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426Y1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426Y1
KR930001426Y1 KR2019880003820U KR880003820U KR930001426Y1 KR 930001426 Y1 KR930001426 Y1 KR 930001426Y1 KR 2019880003820 U KR2019880003820 U KR 2019880003820U KR 880003820 U KR880003820 U KR 880003820U KR 930001426 Y1 KR930001426 Y1 KR 930001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back transformer
pressure bobbin
low pressure
insulating material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220U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03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426Y1/ko
Publication of KR890020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2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36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only two operative positions, e.g. relatively displaced by 180 degrees
    • H01H19/42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only two operative positions, e.g. relatively displaced by 180 degrees providing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fferent conditions, e.g. for closing either or both of two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6Radio; TV

Landscapes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요부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요부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압보빈 1a : 상측단부
2 : 고압보빈 3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케이스
3a : 내통체 3b : 요입부
4 : 절연재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 및 모니터등의 기기에 고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의 중간부에 저압 보빈의 내주벽과 접촉되는 내통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와 저압보빈 사이의 틈새를 없앰으로써 절연재의 누설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있게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1차코일(도시되지 않음)이 권선된 저압보빈(11)의 외측에 2차코일(도시되지 않음)이 권선된 고압보빈(12)을 결합하고, 이와 같이 고압보빈(12)이 결합된 저압보빈(11)을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13)에 삽입한 후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13)의 하측에서 에폭시등의 절연재(14)를 충진시킨 구조로 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 5는 다이오드를 보인 것이며, 6은 애노드선을 보인 것이고, 7은 단자핀을 보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는 절연재(14)의 가열경화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13)와 저압보빈(11)의 열팽창력이 상이함에 따라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13)와 저압보빈(11)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약간의 틈새와 사출물의 오차로 발생되는 틈새로 액상의 절연재(14)가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절연재(14)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1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저압보빈(11)의 외주면 일정부위에 접착제(15)를 도포하였으나 이와같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케이스(13)와 저압보빈(11)의 접촉면에 접착제(15)를 도포할 경우에는 접착제(15)를 도포하고, 다시 접착제(15)를 경화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요구됨으로써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양산시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중간부에 저압보빈의 내주벽과 접촉되는 내통체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내통체의 상측부에는 저압보빈의 상측단부가 결합되는 요입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와 저압보빈 사이의 틈새를 없애 절연재의 누설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보빈(1)의 외측에 고압보빈(2)이 결합되어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에 삽입된 후, 절연재(4)가 충진되는 통상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의 중간부에 저압보빈(1)의 내주벽과 접촉되는 내통체(3a)룰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내통체(3a)의 상측부에 저압보빈(1)의 상측단부(1a)가 삽입되는 요입부(3b)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부여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는 고압보빈(2)이 결합된 저압보빈(1)을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저압보빈(1)의 상측단부(1a)를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와 일체로 형성한 내통체(3a)의 요입부(3b)에 결합시킨 다음,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의 하측에서 절연재(4)를 충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의 중간부에 저압보빈(1)의 상측단부(1a)가 결합되는 요입부(3b)를 구비한 내통체(3a)를 일체로 형성하여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와 저압보빈(1) 사이의 틈새를 없앰으로써 절연재(4)의 누설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의 열팽창율과 저압보빈(1)의 열팽창율이 상이하여도 절연재(4)의 가열경화로 인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절연재(4)의 누설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는 종래의 경우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시키고 경화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텔레비젼 수상기 및 모니터등에 고압을 인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의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에 있어서,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 케이스(3)의 중간부에 저압보빈(1)의 내주벽과 접촉되는 내통체(3a)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내통체(3a)의 상측부에 저압보빈(1)의 상측단부(1a)가 삽입되는 요입부(3b)를 형성하여 절연재(4)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KR2019880003820U 1988-03-22 1988-03-22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KR930001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820U KR930001426Y1 (ko) 1988-03-22 1988-03-22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820U KR930001426Y1 (ko) 1988-03-22 1988-03-22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220U KR890020220U (ko) 1989-10-05
KR930001426Y1 true KR930001426Y1 (ko) 1993-03-29

Family

ID=1927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820U KR930001426Y1 (ko) 1988-03-22 1988-03-22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4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220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70182A (en) Casing for electronic or like parts
KR930001426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재 누설방지장치
KR20030026832A (ko) 비접촉 트랜스포머
US3099069A (en) Method of capacitor manufacture
KR200209827Y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과 케이스의 결합구조
KR820000604Y1 (ko) F.B.T.(fly-back transformer)의 충진액 누출 방지장치
KR890001344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KR100411257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KR930001428Y1 (ko) 플라이 백 트랜스 포머의 절연수지 누수방지장치
KR102020286B1 (ko) 가스용기용 노즐 보스의 가스 누출 방지장치
KR20000003119U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케이스 변형 방지구조
KR0137844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에폭시 누수 방지구조
KR100262481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코아 고정장치
KR100234795B1 (ko) 연료펌프용 컨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0134752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리드선 인출 구조
KR20023535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과 케이스 결합구조
KR200218781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애노드 캡 어셈블리 결합구조
KR200157273Y1 (ko) 에폭시 몰딩시의 가스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보빈
KR950002606Y1 (ko) Fbt에서 고압케이블과 수축튜브의 결합구조
KR0133241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코아 갭 유지구조
KR100355923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케이스
JP5344286B2 (ja) ブーツ部取付構造
KR200152075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코어 고정 구조
JP2005101570A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KR200156831Y1 (ko) 플라이백 트랜스 보빈의 고압리드 누수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