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978B1 - V 풀리용 체인 - Google Patents

V 풀리용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978B1
KR930001978B1 KR1019890008843A KR890008843A KR930001978B1 KR 930001978 B1 KR930001978 B1 KR 930001978B1 KR 1019890008843 A KR1019890008843 A KR 1019890008843A KR 890008843 A KR890008843 A KR 890008843A KR 930001978 B1 KR930001978 B1 KR 930001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lock
chain
link pla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89A (ko
Inventor
세이따로 우에다
유끼오 오오꾸보
신이찌로 이즈미
다께시 호시로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마쯔노 고지
미쯔보시 벨트 가부시끼가이샤
오다 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마쯔노 고지, 미쯔보시 벨트 가부시끼가이샤, 오다 긴조 filed Critical 히다찌 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V 풀리용 체인
제1도는 본 발명을 따르지 않은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중 a-a 단면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블럭의 단면을 평면으로 형성했을 때의 블럭의 단면과 V 풀리에 대한 다른 자세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4도는 블럭의 단면을 평면으로 형성했을 때의 블럭의 단면과 V 풀리의 내벽과의 접촉선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5a도 내지 제5b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블럭의 단면을 볼록 곡면으로 형성했을 때의 블럭의 V 풀리에 대한 다른 자세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블럭의 단면을 볼록 곡면으로 형성했을 때의 블럭의 단면과 V 풀리의 내벽과의 접촉선을 도시하는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중 a-a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래의 체인과의 소음 수준을 비교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풀리 2 : 축심
10 : 링크 플레이트 11 : 주 링크 플레이트
12, 14 :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 13 : 부 링크 플레이트
20 : 연결핀 30 : 블럭
31 : 볼록 곡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무단 변속기, 일반적인 변속기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V 풀리 주위에 감긴 체인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체인은 US-a 2550 431 로부터 알려졌는데, 블럭은 연결핀의 일부분이다.
최근, 한쌍의 V 풀리 및 무단 벨트 또는 체인을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큰 토오크를 갖는 자동차의 엔진에 연결되는 무단 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무단 변속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배열되었다. 내벽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한쌍의 V 풀리는 구동축과 피동축상에 설치하고, 무단 벨트 또는 체인은 두 V 풀리 사이에 감고, 각 V 풀리의 내벽 사이의 간격은 변속 지령에 따라서 유입 수단등에 의하여 변화된다. 이것은 V 풀리 사이에 감긴 무단 벨트 또는 체인의 감긴 반경을 상대적으로 또한 연속적으로 변화시켜서 구동축과 피동축 사이의 무단 변속을 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무단 벨트는 1980년 발행한 일본국 특허공보 제6783호에 기술되었다. V 풀리의 내벽과 접촉하는 면을 갖는 약 2mm의 두께를 갖는 금속 블럭이 다수의 금속박판 사이에 갭이 없게 겹쳐서 형성된 후프와 함께 실제로 겝이 없도록 끼워넣어서 배열된 금속 V 벨트이다. 이 V 벨트에 있어서의 구동력의 전달은 다음 같이 행해진다. 구동축 측의 V 풀리의 토오크는 마찰력을 거쳐서 블럭에 전해지며, 블럭 사이의 구동력은 미는 힘(pushing force)에 의해서 앞의 블럭으로 전해진다. 한편 구동축의 측의 V 풀리에 있어서의 구동력은 마찰력을 거쳐서 재차 토오크로 변화된다. 즉 구동력은 거의 후프에서는 작용하지 않으며, 후프는 블럭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부재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이 V 벨트에서는 후프의 파괴는 없으며 내구성 및 소음의 면에서 우수하다고 고려되었다. 그러나 구동력이 블럭 사이의 미는 힘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피동축 V 풀리상의 플레이트 벨트는 V 풀리의 외주방향으로 이탈하려한다. 그 결과 V 벨트와 V풀리와의 마찰력을 매우 작게 해서 구동력의 전달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금속 박판을 틈없이 겹쳐서 형성된 후프의 제조는 매우 곤란하며 많은 손질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체인에 V 풀리와 접촉하는 블럭을 고착한 V 풀리용 체인이 제안되었다. 이 V 풀리용 체인에 의하면 구동력은 체인의 인장력(pulling force)에 의해서 전달되므로 상술한 V 벨트의 결점인 구동력의 전달 능력의 저하는 해소된다. 그와 같은 V 풀리용 체인은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26729/1984호, 226738/1984호, 26831/1985호, 143243/1985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종래 기술은 주로 블럭의 체인으로의 부착 수단이나 블럭을 링크 플레이트에 부착하던가 또는 연결핀의 상대단부에 형성하는 등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V 풀리의 내벽과 접촉하는 블럭 단부면의 형성에 대해선 특히 관심이 주어지지 않은채 평면으로 형성되었다.
블럭의 단부면 형상을 평면 이외로 한 것으로서 예컨대 1988년 12읠 19일자로 일본국 실용공개 196850/1988호에 기술된 기술을 인용하였다. 이것은 체인의 종방향으로 축심을 갖는 원통형 몸체의 주 표면에 있어서 V 풀리의 내벽에 대해 주변면에 인접한다. 그러나, V 풀리의 내벽은 원추형을 하고 있으며, 이 기술에 의하면 블럭과 V 풀리는 이론상 점접촉 밖에 되지 않으므로 구동력의 전달 능력상 불리하다고 할 수 밖에없다고 생각된다.
이점에 있어서, 블럭의 단부면을 V 풀리의 내벽의 경사각(즉 정점각의 반)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평면으로 형성하면, 블럭의 단부면과 V 풀리의 내벽과는 이론상 직선상인 접촉선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며, 구동력의 전달에 있어서 유리하다. 그러나 블럭이 V 풀리에 접촉하여 움직일 때엔 블럭은 그 전방 모서리에서 V 풀리와 접촉하며, V 풀리를 해제하기 시작할때는 후방 모서리에서 V 풀리와 접촉한다. 즉, 결합 및 해제의 시작점에서는 블럭과 V 풀리는 서로 매끄러운 선형 접촉을 하지 못하며 블럭은 모서리에서 V 풀리와 접촉하고, 구동력의 전달 능력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 블럭이 V 풀리에 진입해서 V 풀리와 결합했을때부터 이탈할 때까지 블럭은 연결핀의 축심에 평행한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한다. 이 블릭의 회전은 고압력하에서 행해지므로 블럭과 V 풀리와의 사이의 회전 마찰을 일으키며 이 결과 블럭과 V 풀리의 마모와, 구동력의 손실을 가져온다. 또, 블럭의 단부면의 마모하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V 풀리용 체인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없다. 또한 양 V 풀리간에 위치하는 체인은 연결핀의 축심 방향으로 진동되므로 V 풀리에 진입할때에 블럭은 V 풀리의 내벽과 충돌되며, 이 충돌 때문에 소음을 발생시킨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자들은 블럭을 링크 플레이트에 대해서 고정 상태로 하지 않고, 블럭을 연결핀의 선단에 유니버설 조인트형태를 접속하고, 블럭의 단면이 V 풀리의 내벽의 경사각과 동일한 경사각을 유지한채 연결핀의 축심에 관해서 회전 가능 및 어느정도 스윙 가능한 기술 1988년 9월 13일자(일본국 특허공개 219937/1988호)을 제안했다. 이 기술에 의하면 블럭은 회전 가능하므로 V 풀리에 진입할때 생기는 블럭의 회전에 기인하는 회전 마찰은 생기지 않으며, 또한, 블럭은 스윙 가능하다. 그러므로 V 풀리에 진입할때 블럭이 V 풀리의 내벽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돌음이 경감된다고 기대된다. 그러나, 기대한 만큼의 소음의 저하는 달성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블럭의 단면이 평면으로 형상되어 있으므로 블럭과 V풀리가 매끄러운 선 접촉을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일반적인 체인을 더욱 개발하고 또한 블럭의 단부면이 V 풀리의 내벽과 항상 매끄러운 선 접촉을 유지토록하고, 이것으로 블럭과 V 풀리의 마찰과 관련된 단점을 피하고 구동력의 전달 능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V 풀리용 체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V 풀리에 진입할때의 블럭과 V 풀리와의 층돌에 기인하는 소음을 경감하는 V 풀리용 체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1항의 특징 부분에 의해 충족된다.
그외의 장점의 상세사항은 종속항에 설명된다.
제1와 제2도에 도시한 V 풀리용 체인은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10)와 다수의 연결핀(20)과, 다수의 블럭(30)을 갖는다. 링크 플레이트(10)는 4개의 링크 플레이트를 갖는 횡열과, 3개의 링크 플레이트를 갖는 횡열이 교대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며, 편의상 전자를 주 링크 플레이트(11), 후자를 부 링크 플레이트(13)라고 부른다. 주 링크 플레이트(11)와 부 링크 플레이트(13)에 형성된 구멍(15)에는 연결핀(20)이 관통되며, 그 연결핀(20)은 주 링크 플레이트(11)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에만 고정되며, 다른 링크 플레이트에 대해서는 회전 가능하다. 이같이 되어 주 링크 플레이트(l1)와 부 링크 플레이트(13)는 구부릴 수 있게 서로 연결되어서 체인이 형성되어 있다.
V 풀리(1)의 내벽(3)에 대향하는 외부링크 플레이트(outer link plate)의 외측에 그 외부 링크 플레이트에 관해서 고정되어 있는 블럭(30)이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V 풀리의 내벽에 대향하는 외부링크 플레이트는 주 링크 플레이트(11)중에서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l2)이며, 부 링크 플레이트(13)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4)는 V 풀리의 내멱에 대향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링크 피치를 한층 더 길게 형성하면, 부링크 플레이트(13)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4)도, V 풀리의 내벽에 대향하는 외부 링크 플레이트로 할 수 있다. 이때에, 블럭은 부 링크 플레이트(13)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4)의 외측에 그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4)에 관해서 고정되도록 제공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블럭(30)은 주 링크 플레이트(11)사이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에 대해서 고정되었으며, 고정 수단에 대하여 블럭(30)은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에 고착되거나 일체식으로 형성될 것이다. 또 본 실시예선 블럭(30)은 주 링크 플레이트(11) 사이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의 거의 중앙에 1개씩 설치되어 있으나 중앙에서 떨어져서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다수의 블럭(30)은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의 종 방향으로 배열된 열로서 제공될 것이다. 이 경우에 블럭(30)을 연결핀(20)에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블럭(30)은 V 풀리(1)의 내벽(3)과 접촉하는 볼록 곡면(31)을 갖는다. 볼록 곡면(31)은 원추체의 표면에서 잘라낸 배치로 형성된다. 그 원추는 V 풀리의 내벽(3)의 정점각(
Figure kpo00001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점각(β)을 가지며, 또한 연결핀(20)의 축심(21)과 평행하고 V 풀리(1)의 축심(2)과 평행인 축심(32)을 제공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선 볼록 곡면(31)이 원추형에서 잘라낸 곡면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원추의 축심(32)을 링크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치한 경우를 도시했는데, 축심(32)의 위치에 대해선 특히 이 경우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해서 형성된 V 풀리용 체인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단부면(35)을 V 풀리(1)의 내벽(3)의 경사각(정점각(
Figure kpo00002
)의 반)과 동일 경사각을 갖는 평면으로 형성했을 경우의 블럭의 다른 자세를 개략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3a도는 블럭이 V 풀리와 결합되지 시작할때 블럭의 자세를 도시하였으며, 제3b도는 결합 직후의 자세를 제3c도는 이탈 직전의 자세를 제3d도는 이탈시의 자세를 도시하였다. 도면에 있어서, 이해하기 쉽게 단부면(35)의 형상은 사각 형상으로 하고 있다. 단면(35)을 평면으로 형성했을때엔 블럭과 V 풀리는 V 풀리(1)의 축심(2)을 지나 단부면(35)에 직교하는 평면(P)내에 위치하는 직선(a)에서 서로 접촉한다. 따라서 블럭이 V 풀리와 결합할때엔 제3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럭은 그 전방 모서리에서 V 풀리와 접촉한다. 블럭이 이탈할때는 제3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후방 모서리에서 V 풀리와 접촉한다.
이렇게 해서 접촉선(a)은 이동된다. 한편 블럭의 단부면(35)과 V 풀리(1)의 내벽(3) 사이의 접촉은 제4도에 도시하였다. 도면에서, 단면(35)과 내벽(3)은 접촉선(a)에서 서로 접촉하는, 즉 V 풀리(1)의 축심(2)을 통하는 직선의 연장이며, 단부면(35)에 수직이다. 그후, 단부면(35)이 θ°만큼 연결핀의 축심에 평행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되면, 이제까지의 접촉선(a)은 선(A')으로 이동하는데 동시에 접촉선은 새로이 선(b)으로 이동한다. 단부면의 회전은 블럭이 V 풀리와 결합할때 또는 이탈할 때 불가피적으로 생기는 것이며, 또한 속도 변화시에도 생기는 것이다. 상기한 접촉선의 이동은 단부면(35)측에 대해서 보면 선(A')으로부터 선(b)으로의 이동이며 그 거리는 단부면(35)의 상측과 하측에서 길이가 같다. 다른 한편, V 풀리의 내벽(3)측에 대해서 보면 접촉선의 이동은 선(a)으로부터 선(b)으로의 이동이며 즉 접촉선을 V풀리의 축심(2)에서 본 각도가 θ° 만큼 이동되며 그 거리는 단부면(35)의 상측이 하측보다 길다. 따라서 접촉선의 이동은 원활히 행해지지 않으며, 단부면(35)의 θ°만큼의 회전이 마찰되면서 행해진다. 이같이 이동마찰을 동반하는 접촉선의 이동이 행해지며 마모, 크리크(creak) 등의 원인이 된다. 제3a도에 결합시의 블럭의 자세와 제3d도의 이탈시의 자세는 이상적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는 블럭은 가일층 크게 회전된다고 예상되며 이때는 단부면(35)이 용이하게 상기 평면(P)에 위치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 결과, 블럭은 단부면(35)의 내부 영역에 있어서 V 풀리의 내벽(3)과 접촉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단부면의 모서리는 V 풀리의 내벽(3)에 예각으로 접촉한다. 이것은 구동능력의 감소, 소음, 부분적인 마모등을 발생시킨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선 단부면은 평면이 아니며 연결핀(20)의 축심(21)과 평행인, 따라서 V 풀리의 축심(2)과도 평행인 축심(32)을 가지며, V 풀리의 내벽(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점각을 갖는 원추의 볼록곡면(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되었을 때엔 V 풀리의 내벽(3)과 곡면(31)은 V 풀리(1)의 축심(2)과 볼록 곡면의 축심(32)를 포함하는 평면(P)내에 위치된 직선상의 접촉선(a)에서 서로 접촉한다. 따라서 결합시의 블럭의 자세는 제5a도와 같이 되며, 이탈시의 자세는 제5b도와 같이 된다. 그러므로 결합시부터 이탈시에 이르는 사이에 블럭의 회전은 생기지 않으며, 마모는 경감된다. 단, 이것은 이상적인 결합 및 이탈일 때이며, 실제로는 제5a도 및 b도와는 상이한 자세로 결합 및 이탈해서 블럭이 회전되는 것이 예상된다. 그때에는 제6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듯이 볼록 곡면(31)과 V 풀리의 내벽(3)과는 V 풀리의 축심(2)과 볼록 곡면의 축심(32)을 포함하는 면(P)내에 위치한 접촉 직선(a)에서 서로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볼록 곡면(31)의 θ°까지 앞뒤로 회전할때 선(a)은 선(a°)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접촉선도 선(b)으로 이동한다. 즉 볼록 곡면(31)측에 대해 볼때 접촉선의 이동은 선(a°)으로부터 선(b)까지 이동하며, V 풀리의 내벽(3)측에 대해서 볼때 선(a)으로부터 선(b)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볼록 곡면(31)의 회전은 마찰을 일으키며 발생한다. 그러나 회전에 따르는 접촉선의 이동량은 현저하게 작으며, 볼록 곡면(31)과 V 풀리의 내벽(3)은 모서리에서의 접촉의 형태가 아니고 매끄러운 접촉 형태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해서 구동 능력의 저하, 소음, 부분적인 마모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제6도에선 볼록 곡면(31)이 원추에서 절단된 곡면임을 이해하기 쉽도록 볼록 곡면(31)이 반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엔 블럭이 전후로 180° 회전하는 범위내에서 매끄러운 선접촉을 한다. 만일 블럭이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으로 형성하면, 매끄러운 선 접촉은 360°의 범위내에서, 즉 어떤 방법으로도 유지된다. 그러나 예상되는 회전이 제6도의 선 a°에서 선 b까지라면 그 부분을 상술한 원추형에서 절단한 볼록곡면에 형성하면 충분하며, 다른 부분은 내벽(3)에 접하지 않게 형성하면 된다.
각각의 링크 플레이트(10)에는 블럭(30)의 볼록 곡면(31)을 거쳐서 V 풀리(1)에서 받는 힘과 연결핀(5)을 거쳐서 전후의 링크 플레이트에서 받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이 결합력을 구성해서 블럭(30)의 회전을 가져온다. 따라서 회전의 원인이 되는 결합 자체를 작게하기 위해서, 볼록 곡면(31)을 형성하는 원추의 축심(32)의 링크 플레이트(10)의 종방향에 관한 위치로서 연결핀의 축심(21)을 포함하며 링크 플레이트(10)의 종방향에 직각인 평면내에서는 어떤 위치에 배치해도 양호하다. 이 경우 블럭(30)은 주 링크 플레이트(11)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에 나란하게 제공된다. 또, 이 경우엔 블럭(30)을 주 링크 플레이트(l1)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에 관해서 고정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블럭(30)을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에 고착시키거나 블럭(30)을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12)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수단으로서 블럭(30)을 연결핀(20)에 고착하거나 블럭(30)을 연결핀(20)의 단부면에 형성하며, 그런 다음 연결핀(20)을 고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선 블럭은 연결핀에 대해서 고정되었지만,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듯이, 블럭은 연결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었으며, 연결핀(20)의 양단부는 볼록 구면(28)을 가지며, 한편 이것을 끼워맞춤시키는 블럭(30)의 수용부는 상기 볼록 구면(28)보다 곡을 반경이 큰 오목 구면으로 구성된 저면(37)을 가진다. 이렇게 하여 블럭(30)을 연결핀(20)에 끼워맞춤 했을 때, 상기 두 부재는 연결핀의 축심(32)을 포함하는 영역에서 양자가 접하며, 블럭(30)이 회전하기 쉽게 형성되어 있다. 또, 블럭(30)의 측면에는 그 본체에서 돌출된 스텝부(38)가 형성되며, 그 스텝부(38)의 외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절단부(43)를 가지는 환형 레그(41)는 블럭의 측면과 적은 갭을 갖고 장착된다. 대향하는 블럭의 스텝부(38)의 외측에 끼워맞춤된 레그(41)는 관형 연결 부재(4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레그(41)와 연결부재(42)는 블럭을 유지하는 스토퍼 부재(40)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블럭을 연결핀의 양단부에 강하게 끼워맞출 필요가 없어져서 헐렁하게 끼워맞춤할 수 있으므로 블럭은 큰 압축 응력을 받지않는다. 그러므로, 블럭은 파손되기 어렵게 되며 또 회전하기 쉽게 된다.
블럭을 링크 플레이트에 관해서 고정하건 회전시키건간에 체인피치 즉 인접 연결핀 사이의 간격은 균일하게 형성하지 않는 편이 소음 억제상 바람직하다. 이것은 체인의 공진이 줄기 때문이다. 또, 체인 피치가 일정하여도 인접 블럭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지 않게 형성하면 정속 운정시에 있어서도 블럭과 V 풀리와의 충돌에 기인하는 음의 주파수가 균일하게 도지않으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체인의 양측에 부착된 블럭간의 외폭치수, 즉 일측의 블럭의 단부면에서 타측의 블럭의 단면까지의 길이를 동일하지 않게 형성하면, 블럭과 접촉하는 V 풀리의 반경상의 위치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음의 주파수가 동일하지 않게 되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끝으로, 블럭을 연결핀의 양단에 고착하고, 연결핀을 각 링크 플레이트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소음의 실제측정에 대해 설명한다. 체인의 각 부 칫수를 설명한다. 체인 피치 즉 각 연결핀의 간격은 10.1, 8.6, 7.7mm의 3종으로 했다.
일반적으로 체인 피치가 작을수록 체인이 발생하는 소음은 작아지지만, 강도는 저하되며 또 제작할 때의 곤란성이 증가된다. 강도에 면에서 7.7mm의 체인 피치는 무단변속기용 체인으로써 하한치라고 생각된다. 링크 플레이트의 높이, 즉 체인의 높이는 모두 10.4mm로 했다. 주 링크 플레이트에는 4개의 핑크 플레이트가 사용되고, 그 두께는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 2.0mm, 기타는 1.8mm로 했다. 또, 부 링크 플레이트에는 3개의 링크 플레이트가 사용되고, 그 두께는 2.6mm로 했다. 이렇게 하여 주 링크 플레이트의 총 두께와 부링크 플레이트의 총 두께를 되도록 균일하게 했다. 연결핀은 7.7mm의 체인 피치의 체인에 대해서 직경을 3.8mm로 하고 8.6mm 및 10.1mm의 체인에 대해서 직경을 4.5mm로 했다. 블럭은 직경 7.5mm, 높이 4.9mm의 실린더 배치로 원추를 조합한 형상으로 했다. V 풀리의 내벽의 정점각(
Figure kpo00003
)은 158°로 형성했으므로 블럭의 원추의 정각(β)도 158°가 되도록 제조했다. 그러나 실제로 β에 대해서 ±2°정도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다음에 체인 각부의 재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링크 플레이트는 cr-Mo 강, 연결핀은 Ni-cr-Mo 강 또는 다이스강에 오스템퍼 처리한 것, 블럭은 cr-Mo 강이며, 접촉면으로서 작용하는 원추부는 질화에 의한 표면 경화 처리를 행했다. 또, V 풀리는 cr 강의 표면에 경화를 행한 것이다.
상기한 체인은 V 풀리에 장착해서 소음 수준을 측정했다. 측정결과를 제9도에 도시했다. 도면에서 a는 본 발명에 의한 7.7mm의 체인 피치를 갖는 체인의 소음 수준을 지시하며 b는 상술한 발명자등에 의한 일본국 특허공개 219937/1988호에 기술된 체인이며 그 체인 피치도 7.7mm 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체인에선 소음 수준을 상대적으로 10db까지 줄일 수 있다.
또, 체인 피치 7.7mm의 것과 8.6mm의 것을 무작위로 배열한 것 즉 체인 피치가 일정치 않은 체인의 소음 수준도 측정하고, 체인 피치가 7.7mm에서 일정한 것과 소음 수준을 비교했다. 그 결과 상이한 체인피치인 것을 불규칙적으로 배열한 것이 수 db소음이 낮았다. 또 실제로 귀에 느끼는 소리는 체인 피치가 일정인 것에 비해서 부드럽고 귀에 자극이 적었다. 이 현상은 공진이 완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또한 10, 000km의 주행에 상당하는 회전 시험을 행한후에 체인을 V 풀리에서 벗겨내어서 블럭을 시각적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블럭의 원추면 측 V 풀리와의 접촉면의 전면에 광택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블럭이 적절하게 회전하기 때문에 블럭의 전체 원추면이 V 풀리와 불규칙하게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마모를 억제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Claims (5)

  1.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l0)와 인접하는 링크 플레이트(10)를 굴곡 가능하게 연결한 다수의 연결핀(20)을 가지며, 1쌍의 V 풀리(1)간에 무단으로 감아 걸어져서 사용되고, 상기 V 풀리(1)의 내벽(3)에 대향하는 다수의 외측링크 플레이트(11, 12)의 외측에 각각 제공된 다수의 블럭(30)을 가지며, 상기 블럭(30)은 상기 V 풀리(1)의 상기 내벽(3)과 접촉하는 볼록 곡면을 가지고, 상기 볼록 곡면은 V 풀리(1)의 상기 내벽(3)의 정점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점각을 가지는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럭(30)은 각각 상기 원추 또는 절두원추의 축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원추 또는 절두원추의 축심은 상기 연결핀(20)의 축심과 일치하는 V 풀리용 체인에 있어서, 상기 블럭(30)은 상기 연결핀(20)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며, 대향하는 블럭(30)은 1쌍의 레그(41)와 이것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42)로 되는 스토퍼 부재(40)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 풀리용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연결핀 사이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V 풀리용 체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정속 회전시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블럭(30)과 접촉하는 상기 V 풀리상의 반경이 실질적으로 균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V 풀리용 체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20)의 양단부는 볼록 구면(28)을 가지며, 한편 이것을 끼워맞춤시키는 블럭(30)의 수용부는 상기 볼록 구면(28)보다 곡율 반경이 큰 오목 구면으로 구성된 저면(37)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V 풀리용 체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블럭(30)의 측면에는 스텝부(38)가 형성되며, 그 스템부(38)의 외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절단부(43)를 가지는 상기 스토퍼 부재(40)의 환형 레그(41)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 풀리용 체인.
KR1019890008843A 1988-06-27 1989-06-27 V 풀리용 체인 KR930001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825488 1988-06-27
JP158254 1988-06-27
JP63-158254 1988-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89A KR910001289A (ko) 1991-01-30
KR930001978B1 true KR930001978B1 (ko) 1993-03-20

Family

ID=1566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843A KR930001978B1 (ko) 1988-06-27 1989-06-27 V 풀리용 체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44715A (ko)
EP (1) EP0348876B1 (ko)
JP (2) JPH0276942A (ko)
KR (1) KR930001978B1 (ko)
DE (1) DE6890538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05971A1 (en) * 1989-06-30 1991-01-02 Mitsuboshi Belting Ltd. Chain-type power transmission belt
DE19708865B4 (de) * 1996-04-03 2006-09-07 Cvt Verwaltungs Gmbh & Co. Patentverwertungs Kg Laschenkette für stufenlos übersetzungsein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DE19855582A1 (de) * 1997-12-05 1999-06-10 Luk Getriebe Systeme Gmbh Laschenkette
DE10139123A1 (de) * 2000-09-06 2002-03-14 Luk Lamellen & Kupplungsbau Laschenkette
US6592483B2 (en) 2001-05-15 2003-07-15 Borgwarner Inc. CVT chain-belt having wear pads extending from wear links wherein pads are positioned at or between joint/pin ends
JP2005226831A (ja) * 2004-01-14 2005-08-25 Koyo Seiko Co Ltd 動力伝達チェ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EP1948979B1 (en) * 2005-11-08 2010-07-21 Robert Bosch Gmbh Transmission with pulleys and a drive belt
US20070298921A1 (en) * 2006-06-02 2007-12-27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Plate-link chain and rocker member for a belt-driven conical-pulley transmission
JP2008298243A (ja) * 2007-06-01 2008-12-11 Jtekt Corp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る動力伝達装置
DE102019114950B4 (de) * 2019-06-04 2021-04-2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anzteil zur Weiterverarbeitung zu einer Lasche für eine Laschenket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145A (en) * 1922-09-29 1923-12-31 Green Harol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lting for machinery
US2690678A (en) * 1948-09-03 1954-10-05 Wilfrid H Bendall Wedge drive chain
US2550431A (en) * 1948-09-10 1951-04-24 Shaw Louis Eaton Variable-speed transmission chain
NL142767B (nl) * 1970-04-13 1974-07-15 Doornes Transmissie Bv Inrichting voor het overbrengen van een koppel tussen v-vormige schijven.
US4349343A (en) * 1979-12-27 1982-09-14 Pt Components, Inc. Chain for variable speed transmission
US4430067A (en) * 1981-04-20 1984-02-07 Whitaker Ranald O Variable speed drive with no slippage between belt and sheaves
US4516965A (en) * 1983-05-23 1985-05-14 Borg-Warner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chain-belt
US4516964A (en) * 1983-05-23 1985-05-14 Borg-Warner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chain-belt
GB2144197B (en) * 1983-06-24 1986-11-26 Daido Kogyo Kk Chain v-belt
DE3413384C2 (de) * 1984-04-10 1986-05-07 P.I.V. Antrieb Werner Reimers GmbH & Co KG, 6380 Bad Homburg Laschenkette für stufenlos verstellbare Kegelscheibengetriebe
FR2580052A1 (en) * 1985-04-05 1986-10-10 Sopiv Friction chain for mechanical transmission
CA1295149C (en) * 1987-03-04 1992-02-04 Hiroshi Takano Power transmission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8876B1 (en) 1993-03-17
EP0348876A1 (en) 1990-01-03
KR910001289A (ko) 1991-01-30
DE68905388D1 (de) 1993-04-22
JPH0276942A (ja) 1990-03-16
US4944715A (en) 1990-07-31
JPH0276943A (ja) 1990-03-16
DE68905388T2 (de) 199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978B1 (ko) V 풀리용 체인
US4801289A (en) Rocker pin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in
US5662541A (en) Transmission with fixed transmission ratio
US6440022B1 (en) Double-meshing type silent chain and sprocket for meshing with the chain along outer circumference thereof
US4915674A (en) Toothed drive belt
US8636611B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4666421A (en) Drive chain belt
EP1760361A1 (en) Power transmission chain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the same
EP1293704A2 (en) Link plate for a silent chain
JP2832412B2 (ja) チェーンベルト
EP1845274A1 (en) Sliding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EP1234999B1 (en) Silent chain
EP0926392B1 (en) Transmission chain
WO2007074691A1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US11402009B2 (en) Sprocket
JPS6340979B2 (ko)
US4692126A (en) Claw coupling assembly for torque transmission
JPH02195046A (ja) 連続的に可変の円錐形プーリ駆動装置用の伝動チエン
JP4200702B2 (ja) 伝動用無端ベルト
JPH0769000B2 (ja) 伝動ベルト
JPS62270829A (ja) 軸継手
JPH066313Y2 (ja) 無段変速機用vベルトの金属ブロック
JPH0326342Y2 (ko)
JPS6126661Y2 (ko)
JP2001003995A (ja) サイレントチェーン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