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920Y1 - 조립식 장농 - Google Patents

조립식 장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920Y1
KR930002920Y1 KR2019900017463U KR900017463U KR930002920Y1 KR 930002920 Y1 KR930002920 Y1 KR 930002920Y1 KR 2019900017463 U KR2019900017463 U KR 2019900017463U KR 900017463 U KR900017463 U KR 900017463U KR 930002920 Y1 KR930002920 Y1 KR 930002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late
plate
prefabricated
jangn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832U (ko
Inventor
김성호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호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호,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호
Priority to KR2019900017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920Y1/ko
Publication of KR920008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20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장농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제3도는 받침편과 덮개사이에 선반이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횡단면도.
제5도는 앞받침간과 조절나사가 체결되는 벽판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앞받침간으로 부터 내외벽판이 승하강되는 상태의 횡단면도.
제7a,b도는 조절나사를 돌림에 따라 조립된 장농의 내외벽판이 상승하여 천정에 밀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8도는 괘지목에 문이 설치된 상태의 일부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요부 평단면도.
제10a,b도는 내외벽판의 간격변화에 따라 변하는 문의 설치 상태도.
제11a,b도는 내외벽판의 간격변화에 따라 변하는 선반의 설치상태도.
제12도는 보조 내외벽에 의해 장농의 깊이를 조절하는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앞뒤 받침간 2,2′ : 레일홈
3 : 가림판 4,5 : 외벽판
6 : 내벽판 7 : 조절나사
8 : 괘지목 9 : 괘지홈
10 : 삽지홈 11 : 요홈부
12 : 괘지횡간 13,14 : 선반
15 : 장방형 구멍 16 : 받침편
19,20 : 문 19′,20′ : 접지부
본 고안은 장농을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장농의 높이를 임의 조절케하여 장농을 조립한 후 그 상면이 천정에 밀착되게 조절하므로서 개방된 장농의 상면을 천정이 밀폐토록 하면서도 장농의 상하면이 천정과 바닥에 꼭 끼이게 하여 장농의 설치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고 일정한 범위내에서 장농의 폭과 깊이를 간편하게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장농중 체결나사를 주로 사용하는 것은 조립상태는 견고하나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고 조립작업이 번거로운 폐단이 있었고 체결나사를 사용치 않고 조립부재 자체만으로 조립되는 것은 조립작업은 간편하나 조립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이들은 모두 조립되는 부재의 형태가 정해져있어 폭과 깊이를 임의조절 할 수가 없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립상태를 변경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림판(3)이 입설된 앞반침간(1)의 레일홈(2)과 뒤받침간(1′)의 레일홈(2′)위로 전면에는 괘지목(8)이 후미에는 괘지홈(9)이 각각 형성된 양측 외벽판(4)(5)과 내벽판(6)을 설치하되 이들의 저면 양측에 체결된 조절나사(7)의 두부(7′)가 레일홈(2)(2′)위에 얹혀지도록 설치하고 외벽판(4)(5)과 내벽판(6)의 전면 하부에는 괘지목(8)과의 사이에 삽지홈(10)을 형성하여 가림판(3)이 끼워지도록 하며, 외벽판(4)(5)과 내벽판(6)의 상측에 형성된 요홈부(11)에는 괘지횡간(12)이 끼워지도록 하고 외벽판(4)(5)과 내벽판(6)사이에 설치되는 선반(13)(14)은 양단에 장방형 구멍(15)을 “”형이 되게 형성하여 받침판(16)과 덮개(17)의 고정나사(18)가 삽입되도록 하며, 괘지목(8)의 사이에는 각각 “”형으로 접지부(19′)(20′)가 대향되는 문(19)(20)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21)은 천정이고, (22)는 바닥이며, (23)은 침구 수납칸이고, (24)는 옷 수납칸이며, (25)는 보조용 외벽판, (26)은 보조용 내벽판이다.
이와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은 조립시 제6도와 같이 앞받침간(1)과 뒤받침간(1′)위에 올려진 양측의 외벽판(4)(5)과 내벽판(6)의 조절나사(7)를 풀고 조임에 따라 외벽판(4)(5) 및 내벽판(6)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으로서 설치시에는 조절나사(7)를 적당히 풀어 제7b도와같이 상승되는 외벽판(4)(5)과 내벽판(6)이 천정(21)에 밀착되게 하므로서 천정(21)이 개방된 장농의 상부를 밀페하여 줌과 동시에 바닥(22)과의 사이에 꼭 끼워진 외벽판(4)(5)과 내벽판(6)의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것이며, 이때 풀려난 조절나사(7)에 의해 앞받침간(1)으로부터 외벽판(4)(5), 내벽판(6)이 들어올려져 그 사이가 벌어진다 하드라도 제6도 및 제7a,b도와 같이 그 벌어진 사이를 삽지홈(10)에 끼워진 가림판(3)이 막아주고 있으므로 장농의 전면에서 볼때 전혀 표시가 안나 외관의 미려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침구수납칸(23)과 옷수납칸(24)의 폭을 다른부재 사용없이 임의조절할수가 있는 것으로서 즉, 침구수납칸(23)을 좀더 넓게 사용하고자 할경우 내벽판(6)의 조절나사(7)를 약간 조여서 하강된 내벽판(6)의 이동이 자유롭게 한다음 내벽판(6)을 옷수납칸(24)쪽으로 서서히 약간 밀어주면 내벽판(6)은 하부의 조절나사(7) 두부(7′)가 앞받침간(1) 및 뒤받침간(1′)의 레일홈(2)(2′)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내벽판(6)이 옷수납칸(24)쪽으로 이동되어 그만큼 침구수납칸(23)의 폭이 넓어지는 것이고, 반대로 옷수납칸(24)쪽은 좁아지게 되는데 이때 침구수납칸(23)과 옷수납칸(24)에 설치된 선반(13)(14)은 양단에 “”형으로 장방형 구멍(15)이 형성되어 있어 양측의 받침편(16)과 덮개(17)의 고정나사(18)를 빼지 않드라도 내벽판(6)이 옷수납칸(24)으로 이동될때 침구수납칸(23)의 양측 받침편(16)이 선반(13)으로부터 약간씩 벌어져 간격이 저절로 조절됨과 동시에 옷수납칸(24)의 양측받침편(16)은 그만큼 선반(14)의 양단에 더 끼워져 자동으로 조절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제10a,b도에서와 같이 외벽판(4)(5)과 내벽판(6) 사이의 간격이 약간 넓어지거나 좁혀지드라도 기히 설치된 문(19)(20)을 다른것으로 표체함이 없이 그 포개지는 접지부(19′)(20′)의 조절에 의해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어 매우 편리한 것이며, 문(19)(20)을 지지하는 각각의 경첩을 제9도에서와 같이 괘지목(8)에 동시에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한 것이다.
그리고 장농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하고자할 경우에는 제12도에서와 같이 양측 외벽판(4)(5)가 내벽판(6)의 후미 괘지홈(9)으로 각각 별도의 보조용 외벽판(25)가 보조용 내벽판(26)의 전면 괘지목(8)이 삽입되게 하므로서 간편하게 장농의 깊이를 늘려서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장농의 조립상태가 견고하면서도 장농의 침구수납칸(23)과 옷수납칸(24)의 간격 및 장농의 깊이를 임의 조절하여 조립 사용할 수가 있으면서도 간격조절시 선반(13)(14)이나 문(19)(20)을 교체함이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는 간편함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괘지목(8)과 괘지홈(9)이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양측 외벽판(4)(5)과 내벽판(6)이 저면 양측으로 조절나사(7)를 체결하되 그 두부(7′)가 앞뒤받침간(1)(1′)의 레일홈(2)(2′)위에 얹혀지도록 설치하고, 외벽판(3)(4)과 내벽판(6)의 상측에 요홈부(11)를 형성하여 괘지횡간(12)이 끼워지도록 하며, 외벽판(4)(5)과 내벽판(6)의 주벽에 부착되는 받침편(16)위에 선반(13)(14)을 올려놓은 다음 덮개(17)를 씌워 고정나사(18)로 체결되도록 하고 괘지목(8)에는 문(19)(2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농.
  2. 제1항에 있어서, 외벽판(4)(5)과 내벽판(6)의 전면 하부에는 괘지목(8)과의 사이에 삽지홈(10)을 형성하고 앞받침간(1)에는 가림판(3)을 입설하여 조립시 삽지홈(10)으로 가림판(3)이 끼워서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농.
  3. 제1항에 있어서, 선반(13)(14)의 양단에 장방형 구멍(15)을 “”형이 되게 형성하여 조립후 받침편(16)과 덮개(17)의 고정나사(18)로부터 선반(13)(14)이 이동자재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농.
  4. 제1항에 있어서, 괘지목(8)에 설치되는 문(19)(20)을 “”형으로 접지부(19′)(20′)가 대향접지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농.
  5. 제1항에 있어서, 양측 외벽판(4)(5)과 내벽판(6)의 후미 괘지홈(9)으로 보조용외벽판(25)(26) 및 보조용 내벽판(27) 전면괘지목(8)을 끼워 장농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장농.
KR2019900017463U 1990-11-14 1990-11-14 조립식 장농 KR930002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463U KR930002920Y1 (ko) 1990-11-14 1990-11-14 조립식 장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463U KR930002920Y1 (ko) 1990-11-14 1990-11-14 조립식 장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832U KR920008832U (ko) 1992-06-16
KR930002920Y1 true KR930002920Y1 (ko) 1993-05-24

Family

ID=1930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463U KR930002920Y1 (ko) 1990-11-14 1990-11-14 조립식 장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9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832U (ko)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4867C (en) Panel extension assembly
US6164460A (en) Rack for a switchgear cabinet
KR101816594B1 (ko) 패턴교체가 용이한 테이블다리구조 및 그 구조에 따른 패턴보드
US4162113A (en) Composite modular furniture
KR930002920Y1 (ko) 조립식 장농
JPH0870940A (ja) 組立式書架
JPH07163427A (ja) 家具組立てキット
US4447096A (en) Cabinet assembly system
US3870390A (en) Furniture construction
KR200193442Y1 (ko) 서랍장 연결커버를 이용한 높이 조절 책상
JPH0237379Y2 (ko)
KR930002921Y1 (ko) 조립식 장식장
JPH0133032Y2 (ko)
KR200390746Y1 (ko) 침대용 프레임
KR850000230Y1 (ko) 조립식 철제캐비닛
KR0126562Y1 (ko) 다목적 조립가구
JPS643401Y2 (ko)
JPS6133823Y2 (ko)
JPH0313225Y2 (ko)
EP1284112A1 (en) Wardrobe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KR960009821Y1 (ko) 가정용 조립식 옷장
KR20000018460U (ko) 다용도 조립식 가구
JP3170609B2 (ja) 棚装置
KR0138956Y1 (ko) 조립식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