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39Y1 -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839Y1
KR930000839Y1 KR2019900009136U KR900009136U KR930000839Y1 KR 930000839 Y1 KR930000839 Y1 KR 930000839Y1 KR 2019900009136 U KR2019900009136 U KR 2019900009136U KR 900009136 U KR900009136 U KR 900009136U KR 930000839 Y1 KR930000839 Y1 KR 930000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ickup
protective cover
objective lens
optical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9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297U (ko
Inventor
양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00009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839Y1/ko
Publication of KR920001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1Protecting the head, e.g. against dust or impact with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72Lenses
    • G11B7/1374Objectiv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보호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를 나타낸 구도 메카니즘의 사시도.
제2도는 픽업 베이스의 저면에 설치되는 대물렌즈 부분의 사시도.
제3도는 픽업 케이스와 렌즈보호 덮개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로딩판의 사시도.
제5도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동 메카니즘의 평면도.
제6도 (a)(b)는 로딩판의 이동에 따른 렌즈보호덮개의 위치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
제7도 (a)(b)는 제6도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2도와 같은 상태로 도시한 종래장치의 대물렌즈 부분 사시도.
제9도는 종래장치의 픽업록킹용 레버부분의 사시도.
제10도는 제8도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로딩판 14 : 대물렌즈
15 : 밴딩부 16 : 렌즈보호덮개
l7 : 스크류
본 고안은 광(光) 디스크 드라이브(Disk Drive)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기기의 비사용시 픽업(Pick-up)을 록킹(Locking)시켜 운반이나 이동시 충격에 의한 대물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대물렌즈의 표면에 먼지등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픽업 렌즈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컴퓨터 주변기기로 사용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보다 빠른 작동을 위해 리니어 디 씨 모터(Linear D. C Motor) (이하 "모터"로 약칭함)가 사용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모터를 장착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는 반드시 광픽업을 록킹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는 상기한 모터가 관성이 적고 따라서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질때 광픽업이 쉽게 이동하여 이동 스트로크(Stroke)의 끝부분에 가서 부딪히게되므로 특히 기기의 이동이나 운반시 충격에 의한 광픽업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록킹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메카니즘(Mechanism)과 광픽업의 록킹장치를 첨부도면 제1도와 제8도,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1도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메카니즘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가이드판(1)의 상부 전면에 좌,우 한쌍의 캐디 가이드(2)가 고정되어있고 그 후방에 캐디(Caddy)(도시는 생략함)의 삽입에 따라 전, 후진운동을 하는 로딩(Loading) 판(3) 이 설치되어 있고 로딩판에 형성된 횡방향의 슬릿홈(4)과 로딩기어(7) 사이에는 로딩레버(5)가 연결되어 있으며, 로딩기어(7)는 캠기어(8) 및 수개의 기어군에 의해 모터(9)의 축과 연결되어있고 로딩레버(5)의 끝부분에는 셔터오프너(6)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판(1)의 하방에는 제8도와 같이, 픽업베이스(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픽업베이스(10)에는 픽업브라켓(11)이 가이드 샤프트(12)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픽업브라켓(11)에 고정된 렌즈상자(13)내에 대물렌즈(1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캐디가이드(2) 사이로 캐디를 삽입하면, 스위치(도시는 생략함)가 온되어 모터(9)가 구동하면 로딩기어(7)가 회전을 하여 로딩레버(5)에 결합된 셔터오프너(6)가 열림동작을 함과 동시에 로딩판(3)의 로딩동작이 이루어진다.
제8도와 제9도 및 제10도에는 상기한 구동 메카니즘에서 기기의 비사용시 픽업(픽업브라켓과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호칭임)을 록킹시키기위한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제9도와 같이 가이드판(1)의 일측에 캐디의 삽입에 따라 핀(2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레버(22)를 설치하고 픽업베이스(10)의 절곡부(10a)에는 제8도와 같이 록킹관(25)이 축(26)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록킹판(25)에 고정된 연결핀(27)을 작동레버(22)의 장공(23)에 결합하여 작동레버(22)의 회전에 따라 록킹판(25)이 회전하면서 픽업브라켓(11)을 구속하도록 하였다.
즉, 캐디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8도와 같이 픽업브라켓(11)에 고정된 걸림핀(28)이 록킹판(25)의 홈부분에 끼워져 픽업브라켓(11)이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있게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캐디가 삽입되면 제10도에 일점쇄선 도시와 같이 캐디가 작동레버(22)가 접속함에 따라 작동레버(22)가 핀(24)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록킹판(25)이 축(26)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회전하여 픽어 브라켓(11)의 구속상태에서 해제되게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픽업의 록킹을 위해 작동레버(22), 록킹레버(25), 축(26), 연결핀(27), 걸림핀(28)등 많은 부품이 필요하여 조립공정의 증가와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특히 상기한 종래의 장치로는 픽업을 록킹시켜 대물렌즈의 파손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먼지나 이물질의 부착으로 인한 대물렌즈의 손상과 이로인한 기기의 성능저하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목적은 로딩판의 구조를 개선하고 또한 렌즈상자내에는 로딩판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렌즈 보호덮개를 설치하여 별도의 부수적인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픽업을 록킹시킬 수 있음은 물론 비사용시 먼지나 이물질로 부터 렌즈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장치를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와 같이 가이드판(1)에 설치된 캐디 가이드(2), 로딩판(3), 슬릿홈(4), 로딩레버(5). 셔터오프너(6), 로딩기어(7), 캠기어(8), 모터(9)등의 구조는 종래의 구동메카니즘과 동일하며, 또한 픽업베이스(10)에 설치된 픽업브라켓(11), 가이드샤프트(12), 렌즈상자(13), 대물렌즈(14)도 종래구조와 동일하다.
본 고안 장치는 상기한 구성품중 로딩판(3)과 렌즈상자(13)내에 설치되는 일면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로딩판(3)은 제4도와 같이 슬릿홈(4)이 형성된 이외에 후면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직각 절곡된 밴딩부(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밴딩부(15)는 가이드판(1)을 통해 픽업베이스(10)의 하반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렌즈보호덮개(16)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렌즈상자(13) 내부에는 대략 ㄱ자상으로 절곡된 렌즈보호덮개(16)가 설치되는데, 이 렌즈보호덮개(16)는 스크류(17)에 의해 렌즈상자의 보스(18)와 결합되어 스크류(17)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렌즈보호덮개(16)의 끝단부는 렌즈상자(13) 후면에 형성된 사각구멍(l9)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렌즈보호덮개(16)와 스크류(17)의 결합부분에는 비틀림 스프링9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비틀림스프링(20)의 양단부가 렌즈상자(13)와 렌즈보호덮개(16)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 스토퍼(21) 사이에 결합되어 렌즈보호덮개(16)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항상 후방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렌즈보호덮개(16)가 구속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렌즈보호덮개(16)가 후방으로 회전하여 대물렌즈(14)를 개방하게 되고 외력에 의해 반대방향(전방)으로 회전하면 렌즈보호덮개(6)가 대물렌즈의 상방에 위치하여 대물렌즈를 폐쇄시킨다.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동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5도에 실선도시와 같이 캐디가 삽입되지 않은 비사용시의 상태에서는 로딩판(3)이 캐디삽입구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있게되며, 이때에는 가이드판(1)과 픽업베이스(10)를 통과하여 픽업베이스(10)의 하방으로 돌출된 로딩판(3)의 밴딩부(15)에 의해 제6도 (b) 및 제7도 (b)와 같이 렌즈보호덮개(16)가 밀려나 대물렌즈(14)의 상방을 폐쇄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픽업은 로딩판(3)에 의해 구속되어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대물렌즈(14)의 상방에 위치한 렌즈보호덮개(16)에 의해 먼지나 이 물질이 대물렌즈(14)에 부착되지 않는다.
그러나 기기의 사용을 위해 캐디가이드(2)에 캐디를 삽입하면 모터가 작동하여 로딩기어(7)와 로딩레버(5)가 회전함과 동시에 로딩판(3)이 후방(제5도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로딩판(3)이 이동하면 밴딩부(15)에 의해 밀려나 있던 렌즈보호덮개(16)가 비틀림 스프링(20)의 힘에 의해 회전하여 대물렌즈(14)르 노출시킨다.
즉, 캐디를 삽입하면 로딩판(3)이 제5도의 실선위치로부터 일점쇄선 위치로 이통하여 픽업이 구속상태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압축되어있던 비틀림스프링(20)에 의해 렌즈보호덮개(16)가 스크류(17)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선단부가 렌즈상자(13)의 사각구멍(19)을 통해 돌출되므로 대물렌즈(14)는 노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로딩판의 자체형상을 변경시켜 픽업을 록킹시킬 수 있으므로 픽업의 록킹을 위한 부수적인 부품이 전혀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이 가능해지며, 기기의 비상용시 대물렌즈를 폐쇄하여 렌지를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구동 메카니즘에 있어서, 대물렌즈(14)가 부착된 렌즈케이스(13)에 렌즈보호덮개(16)를 스크류(1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그 일단부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로딩판(3)에는 렌즈보호덮개를 밀고 픽업을 록킹시킬 수 있는 밴딩부(15)를 형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보호장치.
KR2019900009136U 1990-06-27 1990-06-27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보호장치 KR930000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136U KR930000839Y1 (ko) 1990-06-27 1990-06-27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136U KR930000839Y1 (ko) 1990-06-27 1990-06-27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297U KR920001297U (ko) 1992-01-28
KR930000839Y1 true KR930000839Y1 (ko) 1993-02-27

Family

ID=1930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9136U KR930000839Y1 (ko) 1990-06-27 1990-06-27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8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404B1 (ko) * 1998-07-08 2006-03-14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픽업의 렌즈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297U (ko) 199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5612A1 (en) Cover mechanism for data storage device
CA1276293C (en) Lid apparatus for disk insertion opening of disk player
US6717769B2 (en) Eject button for disk drive with light pipe
KR930000839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보호장치
US4831477A (en) Loading mechanism for a magnetic disk device
US5980121A (en) Sliding movement locking apparatus and sliding cover apparatus for a camera
US5337109A (en) Zoom view finder
KR970006182B1 (ko) 차량용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메가진 자동 추출장치
US620166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26625Y2 (ko)
US5365387A (en) Automatic video tape converter
JPH1196311A (ja) 扁平に形成されたデータカード収容装置
JP2606958Y2 (ja) カメラ用レンズシャッタ
KR920000448Y1 (ko) 카세트 테이프 이중삽입 방지장치
JPH08191191A (ja) 蓋体のクリック機構
KR0167069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RU2125742C1 (ru) Кассетный блок магнитофона
JP4015772B2 (ja) カメラのレンズカバー開閉装置
JPH0567989U (ja) ディスクドライブの防塵ドア装置
JP3039148B2 (ja) カセットデッキのカセット扉開閉機構
KR900010768Y1 (ko) 브이티알의 오디오 및 콘트롤헤드 이동장치
JP2888500B2 (ja) レンズ鏡筒
JP340233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磁気ヘッド保護構造
KR900002442B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 하우징 록킹장치
KR900003079Y1 (ko) 카세트 녹음스위치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