는 식으로 배분될 수 있다.
공지된 동일전압공급시스템은 서로 다른 여러 전압원으로부터 교호적으로 전압출력으로 공급하고, 이를 위하여 하나의 전압원과 그 전압출력 사이에는 각각 연결부재가 놓여있다. 이러한 연결부재는 순방향으로 동작되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그 경우 전압출력은 더 높은 전위를 가진 전압원으로부터 그때그때 공급된다. 다이오드는 전위가 낮은 전압원내로의 역공급을 방지한다. 이러한 전원공급시스템은 회로구성이 매우 간단하지만, 큰 단점을 지니고 있다. 즉, 연결부재에는 전력손실이 생기고, 그 손실량은 연결부재에서의 전압강하와 통과전류의 적(積)에 비례한다. 전자장치용의 전압공급시스템은 그 출력에 저전압(예 : 5볼트)을 가지되, 높은 전류가 공급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다이오드를 연결부재로서 사용하는 때에는 전류가 강할 때 이 다이오드에서는 손실열의 형태로 냉각체를 거쳐 주변에서 배출되어야 하는 전력손실이 생기게 된다. 이와같은 손실전력은 전압공급시스템의 총손실전력을 크게 하고, 그 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전압공급시스템은 큰 케이스 부피를 가지고 또는 비교적 무겁다.
공지된 시스템의 또다른 단점은 정상적인 동작상태에서 전압출력이 하나의 전압원으로부터만 공급되도록 하려던, 전압출력의 교호적 공급을 위한 전압원의 전위를 최소한 하나의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전압의 양 만큼 차이가나게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또다른 전압원으로 부터 교호적으로 공급되는 때에는 필연적으로 전압출력에서 전위가 변동된다. 다이오드의 전형적인 통과전압이 약 0.7볼트이고, 출력전압이 5볼트인 때에는 교호적 공급에 있어서 전압출력에서의 전압차는 10% 이상이 된다. 이에 따라 감도높은 전자시스템에 있어서 전압변동의 허용범위는 명백히 초과된다. 또다른 전압출력의 전위는 교호적으로 공급되는 전압출력의 전위보다 연결부재의 통과전압만큼 더 높다. 그러나, 연결부재에서의 전압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 전술한 문제는 생기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연결부재에서의 손실전력을 감소시키고, 전압출력에서 일치된 전위를 생기게하는 전압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전술한 종류의 전압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전압출력의 교호적 공급을 전압원의 동작상태에 따라 그리고/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유발시키고, 스위치장치로서 형성된 연결부재의 개폐상태를 개폐시간을 연장시켜서 제어하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개폐과정을 서로 중첩시킴으로써 해결한다.
본 발명은 예를들면, 반도체구성소자로서 형성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는 매우 적은 통과전압과 적은 통과저항을 가진다는 지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스위치장치를 연결부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류가 강할때, 이 연결부재에는 적은 전압강하가 생기고, 손실전력도 적다. 이에 의하여 손실열의 배출 또는 냉각을 위한 비용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전압공급시스템의 크기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손실없는 연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전압공급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때문에, 주어진 케이스 크기에 있어서 그 정격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에서의 전압강하 감소는 서로 다른 여러전위와 하나의 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출력이 거의 동일한 전위에 놓이게 한다. 그외에도, 하나의 전압출력을 교호적으로 공급하는 전압원들은 동일한 전압을 가지며, 이는 해당공급전압원이 스위치 장치를 거쳐 접속되면, 다른 전압원은 차단됨으로써 2개의 전압원으로 부터의 전압출력의 동시공급이 저지되기 때문이다.
스위치장치의 개폐상태는 전압원의 동작상태에 따라 생기는 제어신호를 거쳐 제어된다. 제 1 전압원의 예정된 값 이하로 하강하기 시작하면, 해당전압원의 스위치장치를 차단상태로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발생되고, 이에따라 대응전압출력의 공급이 이 전압원을 거쳐 차단된다. 이와 동시에, 또 다른 전원에 속하는 스위치 장치를 도통상태로 제어하고, 이에 의하여 전압출력의 전압공급을 보장하는 제 2 의 제어신호가 형성된다. 교호적으로 공급되는 전압출력에 접속되는 장치의 중단없는 전압공급을 보장하기 위하여 스위치장치의 개폐과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되고, 시간적으로 중첩되어야 한다. 이것은 또 다른 전압원이 그 스위치장치를 거쳐 접속되거나, 반대로 차단되는 때에 비로소 하나의 전압원이 이에 접속되는 스위치장치에 의하여 차단 또는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해당전압원에 있어서, 전압이 너무 급상승하면 전압원을 과부하시키는 임펄스가 결과되기 때문에, 개폐과정은 급속히 진행되지 아니해야하고, 긴 개폐시간에 걸쳐 진행되어야 한다. 개폐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전압원을 유연하게 개폐할수 있다. 여기에서 개폐시간이라 함은 스위치장치의 차단상태로부터 도통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이행하는 시간을 말한다.
전압원의 조작상태에 따라 형성되는 제어신호를 거쳐 스위치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이외에도, 이러한 제어신호를 외부에서, 예를 들면 위에 설치된 교환대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원을 활성적으로 또는 비활성적으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압출력에서 전압을 개폐할 수 있다.
적당한 실시예는 또다른 전압출력과 이에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원 사이에도 스위치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또다른 전압출력의 공급을 이에 속한 스위치장치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방식으로 특정한 장치의 공급전압을 하나의 교환기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성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장치를, 시간조절기로서 해당전압출력에 제공되어 있는 조절장치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압출력에 조절된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스위치장치가 조절회로의 시간조절분기내에 편입되고, 이 스위치장치가 조절트랜지스터의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에는 전압조절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필요한 출력트랜지스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그 전압출력(10)이 220볼트 교류전류망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망으로부터 교호적으로, 또는 필요한 경우에는 전지(14)로부터 공급을 받을 수 있는 전압공급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전지(14)는 PNP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와 결합되어 있고, 그 콜렉터는 전압출력(10)에 안내된다.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는 보조트랜지스터(T4)의 콜렉터접속부와 결합되어 있고, 이 보조트랜지스터는 도전성이 있는 NPN형이고, 그 에미터전극은 저항(15)을 거쳐 접지되어 있다. 그 베이스전극은 연산증폭기(16)의 출력과 결합되어 있고, 그 반전 입력은 저항기(18, 20)로 구성되어 있는 분압기의 중간에 놓여 있으며 이 분압기는 전압출력(10)과 결합되어 있다. 연산증폭기(16)는 적분기로서 접속되고, 그 출력과 반전입력 사이에는 콘덴서(22)가 있다. 전압출력(10)과 기준전위 사이에는 직렬저항(26)과 제너다이오드(24)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기준전압(25)은 제너다이오드(24)의 음극접속부에 걸리고, 저항기(28, 30) 및 콘덴서(32)의 직렬접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분압기로 공급된다. 콘덴서(32)는 연산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과 결합되어 있다. 저항기(28, 30)의 결합점에는 제어신호(S1)가 공급된다.
회로망(12)의 전압은 전압공급시스템의 또다른 전압출력(36)과 직접으로 결합되어 있는 단자(34)에 공급된다. 전압출력(10)과 단자(34) 사이에는 제1MOS트랜지스터(T2)와 제2MOS트랜지스터(T3)로 구성되어 있는 스위치장치가 놓여있다. 트랜지스터(T2, T3)의 게이트 접속선은 공통적으로 연산증폭기(38)의 출력에 안내된다. 트랜지스터(T2, T3)의 전원접속선들은 서로 직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접속선은 단자(34)에 놓여있고, 트랜지스터(T3)의 드레인 접속선은 전압출력(10)에 놓여 있다.
MOS트랜지스터(T2, T3)는 자체차단식 N채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이며, 드레인-소스 방향으로만 차단된다. 이 트랜지스터는 반대방향으로는 그 역방향다이오드를 거쳐 통하게 된다. 트랜지스터(T2, T3)에 속한 역방향다이오드(40 또는 42)는 제 1 도에서 드레인-소스 접속선 사이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트랜지스터(T2, T3)를 그 소스접속선에 결합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T2, T3)중 하나(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T3)가 반대로 동작한다.
적분기로서 접속되어 있는 연산증폭기(38)의 출력은 콘덴서(44)를 거쳐 그 반전입력과 결합되어 있다. 이 입력은 저항기(46, 48)로 구성된 분압기의 중간에 접속되어 있고, 이 분압기는 전압출력(10)을 거쳐 공급받는다. 연산증폭기(38)의 비반전 입력은 접속부재에 의하여 접지되어있는 콘덴서(50)와 결합되어 있다. 콘덴서(50)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저항기(52, 54)를 거쳐 제너다이오드(24)의 음극접속부재와 결합되어 있다. 저항기(52, 54)의 결합점에는 제 2 제어신호가 공급된다.
제어신호(S1, S2)는 제어장치(56)에 의하여 발생되며, 이 제어장치는 회로망(12)의 전압수준을 감시하거나, 위에 설치된 교환기(도시안됨)의 제어신호를 처리한다. 제 2 도는 이러한 제어장치(56)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임계치개폐기(58)의 반전입력에는 기준전압(60)이 공급되고, 비반전 입력에는 회로망(12)의 선간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신호(Un)가 공급된다. 임계치개폐기(58)의 출력에는 전압신호(Un)의 레벨이 기준전압(60)보다 높은 경우에는 고레벨의 출력신호(SW)가 발생하고, 기타의 경우에는 저레벨의 출력신호(SW)가 발생한다. 임계치개폐기(58)의 출력은 출력신호(SW)의 하강측을 시간(t1)만큼 지연시키는 타이머(62)와 출력신호(SW)의 상층측을 시간(t3)만큼 지연시키는 타이머(64)에 결합되어 있다. 이 타이머(64)에는 개방, 콜렉터 출력이 있는 인버터(66)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인버터는 그 입력에 고레벨의 신호가 걸리는 경우에는 근사한 실전위를 가진신호(S1)를 발생시킨다. 저레벨의 입력신호에 있어서는 인버터(66)의 출력이 높은 옴상태로 바뀐다. 즉, 제어신호(S1)에는 인버터(66)를 거쳐 특정한 전압수준이 미리 제공되지 아니한다. 타이머(62)에는 또다른 타이머(68)가 접속되어 있고, 이 타이머(68)는 출력신호(Sw)의 상층측을 시간(t2)만큼 지연시킨다. 타이머(68)는 개방, 콜렉터 출력이 있고, 제어신호(S2)를 발생시키는 그리드(70)를 제어한다.
제 3 도는 서로 다른 조작상태(a, b, c)에 있어서, 시간(t)에 걸쳐 서로 다른 신호의 경과와 트랜지스터(T1, T2)의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전압신호(Un)는 100%로 주어진 정격치와 0값 사이에서 변동될 수 있다. 임계치개폐기(58)의 출력신호(Sw)는 전술한 바와같이 상태(L : 저레벨) 및 (H : 고레벨)를 취한다. 제어신호(S1, S2)도 논리 0 및 논리 1로 표시되는 2가지 상태를 가진다. 논리 0의 상태에서는 제어신호(S1, S2)는 실전위 상태에 놓여있고, 논리 1의 상태에서는 제어신호들이 높은 옴상태에 있게된다. 트랜지스터(T1, T2)는 제 3 도에서 "Aus" 또는 "Ein"으로 표시된 "차단" 상태와 "도통"상태를 가진다. 트랜지스터(T1, T2)는 이러한 2가지 상태 사이에서는 예정된 개폐시간으로 접속 및 차단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1, T2)의 출력에 전압상승 또는 전압강하가 평활하게 진행된다.
전압공급시스템의 기능을 제 1 도, 제 2 도 및 제 3 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로망(12)이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단자(34)에 정의 전압이 걸린다고 가정한다(제 3 도에서 조작상태 a). 전압신호(Un)는 정상조작상태에서는 기준전압(60)보다 더크며, 제 2 도에 도시한 임계치개폐기(58)는 그 출력에 고레벨의 출력신호(Sw)를 가진다. 이에 따라 인버터(66)의 출력에는 논리 0상태의 제어신호(S1)가 발생하고, 그리도(70)의 출력에는 논리 1상태의 제어신호(S2)가 발생한다.
제어신호(S1)는 실전위를 안내하기 때문에, 제 1 도에서 연산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에서의 전압은 0에 근접된다. 이에 따라 연산증폭기(16)의 출력전압도 동일하게 0이되며, 트랜지스터(T4, T1)가 차단된다. 이로 인하여 전지(14)가 전압출력(10)으로부터 끊어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높은 옴제어신호(S2)는 저항기(54, 52)로 구성되는 분압기에 부하가 걸리지 아니하게 한다. 따라서, 연산증폭기(38)의 비반전 입력에는 제너다이오드(24)의 기준전압(25)이 공급된다. 연산증폭기(38)는 트랜지스터(T2, T3)와 함께 하나의 조절회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회로내에서 연산증폭기(38)는 PI-조절기로서, 트랜지스터(T2, T3)는 조정부재로서 동작한다. 연산증폭기(38)의 반전 입력에는 실제값이 공급되고, 비반전 입력에는 표준값이 공급된다. 연산증폭기(38)는 표준값과 실제값을 비교하고, 그 출력에서 트랜지스터(T2, T3)가 게이트전극을 거쳐 도통상태로 제어되고, 표준값과 실제값의 차이가 최소한으로 되도록 전압을 조정한다. 조절회로의 시간관계는 저항기(46, 48)와 콘덴서(44)에서 생기는 시간상수에 의하여 조정된다.
제 3 도의 바로 다음 조작상태(b)에 있어서, 회로망이 공급하는 선간전압이 단절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압신호(Un)는 지수적으로 저하되고, 임계구역(72)에서 기준전압(60)에 미달된다. 그러나, 회로망(12)의 선간전압의 단절은 이로 인하여 그 출력전압도 갑자기 강하하는 것이 아니라, 회로망의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가 일정한 시간동안 계속하여 전압을 공급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전압신호(Un)가 기준전압(60)에 미달된 후, 임계치개폐기(58)는 제 2 도에 있어서 그 출력신호(Sw)를 저렐벨로 전환시키고, 인버터(66)는 그 출력에서 논리 1의 상태를 가진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임계치개폐기(58)의 출력신호(Sw)의 하강측은 타이머(62)에 의하여 시간 (t1)만큼 지연되고, 그리드(70)를 거쳐 제어신호(S2)를 논리 0의 상태로 접속시킨다.
제 1 도에 도시한 콘덴서(32)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저항기(28, 30)를 거쳐 기준전압(25)으로 충전된다. 조절기로서 작용하는 연산증폭기(16)는 트랜지스터(T1)에 베이스전류를 공급하고 트랜지스터(T4)를 도통상태로 조종함으로써 트랜지스터(T1)가 접속되게 한다. 이때 트랜지스터(T1)의 접속시간은 저항기(18, 20)와 콘덴서(22)와의 접속으로부터 생기는 연산증폭기(16)의 시간상수와 저항기(28, 30)와 콘덴서(32)로부터 생기는 시간상수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은 저항기(18, 20)로 구성된 분압기를 거쳐 연산증폭기(16)에 공급되고, 이에 의하여 제너다이오드(24)의 전압레벨이 보정되고, 일정한 값으로 조절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제어신호(S2)는 시간(t1)이 경과한 후 실전위로 안내된다. 즉, 콘덴서(50)는 저항기(52)와 콘데서(50)가 형성되는 시간상수로 방전된다. 이에 따라 조절기로서 동작하는 연산증폭기(38)에는 0에 가까운 표준값전압이 인가되고, MOS 트랜지스터(T2, T3)는 그 전원전극에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역방향다이오드(40, 42)중 하나가 차단방향으로 접속되어서 회로망(12)의 역공급이 중단된다.
전술한 상반되는 개폐과정, 즉 트랜지스터(T1)의 접속과정 또는 트랜지스터(T2, T3)의 차단과정은 이른바, 시간상수를 거쳐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간(t4)만큼 서로 중첩되도록 조정된다. 전압출력(10)은 이러한 개폐 과정중 그 전압레벨을 변동없이 유지한다.
그후 회로망(12)의 전압귀환조작상태는 제 3 도에 C로 도시한 바와같이 처리된다. 전압귀환에 있어서는 전압신호(Un)가 상승하고, 임계구역(72)에 이르면 기준전압(60)을 초과한다. 제 2 도에 있어서, 임계치개폐기(58)은 그 출력신호(Sw)를 저레벨에서 고레벨로 전환시킨다. 시간(t3)이 경과한 후, 제어신호(S1)는 인버터(66)에 의하여 논리 0의 상태로 제어되고, 제어신호(S2)는 시간(t2)이 경과한 후 높은옴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시간(t2)은 이러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회로망(12)이 그 완전한 동작전압에 도달하도록 조정된다. 제어신호(S2)는 저항기 (52, 54)와 콘덴서(50)로 구성되는 분압기에 더이상 부하를 걸지 아니하고, 콘덴서(50)는 저항기(52, 54)를 거쳐 제너다이오드(25)의 전압(25)으로 충전된다. 연산증폭기(38)는 콘덴서(50)에서 충전전압이 상승함에 따라 트랜지스터(T2, T3)를 도통상태로 제어하고, 회로망(12)은 전압출력(10)에 전압을 공급한다.
근사한 실전위를 가진 제어신호(S1)는 저항기(30)를 거쳐 콘덴서(32)를 방전시킨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T1)는 트랜지스터(T4)와 연산증폭기(16)를 거쳐 차단상태로 접속되고, 전지(14)는 전압출력(10)으로부터 분리된다. 트랜지스터(T2, T3또는 T1)의 접속 또는 차단의 개폐과정도 중첩되어 실시된다. 즉, 시간상수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랜지스터(T1, T2, T3)가 도통상태를 제어하는 중첩시간(t5)이 생길 수 있게 선택된다.
트랜지스터(T1, T2, T3)의 개폐시간은 회로망(12)의 조절시간보다 더 길게 되도록 조정된다. 이로 인하여 회로망(12)이 장해를 조절할 때, 동적 조절과정에 의하여 과부하되지 아니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전압출력(10)에서의 출력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표준값전압으로서 이용되는 제너다이오드(24)의 전압은 직렬저항(26)을 거쳐 전압출력(10)에 걸린다. 전압출력(10)에서의 단시간의 전압강하는 제너다이오드(24)에서의 전압도 강하시킴으로써 트랜지스터(T1, T2, T3)를 저출력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압공급시스템은 단기과부하의 경우에도 확실하게 작동한다. 동작전압(도시없음)이 전압출력(10)에 걸리는 연산증폭기(16, 38)의 경우에도 또한 같다. 전압출력(10)에서의 전압이 강하되는 때에는 연산증폭기의 출력이 강하되고, 이에 의하여 트랜지스터(T2, T3)가 확실한 차단상태로 제어된다.
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여러가지 개폐방법에 의하여 보완할 수 있다. 전압출력(36)과 단자(34) 사이에 스위치장치로서 동작하는 또다른 트랜지스터를 삽입할 수 있다. 전압출력(36)은 이러한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거쳐 회로망(12)의 출력전압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외에도, 전류를 분할하여, 트랜지스터에서 생기는 손실전력과 전압강하를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병렬접속시킬 수 있다.
저항기(54)의 접속부재를 제너다이오드(24)와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또다른 분압기(도시안됨)를 거쳐 단자(34)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콘덴서(50)의 표준값으로 이용되는 전압은 회로망(12)의 전압에 비례한다. 이 전압이 강하하는 때에는 트랜지스터(T2, T3)는 조절기로서 동작하는 연산증폭기(38)를 거쳐 차단되고, 전압귀환시에는 회로망(12)이 완전한 동작전압에 도달한 후에야 비로서 도통상태로 접속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전압공급시스템의 신뢰성이 더 높아진다.

Claims (11)

  1. 적어도 2개의 동일전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전원출력을 구비하고 있고, 그중 하나의 전압출력이 제 1 의 또는 적어도 또 다른 동일전압원으로부터 연결부재를 거쳐 교호적으로 공급되고, 적어도 또 다른 하나가 전압원중 하나로부터만 고정공급되는 동일전압공급시스템으로서, 전압출력(10)의 교호적 공급이, 각 동일전압원(12, 14)의 동작상태에 따라 발생되거나 외부에서 발생되고 개폐장치(T1, T2, T3)로서 형성된 연결부재의 각 개폐상태를 개폐시간의 연장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S1, S2)에 의하여 유발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되는 개폐과정이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또 다른 전압출력(36)과 이 출력에 공급하는 전압원(12)사이에 스위치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장치(T1, T2, T3)가 해당전압출력(10)에 제공된 조절장치내에 시간조절기로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조절장치의 동작전압이 그 전압출력(10)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장치(T1, T2, T3)가 하나 또는 다수의 병렬접속된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트랜지스터(T2, T3)가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장치가 하나 또는 다수의 병렬접속된 MOS전계효과 트랜지스터(T2, T3)쌍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트랜지스터쌍이 그 소스-드레인 구간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MOS전계효과 트랜지스터(T3)가 역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되는 회로망(12)이 전압원으로 되어있는 시스템으로서, 개폐시간이 회로망의 조절시간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조절장치의 표준값 전압이 해당전압원(12, 14)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시간의 연장이 조정가능한 타이머(28, 30, 32 및 54, 52, 50)에 의하여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타이머의 시간상수를 그 저항기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19900700070A 1988-05-18 1989-05-18 다수의 동일전압원을 구비한 동일전압 공급시스템 KR930002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816944.4 1988-05-18
DE3816944A DE3816944A1 (de) 1988-05-18 1988-05-18 Spannungsversorgungssystem mit mehreren spannungsquellen
PCT/EP1989/000547 WO1989011749A1 (en) 1988-05-18 1989-05-18 Constant-voltage supply system with a plurality of constant-voltage sour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618A KR900702618A (ko) 1990-12-07
KR930002934B1 true KR930002934B1 (ko) 1993-04-15

Family

ID=635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070A KR930002934B1 (ko) 1988-05-18 1989-05-18 다수의 동일전압원을 구비한 동일전압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78453A (ko)
EP (2) EP0415971A1 (ko)
JP (1) JPH03503236A (ko)
KR (1) KR930002934B1 (ko)
AT (1) ATE96583T1 (ko)
DE (2) DE3816944A1 (ko)
ES (1) ES2046369T3 (ko)
WO (1) WO1989011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21174A1 (fr) * 1991-05-17 1992-11-26 Alcatel Alsthom Compagnie Generale D'electricite Dispositif d'optimisation de la decharge d'au moins deux generateurs electrochimiques
DE4203829C2 (de) * 1992-02-10 1994-05-05 Siemens Nixdorf Inf Syst Gleichspannungs-Speiseschaltung
JP2533840B2 (ja) * 1993-06-25 1996-09-11 株式会社愛知電機製作所 無瞬断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装置
US5552643A (en) * 1994-04-08 1996-09-03 Motorola, Inc. Power signal combining method and apparatus
US5640059A (en) * 1995-12-21 1997-06-17 Reltec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 including thermal current limiting protection
DE19651612B4 (de) * 1996-12-12 2012-09-27 Robert Bosch Gmbh Elektronische Schaltung zur Spannungsversorgung
US5764032A (en) * 1997-03-06 1998-06-0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ultiple battery switchover circuits
JP3398637B2 (ja) * 1999-01-27 2003-04-21 神達電脳股▲分▼有限公司 電源切換え装置
DE10017902C2 (de) * 2000-04-11 2002-11-28 Rohde & Schwarz Anordnung zum unterbrechungsfreien Umschalten zwischen zwei Spannungsquellen
US6600239B2 (en) * 2001-03-22 2003-07-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ctive circuit protection for switched power supply system
DE10228688A1 (de) * 2002-06-27 2004-01-29 Dr. Johannes Heidenhain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gepufferten Spannungsversorgung
CN100373744C (zh) * 2003-03-24 2008-03-05 新昌机械设备株式会社 单位住户常用/应急电源配电盘及其电源自动转换装置
DE102005011519B4 (de) * 2005-03-10 2012-08-30 Secop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Gleichspannungsquelle und Spannungsversorgungsvorrichtung
TWI326962B (en) * 2006-01-02 2010-07-01 Asustek Comp Inc Buck converter
TWI381616B (zh) * 2008-11-04 2013-01-01 Glacialtech Inc 閘控整流器及其應用於整流電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9623A (en) * 1961-03-30 1962-08-14 W W Henry Company Auxiliary power supply
US3932764A (en) * 1974-05-15 1976-01-13 Esb Incorporated Transfer switch and transient eliminator system and method
DE2531680C2 (de) * 1975-07-16 1982-05-27 Telefonbau Und Normalzeit Gmbh, 6000 Frankfurt Schaltungsanordnung für die Sicherstellung der Stromversorgung von zentralen Einrichtungen in Fernsprechvermittlungsanlagen
US4122359A (en) * 1977-04-27 1978-10-24 Honeywell Inc. Memory protection arrangement
GB2013048B (en) * 1978-01-21 1982-05-12 United Gas Industries Ltd Electrical stand-by power
US4297590A (en) * 1980-03-10 1981-10-27 Ande Vail Power supply system
US4323788A (en) * 1980-10-02 1982-04-06 Borg-Warner Corporation D-C Power supply for providing non-interruptible d-c voltage
DE3113523A1 (de) * 1981-03-31 1982-10-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zur sicherung der betriebsspannungsversorgung einer elektronischen schaltungseinheit
DE3118909C2 (de) * 1981-05-13 1983-02-10 Deutsche Automobilgesellschaft Mbh, 3000 Hannover Unterbrechungsfreie Stromversorgung für Gleichstromverbraucher
DE3209704A1 (de) * 1982-03-12 1983-09-2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zur aufrechterhaltung von speicherinformationen von fluechtigen schreiblesespeichereinrichtungen bei betriebsspannungsausfall
JPS5911740A (ja) * 1982-07-13 1984-01-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整流回路
US4492876A (en) * 1983-07-18 1985-01-08 At&T Bell Laboratories Power supply switching arrangement
US4517470A (en) * 1983-08-22 1985-05-14 Ncr Corporation High frequency inverter
US4617473A (en) * 1984-01-03 1986-10-14 Intersil, Inc. CMOS backup power switching circuit
EP0223771A1 (fr) * 1985-05-20 1987-06-03 CERCLE, Loic Dispositif anti-micro coupures
JPS6231340A (ja) * 1985-05-29 1987-02-10 株式会社東芝 電池電源切換回路
JPH0521949Y2 (ko) * 1985-12-02 1993-06-04
US4745299A (en) * 1986-04-17 1988-05-17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Off-line switcher with battery reserve
DE3723727A1 (de) * 1987-07-17 1989-01-26 Siemens Ag Stromversorgungseinrichtung
US4812672A (en) * 1987-10-01 1989-03-14 Northern Telecom Limited Selective connection of power supp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96583T1 (de) 1993-11-15
DE58905996D1 (de) 1993-12-02
US5278453A (en) 1994-01-11
DE3816944C2 (ko) 1991-11-28
DE3816944A1 (de) 1989-11-30
JPH03503236A (ja) 1991-07-18
KR900702618A (ko) 1990-12-07
EP0342693A1 (de) 1989-11-23
EP0415971A1 (de) 1991-03-13
ES2046369T3 (es) 1994-02-01
WO1989011749A1 (en) 1989-11-30
EP0342693B1 (de) 199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934B1 (ko) 다수의 동일전압원을 구비한 동일전압 공급시스템
US4659942A (en) Fault-tolerant power distribution system
US4678984A (en) Digital power converter input current control circuit
US5374887A (en) Inrush current limiting circuit
US70385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ndant power supply connection
US4494064A (en) Direct current inrush limiting circuit
US6118641A (e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US7463470B2 (en) Electrical barrier
US5822166A (en) DC power bus voltage transient suppression circuit
US20030122595A1 (en) Low voltage amplifying circuit
US2002008054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imiting electrical current in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US6066979A (en) Solid-state high voltage linear regulator circuit
US7126801B2 (en) Polarity protection implemented with a MOSFET
US9374077B2 (en) Switch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and battery device
JPH0467422B2 (ko)
US4290007A (en) High power and high voltage transistor control circuit
US5991175A (en) Control circuit for an in-rush current control element, and a pro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employing the same
EP1025477A1 (en) Regulator
JPH0250707B2 (ko)
US11509301B2 (en) Electronic switch with current regulation
US6380769B1 (en) Low voltage output drive circuit
US6281669B1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limiting current for consumers of alternating current
US10348181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for sub-module of MMC converter
US7061733B2 (en) Power supply cut-off device for a power rectifier
US4319182A (en) Alternating polarity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