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949Y1 -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949Y1
KR930000949Y1 KR2019900010296U KR900010296U KR930000949Y1 KR 930000949 Y1 KR930000949 Y1 KR 930000949Y1 KR 2019900010296 U KR2019900010296 U KR 2019900010296U KR 900010296 U KR900010296 U KR 900010296U KR 930000949 Y1 KR930000949 Y1 KR 930000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member
hole
visito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790U (ko
Inventor
유재웅
Original Assignee
유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웅 filed Critical 유재웅
Priority to KR2019900010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949Y1/ko
Publication of KR920002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7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도어에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구멍
3 : 고정부재 4a, 4b : 나사선
5a, 5b : 내, 외측 브래킷 6a, 6b : 고정너트
7 : 후측덮개 8 : PCB
9 : 배선구멍 10 : 돌출편
11 : 후측덮개상단의 구멍 12 : 나사
13 : 카메라렌즈 14 : 모니터
15 : 렌즈덮개 16, 17 : 나사
18 : 렌즈창 19, 20 : 배선
22 : 모니터의 버튼 23 : 스크린
본 고안은 아파트나 사무실등의 도어에 설치 사용되는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도어에 기존적으로 뚫려 있는 구멍을 그대로 활용한 수 있도록 하여 도어에 손상을 주지 않고 간단히 결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도어의 두께에 관계 없이 어느 도어에나 설치 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방문자를 모니터에 의해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기존의 아파트나 사무실 또는 가정의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방문자 확인구(DOOR VIEWER)는 금속성의 원통체 내부에 2매의 렌즈가 끼워져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방문자가 방문했을 때 내측에서 방문자를 볼 경우 방문자의 형상이 명확하지않아 식별이 어려웠던 것이며, 특히 야간에 있어서 외부에 조명등이 없거나 혹은 조도가 낮을 경우에는 방문자의 식별에 어려움이 따랐던 것으로, 이는 실사용에 있어서 불편함으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이를 해소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감지기를 부착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도어에 별도의 큰 구멍을 뚫어 조립사용하였던 것으로, 도어를 손상시켜야 하는 결합이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의 결함을 감안하여 공지의 카메라렌즈를 도어에 부착하여 이를 모니터로서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감지기를 구성하되, 이를 기존적으로 뚫려 있는 구멍을 그대로 활용하므로서 도어에 손상을 주지않고 도어의 두께에 관계없이 조립사용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도면 제1, 2도를 토대로 상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공지의 도어이고, 2는 도어(1)에 기존적으로 뚫려져 있는 구멍이다.
상기한 구멍(2)에는 구멍(2)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고정부재(3)가 끼워지며, 이 고정부재(3)의 길이는 어느 도어에나 끼워지더라도 좌우 양단이 도어의 내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도어(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하고, 좌우양단의 외측 둘레부에는 나사선(4a)(4b)이 형성된다.
상기한 도어(1)의 내외측으로는 고정부재(3)를 중심으로 내, 외측브래킷(5a)(5b)이 끼워지고, 상기한 브래킷(5a)(5b)은 고정너트(6a)(6b)에 의해 도어(1)와 일체로 고정체결된다.
한편, 이와 같이 고정된 내측브래킷(5a)에는 내측으로 공지의 PCB(8)를 내장하고 하부로 배선구멍(9)을 갖는 후측덮개(7)가 결합된다.
후측덮개(7)가 내측브래킷(5a)에 결합됨에 있어서는 내측브래킷(5a) 상단에 돌출형성된 돌출편(10)에 후축덮개(7) 상단의 구멍(11)이 끼워진 후 하부에서 나사(12)를 체결함에 따라 내측브래킷(5a)과 후측덮개(7)는 고정결합된다.
이때, 후측덮개(7)내에 내장되는 PCB(8)에는 후술하는 카메라렌즈(13)에 의해 포착된 방문자를 모니터(14)에 의해 영상으로 나타나게 하는 회로구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공지의 구성이다.
한편, 외측브래킷(5b)에는 렌즈덮개(15)가 나사(16) 결합되며, 렌즈덮개(15)내측에는 카메라렌즈(13)가 나사(17)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외측브래킷(5b)의 앞쪽에는 투명체로된 렌즈창(18)이 일체화로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는 카메라(13)에 포착된 상이 모니터(14)에 보일 수 있도록 전기적인 배선이 필요한데,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카메라렌즈(13)와 PCB(8)간의 배선(19)은 상기한 원통형의 고정부재(3)의 내측공간부를 통해 배선(19)이 이루어지며, PCB(8)와 모니터(14)간에는 후측덮개(7)하부에 뚫려 있는 배선구멍(9)을 통해 배선(20)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렌즈(13)에 포착된 방문자의 상은 도니터(14)의 버튼(22)을 누름으로서 스크린(23)에 영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안정되고 명확한 방문자상이 스크린(23)에 의해 나타나므로 외부를 내다보지 않더하도 방문자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며, 렌즈창(18)내부에는 소형의 램프가 설치되어 야간에도 방문자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은 공지의 전기, 전자적인 구성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을 기존의 도어(1)에 장착하고자 할 때는 먼저 도어(1)의 구멍(2)에 끼워져 있는 기존의 확인구를 빼어내고 원통형의 고정부재(3)를 상기한 도어(1)의 구멍(2)에 끼운다.
이때, 고정부재(3)는 그 직경(외경)이 구멍(2)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쉽게 끼워지며, 이어서 도어(1)의 내외측으로 내외측브래킷(5a)(5b)을 끼워 고정너트(6a)(6b)에 의해 결합한다.
이달을 결합시 도어(1)의 내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부재(3)의 양단부는 렌즈덮개(15)와 후측덮개(7)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길게 돌출된 고정부재(3)는 도어(1)의 두께가 두껍더라도 별도의 고정부재(3)를 제작할 필요없이 하나의 고정부재(3)에 의해 두께가 넓은 도어(1)는 물론 두께가 얇은 어느 도어(1)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여분을 둔 것이며. 실체 사용에 있어서도 외측에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 외관상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후측덮개(7)는 상단의 구멍(11)이 내측브래킷(5a)에 끼워지고, 하부에서 나사(12)에 의해 결합되므로 후측덮개(7)는 내측브래킷(5a)에 고정되어 PCB(8)을 내장보호하고, 고정부재(3)의 돌출된 여분을 감싸준다.
렌즈덮개(15)는 외측브래킷(5b)에 나사(16) 결합되므로서 고정이 되어 카메라렌즈(13)를 내장보호하고 역시 고정부재(3)의 돌출된 여분을 감싸준다.
이때, 도어(1)의 외측(바깥측)에 설치된 렌즈덮개(15)의 외부로는 어떠한 도구로도 해탈이 되지 않도록 결합용 나사(16)가 보이지 않으며 도난으로부터 안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3)를 도어(1)의 폭(두께)보다 길게 형성하므로서 도어(1)의 폭에 관계없이 어느 도어에나 설치가 가능하며, 기존 설치된 확인구를 빼어내고 본 고안을 설치시에도 기초가 되는 고정부재(3) 직경이 동일하므로 별도의 구멍뚫기 작업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교환작업이 가능하며, 주거지를 이동할 때도 필요시 본 고안을 해탈한 후 이전하는 주거지의 도어에 장착하고 빼어내었던 종래의 확인구를 도어(1)에 끼움으로서 도어(1)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도어(1)의 방문자 확인용 구멍(2)에 감지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한 구멍(2)에 구멍(2)의 직경과 같은 직경의 고정부재(3)를 끼우고, 상기한 고정부재(3)의 양단부에 내외측브래킷(5a)(5b)을 고정너트(6a)(6b)에 의해 고정하였으며, 상기한 내측브래킷(5a)에는 PCB(8)을 내장한 후측덮개(7)가 나사(12)결합되고, 외측브래킷(5b)에는 카메라렌즈(13)를 내장한 렌즈덮개(15)를 나사(16)결합하여서 된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3)가 도어(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도어 두께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된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KR2019900010296U 1990-07-10 1990-07-10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KR930000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296U KR930000949Y1 (ko) 1990-07-10 1990-07-10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296U KR930000949Y1 (ko) 1990-07-10 1990-07-10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790U KR920002790U (ko) 1992-02-25
KR930000949Y1 true KR930000949Y1 (ko) 1993-03-02

Family

ID=193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296U KR930000949Y1 (ko) 1990-07-10 1990-07-10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9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790U (ko)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1648B2 (en) Sensor assembly
WO2007081894A2 (en) Video door viewer
US20140254156A1 (en) Lighting device
JPH09123798A (ja) クラスタモジュールの組付け構造
JPH03115925A (ja) 計器装置
KR930000949Y1 (ko) 도어용 방문자 감지기의 구조
CN213171501U (zh) 一种净水机的透光装置及净水机
US4474419A (en) Socket structure of a light source unit for an endoscope system
JP2004259563A (ja) 屋外用感熱自動スイッチ
JP3861311B2 (ja) 防水型誘導灯
KR20070021650A (ko)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CN216209893U (zh) 一种安装便捷的手术无影灯质量检测用激光测距装置
JP2798899B2 (ja) 電子機器
CN216122575U (zh) 摄像装置
JP3179827B2 (ja) センサーの取付金具構造
JPH0435768Y2 (ko)
JP3304114B2 (ja) 照明装置
JPH0727669Y2 (ja) 箱体の防水接続構造
US7118257B2 (en) Vehicle window shield
JP2565077Y2 (ja) 発光素子の防水キャップ構造
KR900010967Y1 (ko) 전원 표시장치
JP2006133130A (ja) センサ装置
KR200161340Y1 (ko) 도어비젼용 카메라 본체부의 노브 표시장치
JP4195983B2 (ja) センサ装置
KR101049562B1 (ko) 외부조절 스위치와 이를 위한 케이블연결구조를 갖는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