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104B1 - 서브코드 재생회로 - Google Patents

서브코드 재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104B1
KR930001104B1 KR1019890019916A KR890019916A KR930001104B1 KR 930001104 B1 KR930001104 B1 KR 930001104B1 KR 1019890019916 A KR1019890019916 A KR 1019890019916A KR 890019916 A KR890019916 A KR 890019916A KR 930001104 B1 KR930001104 B1 KR 93000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reproduction
sub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190A (ko
Inventor
김용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9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104B1/ko
Publication of KR91001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서브코드 재생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서브 코드 재생회로.
제2도는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포멧 예시도.
제3도는 메인 ID내의 서브 코드 예시도.
제4도는 서브 ID내의 서브 코드 예시도.
제5도는 서브 데이타내의 서브코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1복조부 B : 제2복조부
C : 동기섬출 및 보호부 D : 재생 타이밍 발생부
E : 재생블럭 어드레스 발생부 F : 마이컴
G : 데이타 선택부 H : 제1래치부
I : 제1검출부 J : 제2검출부
K : 패리티검사 및 데이타선택부 L : 제2래치부
1 : 재생 데이타 입력 2 : 재생 클럭
3 : NRZ복조 출력 데이타 4 : 복조데이타
5 : 동기검사 결과 6 : 동기 검출 신호
7 : 블럭 어드레스 카운트 클럭 8 : 서브 ID래치 클럭
9 : 패리티 검사블럭 10 : W2, SW2 검출신호
11 : W1, SW1검출신호 12 : 메인 ID래치 클럭
13 : 명령 및 클럭 14 : 데이타
15 : SW1, SW2추출클럭 16 : W1, W2추출클럭
17 : W1, W2
18 : 메인, 서브 에어리어 지정신호
19 : W1, SW1 20 : W2, SW2
21 : 패리티 검사결과 22 : SW1, SW2
본 발명은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이하 DAT라함) 레코더에 있어서 재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브코드(sub code)를 재생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AT는 테이프에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로 기록, 재생하여 그 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모든 신호를 디지탈로 기록하므로 오디오신호 이외의 여러가지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DAT 테이프내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여러가지 정보 및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정보(identification)등이 기록되어 있다. 즉 DAT는 곡번호 표시, 시간표시 등의 기능과 각종 탐색(곡의 선두를 찾아서 재생해주는 기능)등 사용자에게 편리한 기능이 있는데 이는 마이컴에서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서브 코드 정보를 읽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DAT의 서브코드에는 2종류가 있다. 하나는 표본화 주파수, 채널수 등 주신호(음악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곡번호, 시간, 화상신호 등의 부가적인 신호이다. 전자를 ID(identification)라 부르고 특히 주신호와 관계되는 것을, PCM-ID, 부가적인 신호를 서브 코드 ID라 한다.
제2도-제5도는 DAT 간담회에서 결정한 국제규격화된 DAT규격 내용중 일부를 참고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도는 DAT의 기록 형태 예시도이고, 상기 제3도는 메인 ID내의 서브코드 예시도로서, (3a)는 메일 ID 구성도이고, (3b)는 ID1-ID7의 비트 할당 예시도이며, 상기 제4도는 서브 ID내의 서브코드 예시도로서, (4a)는 서브 ID의 구성도이고, (4b)는 컨트롤 ID예시도이며, (4c)는 프로그램 번호 ID예시도이다.
상기 제5도는 서브 데이타내의 서브코드 예시도로서, 팩(pack)ID와 팩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마이컴에서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내부적으로 합리적인 시스템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정보의 정확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다시말하면, 서브 코드를 정확히 분리해 내어야만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올바른 시스템 제어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분리된 서브코드를 상기 마이컴에 전달하기 까지의 과정도 예외일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AT 재생계의 재생 데이타로 부터 서브코드를 정확히 분리 추출하고 그 서브코드로써 마이컴과 교신하도록 하기 위한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로서, 재생 데이타를 NRZ(Non-Return-to Zero)복조하는 제1복조부(A)와 상기 제1복조된 데이타를 10→8복조하는 제2복조부(B)와, 소정 제어를 받아 상기 제2복조된 데이타로 부터 동기 패턴을 검출하는 동기 검출 및 보호부(C)와, 시스템 각부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재생 타이밍 발생(D)와,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로 부터 발생된 검출신호 상태에 따라 상기 제2복조 데이타로 부터 W1, SW1 및 W2, SW2를 각각 검출하는 제1 및 제2검출부(I, J)와,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의 제어를 받아 메인, 서브 영역(area)지정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블럭 어드레스 발생부(E)와, 상기 메인, 서브 영역 지정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검출부(I, J)로부터 W1, SW1 및 W2, SW2를 입력하고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의 제어를 받아 패리티를 검사하여 상기 동기검출 및 보호부(C)로 전달하는 패리티 검사 및 데이타 선택부(K)와,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의 제어를 받아 상기 패리티 검사 및 데이타 선택부(K)로 부터 W1, W2 및 SW1, SW2를 각각 래치하는 제1 및 제2래치부(H, L)와, 서브코드 재생 및 그에 따른 시스템 제어를 위해 각종 명령 및 클럭을 발생하는 마이컴(F)과, 상기 마이컴(F)과 상기 제1 및 제2래치(H, L)간에 접속되어 상기 각 래치부(H, L)로 부터 추출한 W1, W2, SW1, SW2를 상기 마이컴(F)으로 전달하는 데이타 선택부(G)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재생 전용 집적회로로 부터 재생 데이타(1)가 재생 클럭(2)에 동기되어 제1복조부(A)로 입력된다.
상기 재생 데이타(1)는 이미 NRZI 변조를 한 데이타이기 때문에 원래의 상태로 바꾸어주기 위해 상기 제1 복조부(A)에서 NRZ복조를 하게 된다.
상기 NRZ 복조된 데이타(3)는 기록시 8→10변조를 거쳤기 때문에 제2복조부 (B)에서 다시 10→8 복조되어야 한다.
이 변복조는 DAT 표준 규격에 따른다. 상기 10→8 복조된 데이타는 동기 패턴(sync pattern)의 검출을 위하여 동기 검출 및 보호부(C)로 입력된다. 여기서 동기가 검출되면 이 결과(5)를 재생 타이밍 발생부(D)에 알려주어 Wl, W2, SW1, SW2의 검출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는 동기가 검출되고 나면 각 블럭내에서 W1, W2, 패리키 검사 클럭을 순서적으로 발생시키게 되는데, 각 블럭내에서의 데이타 순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다.
1심볼(8비트)로 구성된 W1, W2, SW1, SW2 서브코드 패리티는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에서 발생시킨 각각의 클럭(11, 10)에 의해 제1검출부(1)와 제 2검춘부 (J)로 입력된다. 상기 제1검출부(I)에서는 W1,SW1(19)을 검출하며 상기 제2검출부 (J)에서는 W2,SW2(20)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W2,SW2(20)는 다시 재생 블럭 어드레스 발생부(E)로 피드백 (feedback)되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키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검출부(I, J)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19,20)는 패리티 검사 및 데이타 선택부(K)로 입력되어 재생 블럭 어드레스 발생부(E)에서 출력되는 메인 및 서브영역 신호(18)의 제어를 받아 W1, W2(17)와 SW1, SW2(22)를 각각 제1 및 제2래치부(H, L)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패리티 검사 및 데이타 선택부(K)에서는 상기 W1, W2(17)의 짝수 패리티를 조사하는데 재생된 W1, W2, 패리티의 결과는 하기한 (1)식의 결과가 0가 되가 되면 옳다.
W1
Figure kpo00001
W2
Figure kpo00002
패리티 ………………………………………………………… (1)
상기 패리티 검사 결과(21)는 동기검출 및 보호부(C)에서 정확한 W1,W2를 캐치(catch)하는데 필요하다.
최종 패리티 검사 결과와 동기 검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재생 블럭 어드레스 발생부(E)는 W2 및 제2검출부(J)에서 검출된 블럭 어드레스인 W2를 로드 (load)한다.
반면에 상기 패리티 검사 결과와 동기 검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재생 블럭 어드레스 발생부(D)로 부터 입력되는 클럭(6)으로 이전 값을 카운팅 한다. 한편 마이컴(F)으로 부터 메인 ID, 서브 ID의 제공을 요구하는 명령이 전달되면, 이 명령 및 클럭(13)은 데이타 선택부(G)를 통해 제1 및 제 2래치부(H,L)로 추출 클럭(16, 15)을 전송한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 2래치(H.L)로 부터 상기 데이타선택부(G)로 W1, W2(17) 및 SW1, SW2(22)를 전달하여 상기 데이타 선택부(G)가 데이타(14)를 상기 마이컴(F)으로 전송하게 한다.
실제로 메인 ID의 W2 8비트 및 서브 ID외 SW2의 하위 4비트는 전송에서 제외 시킬수도 있다. 상기 마이컴 (F)으로 보내진 데이타(14)는 상기 마이컴(F)내에서 프로그램 번호를 읽어 LCD판넬(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복사를 허용할 것인지 등의 여부를 판단하여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재생된 데이타에서 서브코드를 추출하여 마이컴과 교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원활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재생 데이타를 NRZ 복조하는 제1복조부(A)와, 상기 제1복조된 데이타를 10→8복조하는 제2복조부(B)와, 소정 제어를 받아 상기 제2복조된 데이타로 부터 동기 패턴을 검출하는 동기 검출 및 보호부(C)와, 시스템 각부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재생 타이밍 발생부(D)와,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로부터 발생된 검출신호 상태에 따라 상기 제2복조 데이타로 부터 W1, SW1 및 W2, SW2를 각각 검출하는 제1 및 제2검출부(I, J)와,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의 제어를 받아 메인, 서브 영역지정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블럭 어드레스 발생부(E)와, 상기 메인, 서브 영역 지정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검출부(I, J)로 부터, W1, SW1 및 W2, SW2를 입력하고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의 제어를 받아 패리티를 검사하여 상기 동기검출 및 보호부(C)로 전달하는 패리티 검사 및 데이타 선택부 (K)와, 상기 재생 타이밍 발생부(D)의 제어를 받아 상기 패리티 검사 및 데이타 선택부(K)로 부터 W1, W2 및 SW1, SW2를 각각 래치하는 제1 및 제2래치부(H, L)와, 서브코드 재생 및 그에 따른 시스템 제어를 위해 각종 명령 및 클럭을 발생하는 마이컴(F)와, 상기 마이컴(F)과 상기 제1 및 제2래치(H, L)간에 접속되어 상기 각 래치부 (H, L)로부터 추출한 W1, W2, SW1, SW2를 상기 마이컴(F)으로 전달하는 데이타 선택부(G)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코드 재생회로.
KR1019890019916A 1989-12-28 1989-12-28 서브코드 재생회로 KR93000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916A KR930001104B1 (ko) 1989-12-28 1989-12-28 서브코드 재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916A KR930001104B1 (ko) 1989-12-28 1989-12-28 서브코드 재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90A KR910013190A (ko) 1991-08-08
KR930001104B1 true KR930001104B1 (ko) 1993-02-15

Family

ID=1929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916A KR930001104B1 (ko) 1989-12-28 1989-12-28 서브코드 재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1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729A1 (ko) 2012-01-12 2013-07-18 Myeong-Ja Cho 파마롯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729A1 (ko) 2012-01-12 2013-07-18 Myeong-Ja Cho 파마롯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90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0381B1 (en) Optical recording apparatus
DK151742B (da) Kode- og korrektionskredsloeb til en enkeltsporet digital lydoptager
US496111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ychronization of recorded audio and video information
JP2819294B2 (ja) デジタル情報再生装置
US5528572A (en) Audio signal recording apparatus with an index number signal generating function
US59464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sync data in a digital video disc playback system
KR930001104B1 (ko) 서브코드 재생회로
US5905704A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sector units of a recording medium
KR960002608B1 (ko) 디지탈 신호의 시간축 보정장치
JP3442945B2 (ja) 同期回路
JPS6126975A (ja) 光デイスク制御装置
JP2756114B2 (ja) ディジタルテープレコーダ
JPS6113476A (ja) カセツト式磁気テ−プ装置の同期制御方式
KR100794550B1 (ko) 디스크 레코더에서의 동기 기록장치 및 방법
KR100790036B1 (ko) 디스크 레코더에서의 동기 기록방법
JP2647984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11328930A (ja) カセット管理方法とデータ記録装置
JP3433691B2 (ja) 画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892211B2 (ja) デジタル記録装置
JPH0718060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93904A (ja) 情報記録装置および情報再生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GB2253737A (en) Program filing in video recorder
JPH0124730Y2 (ko)
JPH0568790B2 (ko)
JPS639009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等の時間表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