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676B1 - 화면 편집회로 - Google Patents

화면 편집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676B1
KR930001676B1 KR1019890019923A KR890019923A KR930001676B1 KR 930001676 B1 KR930001676 B1 KR 930001676B1 KR 1019890019923 A KR1019890019923 A KR 1019890019923A KR 890019923 A KR890019923 A KR 890019923A KR 930001676 B1 KR930001676 B1 KR 930001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head
fixed
playback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864A (ko
Inventor
권순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676B1/ko
Publication of KR91001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05Television sign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면 편집회로
제1도는 종래의 화면 편집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화면 편집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중 재생 제어부의 구체 회로도.
제4도-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피 디스크 구동 트랙에 대한 헤드 대응도.
제8도는 제3도중 가산부의 구체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부 2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3 : 1헤드 구동부 4 : 플로피 디스크 구동부
5, 15, 16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
6 : 모드마이컴 7 : 마이컴
8 : 프린터 9 : 센서
10 : 모터제어부 11 : 모니터
12 : 고정 화면 녹화/재생키 입력부
13 : 기록제어부 14 : 재생 제어부
17 : 가산부 18 : 멀티플렉서
7a : 고정헤드 7b : 가변헤드
R1-R5 : 저항 OP : 연산 증폭기
VR : 가변저항 31 : 2헤드 구동부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헤드 및 가변헤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화면에 고정된 배경화면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화면 편집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신호 처리 시스템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스틸 비디오 카메라에서 화면을 녹화하거나 재생하는 경우를 예로들면, 종래의 스틸 비디오 카메라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헤드 구동부(3)를 사용하였으므로 녹화 작업시에 카메라부(1)에서 피사체를 촬영하여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2)로 출력하면 디지탈화 영상신호(S)는 상기 1헤드 구동부(3)를 거쳐 플로피 디스크(4)에 기록되었다. 상기 1헤드 구동부(3)는 가변헤드를 갖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기록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고자 할시에는 상기 1헤드 구동부(3)를 제어하여 상기 플로피 디스크 구동부(4)로부터 녹화된 내용을 독출하여 디지탈/아날로그변환부(5)를 통해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고 한 화면씩 모니터(11)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거나 프린터(8)를 통해 프린트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녹화 및 재생시 촬영된 화면 내용은 상기 플로피 디스크 구동부(4)의 각 트랙별로 기록 및 재생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나의 1헤드를 가질 경우에는 1화면씩만 재생 가능하였으므로 한 화면에 다른 화면을 추가하고 싶어도 편집상의 어려움이 많았다. 즉 예를들어 주요장면에 특정 문구 또는 배경화면을 넣는 등의 다양한 편집을 하고 싶어도 그 구현이 용이하지 못했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화면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화면 편집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변헤드와 고정헤드를 이용하여 기록매체의 2트랙을 동시에 억세스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편집 회로의 일예도로서, 화면 편집 회로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7)에 고정 화면 녹화/재생 키 입력부(12)를 접속하고, 가변헤드 및 고정헤드를 갖는 2헤드구동부(31)를 화면 정보를 입출력하는 플로피 디스크(4)에 접속하며, 디지탈화 촬영 영상 신호를 상기 고정 화면 녹화/재생 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헤드 상기 혹은 상기 가변헤드를 거쳐 상기 플로피 디스크 구동부(4)에 기록할 수 있도록 어느 한 헤드를 선택하는 기록 제어부(13)를 상기 2헤드 구동부(31)에 접속하고, 상기 고정헤드 혹은 가변헤드에 의해 상기 플로피 디스크 구동부(4)로부터 독출한 영상 데이타를 각각 아날로그 변환해서 제1 및 제2재생신호(A1, A2)를 발생하여 상기 고정 화면 녹화/재생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재생신호(A1, A2)를 합성한 제3재생신호(A3)를 후술하는 모니터(8)나 프린터(11)로 출력하고 상기 고정화면 녹화/재생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재생신호(A1)를 상기 프린터(8)나 모니터(11)로 출력하는 재생제어부(14)를 상기 2헤드 구동부(31)에 접속하며, 모드 마이컴(6)과 모터 이젝트(eject)완료를 감시하는 센서(9)와 스핀들 모터 및 헤드의 위치를 제어하는 스텝모터를 구동하는 모터제어부(10)와 프린터(8) 및 모니터(11)는 상기 마이컴(7)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도록 제1도와 동일하게 접속하여 구성한다.
제3도는 제2도중 재생 제어부(14)의 구체적인 회로도로서, 상기 고정헤드 및 가변헤드를 거쳐 플로피 디스크 구동부(4)의 해당트랙으로부터 독출한 디지탈 영상 데이타를 각각 아날로그화하는 제1 및 제2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5, 16)와, 상기 제1 및 제2디지탈/아날로그 변환 출력을 합성하는 가산부(17)와, 상기 고정화면 녹화/재생 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출력 혹은 상기 가산 출력을 선택적으로 출력(D)하여 상기 모니터(11) 혹은 프린터(8)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18)로 구성된다.
제4도-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7)의 제어 흐름도로써, 제4도는 기록시의 경우이고,
제5도는 모니터(11)출력시의 경우이며, 제6도는 프린터(8)출력시의 경우이다.
제7도는 플로피 디스크 구동부(4)의 각 트랙에 대한 고정헤드(7a) 및 가변헤드(7b) 대응도로서, 상기 고정헤드(7a)는 임의의 한 트랙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가변헤드(7b)는 각 트랙을 가변적으로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제8도는 제3도중 가산부(17)의 구체 회로도로써, 한단으로 제1 및 제2디지탈/아날로그 변환 출력을 각각 입력하는 두 저항(R1, R2)과, 상기 두 저항(R1, R2)의 다른 단 사이에 접속된 가변저항(VR)과, 한단은 상기 가변저항(VR)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고 다른 단은 서로 접속된 두 저항(R3, R4)과, 상기 두 저항(R3, R4)의 접속점에 반전 입력단이 접속되고 비반전 입력단은 접지된 연산증폭기(OP)와, 상기 연산증폭기(OP)의 반전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궤환 접속된 저항(R5)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기록시의 경우를 설명하면, 예를들어 배경 화면을 기록하고자 한다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헤드 녹화/재생 키를 온 상태로 만들어 이 상태가 감지되면 고정 트랙에 배경화면 데이타를 기록한다.
즉 플로피 디스크 구동부(4)의 한 트랙을 배경 화면 데이타 저장에 할당하고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헤드(7a)를 이용하여 배경화면 데이타를 기록하면 된다.
반면에 배경화면이 아닌 다른 피사체의 촬영 결과를 기록하고자 할 시에는 가변헤드(7b)를 통하여 해당트랙에 화면을 기록한다. 이때 상기 두 헤드(7a, 7b)중 어느 한 헤드를 이용하는 것은 기록 제어부(13)의 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기록 제어부(13)는 상기 고정 녹화/재생키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기록할 데이타가 상기 가변헤드(7a)나 상기 고정헤드(7b)중 어느 하나에 의해 기록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녹화된 화면을 재생하여 편집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고정헤드(7a) 및 상기 가변헤드(7b)를 거쳐 상기 플로피 디스크구동부(4)의 해당 트랙으로부터 독출된 화면 데이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5, 16)에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되고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화면 데이타는 가산부(17)에서 합성되어 멀티플렉서(18)의 한 입력단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마이컴(7)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헤드 녹화/재생키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오프 상태임이 판명되면 별도의 고정된 배경 화면 재생없이 보고 싶은 피사체를 촬영한 화면만 재생하고자 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멀티플렉서(18)로 가변헤드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예를들어 하이상태라 가정한다.)의 헤드 선택신호(C)를 발생하여 가변헤드(7b)를 통한 화면 데이타만 재생토록 한다.
반면에 상기 고정헤드 녹화/재생키가 온 상태임이 판명되었으면 보고싶은 화면에 고정된 배경 화면을 합성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로 간주하고 상기 멀티플렉서(18)로 합성 상기 두 헤드(7a, 7b)를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상태(예를들어 로우상태라 가정한다.)의 헤드 선택 신호(C)를 발생한다. 그 결과 상기 멀티플렉서(18)는 상기 가변헤드(7b)에 의해 독출되어 아날로그 변환된 제1재생신호(A1)와 고정헤드(7a)에 의해 독출되어 아날로그 변환된 제1재생신호(A2)를 합성한 제3재생신호(A3)를 선택하여 프린터(8) 또는 모니터(11)로 전달하기 위해 출력(D)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산부(17)는 예를들어 제8도와 같이 구성할 수 있는데, 영상화면에 1V의 전위로써 표시하고자 할 경우에는 두 저항(R1, R2)으로 각각 입력되는 상기 제1 및 제2재생신호(A1, A2)각각의 전위를 1V가 되도록 구성하여 가변저항(VR)를 중간 위치에 설정하면 상기 제1 및 제2재생신호(A1, A2)의 전압은
Figure kpo00001
로 조정되어 궤환 저항(R5)을 가지는 연산증폭기(OP)에서 증폭된 결과 1V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가변저항(VR)을 조절하면 각 화면의 선명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합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변헤드와 고정헤드를 이용해서 트랙 2개를 동시에 억세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 화면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 편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프린터(8)나 모니터(11)를 가지며 헤드에 의해 데이타를 기록 및 독출하는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영상신호를 기록하거나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영상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고정헤드(7a) 및 가변헤드(7b)를 구동하는 헤드 구동부(31)와, 상기 고정헤드(7a)에 의한 배경화면의 녹화 및 재생을 실행시키기 위한 고정화면 녹화/재생 키 입력부(12)와, 디지탈화 촬영 영상신호를 상기 고정화면 녹화/재생 키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 혹은 가변헤드(7a, 7b)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어느 한 헤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록제어부(13)와, 상기 고정헤드(7a) 혹은 가변헤드(7b)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독출한 영상 데이타를 각각 아날로그 변환해서 제1 및 제2재생신호(A1, A2)를 발생하여 상기 고정화면 녹화/재생 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재생신호(A1, A2)를 합성한 제3재생신호(A3)를 상기 프린터(8)나 모니터(11)로 출력하고 상기 고정화면 녹화/재생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재생신호(A1)를 상기 프린터(8)나 모니터(11)로 출력하는 재생제어부(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편집회로.
KR1019890019923A 1989-12-28 1989-12-28 화면 편집회로 KR930001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923A KR930001676B1 (ko) 1989-12-28 1989-12-28 화면 편집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923A KR930001676B1 (ko) 1989-12-28 1989-12-28 화면 편집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64A KR910013864A (ko) 1991-08-08
KR930001676B1 true KR930001676B1 (ko) 1993-03-08

Family

ID=1929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923A KR930001676B1 (ko) 1989-12-28 1989-12-28 화면 편집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6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864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6657A (en) Electronic still camera for recording and regenerating image data and sound data
US4660102A (en) Electronic still camera capable of editing picture recorded on disk
JP3548245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CA21839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video signal with camera setting data
KR930001676B1 (ko) 화면 편집회로
JPH03186079A (ja) 記録再生装置
US5737476A (en) Automatic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of a video signal
US4794468A (en) Magnetic disk with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s recorded thereon and apparatus for making recording on said disk
JPH0537896A (ja) 記録装置
US20060038898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195418B2 (ja) 画像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画像情報記録装置及び画像情報再生装置
JP2742491B2 (ja) 字幕情報処理装置
JP3110789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
KR100209189B1 (ko)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오디오편집장치
JP3329064B2 (ja)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KR0178740B1 (ko) 특수재생데이타의 위치정보 기록/검출장치 및 방법
KR0178727B1 (ko) 전자스틸카메라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캠코더
JP3577746B2 (ja) 電子機器装置
JPS61177081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H04336887A (ja) プリント制御装置
JPH07327192A (ja) 電子カメラ
JPH0318448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40771A (ja) 映像メモリ装置
KR19990070406A (ko)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프레임 로킹 제어장치
JPH0728403B2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