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496B1 -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 및 기구 - Google Patents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 및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496B1
KR930002496B1 KR1019880007906A KR880007906A KR930002496B1 KR 930002496 B1 KR930002496 B1 KR 930002496B1 KR 1019880007906 A KR1019880007906 A KR 1019880007906A KR 880007906 A KR880007906 A KR 880007906A KR 930002496 B1 KR930002496 B1 KR 93000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fluid
flow rate
calibration mechanism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161A (ko
Inventor
챨스 길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노믹스 매뉴팩처링 컴패니 리미티드
챨스 길 데이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믹스 매뉴팩처링 컴패니 리미티드, 챨스 길 데이비드 filed Critical 노믹스 매뉴팩처링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9000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0092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for metering by volu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5/0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 G01F25/10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 G01F25/17Testing or calibration of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volume flow or liquid level or for metering by volume of flowmeters using calibrated reservo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 및 기구
제1도는 제초제용 송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송출장치와 유량교정기구의 부품들의 부분단면 분해도.
제3도는 유량교정기구와 구성요소의 선 III-III에 대한 도면.
제4도는 유량교정기구의 다른 구성요소의 선 IV-IV에 대한 도면.
제5도는 제2도에 상응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것을 나다내는 도면.
제6도는 유량교정기구의 대안적인 구현예에 대한 부분단면 분해도.
제7도는 유량교정기구의 구성요소의 제3구현예에 대한 부분단면도.
제8도는 유량교정기구의 다른 대안적인 구현예에 대한 측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IX-IX에 대한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선X-X에 대한 단면도.
제11도는 제l0도의 선 XI-XI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핸드세트(handset) 4 : 조절부
6 : 튜브 8 : 헤드
10 : 분해요소 10 : 스핀디스크
14 : 용기 16 : 중간구성요소
18 : 슬리이브 20 : 리브
22 : 호형리세스 24 : 태브
26 : 스커어트부 28,32 : 방사형웨브
29,46 : 격벽 30 : 환형칼러
34,68,84 : 중심보스 36,86 : 보어
38 : 스핀들 40 : 분체
42 : 원통부 44 : 종방향리세스
48,70 : 평판 78 : 클립
80 : 노즐 82 : 스트러트
110 : 캡 118 : 후드
120 : 원추체 124 : 십자형돌기부
본 발명은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초제를 송출하기 위한 장치의 유량교정방법 및 기구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제초제 제제형은 서로 다른 성질들을 가지는데, 특히 자신들의 점성은 서로 상이할 것이다. 따라서 제초제가 제한기를 통해 지상분배용 분배요소에 공급되는 경우, 제한기를 통하는 유동률은, 서로 다른 2제제형에 대해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더우기, 제초제의 유동률은 유체가 동일한 공칭유동률을 주도록 설정되어 있을때라도, 장치의 1편에서부터 다른 1편까지는 변경될 것이다.
현재의 제초제들은 아주 효과적이고, 또한 과거에 사용된 고도로 희석된 제제형과의 비교에 의해 아주 적은량들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최대의 효과 및 효율을 위해, 송출장치로부터 제초제에 대한 아주 정확한 송출률 조절이 있어야만 한다. 대개의 경우, 장치의 대략적인 설정에 의한다는 것은 그리 적절치 못하다. 지금까지, 장치는 유체가 측정용 항아리속으로 운반되도록 장치를 동작하므로써 유동률을 정확하게 설립할수 있게 눈금조정하였다. 장치는, 예컨대 1분동안의 예정시간동안 동작되고, 측정용 항아리속으로 운반된 유체의 용적은 그다음 측정되며, 제초제의 실질유동률을 결정하기 위해 계산이 수행된다. 장치는 그때 조정되고 동작은 소정의 유동률이 수행될때까지 반복된다.
이 절차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측정용 항아리속으로 운반되는 제초제의 실제량이 배치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현재의 제초제들은 고가이고, 또한 결론적으로 제초제를 함부로 뿌린다는 것은 낭비적이다. 더우기,작물에 대한 원치않는 손상, 그리고 사람과 동물에 대한 위험을 피할려면, 제초제는 주의깊게 살포되어져야한다. 적절한 소요 살포설비로부터 얼마간 떨어진 곳에서 작업하는 조작자에겐 안전한 살포가 중요한 문제점이 될 수 있다.
이들 문제점들은 분배를 위한 제초제가 장치에 대해 연결용 소출구공을 가지지만 재충전을 위한 준비가 없는 패키지에 담겨져 있는 경우, 특히 민감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체용 출구를 포함하는 유체송출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유량교정기구가 제공되는데, 이 기구는 송출장치에 대해 유체밀폐방식으로 용기를 접속시키는 접속수단과 용기의 내부와 연통하는 출구를 갖춘 용기, 및 유체가 출구를 통해 용기속으로 호를때, 그리고 유체가 용기로부터 출구를 통해 장치로 귀환될때 용기의 내측,외측 압력을 평형화시키는 압력평형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량교정기구를 사용하므로써, 측정동작중 용기속으로 방출된 제초제는, 예컨대, 유체가중량하에서 출구를 통해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장치를 거꾸로 세우므로써, 장치를 통해 그의 최초 용기에 간단하게 귀환될 수 있다. 아울러, 용기를 송출장치에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므로써, 물질의 우연한 엎지름에 대한 위험은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 접속수단은 송출장치상에 스냅끼워맞춤될 수 있는 중간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중간구성요소는 용기자체에 해제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평형수단은, 예컨대, 일단은 접속수단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용기와 통하고 타단은 접속수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주위환경과 통하는 덕트형상의 통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는 용기외측으로 연장하는 튜브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용기내에 덕트를 포함한다. 또한 덕트는 용기의 단벽의 포트로부터 접속수단 근처의 위치까지 연장하는 가요성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수단 근처의 튜브의 단부는 용기속으로 도입되는 유체가 튜브속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드를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에 있어 유량교정용기는 장치의 유체출구가 용기속으로 개방하는 유체긴밀방법으로 장치에 맞추어지며, 유량교정방법은 유량교정동작중 유량교정용기속으로 유체의 양을 운반시키고, 또한 연이어 출구를 통해 장치에 유체를 귀환시키는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다 명료한 이해를 위해, 그리고 어떻게 수행되는가를 위해, 첨부도면을 참고로해서 그 일에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한 장치는, 살포될 지면위를 걷는 조작자에 의해 휴대되는 수동유지 제초제 송출기구 또는 살포대(lance)를 포함한다. 이 송출기구는 개폐밸브와 기타 적절한 동작조절부(4)를 갖춘 핸드세트(2)를 포함한다. 튜브(6)형상의 강성지지부재는 핸드세트(2)로부터 뻗어지고 아울러 분무헤드(8)를 구비한다. 헤드(8)는 방적용 디스크의 형상으로 된 분배요소(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모터(도시하지 않았음)를 수용한다. 헤드(8)는 또한 제초제의 유동률을 디스크(10)에 조절하기 위한 계량밸브 기구를 수용한다.
튜브(12)는 제초제의 용기에 접촉시키기 위해 핸드세트(2)로부터 뻗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사용에 있어, 제초제는 튜브(12), 핸드세트(2) 및 튜브(6)를 통해 헤드(8)로 호른다. 헤드(8)로부터, 제초제는 계량된 율로서 환형출구공(28)(제2도)을 통해 스핀디스크(10)로 호르는데, 이 디스크(10)는 살포될 지상에 떨어지는 작은 방울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초제를 원심력으로 배출시킨다.
적절한 헤드(8)가 영국특허명세서 제2172524호에 기재되어 있다. 헤드(8)의 밸브기구는 장치의 잔여부에 관련하여 헤드(8)의 외부하우징을 회전시키므로써, 스핀디스크(10)에 제초제의 유동률을 변경시키도록 조정된다. 이 조정은 헤드(8)를 통하는 유동통로의 횡단면을 변경시켜준다.
장치를 유량교정하기 위해, 밸브기구의 어떠한 특정설정을 위한 특정제초제의 실질유동률을 안다는 것이 필요하다. 밸브기구의 동일위치를 위해, 관련적인 점성제초제 제제형의 유동률은 점성이 적은 제제형을 위한 것보다 더 낮을 것이므로, 따라서 밸브기구의 설정만으로 모든 조건하에 그리고 모든 제제형과 더불어 유동률의 정확한 조치를 제공할 수 있다.
장치의 유량교정은 제2도 내지 5도에 도시한 유량교정기구를 사용하므로서 성취된다. 이 기구는 용기(14)와 중간구성요소(16)를 포함한다.
중간구성요소(16)는 헤드(8)의 외주에 적합하게끔 경사진 슬리이브(18)를 포함한다. 슬리이브(18)의 광폭단에는, 중간구성요소(16)주위의 대부분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원주형 리브(20)가 있다. 슬리이브(18)는 호형리세스(22)를 가져서 헤드(8)의 돌기태브(24)를 수용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리브(20)안에는 단절부가 있다. 이 태브(24)는 장치의 잔여부에 관해 헤드(8)의 상대 회전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지시기구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슬리이브(18)의 소폭단에는, 원통형 스커어트부(26)가 있다. 환형칼러(30)를 지지하기 위해 4개의 방사형웨브(28)와 하나의 격벽(29)이 스커어트부(26)로부터 내향하여 뻗어진다. 그 밖의 웨브(32)가 칼러(30)로부터 내향하여 뻗어서 헤드(8)내의 모터의 스핀들(38)을 수납하기 위한 보어(36)를 중심보스부(34)를 지지한다.
용기(14)는 제2도와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저부에 이르기까지 경사진 본체(40)를 가진다. 그의 상부에 있어, 용기(14)는 스커어트부(26)가 마찰끼워 맛춤상태로 있는 원통부(42)를 가진다. 종방향리세스(44)는 본체(40)의 전장에 뻗어서 횡방향 격벽(46)의 상단부에는 종단한다. 본체(40)의 기부는 파여져서 평판(48)을 수용한다. 격벽(46)가 평판(48)은 각각 서로 정렬되어져서 튜브(54)의 양단을 수납하는 구멍(50,52)을 갖는다. 튜브(54)는 따라서 그의 상단부에 인접하는, 이를테면, 중간구성요소(16)에 인접하는 용기(14)의 내부와 연통한다. 그의 하단부에는, 튜브(54)가 주위환경과 연통한다.
용기(14)는, 예컨대, 용기내의 액체의 용적을 나타내는 눈금부(56)를 갖추고 있다.
제1도의 장치를 유량교정하기 위해, 중간구성요소(16)와 용기(14)는 원통부(42)내의 스커어트부(26)를 위치시키므로써 서로 맞추어진다. 디스크(10)(제1도)는 제거되고, 그리고 중간구성요소(16)는 헤드(8)가 리브(20)에 의해 보지되는 헤드(8)에 클립되어진다. 제5도에 조립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것은 헤드(8)의 환형출구공(58)이 칼러(30)와 보스(34)간의 공간으로 개방되어서 용기(14)의 내부로 개방됨을 알 수있다. 헤드(8)의 밸브기구는 그 다음 조작자가 의도하는 소정유동률을 대략적으로 부여하는 위치로 조정되고, 장치는 그 다음 1분과 같은 예정된 시간동안 동작되어서, 제초제가 장치로부터 용기(14)속으로 바로 흐르도록 한다.
유체가 구멍(58)을 통해 용기(14)속으로 흐르는 동안, 공기는 용기(14)로부터 튜브(54)를 통해 추방된다. 이 공기는 격벽(46)내에 보지된 상단부에 있는 튜브(54)로 들어가서, 평판(48)내에 수납된 단부에 있는 튜브(54)의 하단부로부터 분출한다. 따라서, 용기(14)에 형성된 어떠한 압력이 구멍(58)을 통해 제초제의 자유유동을 억제시킬 가능성은 없다.
예정된 시간의 말기에 있어, 장치는 정지되어서, 구멍(58)을 통해 용기(14)속으로의 유체의 유동은 차단되어진다. 예정된 시간동안 통과한 유체의 용적은 눈금부(56)에 의해 결정되고, 구멍(58)을 통과하는 유체의 실질유동률은 계산되어진다. 이 밸브는 소정의 유동률과 비교되어, 서로 같지 않으면, 헤드(8)내의 밸브기구는 적절한 바로 실질유동률을 증감하도록 조정된다. 용기(14)속으로의 유동의 측정은 반복되어질 수 있고 구멍(58)을 통과하는 실질유동률이 소정의 유동률에 접근될때까지 밸브기구는 필요한만큼 재조정된다.
용기(14)내에 측정된 제초제의 소모를 피하기 위해, 그리고 안전한 방도로 제초제 살포의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용기(14)가 컨테이너의 수준위로 상승되고 아울러 핸드세트(2)의 개폐밸브를 개방되도록 장치를 거꾸로 세우므로써 제초제는 단지 구멍(58)을 통해 튜브(12)에 부착된 컨테이너로 귀환될 수 있다. 제초제는 그때 컨테이너를 향해 중량으로서 유동될 것이다. 이것이 일어나는 동안, 용기(14)를 떠나는 제초제는 중간구성요소(16)에 인접한 단부에 있는 어떠한 제초제를 통해 용기(14)속으로 거품을 형성하기 위해, 튜브(54)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대치된다. 따라서, 유량교정동작중 송출된 제초제는 조작자가 제초제를 취급하거나 또는 헤드(8)로부터 유량교정기구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연속사용을 위해 컨테이너로 귀환될 수 있다.
제6도는 대안적인 구현예를 예시한다. 이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 중간구성요소(16)는 스커어트부(26)에 개구(60)가 있다는 것외에는 제2도 내지 5도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용기(l4)는 제2도 내지 5도의 구현예의 것과 동일하지만, 튜브(54)를 가지지 않는다. 대신에, 이것은 원통부(42)내에 개구(62) 및 하부벽(66)에 개구(64)를 갖는다. 이 하부벽(66)은 하향돌기중심보스(68)를 가지는데, 이것에는 금속평판(7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진다. 평판(70)은 개구(72)를 가진다. 제6도에 도시한 구현예의 이용에 있어, 중간구성요소(16)와 용기(14)가 원통부(42)내에 마찰상태로 결합된 스커어트부(26)와 함께 맞추어졌을때, 개구(60 및 62)는 중간구성요소(16)에 대한 용기(14)의 상대회전에 의해 서로정렬되도록 그리고 서로 정렬됨으로부터 벗어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8)로부터의 제초제가 용기(14)속으로 배출되고 있는 동안, 평판(70)은 개구(64)가 폐쇄된 위치로 회전되어지는 한편, 용기(14)는 개구(60 및 62)가 정렬되는 위치로 중간구성요소(16)에 관련하여 회전될 것이다. 이 형태에 있어, 도입제초제에 의해 대치된 공기는 용기(14)로부터 정렬된 개구(60 및 62)를 통해 통기될 수 있다.
용기(14)속으로의 제초제의 유동이 종료되어질때, 용기(14)는 중간구성요소(16)에 관련하여 회전되어 서로의 정렬로부터 개구(60 및 62)를 이동시켜서, 개구(60)를 폐쇄한다. 장치는 그다음 컨테이너의 수준위로 용기(14)를 상승시키기 위해 거꾸로 되어지고, 평판(70)은 개구(64 및 72)가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된다. 공기는 따라서 제초제가 개구(58)(제2도)를 통해 제초제 컨테이너에 되흐르도록 허용하기 위해 용기(14)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제6도의 구현예를 기초로 한 대안적인 변경예에 있어, 평판(70)은 용기(14)의 회전이 개구(60 및 62)의 상대위치와 개구(64 및 72)의 상대위치를 동시에 변경하도록 하는 방도로 중간구성요소(16)에 링크연결될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개구들은 단지 용기(14)를 중간구성요소(16)에 관련하여 회전시키므로써 조절될수 있다.
제7도에 도시한 구현예에 있어, 용기(14)는 튜브(54')가 제2도 및 5도의 외측공동부(44)에 배치되지 않고, 용기(14)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서 제2도 및 5도에 도시한 것과 다르다. 그의 하부단에 있어, 튜브(54')는 용기(l4)의 하부벽(76)의 개구(74)에 수납된다. 그의 상단부에는, 튜브(54')가 본체(40)와 원통부(42)간의 접합점에서 용기(l4)의 벽에 부착된 클립(78)에 의해 보지된다.
제7도에 도시한 구현예의 동작은 제2도 내지 5도에 도시한 구현예의 것과 유사하다.
전술한 구현예와 마찬가지로, 제8도 내지 11도에 도시한 구현예는 중간구성요소(16)와 용기(14)를 포함한다. 중간구성요소(16)는 그의 하단부에서 헤드(8)를 수납하는 경사형 측벽(18)을 가지며, 아울러 스트러트(82)에 의해 모터스핀들(38)(제2도)을 수납하기 위한 보어(86)를 가지는 중심보스(84)에 의해 지지되는 노즐(80)을 갖는다. 노즐(80)은 돌기림(90)을 가지는 단벽(88)으로부터 선장한다.
용기(14)는 대직경부(92)와 소직경부(94)를 가지는데, 이들은 원추형 천이부(96)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소직경부(94)는 또 다른 원추형 천이부(100)에 의해 주둥이부(98)에 접속된다. 천이부(100)에서 디스크(104)에 의해 보강된 방사상 연장웨브(102)는 천이부(96)로부터 소직경부(94)를 따라 연장한다. 대직경부(92)로부터 떨어진 그들의 단부에 있어, 이를 웨브들은 중간구성요소(16)상에 용기(14)를 보지하기 위해 림(90)과 결합할 수 있는 구성물(106)을 갖는다.
중간구성요소(16)로부터 멀리 떨어진 용기(14)의 단부에서, 대직경부(92)는 캡(110)에 의해 폐쇄된다. 관형주둥이부(112)는 캡(110)으로부터 내향하여 연장하는데, 이 주둥이부는 캡(110)의 외측상에 관형돌기부(114)속으로 개방한다.
가용성 튜브(116)는 주둥이부(112)로부터 중간구성요소(16)를 향해 연장한다. 튜브(116)는 천이부(100)내에서 종료하며, 그곳에 후드(118)가 마련되어 있다. 후드(118)는 제10도와 11도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있다. 그것은 4개의 방사형 가지부(122)가 뻗어 있는 원추체(120)를 포함한다. 이 원추체(120)의 중심으로부터 십자형돌기부(124)가 돌출하는데 이것의 각 가지부는 원추체(120) 근처에 계단부(126)를 가진다.
튜브(116)는 계단부(126)에 대해 접하면서 십자형돌기부(124) 위에 맞추어지며, 이 계단부는 원추체(120)로부터 튜브(116)의 단부를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활을 한다. 따라서, 후드(118)는, 2중 화살표(130)로 지시된 바와 같이 튜브(116)속으로 그리고 튜브로부터 공기가 통과하게 하면서, 십자형돌기부(124)의 가지부들사이에 통로(128)를 제공하기 위해 튜브(116)와 상호 협동한다.
전술한 구현예들과 같이 사용하기 위해, 중간구성요소(16)와 용기(14)는 리브(90)와 구성물(106)에 의해 함께 접속되며, 중간구성요소(16)는 헤드(8)에 맞추어진다. 헤드(8)상의 계량밸브는 소정의 유동률을 제공하도록 기대된 위치로 세트되고, 핸드세트에서의 개폐밸브는 유체가 헤드(8)를 통해 유동하게끔 개방되어서 스트러트(82)를 통해 용기(14)에 들어가도록 한다. 유체가 용기(14)에 도입됨에 따라, 유체는 튜브(116)속으로 통과함 없이 후드(118)위로 유동하며, 그리고 제8도에 도시한 위치인, 용기인 저부에서 수집된다. 안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대치된 공기는, 화살표(13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용기(l4)로부터 통로(128)를 통해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헤드(8)로부터 용기(14)속으로 유동하는 유체에는 아무런 배압도 작용하지 않는다.
용기(14)속으로의 유체의 유동은 1분 또는 30초의 예정된 기간동안 계속되며, 그런다음 핸드세트(2)의 밸브는 폐쇄된다. 살포대의 몇몇 구현예에 있어, 액체는 헤드에 압송될 수 있으며, 그 경우 펌프는 예정된 시간동안 동작된다. 살포대는 그 다음 용기(14)를 반전하도록 조작되며, 액체의 수준은 용기(14)의 측면상에 있는 스케일을 읽게 된다(이 목적을 위해 투명하게 할 수 있음). 이 스케일은 중간구성요소(16)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향으로 증가되고 있는 용적을 지시한다. 결론적으로, 단지 유체의 소용적만이 용기(14)내에 존재할때 보다 큰 판독 정확성을 제공하기 위해, 스케일은 소직경부(94)에서 대직경부(92)로 관계하여 팽창된다.
판독이 완료되었을때, 핸드세트(2)의 개폐밸브는 개방되고, 유체가 그 다음 헤드(8)를 통해 최초 공급되어 있는 컨테이너에 배수된다. 이 동작중, 가요성튜브(116)의 자연적인 곡률은 후드(118)를 기울어지게 하며, 이것은 후드(118)에서의 어떠한 유체수집의 가능성도 최소로 한다. 아울러, 가지부(122)들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용기(14)의 측면으로부터 후드(118)의 본체(120)를 떨어지게 한다.
모든 유체가 컨테이너에 귀환되었을때, 눈금조정시험은 어떠한 필요한 조정이 헤드(8)의 계량밸브에 행해진 다음 반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량교정시험이 계량밸브의 최초 세트위치에서의 유동률이 필요한 크기로 되어 있다면, 중간구성요소(16)와 용기(14)는 헤드로부터 제거되어 디스크가 개시된 물질의 분배를 재차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중간구성요소(16)와 용기(14)는 클립(132)을 갖추고 있는데, 이것은 조립체를 튜브(6)(제1도)에 끼워 맞추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브기구와 협동하는 분무헤드(8)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아울러 기타 형상의 송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본 발명에 깔려 있는 원리는 유동률의 조정이 대략적인 크기의 제트를 선택하므로써 얻어질 수 있는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범위한 원리는 유체를 용기로부터 장치한 귀환시키기 위해 쉽게 반전시킬 수 없는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장치는, 예컨대, 1분무헤드 이상을 가지는 휘일형 장치일 수 있다. 그와같은 상황에서, 측정동작중 송출된 유체는 흡입에 의해 장치로 귀환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유체를 분무헤드로 송출시키는데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펌프를 역전시키므로써 성취될 수 있다. 모든 유체가 용기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침지관(dip tube)이 장치의 출구에 연결되기도 하는데, 이 침지관은 용기의 저부에 뻗어진다.
기술된 구현예들에 있어, 용기, 내,외측 압력은, 예컨대 튜브(54) 형태의 통기수단에 의해 평형화되며,이 튜브는 공기의 유동이 용기속으로 그리고 용기로부터 행해지게 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 압력은 용기에 가동벽을 구비하므로써 평형화될 수 있는데, 이 벽은 유체의 유동을 용기속으로 그리고 용기로부터의 보상을 위해 배치되는 것이다. 예컨대, 가동벽은 가용성 물질로부터 용기를 형성하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용기는 그다음 그 속에 유체를 흐르게 하므로써 충전되고 아울러 유체가 흘러나오므로써 찌부러진다.

Claims (24)

  1.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중에 유체가 주위환경으로 배출되어지는 출구를 포함하고 있는 유체송출장치와 더불어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량교정기구에 있어서, 용기를 송출장치에 유체밀폐방식으로 하여 해제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접속수단과 용기의 내부와 연통하는 출구를 갖춘 용기를 포함하고, 아울러 유체가 출구를 통해 용기속으로 유동할때, 그리고 유체가 용기로부터 출구를 통해 장치로 귀환할때, 용기의 내,외측의 압력을 평형화시키는 압력평형화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교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용기가 용기내의 유체의 용적을 지시하기 의해 눈금부가 갖추어져 있는 유량교정기구.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접속수단이 송출장치와 그리고 용기와 결합하는 중간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유량교정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중간구성요소가 송출장치에 스냅끼워맞춤 되게끔 되어 있는 유량교정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중간구성요소가 출구를 둘러싸고 있는 위치에서 송출장치와 결합하게끔 되어 있는 벽에 의해 한정된 유입개구를 포함하는 유량교정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유입개구는 환형으로서, 송출장치의 분배요소의 구동축에 결합되게끔 되어 있는 중심요소에 의해 내측상에서 한정되는 유량교정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중간구성요소가 용기의 주위와 마찰결합되는 스커어트부를 가지는 유량교정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압력평형화수단이 용기속으로 그리고 용기로부터 밖으로 공기의 통로를 의한 통기수단을 포함하는 유량교정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통기수단이 그 일단에 있어 접속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용기의 내부와 연통하고 그리고 접속수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는 주위환경과 연통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유량교정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덕트가 용기의 외측에서 신장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유량교정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덕트가 용기의 내측에서 신장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유량교정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튜브가 일단이 접속수단으로부터 떨어진 용기의 단부에서 용기의 벽에 설치된 가요성튜브로서, 그 일단은 주위환경과 연통하고, 그 단부로부터 지지되지 않는 상태로 돌기하여서 접속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종단하는 유량교정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접속수단에 인접한 튜브의 단부가, 용기속으로 유동하는 액체의 침입으로부터 튜브를 차폐하면서 튜브가 용기의 내부간에 연통을 제공하는 후드를 갖추고 있는 유량교정기구.
  14. 제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튜브가 용기의 벽으로부터 접속수단에 인접한 튜브의 단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수단을 갖추고 있는 유량교정기구.
  15. 제1항에 있어서, 통기수단이 접속수단에 인접한 영역에 있는 용기의 벽에 제1폐쇄성 구멍 및 접속수단으로부터 떨어진 영역에 있는 용기의 벽에 제2폐쇄성 구멍을 포함하는 유량교정기구.
  16. 제1항에 있어서, 압력평형수단이 용기의 가동벽을 포함하는 유량교정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가동벽이 가요성 물질로서 용기를 형성하므로써 마련되는 유량교정기구.
  18. 제1항에 있어서, 용기의 횡단면적이 그의 길이에 따라 변화되는 유량교정기구.
  19. 유체송출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량교정기구에 있어서, 첨부한 도면 제2도 내지 5도, 제6도 또는 7도에 도시되고 설명된 유량교정기구.
  20.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중에 유체가 주위환경으로 배출되어지는 출구를 포함하고 장치의 출구는 용기속으로 개방하며 유량교정용기는 유체밀폐방식으로 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이, 유량교정동작중 다량의 유체를 유량교정용기에 송출시키고, 그리고 후속적으로 유체를 출구를 통해 장치에 귀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교정방법.
  21.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중에 유체가 주위환경으로 배출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이 : a) 제 1항에 따른 유량교정기구를 송출장치에 해제 가능하게 접속시키고 ; b) 소정의 유동률을 제공하게끔 송출장치를 조정시키고 ; c) 유체가 용기속으로 배출되게끔 예정시간동안 송출장치를 동작시키고 ; d) 용기속의 유체의 용적을 측정하고 ; e) 용기속의 유체의 용적을 소정의 유동률과 비교하고 ; f) 유체가 용기로부터 출구를 통해 장치중으로 귀환하도록 허용시키는 것으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교정방법.
  22. 제20항 또는 21항에 있어서, 장치를 반전시키므로써, 유체가 중량하에서 용기로부터 장치로 귀환되어지는 유량교정방법.
  23. 제20항 또는 21항에 있어서, 유체가 흡입작용에 의해 용기로부터 장치에 귀환되어지는 유량교정방법.
  24. 유체송출장치를 유량교정하는 방법이 명세서중에 기술된 것으로써 이루어진 유량교정방법.
KR1019880007906A 1987-06-29 1988-06-29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 및 기구 KR930002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715222 1987-06-29
GB8715222A GB2206416B (en) 1987-06-29 1987-06-29 Calibration of fluid delivery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161A KR890000161A (ko) 1989-03-13
KR930002496B1 true KR930002496B1 (ko) 1993-04-02

Family

ID=10619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906A KR930002496B1 (ko) 1987-06-29 1988-06-29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 및 기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889001A (ko)
EP (1) EP0297803B1 (ko)
JP (1) JPH074560B2 (ko)
KR (1) KR930002496B1 (ko)
AT (1) ATE73691T1 (ko)
AU (1) AU616415B2 (ko)
BR (1) BR8803168A (ko)
CA (1) CA1295584C (ko)
DE (1) DE3869234D1 (ko)
DK (1) DK355288A (ko)
ES (1) ES2030862T3 (ko)
GB (1) GB2206416B (ko)
GR (1) GR3004494T3 (ko)
IL (1) IL86879A (ko)
NO (1) NO166994C (ko)
NZ (1) NZ225138A (ko)
PT (1) PT87875B (ko)
ZA (1) ZA8845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4715A (en) * 1988-09-05 1990-05-16 Nomix Mfg Co Ltd A device for measuring flow
EP0414364B1 (en) * 1989-08-21 1995-02-22 Nomix-Chipman Limited Calibration of fluid delivery equipment
EP0434259A1 (en) * 1989-12-19 1991-06-26 Nomix-Chipman Limited Electronic control of fluid flow rate
DE4100317C2 (de) * 1991-01-08 1996-08-29 Medical Support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Fördermenge von Pumpen
IL108687A (en) * 1993-02-19 1998-06-15 Coca Cola Co Method and system for sampling and determining the presence of salts of ammonia and amines in containers
US6608733B2 (en) 1999-05-28 2003-08-19 Seagate Technology Llc Two-plane balance for spindle motors
NZ509851A (en) * 2001-02-26 2002-11-26 Instr Supplies Ltd Drench gun with variable speed pump and controller on handpiece
CA2845485A1 (en) * 2011-08-26 2013-03-07 Basf Se Method for the expulsion of a plant protection composition and spray gun
CN114532314B (zh) * 2021-12-28 2023-05-09 河北北直通用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植保喷洒系统中精确流量获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05396A (en) * 1951-04-03 1954-03-10 Prototype Developments Lt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verage density of deposition upon a surface, of flowable material discharged from a series of similar spraying orifices or jets moving relati vely to such surface
US2767581A (en) * 1952-09-17 1956-10-23 Forrest G Moorehead Flow meter
GB941258A (en) * 1960-07-14 1963-11-06 Power Ga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measuring the flow of liquids
GB1287023A (en) * 1970-04-17 1972-08-31 Kodak Ltd Volumetric fluid flow monitoring device
US4073304A (en) * 1976-07-12 1978-02-14 Suntech, Inc. System for calibrating a pump
US4331262A (en) * 1978-04-07 1982-05-25 New Brunswick Scientific Co., Inc. Calibratable automatic fluid dispenser
US4228921A (en) * 1978-09-25 1980-10-21 Am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developer flow rate
US4184367A (en) * 1978-10-16 1980-01-22 Abbott Laboratories Nipple flow rate tester
GB2059074A (en) * 1979-09-05 1981-04-15 Borden Uk Ltd Fluid flow measurement
US4324127A (en) * 1979-11-19 1982-04-13 Biotrine Corporation Spirometer calibration device and associated displacement detection system
GB2083438B (en) * 1980-09-09 1984-03-07 Wheeldon Peter Godfrey Calibrating bag
SE8106237L (sv) * 1981-10-22 1983-04-23 Mediplast Ab Luftningsanordning
DE3402804A1 (de) * 1983-12-22 1985-07-1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inspritzpumpenpruefstand
GB2172524A (en) * 1985-03-18 1986-09-24 Gill D C Spraying equipment
US4723437A (en) * 1986-03-06 1988-02-09 The Sprayer Calibrator Corporation Sprayer and nozzle calib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95584C (en) 1992-02-11
DE3869234D1 (de) 1992-04-23
PT87875A (pt) 1989-05-31
NO882746L (no) 1988-12-30
JPS6427662A (en) 1989-01-30
DK355288D0 (da) 1988-06-28
PT87875B (pt) 1995-05-04
GB8715222D0 (en) 1987-08-05
GB2206416A (en) 1989-01-05
IL86879A0 (en) 1988-11-30
AU1844488A (en) 1989-01-05
NZ225138A (en) 1990-11-27
AU616415B2 (en) 1991-10-31
GR3004494T3 (ko) 1993-03-31
US4889001A (en) 1989-12-26
NO166994B (no) 1991-06-17
NO166994C (no) 1991-09-25
JPH074560B2 (ja) 1995-01-25
DK355288A (da) 1988-12-30
GB2206416B (en) 1990-10-10
ATE73691T1 (de) 1992-04-15
NO882746D0 (no) 1988-06-21
BR8803168A (pt) 1989-01-10
ES2030862T3 (es) 1992-11-16
EP0297803B1 (en) 1992-03-18
IL86879A (en) 1990-12-23
EP0297803A1 (en) 1989-01-04
KR890000161A (ko) 1989-03-13
ZA884575B (en) 198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955A (en) Spraying device
KR930002496B1 (ko) 유체송출장치의 유량교정방법 및 기구
KR910001898B1 (ko) 농도 가변형 호스엔드 스프레이
US4406406A (en) Liquid metering and dispensing apparatus
CA3030198A1 (en) Intelligent spray system
US4832232A (en) Spray gun vent
US4491254A (en) Liquid chemical applicator
NZ203003A (en) Container with associated memory:memory information prescribes dispensing operating parameters
US4244494A (en) Method for inserting an additive liquid into a flowing fluid and discharging the resultant mixture
US2622928A (en) Sprinkler
EP1230984B1 (en) Airless sprayer for a squeeze bottle
US4218015A (en) Garden roller capable of storing and dispensing liquids
JPH02136716A (ja) 流量測定装置
US6045010A (en) Hand powered liquid chemical measuring and dispensing system
US20010023900A1 (en) Apparatus for metering, mixing, and spraying component liquids
WO1995029767A1 (en) Hand held liquid applicator
US5409135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CN115007348A (zh) 用于与动力工具一起使用的流体输送系统
US5632412A (en)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dispensing gelatinous materials
US6189743B1 (en) Fluid dispensing device for overhead plants
CA1297071C (en) Applicator
EP0451387B1 (en) Liquid delivery equipment
GB2091134A (en) Portable liquid sprayers
EP0027715A1 (en) Spray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0060406A (ja) 水田用農薬・液肥散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