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187Y1 -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187Y1
KR930002187Y1 KR2019900013654U KR900013654U KR930002187Y1 KR 930002187 Y1 KR930002187 Y1 KR 930002187Y1 KR 2019900013654 U KR2019900013654 U KR 2019900013654U KR 900013654 U KR900013654 U KR 900013654U KR 930002187 Y1 KR930002187 Y1 KR 930002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uide rod
wire
rod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424U (ko
Inventor
변양수
Original Assignee
변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양수 filed Critical 변양수
Priority to KR2019900013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187Y1/ko
Publication of KR920004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03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posts, e.g. scaffolding, trees or m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작동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권양기를 설치한 상태도.
제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및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형 권양기 2 : 몸체
3 : 지지봉 4, 21, 24 : 너트
5 : 안내봉 5a : 고정공
6 : 연결핀 7 : 링
8 : 받침판 9 : 고정대
10 : 연결구 11 : 고정끈
12 : 지지대 13 : 와이어
14 : 드럼 15 : 체인
16, 17, 18 : 로울러 19 : 고리
본 고안은 건축 공사시 모래나 자갈, 벽돌 및 시멘트 등을 보다 손쉽게 고층으로 운반시키는 소형 권양기를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권양기를 욋층으로 이동시키거나 공사후 지면으로 내릴때 간단한 설치에 의해 권양기몸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스스로 이동이 되도륵 하는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형 권양기는 건축공사시 작업공정에 따라 건축공사가 읫층으로 진행될때 분해한후 인력에 의존하여 윗층으로 이동시키거나 공사후 지면으로 다시 내려야 했던 것으로 공사장에서는 이동로를 임시로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이동로가 좁아 이동이 불편하였으며 특히 몸체의 무게는 120kg에 달하므로 인부 3-4명이 이통시켜야 ·하므로 이동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에서와 같은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권양기의 몸체를 제외한 부품들을 이동시켜 설치한후 중량이 무거운 몸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자신이 윗층으로 이동되거나 지면으로 내려올수 있도록 하므로써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이동이 되도륵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상의 소형 권양기를 지지시키는 하축 받침판의 일측으로 너트를 용접 고정시켜 중앙에 링이 고정된 안내봉을 연결구와 고정끈으로 연결시키며 하측으로 연결핀을 용접고정시켜 상기 너트에서 끼워져 있도록 하고 상기 안내봉의 상측 선단에 권양기의 고리를 연결시겨 권양기 몸체의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소형 권양기가 상,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12)를 지지고정하는 연결구(10)가 지지봉(3)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3) 하단에 받침판(8)을 용접고정시킨후 상기 받침(8)의 삼면으로 너트(21)에 의해 나사식 고정되는 고정대(9)를 설치시켜 소형 권양기(1)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12)의 일측으로 와이어(13)가 감긴 드럼(14)를 설치하는 한편 모터(M)에 의해회전이 제어되는 체인(15)을 드럼(l4)에 연결시키고 상기 드럼(14)에 감긴 와이어(13)를 반대쪽의 로울러(17)를 거치고 커버(20)내측의 로울러(l6)를 거쳐 끝단에 고정시킨후 상기 커버(20)의 외측으로 고리(19)를 설치한소헝 권양기(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8)의 일축상으로 연결핀(6)이 끼위지는 너트(4)를 용접 고정하고 연결핀(6)의 상측으로 고정공(5a)을 갖는 안내봉(5)을 연결시키되 상기 안내봉(5)의 중앙부위에 링(7)을 형성시켜 통상의 고정끈(11)을 한바퀴 감아 연결구(10)에 연결시켜 안내봉(5)이 외측으로 약간 경사되도록 설치하며 고정끈(11)이 연결된 연결구(10)의 상축으로 와셔(22)와 녀트(24)를 결합하여 구성시킨 것이다.
여기서 안내봉(5)은 중앙 부위에 설치된 링(7)에 고정끈(11)을 감아 지지봉(3)의 연결구(22)에 연결시키는한편 하측에 고정된 연결편(6)을 너트(4)에 삽입시킴으로써 안내봉(5을) 좌, 우측으로 밀게 되면 안내봉(5)은 너트(4)를 지점으로 하여 고정끈(11)의 길이만큼 좌, 우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지지대(12)의 일측 선단으로 몸체(2)의 이동시 와이어(13)이 이동을 듭는 로울러(18)을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서 소형 권양기(1)를 옥상으로 옮겨 설치할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옥상으로 지지봉(3)과 고정대(9) 및 안내봉(5)를 옮긴후 제1도에서와 같이 옥상의 일측선단부에 받침판(8)을 대고 상기 받침판(8)의 상면에 고정대(9)를 너트(21)로 고정시켜 지지봉(3)을 견고히 지지한후 상기고정대(9)의 끝단에 중량(23)을 얹어놓는다.
그리고 안내봉(5)의 연결핀(6)을 너트(4)에 꽂고 상측의 링(7)에 고정끈(l1)을 감아 지지봉(3)와 연결구(10)와 연결하여 안내봉(5)이 외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한다.
이같이 안내봉(5)의 설치를 마친후 독상에서 통상의 끈을 지면으로 내려 고리(l9)를 묶고 드럼(14)에 감긴 와이어(13)을 풀은후 통상의 끈을 상측으로 감아 당기면 고리(19)가 옥상으로 이동되고 옥상으로 이동된 고리(19)는 안내봉(5) 상측의 고정공(5a)에 끼운다.
이 상태에서 모터(M)의 동력을 역회전시키면 체인(15)에 의해 드럼(14)이 역회전하고 이와함깨 드럼(14)에서 풀렸던 와이어(13)는 다시 감기며 고리(19)가 고정공(5a)에 끼워 있게 되므로 몸체(2)가 상측으로 이송되어 가상선의 상태가 된다.
그러면 모터(M)의 동력을 끊고 사람이 안내봉(5)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밀게 되면 고정공(5a)에 몸체(2)가때달린 상태로 안내봉(5)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안내봉(5)이 회전하는 이유는 연결핀(6)이 너트(4)에 고정되지 않고 껴워져 있게 되며 고정끈(11)에의해 지지봉(3)의 연결구(10)에 연결되므로 안내봉(5)을 좌·우측으로 밀게 되면 안내봉(5)은 연결핀(6)이 삽입된 너트(4)를 지점으로 하여 고정끈(11)의 길이만큼에 대한 회전 반경을 갖고 좌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같이 안내봉(5)을 회전시켜 몸체(2)가 옥상에 위치하게 되면 모터(M)의 동력을 정회전시겨 와이어(l3)를 풀어주므로써 몸체(2)를 옥상에 내려 놓게 되고 몸체(2)가 옥상에 내려지면 안내봉(5) 상측 선단인 고정공(5a)에 끼워진 고리(19)를 풀어 몸체(2)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고정끈(11)을 풀어 안내봉(5)을 제거시킨후 몸체(2)를 연결구(10)에 연결시켜 와서(22)와 너트(24)를 고정시키면 제2도에서와 같은 상태로 간단히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몸체(2)를 옥상으로 이동시킬 경우 안내봉(5)이 회전되면 몸체(2)가 상승도중에 건물과 부딪힐 염려가있으므로 사람이 고정끈(11) 부위를 꼭잡아 주어 안내봉(5)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모터(M)를 회전시키면 드럼(14)에 와이어(15)가 감기게 되며 이때 와이어(13)는 로울러(7)(8)를 통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다음으로 공사 종료후 소형 권양기(1)를 자면으로 이동시킬 경우를 살펴본다.
먼저 지지봉(3) 상측의 연결구(10)에서 몸체(2)를 분리시킨후 다시 안내봉(5)을 설치하여 연결구(10)에 고정끈(11)으로 연결하고 안내봉(3)의 고정공(5a)에 고리(19)를 끼운후 모티(M)에 전원을 투입시키면 드럼(14)의 와이어(13)가 서서히 풀리면서 몸체(2)는 하측으로 이동된다.
봉체(2)를 지면까지 이동시킨후 안내봉(5)에서 고리(19)를 분리시켜 와이어(13)를 드럼(14)에 다시감고 안내봉(5)과 지지봉(3) 및 고정대(9)를 분리시켜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소형 권양기(1)를 건물의 상·하측으로 이동시 본리시킨후 중량이 가벼운 안내봉이나 고정대 및 지지봉은 인력에 의해 이동시켜 다시조립시키고 몸체의 고리를 안내봉의 고정공에 고정시켜 드럼에 감긴 와이어를 풀거나 감는 동작으로 몸체가 스스로 올라가거나 내려오도록 하여 중량이 무거운 몸체의 이동을 간단한 구조로써 용이하게 이룰수 있어 고층으로 운반에 따른 인력의 손실을 줄이며 건축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안정되게 할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받침판(8)에 연결된 지지봉(3)의 상측 연결구(10)에 지지대(12)가 취부되고 상기 지지대(12)의 일측으로 와이어(13)를 드럼(14)에 감거나 풀어주는 모터(M)를 설치하며 상기 지지대(12)의 일측 단으로 와이어(13)가 지지되는 로울러(16)(17)를 설치 구성시킨 소형 권양기(l)에 있어서. 지지봉(3)을 고정시키는 받침판(8)의 일측으로 너트(4)를 용접 고정시키고 상기 너트(4)에 안내봉(5)의 하측에 용접 고정시킨 연결핀(6)을 끼우며 상기 안내봉(5)의 중앙에 설치된 링(7)에 고정끈(11)을 감아 안내봉(5)이 외측으로경사지게 연결구(10)와 연결시킨후 상기 소형 권양기(1)의 이동시 고리(19)를 안내봉(5)의 상측 고정공(5a)에 연결시켜 드럼(14)에 감긴와이어(13)를 풀거나 감을때 몸체(2)가 상·하로 이동되도륵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KR2019900013654U 1990-08-31 1990-08-31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KR930002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654U KR930002187Y1 (ko) 1990-08-31 1990-08-31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654U KR930002187Y1 (ko) 1990-08-31 1990-08-31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424U KR920004424U (ko) 1992-03-25
KR930002187Y1 true KR930002187Y1 (ko) 1993-04-26

Family

ID=1930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654U KR930002187Y1 (ko) 1990-08-31 1990-08-31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1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537B1 (ko) * 2022-03-08 2022-11-07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건축물내 인양물 인입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537B1 (ko) * 2022-03-08 2022-11-07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건축물내 인양물 인입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424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8545A (en) Tower hoist
US3951236A (en) Mountable hoist
KR930002187Y1 (ko) 소형 권양기의 이동장치
CN212924036U (zh) 一种既有建筑物屋顶垂直运输装置
JP2002138659A (ja) 簡易組立型のゴンドラ吊下式作業装置
JP3692409B2 (ja) 架線の移線工法及び移線装置
KR20040097542A (ko) 커튼월 설치용 이동대차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JPH07315766A (ja) シャトルジブ型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JPH11314891A (ja) リフト装置
CN211258536U (zh) 直流主电机自动送钻装置
JP4773124B2 (ja) 運搬装置,ロープ走行装置および運搬装置を利用した削孔装置の設置方法
JPH05147884A (ja) 分解型ジブクレーン
JP2000086158A (ja) 可搬式クレーン
KR20090126936A (ko) 철탑용 크레인
JP2807667B2 (ja) 荷役装置位置決め部の構造
CN217735042U (zh) 一种通信塔攀爬装置
JPH08280987A (ja) 物干し構造
CN212559200U (zh) 一种屋顶风机电机吊装装置
CN214570148U (zh) 类矩形大口径顶管隧道管节吊装翻运装置
KR200379722Y1 (ko) 삭도용 윈치
CN220976403U (zh) 一种台车拼装吊具
CN218403358U (zh) 一种建筑吊材搬运装置
CN219670013U (zh) 一种适用于具有多个倾角的狭长隧道锚洞的吊装系统
CN112158751B (zh) 一种具有多位转向功能的建筑主体结构安装用起吊装置
CN214359801U (zh) 电缆盘提升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