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96B1 - 그래픽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그래픽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96B1
KR930000996B1 KR1019900006796A KR900096796A KR930000996B1 KR 930000996 B1 KR930000996 B1 KR 930000996B1 KR 1019900006796 A KR1019900006796 A KR 1019900006796A KR 900096796 A KR900096796 A KR 900096796A KR 930000996 B1 KR930000996 B1 KR 93000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ignal
serializer
panning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9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그래픽 콘트롤러
제1도는 일반적인 그래픽 콘트롤러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그래픽 콘트롤러의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의 픽셀패닝회로의 일 실시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인터페이스부 2 : 디스플레이 버퍼 또는 비디오 램
3 : 데이타래치 4 : 문자롬
5 : 시리얼라이저 6 : 칼라인코더
7 : CRT 콘트롤러 8 : 어드레스래치
10 : 픽셀패닝회로 11 : 기록수단
12 : 지연수단 13 : 선택수단
본 발명은 그래픽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셀패닝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그래픽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 또는 문자표시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는 분야로서 많은 분야에서 강력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와도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보다 강력하고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픽스 기술은 하드웨어의 성능이나 소프트웨어의 성능에서 계속 발전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그래픽스의 소프트웨어적인 기술이 하드웨어적인 기술에 비해 더욱 발전되고 있으나 소프트웨어적인 기술은 그 처리 속도면에서 하드웨어 처리에 비해 떨어지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콤퓨터 그래픽스 또는 문자표시 기술에 있어서는 화면의 다양성을 주기위해 패닝(panning)-화면의 좌우 이동, 틸팅(Tilting)-화면의 상하이동 등의 화면이동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기존의 화면 이동기술은 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느리므로 신속한 화면이동이 어려웠다. 또한, A/N(Alpha/Numeric)모드에서는 캐릭터 단위의 이동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면이동이 유연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픽셀패닝을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신속하고 유연한 화면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 콘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드/쉬프트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병렬화상 데이타를 직렬화상데이타로 변환출력하는 시리얼라이저를 가지는 그래픽 콘트롤러에 있어서, 픽셀의 좌우 이동량에 대응하여 위상시프링된 로드/쉬프트신호를 상기 시리얼 라이저에 공급하기 위한 픽셀패닝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픽셀패닝회로는 래지스터 및 게이트로 된 기록수단, 플립플롭으로 된 지연수단 및 멀티플렉서로 된 선택수단을 구비하여 집적회로의 구현을 손쉽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픽셀패닝을 하드웨어적으로 처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화면 이동을 보다 신속하고 유연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그래픽 콘트롤러 시스템은 CPU 인터페이스트(1), 디스플레이버퍼, 즉 비디오램(2), 데이타래치(3), 문자발생기, 즉 문자롬(4), 시리얼라이저(5), 칼라인코더(6), 그리고 CRT 콘트롤러(7) 및 어드레스래치(8)등을 구비한다.
CPU 인터페이스부(1)는 외부시스템과 데이타를 주고 받으며 비디오램(2)의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한다. 비디오램(2)은 화상데이타 또는 문자롬(4)의 어드레스정보등을 일단 저장하였다가 CRT 처리계로 공급함으로써 시스템간 버퍼링역활을 수행한다. 데이타래치(3)는 CPU 인터페이스부(1) 또는 비디오램(2)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래치한다. 문자롬(4)은 데이타래치(3)를 통하여 공급되는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문자데이타를 발생한다. 시리얼라이저(5)는 쉬프트 래지스터로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로드/쉬프트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병렬화상데이타를 직렬화상데이타로 변환출력한다. 컬러인코더(6)는 공급되는 직렬화상데이타에 따라 대응되는 컬러비디오신호(I, R, G, B)를 발생한다. CRT 콘트롤러(7)는 비디오신호의 동기신호를 발생하고 상술한 RAM(2)과 ROM(4)의 어드레스신호를 어드레스래치(8)를 거쳐서 발생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RAM(2)에서 읽어온 병렬데이타는 A/N모드인 경우 문자롬(4)에 의해 콘트이미지가 시리얼라이저(5)로 보내어지고, 그래픽모드에서는 직접 시리얼라이저(5)로 보내어지고, 그래픽모드에서는 직접시리얼라이저(5)로 보내지게 된다. 시리얼라이저(5)는 로드/쉬프트신호(L/S)에 의해 공급된 병렬데이타를 직렬데이타를 출력한다. 즉, 시리얼라이저(5)는 디스플레이 인에이블 동작시에 돗트클럭 (Dot-CK)의 단위로 화상데이타를 직렬로 출력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그래픽 콘트롤러는 시리얼라이저(5)에 공급되는 로드/쉬프트신호(L/S)를 픽셀패닝회로(10)를 통하여 위상시프팅시키고, 이 위상시프팅된 로드/쉬프트신호를 시리얼라이저(5)에 공급함으로써 픽셀패닝기능, 즉 화면의 좌·우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픽셀패닝회로(10)는 크게 기록수단(11), 지연수단(12) 및 선택수단(13)으로 대별된다.
기록수단(11)은 지정된 픽셀패닝번호(3bit)를 기록하는 레지스터(11A)와, 이 레지스터(11A)의 각 출력을 패닝인에이블신호(PE)에 의해 출력하기 위한 AND게이트(11B, 11C, 11D)로 이루어진다.
이 기록수단(11)의 출력 S0, S1, S2는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지연수단(12)은 상기 로드/쉬프트신호를 롯트클럭에 따라 위상시프트시켜서 서로 다르게 위상시프트된 복수개의 로드/쉬프트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8개의 D형 플립플롭의 종속결합으로 구성한다. 각 D형 플립플롭의 클럭단자에는 돗트클럭(Dot-CK)이 인가되도록 접속하고 그래픽 콘트롤러 내부의 기본클럭의 분주와 조합으로 발생되는 원래의 로드/쉬프트신호(L/S)는 상기 D형 플립플롭의 첫단의 데이타입력단자(D)에 공급되도록 하고 나머지 D형 플립플롭은 전단의 플립플롭의 Q출력이 그의 데이타 입력단자(D)에 공급되도록 종속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각 플립플롭의 Q출력은 선택수단(13)에 데이타 입력되도록 연결한다. 따라서 각 D형 플립플롭의 Q출력신호는 L/S신호를 돗트클럭의 1주기씩 단계적으로 지연시킨 신호로 된다.
선택수단(13)은 상기 기록수단(11)의 출력(S2, S1, S0)조합에 따라 대응하게 위상 지연된 L/S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시리얼라이저(5)의 L/S신호로 공급하도록 멀티플렉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선택수단(13)은 상술한 기록수단(11)은 출력에 따라 지연수단(12)의 각 출력(D0~D7)을 선택한다. 이를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02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를 참조하면, 원래의 L/S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이미지신호(IM)중 돗트A에 해당하는 이미지부터 나타나게 되면, 1픽셀을 패닝한 경우는 L/S'에 의해서는 돗트B'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처음에 나타나게 된다.
즉, 돗트A'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신호(DE)의 선단부 보다 1돗트클럭 먼저 출력되어 화면상에서는 돗트 B'부터 나타나게 되므로 전제적인 화면은 좌로 1돗트만큼 이동한 것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패닝 레지스트의 값(R2, R1, R0)을 0~7까지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서는 패닝 레지스터에 의하여 최대 7돗트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내에서 CRT 콘트롤러(칩번호-6845)의 디스플레이 스타트 어드레스 레지스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연속적인 화면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Claims (2)

  1. 로드/쉬프트신호(L/S)에 따라 공급되는 병렬화상데이타를 직렬화상데이타로 변환출력하는 시리얼라이저(5)를 가지는 그래픽 콘트롤러에 있어서, 픽셀패닝번호를 기록하고 패닝인에이블신호(PE)에 의해 기록된 픽셀패닝번호를 출력하기 위한 기록수단 (11) ; 상기 로드/쉬프트신호(L/S)를 돗트클럭(Dot-CK)에 따라 위상시프팅 시켜서 서로 다르게 위상시프링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시프팅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지연수단 (12) ; 상기 기록수단(12)으로부터 공급되는 픽셀패닝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수단 (12)의 위상시프팅된 복수개의 로드/쉬프트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시리얼라이저 (5)에 공급하기 위한 선택수단(13)을 구비하여 픽셀의 좌우이동량에 대응하여 위상시프트된 로드쉬프트신호를 상기 시리얼라이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콘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12)은 디스플레이 인에이블 신호의 선단을 기준으로 로드/쉬프트 신호(L/S)를 문자클럭의 1주기내에서 위상 시프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콘트롤러.
KR1019900006796A 1990-05-12 1990-05-12 그래픽 콘트롤러 KR93000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796A KR930000996B1 (ko) 1990-05-12 1990-05-12 그래픽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796A KR930000996B1 (ko) 1990-05-12 1990-05-12 그래픽 콘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996B1 true KR930000996B1 (ko) 1993-02-12

Family

ID=1930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796A KR930000996B1 (ko) 1990-05-12 1990-05-12 그래픽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99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5864A (en) Apparatus for effecting high speed transfer of video data into a video memory using direct memory access
US5969727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tatic and moving images on a display device
JPS62269989A (ja) 表示制御装置
KR930000996B1 (ko) 그래픽 콘트롤러
US4707690A (en) Video displa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having video data storage
KR940003625B1 (ko) 퍼스널 컴퓨터의 수평, 수직 2배 표시 회로
EP0148575A2 (en) Horizontal smooth sc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a video display generator
JP2002229554A (ja) 画像処理装置
KR920008274B1 (ko) 그래픽 시스템의 16/256 컬러 스위칭 장치
KR950002213Y1 (ko) 영상 듀티(Duty) 변환장치
KR100237960B1 (ko) 모니터의 다이렉트 칼라 변환장치
JP2858661B2 (ja) 画像処理方式
KR890001307B1 (ko) 그래픽 색상 조절회로
JPH0571113B2 (ko)
KR920006067B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문자 보간회로
KR910006681Y1 (ko) 고해상도 출력장치
JPS6330634B2 (ko)
JPS59178492A (ja) 表示方式
KR100250147B1 (ko) 화면 분할 신호 발생기
EP0676721A2 (en) Styled vector generator
SU152572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тображени информации
KR900002058Y1 (ko) 단말기용 비디오 패턴 제어 회로
JPS59116788A (ja) 映像信号制御装置
JPS6261156B2 (ko)
JPH0622122A (ja) 画像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