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785B1 -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785B1
KR930000785B1 KR1019890014692A KR890014692A KR930000785B1 KR 930000785 B1 KR930000785 B1 KR 930000785B1 KR 1019890014692 A KR1019890014692 A KR 1019890014692A KR 890014692 A KR890014692 A KR 890014692A KR 930000785 B1 KR930000785 B1 KR 93000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connection
camera body
connection terminals
contac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823A (ko
Inventor
다까히로 고오노
히도시 나리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6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메라 시스템
제1도는 카메라 본체에 장착된 교환렌즈를 갖는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와 교환렌즈를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그의 장착부에서 본 카메라 본체의 평면도.
제3도는 교환렌즈를 장착부에서 본 평면도.
제4도 (a),(b) 및 (c)는 장착부의 회전장치운동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배설된 카메라 시스템의 회로구성도.
제6도는 제5도의 회로구성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카메라 본체, 광학부속품 또는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네트 마운트 장치에 의하여 카메라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교환렌즈, 중간튜브, 각종 컨버터(converter)등의 광학 부속품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다.
최근 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전자공학의 응용이 발전되고 있다. 그 결과로서 카메라 본체와 광학 부속품 사이에 통신 및 전원공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각종 카메라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이 시스템들은 카메라 본체와 광학부속품상에 부착된 접점핀등의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다. 이들 시스템은 양측상에 배설된 단자가 양측의 마운트를 서로 회전함으로써 광학 부속품을 카메라 본체와 장착할 때 서로 접속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광학 부속품이 장착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는 전기에너지를 광학 부속품에 공급하고 광학 부속품에 포함되어 있는 ROM의 내용을 독출한다.
카메라 본체의 전기접속단자와 공학부속품의 단자간의 활주접촉으로 인한 마모를 최소화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1987.2.19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 016,6 53호 및 1987.12.2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 136,97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구성에 따라 양자의 전기접속단자는 2마운트가 장착을 위해 회전할 때 그들의 접촉방향으로 최소 마모를 위해 활주 접촉의 배수를 감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레벨이 단차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경우에, 2접속단자(고전위 단자와 접지단자) 및 통신용의 다수 접속단자는 접촉방향으로 상위한 높이를 가지기 위하여 스텝 방향으로 배설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전력공급을 위한 2접속단자는 인접배설된다. 이 구성은 전력공급이 카메라 본체에서 광학 부속품으로 2마운트의 장착의 완료를 검출한 후 실행되는 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전기에너지가 카메라 본체측에서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배설되어 있는 경우에 2인접 전원단자는 금속피스가 부주의로 전원공급단자에 근접되어 있으면 단락회로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 본체측에 설치된 회로가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전원용 다수 전기접속단자가 서로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으며, 전기접속단자가 접촉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도록 배설되어 있어서 마모와 단락회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카메라 본체, 광학 부속품 또는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것이다.
제1도 내지 제4c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비데오 카메라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비데오 카메라 본체(1) ; 회전 바이오네트(bayonet) 장착형으로 되어 있으며, 비데오 카메라 본체(1)에 고정되어 있고, 광축방향의 데이타로서 기능하는 장착충돌면 (2a)과 3장착클로(claw)를 구비한 카메라 마운트(2) ; 렌즈 마운트의 마운트클로상에 인접하며, 카메라 마운트(2)와 렌즈 마운트를 서로 강접속되도록 배설된 리프(leaf) 스프링(3) ; 광학 필터(4) ; 카메라측 접촉 홀더(5) ; 및 전기접속단자로서 기능을 하며, 광축방향(O-O′)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카메라측 접촉 홀더(5)에 의하여 지지되며, 총 6접점(6a 내지 6f)을 포함하는 카메라측 접점 (6)을 포함한다. 도통스프링 (7)은 접촉방향으로 카메라측 접점(6a 내지 6f) 을 탄성적으로 조이기 위하여 배설된 총 6스프링(7a 내지 7f)을 포함하는 도통물질로 제조된다. 인쇄회로기관(8)은 스프링 (7a 내지 7f)을 통하여 카메라측(6a 내지 6f) 으로 전기 접속된다. 기판(8)은 카메라측 접점(6a 내지 6f) (및 스프링 7a 내지 7f)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로크핀(9)은 장착충돌면(2a)에서 돌출한 위치로부터 후퇴가능하며 교환렌즈(10)를 장착 및 분리함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작동부재에 의하여 로킹과 언로킹을 허용하도록 배설된다. 렌즈(10)는 광학부속품으로서 채용된다. 바이오네트 장착식 렌즈 마운트 (11)는 교환렌즈(10)에 고정되며, 렌즈(10)가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본체(1) 상에 장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설된다. 렌즈마운트(11)는 광측방향으로 데이타로서 기능을 하는 장착 충돌면(11a)과 3장착클로(11b)을 구비한다.
도면은 더욱이 영상형성렌즈(12) ; 렌즈측 접촉 홀더(13) ; 및 전기접속단자로서 렌즈축 접속홀더(13)에 고정(삽입)되며, 2마운트(2,11)가 서로 회전함으로써 결합될 때 카메라측 접점(6a 내지 6f) 과 접촉하는 총6접점(14a 내지 14f)을 포함한다. 로크슬롯(15)은 로크판(9)이 2마운트(2,11)의 결합시에 로킹을 위해 슬롯에 들어갈 수 있도록 배설된다. 더욱이 카메라측 접점(6a 내지 6f) 의 중심점은 광축 주위에서 로크핀(9)에서 약 90°떨어져서 위치된다. 한편 렌즈측 접점(14a 내지 14f)의 중심점은 광측 주위에 로크슬롯(15)에서 약 90°떨어져 위치한다.
제 4a,4b 및 4c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특징과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이 경우에 카메라측 접점 (6a 내지 6f)은 전원과 관련된다. 특히 카메라측 접점(6a)은 접지를 위해 제공되며, 다른 접점 (6f)은 고전위용이다. 나머지 카메라측 접점(6b 내지 6e)은 렌즈측과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이들은 클록신호선 , 카메라와 렌즈 송신선 및 렌즈와 카메라 송신선이 제공된다. 카메라측 접점(6f)(전원 접점 중 하나)은 나머지 것들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갖도록 접촉방향에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방향(O-O′)에서) 나머지 접점(6a 내지 6e)보다 (영상 센서를 향하여) 들어가 있다. 이 상태는 장착되기 전의 이들 접점을 도시한 제4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더욱이 전원 관련 카메라측 접점(6a ,6f)을 죄는 스프링(7a,7f)은 나머지 스프링(7b, 내지 7e)의 조이는 힘보다 더 큰 힘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전원 접점(6a,6f)이 렌즈측 접점(14b 내지 14e)상의 나머지 접점(6b 내지 6e)의 접촉압보다 더 큰 렌즈측 전원 접점(14a 내지 14f)상의 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촉저항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계에 있어서, 모터용 전원 접점의 최대허용 접점 저항은 통신용(또는 IC 부품용) 접점 최대 허용 저항과 상위한다. 예컨대, 전원 접점에 대한 허용 접점 저항이 0.1옴 미만이면, 통신 접점용의 허용 접점 저항은 1옴 미만이다.
제4b도는 장착중에 있는 접점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측 접점(6f)은 나머지 렌즈측 접점(6a)보다 높이가 더 짧고 더 적게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장착중에 접점(6f)이 이와 대응하지 않는 렌즈측 접점(14a 내지14e)의 어느 것과도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카메라측 접점(6f)에 대응하는 렌즈측 접점(14f)은 나머지 렌즈측 접점 (14a 내지 14e) 보다 더 높게 되어 있다 (평축방향으로 훨씬 더 앞으로 돌출해 있음). 이 구성은 렌즈측 접점(14f)이 회전 장착거리의 최종 단계에서 카메라측 접점 (6f)과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나머지 카메라측 접점 (6a 내지 6e)은 대응하는 렌즈 접점 (14a 내지 14e)과 각각 접속한다. 환언하면,접점 (6a)은 접점(14a)과, 접점 (14b)과, 접점(6c)은 접점(14c)과, 접점(6d)은 접점(14d)과 및 접점(6e)은 접점 (14e)과 4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촉한다.
본 실시예의 회전장착처리는 다음과 같다. 제4(a)도는 초기 단계에서의 장착거리를 나타낸다. 이런 상태에서 카메라측 접점(6a 내지 6f)은 렌즈측 접점(14a 내지 14f)중 어느 것과도 접촉되지 않는다.
교환렌즈(10)는 화살표(X)의 방향에서의 제4a도 상태에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렌즈측 접촉 홀더(13)를 이동하도록 회전될 때 카메라측 접점 (6e,6d)은 카메라측 접점 홀더(13)에 형성된 경사면(13a)상에 태워지며 접점(14a 내지 14e)과 동일 높이 즉 평평하게 배설된 접점 홀더(13)면을 활주한다.
제4b도는 회전 장착처리의 중간상태를 나타낸다.
제4c도는 완료상태에서의 회전 장착처리를 나타내며, 이 상태는 교환렌즈 (10)를 회전함으로써 렌즈측 접촉 홀더(13)를 화살표(X) 방향으로 더욱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이런 상태하에서 렌즈측 접점은 모두 이에 대응하는 카메라측 접점과 접속된다.
특히 카메라측 접점(6f)은 장착처리의 중간단계중에서 렌즈측 접점(14a 내지 14e)과 대면할 때 렌즈측 접점(14a 내지 14e)중 어느 하나와 접촉을 벗어나(활주하지 않는)있다. 장착처리의 최종 단계에서, 접점(6f)은 렌즈측 접촉홀더(13)의 경사면 (13b)위에 태워져서 렌즈측 접점(14f)가 접촉된다. 카메라측 접점(6e)은 렌즈측의 경사면(13a)상에 태워져서 대응 렌즈측 접점(14e)과 접속되기 전에 렌즈측 접점 (14a 내지 14d)위를 활주한다. 카메라측 접점(6d)은 동일한 방식으로 경사면에 태워져서 렌즈측 접점(14d)과 접속될 때까지 렌즈측 접점(14a 내지 14c)을 활주한다. 그 다음에 카메라측 접점(6c)은 경사면에 태워져서 렌즈측 접점(14d)과 접속될 때까지 렌즈측 접점(14a,14h)위를 활주한다. 카메라축 접점(6b)은 또한 경사면(13a)에 태워져 렌즈측 접점(14a)을 활주하여 렌즈측 접점 (14b)과 접속한다. 카메라측 접점(6a)은 마지막으로 경사면 (13a)에 태워져서 렌즈측 접점(14a)과 접속한다. 본 실시예의 중요 특징은 나머지 카메라측 접점보다 더 큰 접촉압을 갖는 접점(6a,6f)이 대응 렌즈측 접점과 각각 활주접촉하도록 각각 배설되는데 있다. 이것은 전원 관련 접점의 접촉저항을 감소할 뿐만 아니라 큰 접촉압하에서 활주접촉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는 렌즈측 접점(14b 내지 14e)상의 마모 등의 단점을 제거한다.더욱이 전원 관련 카메라측 접점(6a 내지 6f)은 회전장착처리중에 통신 관련 렌즈측 접점 (14b 내지 14e)과 활주접촉되지 않으므로 교환렌즈(10)내측에 배설된 어떠한 회로라도 그들에 의해 전기적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외에 본 발명이 접점 구성은 카메라측 접점(6a 내지 6f)과 렌즈측 접점(14a 내지 14f)의 활주 접촉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접점의 마모를 줄인다. 또다른 장점은 전원 관련 접점(6a,6f)(14a,14f)이 서로 분리되며 접점그룹의 양단에 상위한 높이로 설치되므로 그 구성은 도통물질의 접근으로 인한 단락회로도가 될 가능성이 없다.
또다른 장점을 교환렌즈(10)의 회전정착방향으로서 트레일링(trailing)단에서 배설된 카메라측 접점(6f)과 렌즈측 접점(14f)은 단차를 가지고 배설되며 , 즉 접촉방향에서 나머지 접점으로부터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카메라측 접점(6f)은 모든 렌즈측 접점과 활주접속될 수 있다. 또다른 장점은 전원 관련 접점 (6a,6f)(14a,14f)이 서로 떨어져서 배설되며, 통신 접점(6b 내지 6e)을 나머지 접점보다 더 높은 접촉암을 가지는 전원 접점과 이치하는 양단부에 배설된다는 것이다.
더욱이 렌즈측 접점 홀더(13)의 경사면(13b)은 접점(14e,14f)간 및 접점 (6f,6e)간의 공간이 나무 넓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다른 경사면(13a)보다 더 큰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설된다.
다음에 제5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렌즈교환가능한 카메라 내장형 VTR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5도에서 카메라 장치(C)는 우측에, 렌즈장치(L)는 장착부(M)를 나타내는 중간부에 수직으로 그려진 1도트 체인선의 우측에 도시되었다.
물체(101)에서 온 광속은 영상센서(103)이 영상 감지 평면상에 렌즈 광학시스템(102)을 통하여 영상화된다. 영상은 영상센서(103)에 의하여 광 전기로 변환되어 영상신호로서 만들어진다. 영상신호는 카메라 신호 처리회로(104)에 의해 TV신호로 변환된다. TV신호는 자동 백(white) 밸런스 조정회로(114)(이하 AWB회로라함), 자동 포커싱 회로(115)(이하 AF라함.), 자동노출제어회로(116)(이하 AE회로라 함)등에 공급된다.
AWB 회로(114),AF회로(115) 및 AE회로 (116)를 포함하는 이들 자동제어회로는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들 제어신호는 응용될 수 있는 피제어시스템에 각각 공급된다. 카메라 신호처리동작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색밸런스 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AWB회로(114)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카메라 신호처리회로(104)에 공급된다. 한편 AF회로(115) 및 AE회로(11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 (C1,C2)는 카메라 장치(C)측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119)에 공급된다.
광학시스템의 초점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줌 스위치(117)는 제어신호 (C3)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신호(C3)는 카메라측 마이크로컴퓨터 (119)에 공급된다.
상기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데이타는 카메라 장치(C)에서 렌즈장치(L)로 상기한 바와 같이 마운트에 설치된 전기 접점그룹에 의해 공동으로 형성되어 있는 통신선(126)을 통하여 송신된다.
데이타 통신선(126)은 렌즈측 마이크로컴퓨터(119)에 접속된다. 모든 통신 데이타는 먼저 렌즈측 마이크로컴퓨터(120)에 의해 수신된다. 카메라측 마이크로컴퓨터 (119)에 공급되는 각종 제어신호(C1,C2,C3)는 따라서 데이타 통신선(126)(접점 6b 내지 6e, 14b 내지 14e)을 통하여 렌즈측 마이크로컴퓨터(120)로 전송된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타는 컴퓨터가 제어되기에 적합한 제어 변수(C1′,C2′,C3′)로 변환된다. 다음에 이들 제어변수(C1′,C2′,C3′)는 AF구동회로(127), AE구동회로 (126) 및 줌 구동회로(125)에 각각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광학 시스템(102)은 작동기(128, 129,130)에 의해 제어된다. 더욱이 광학시스템(102)은 이들 작동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엔코더(131,132,133)를 구비한다.
엔코더(131)는 초점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며, 엔코더(132)는 구경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엔코더(133)는 줌 동작에 의해 얻어진 초점 거리를 검출하기 위해 각각 제공된다. 이렇게 얻어진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타는 렌즈측 마이크로컴퓨터(120)로 보내진다. 이들 엔코더로부터의 데이타는 렌즈에 대한 제어를 위해 사용될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카메라 장치(C)의 AF 및 AE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카메라측 마이크로컴퓨터에 송신된다.
흐름도인 제6도를 참고로하여, 제5도의 회로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1 : 카메라 장치(C)의 전원이 온된다.
스텝 2 : 카메라측 마이크로 컴퓨터(119)는 렌즈 장치(L)가 카메라 장치(C)상에 부착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스텝 3 : 렌즈장치에 관한 초기 데이타의 전송요청이 데이타 송신선(126)을 통하여 송출된다.
그후에 스텝 4로 진행한다. 스텝 4에서 사용중인 렌즈장치의 종류등을 포함한 각종 초기 데이타가 렌즈장치로부터 수신된다.
스텝 5 : 카메라측 마이크로컴퓨터(119)가 상기 각종 데이타(C1,C2,C3)를 독출한다.
스텝 6 : 이들 데이타 입력은 데이타(CLT)는 병렬 대 직렬 변환된다.
스텝 7 : 이렇게 얻어진 데이타(CLT)는 렌즈장치(L)로 송출된다.
스텝 8 에서 엔코더에 의한 검출결과 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이루어진 데이타(CLT)가 렌즈장치로부터 수신된다.
스텝 9 : 각종 제어동작이 엔코더 데이타를 선택함으로써 실행된다.
그후에 스텝 10으로 진행한다.
스텝 10에서 렌즈장치의 존재에 대하여 조사된다. 렌즈가 카메라 장치에 장착된 것이 발견되면 카메라 전원이 온되었느지를 찾기 위해 스텝 11로 진행한다. 전원이 온이면 스텝 12로 진행된다.
스텝 12에서 1피일드 기간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후에 데이타(C1 내지 C3) 를 읽기 위한 스텝으로 뒤돌아간다. 이 루틴은 렌즈장치가 분리되었거나 전원이 오프되었으면 종료된다.
한편 렌즈장치(L) 측상에서 실행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스텝 1′에서 렌즈장치 (L)는 카메라 장치(C)에 장착된다. 스텝 2′에서 초기 데이타 요청신호(CLT)가 카메라 장치에서 수신된다.
스텝 3 ′: 렌즈장치용 초기 데이타가 데이타(LTC)로서 카메라에 송출된다. 스텝 3′에서 초기 데이타 또는 데이타치는 렌즈측 마이크로컴퓨너(120)에 접속된 ROM등에서 독출되며 데이타(LTC)로 병렬 대 직렬 변환되어 데이타(LTC)가 카메라 장치로 송출되게 한다.
스텝 4′: 렌즈측 마이크로컴퓨너(120)는 렌즈 장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엔코더 (131,132,133)의 검출 데이타를 판독한다.
스텝 5′: 데이타가 병렬 대 직렬 변환된다.
스텝 6′: 데이타(CTL)는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다.
스텝 7′: 데이타(LTC)는 카메라 장치로 송출된다.
스텝 8′: 스텝 4′와 5′에서 얻어진 각종 데이타(C1′,C2′,C3)가 발생된다.
스텝 9′,10′및 11′: 렌즈장치가 카메라 장치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는 경우 및 카메라 전원이 여전히 온되어 있으면 1피일드 기간의 경과를 대기한다. 그후에 렌즈측 마이크로컴퓨터(120)는 엔코더의 검출데이타를 판독한다. 렌즈장치가 분리되거나 카메라 전원이 온되면 이 루틴은 종료된다.
따라서 각종 제어 데이타가 카메라 장치와 렌즈 장치 사이에서 통신되며, 각종 부품이 제어된다.
예컨대, AF 제어신호 (C1′)가 구동회로(127)에 공급된다. 다음에 구동회로 (127)의 출력에 따라, 자동 포커싱(AF)을 위해 제공되는 작동기(128)는 포커스 상태를 얻기 이한 방식으로 광학시스템(102)의 위치를 제어 조정된다. 더욱이 AE(자동노출) 제어신호(C2′)가 구동회로(126)에 공급된다.
다음에 구동회로(126)의 출력에 따라, AE작동기(129)는 광학시스템(102)을 제어하여 그의 구경을 최적구경위치로 조정한다. 더욱이 줌 제어신호(C3′)는 구동회로(125)로 공급된다. 구동회로(125)의 출력에 응하여 줌 작동기 (130)는 광학 시스템(102)의 위치를 제어조정하여 구동회로(125)의 출력에 의해 지정된 초점거리를 얻는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 카메라측 접점(6f)은 단계적 즉 세트백위치가 회전장착처리중에 렌즈측 접점(14a 내지14e)과 활주접속을 벗어난 위치에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본적 장점은 접점(6f)의 접촉압이 접점을 단계적 즉 세트백위치에 설정함으로써 충분히 감소되는데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 있다.
더욱이 접점의 단계적 높이 배열로 상기 실시예의 경우에 1단계만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한편, 단계수는 2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채용된 구성은 광측방향으로의 공간을 감소시킨다는 면에서 장점이 있다.
전원용 접점(6a,6f 내지14a,14f)은 접점 배열의 끝에 설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장점은 또한 접점구성을 변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일부으 스탠바이 접점 또는 통신 접점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 접점(6a, 14a)의 좌측상에 더욱이 배설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은 또한 본 발명 사상내에 있다.
본 발명의 1특징을 나타내는 본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장착중에 접점간의 활주 운동을 감소함으로써 접촉 마모를 감소하고 ; 전원 접점의 접촉저항을 감소하여 불충분한 연속성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 및 전원 접점이 단락회로로 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1)

  1. 카메라 본체 마운트와 광축방향과 거의 일치하게 배설되어 있으며, 그의 접촉방향으로 적어도 1단의 단차를 가진 높이를 갖춘 다수의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카메라 본체 ; 및 상기 광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의해 상기 카메라 본체 마운트와 결합 및 분리되는 광학부속품 마운트 및 광축에 대하여 거의 일치하게 배설되어 있으며, 적어도 1단의 단차를 접촉방향으로 갖는 높이를 갖춘 다수의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 마운트가 상기 마운트를 서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광학부속품 마운트와 결합될때 상기 광학부속품의 다수 전기접속단자가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와 접촉할 수 있는 광학부속품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2그룹중 적어도 한 그룹은 접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접촉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조일 수 있도록 배설되며 ; 상기 전기접속단자의 2그룹의 각각중에서 다수의 전원용 전기접속단자가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사이에 배설된 통신용 전기접속단자와 양단에 서로 떨어져셔 위치하며 ; 및 상기 단차는 상기 카메라 본체 마운트와 결합될 수 있는 상기 광학부속품 마운트를 회전하는 방향에 대하여 후단부에 위치하는 전원용 상기 전기접속단자중 하나가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와 다른 전원용 상기 전기접속단자로 부터 접촉방향으로의 높이를 시프트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보다 더 큰 접촉압을 가지고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로 부터 상기 단차만큼 높이를 시프트한 상기 전기접속단자가 고전위를 갖는 전원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로 부터 상기 단차만큼 높이가 시프트된 상기 전기접속단자가 고전위를 갖는 전원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조여서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시스템.
  6. 광축에 대하여 거의 일치하게 배설되어 있으며 적어도 1단의 단차를 접촉방향으로 갖는 높이를 구비하고 있는 다수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한 광학부속품이 광축에 대하여 상기 광학부속품의 마운트를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카메라 본체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본체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는 상기 2마운트가 서로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서로 결합될때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전기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된 다수 전기접속단자로 구성되며 ;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전원용이며,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 사이에 배설된 나머지 통신용 전기접속단자에 의하여 서로 떨어져 배설된 다수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며 ; 및 상기 카메라 본체 마운트와 결합가능한 상기 부속품 마운트를 회전하는 방향에 관하여 후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중 하나가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와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중 나머지 하나의 단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접촉방향으로 높이가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조여져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보다더 큰 접촉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로 부터 상기 단차만큼 높이가 시프트된 상기 전기접속단자는 고전위를 갖는 전원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로 부터 상기 단차만큼 높이를 시프트한 상기 전기접속단자가 고전위를 갖는 전원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가 상기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가 상기 접촉홀더에 대하여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조임부재에 의해 조여져서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나머지 전기접속단자보다 더 강한 상기 조임부재의 조이는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조임부재는 전기 도통선으로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15. 제11항에 있어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광전변환하는 영상센서를 더울 포함하며, 상기 영상센서가 광축방향에서 상기 접촉홀더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영상센서의 주변부가 광축방향으로 상기 접촉홀더 투사영역을 중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16. 제6항에 있어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광전변환하는 영상센서 ; 상기 영상센서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신호처리회로 ; 상기 TV 신호를 수신하는 백 밸런스 조정회로 ; 상기 TV 신호를 수신하는 포커싱 회로 ; 상기 TV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설된 노출제어회로 ; 및 상기 통신용 카메라 본체측 전기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다수 회로로부터 얻어진 통신 데이타를 상기 광학부속품 회로로 공급하는 제어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17. 카메라 본체상에 상기 광학부속품을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대한 광축에 대해 상기 부속품 마운트를 회전함으로써 카메라 본체 마운트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속품 마운트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본체가 광축에 대하여 거의 일치하게 배열되며, 적어도 1단의 단차를 접촉방향으로 갖는 높이를 갖추고 있는 다수의 전기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광학부속품은 상기 2마운트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호 결합될때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위치에 배설되는 다수 전기접속단자로 구성되며 ;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전원용으로 사용되며, 상기 전원용 접속단자사이에 배설된 통신용의 나머지 전기접속단자에 의해 서로 떨어져 배설된 복수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며 ; 및 상기 카메라 본체 마운트와 결합되는 상기 부속품 마운트를 회전하는 방향에 관하여 후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중 하나는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와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중 나머지 하나와 단차를 가지고 접촉방향으로 높이가 시프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조여져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용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보다 더 큰 접촉압을 가지고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로 부터 상기 단차만큼 높이를 시프트한 상기 전기접속단자가 고전위를 갖는 전원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로 부터 상기 단차만큼 높이를 시프트한 상기 전기접속단자가 고전위를 갖는 전원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접촉홀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이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의 높이가 접촉홀더에 표면과 거의 평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홀더가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의 높이에 있어서 단차와 일치하는 단계적 표면을 가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접촉홀더에 끼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7. 제17항에 있어서, 포커싱에 관한 제1광학 시스템 ; 중앙(zooming)에 관한 제2광학 시스템 ; 광축의 방향으로 제1광학 시스템을 이동하는 제1모터 ; 광축의 방향으로 상기 제2광학 시스템을 이동하는 제2모터 ; 상기 제 1광학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 ; 상기 제2광학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 ; 및 상기 제1 및 제2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 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28. 광학부속품의 바이오네트 마운트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바이오네트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본체가 광축에 대하여 거의 일치하게 배설된 다수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제1및 제2전원단자와 이들 전원단자 사이에 배설된 다수 통신용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용 단자는 상기 제2전원용 단자아 상기 다수 통신용 단자와 접촉방향으로 높이가 시프트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바이오네트 마운트와 결합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바이오네트 마운트를 회전하는 방향에 관하여 후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조여져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원단자는 상기 통신단자보다 더 큰 접촉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원단자는 고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2전원단자는 접지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원단자는 고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2전원단자는 접지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3.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가 상기 접촉홀더에 대하여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조임부재에 의해 조여져서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원단자는 상기 통신단자보다 더 큰 상기 조임부재의 조임력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임부재는 전기 도통선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7. 제33항에 있어서, 촬영된 물체의 영사을 광전변환하는 영상센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영상센서가 광축방향에서 상기 접촉홀더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영상센서의 주변부가 광축방향으로 상기 접촉홀더 투사영역을 중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8. 제 28항에 있어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광전변환하는 영상센서 : 상기 영상센서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신호처리회로 ; 상기 TV신호를 수신하는 백 밸런스 조정회로 ; 상기 TV 신호를 수신하는 포커싱 회로 ;상기 TV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설된 노출제어회로 ; 및 상기 통신용 카메라 본체측 전기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다수 회로로 부터 얻어진 통신 데이타를 상기 광학부속품 회로로 공급하는 제어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39. 카메라 본체의 바이오네트 마운트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오네트 마운트를 구비한 광학부속품이 광축에 대하여 거의 일치하게 배열되어 있는 다수 전기접속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가 제1및 제2전원단자와 다수 통신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단자는 상기 제1및 제2전원단자간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1전원단자는 상기 제2전원단자와 상기 다수 통신단자와 접촉방향으로 높이가 시프트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바이오네트 마운트와 결합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바이오네트 마운트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후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조여져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전원단자는 상기 통신단자보다 더 큰 접촉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단자는 고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2전원단자는 접지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단자는 고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2전원단자는 접지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접촉홀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의 높이가 상기 접촉홀더의 표면과 거의 평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홀더가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의 높이가 있어서 단차와 일치하는 단계적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접촉홀더에 끼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49. 제39에 있어서, 포커싱에 관한 제1광학 세스템 : 줌잉(zooming)에 관한 제2광학 시스템 : 광축의 방향으로 제1광학 시스템을 이동하는 제1모터 : 광축의 방향으로 상기 제2광학 시스템을 이동하는 제2모터 : 상기 제1광학 시스템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 : 상기 제2광학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 : 및 상기 제1및 제2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 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50. 광학부속품의 바이오네트 마운트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오네트 마운트를 구비한 카메라 본체는 광축에 대하여 거의 일치하게 배설된 다수 전기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제1및 제2전원단자와 상기 제1및 제2전원단자간에 배설된 다수의 통신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원단자는 상기 제2전원단자와 상기 다수 통신단자와 접촉방향으로 높이가 시프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조여져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전원단자가 상기 통신단자보다 더 큰 접촉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53.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단자가 고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2전원단자는 접지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단자가 고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2전원단자를 접지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55.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가 상기 접촉홀더에 대하여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조임부재에 의해 조여져서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카메라 본체.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전원단자는 상기 통신단자보다 더 큰 상기 조임부재의 조임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임부재는 전기 도통선으로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59. 제55항에 있어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광전변환하는 영산센서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영상센서가 광축방향에서 상기 접촉홀더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영상센서의 주변부가 광축방향으로 상기 접촉홀더 투사영역을 중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60. 제50항에 있어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광전변환하는 영상센서 ; 상기 영상센서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를 TV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신호처리회로 ; 상기 TV 신호를 수신하는 백 밸런스 조정회로 ; 상기 TV 신호를 수신하는 포커싱 회로 ; 상기 TV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설된 노출제어회로 ; 및 상기 통신용 카메라 본체측 전기접속단자를 통하여 상기 다수 회로로 부터 얻어진 통신 데이타를 상기 광학부속품 회로 공급하는 제어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본체.
  61. 카메라 본체의 바이오네트 마운트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오네트 마운트를 구비한 광학부속품이 광축에 대하여 거의 일치하게 배설된 다수의 전기접속단자로 구성되며 있으며,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가 제1및 제2전원 단자와 다수 통신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단자가 상기 제1및 제2전원단자간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제1전원단자는 상기 제2전원단자와 상기 다수 통신단자와 접촉방향으로 높이가 시프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본체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접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탄성적으로 조여져 접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전원단자는 상기 통신단자보다 더 큰 접촉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64.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단자는 고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2전원단자는 접지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단자는 고전위를 가지며, 상기 제2전원단자는 접지레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66.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촉단자는 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67. 제 6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접촉홀더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의 높이가 상기 접촉홀더의 표면과 거의 평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홀더가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의 높이에 있어서 단차와 일치하는 단계적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속품의 상기 다수 전기접속단자는 상기 접촉홀더에 끼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71. 제61항에 있어서, 포커싱에 관한 제1광학 시스템 : 줌잉(zooming)에 관한 제2광학 시스템 : 광축의 방향으로 제1광학 시스템을 이동하는 제1모터 : 광축의 방향으로 상기 제2광학 시스템을 이동하는 제2모터 : 상기 제1광학 시스템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제1검출수단 : 상기 제2광학 시스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제2검출수단 : 및 상기 제1및 제2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통신용 전기접속단자에서 상기 카메라 본체로 이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부속품.
KR1019890014692A 1988-10-13 1989-10-13 카메라 시스템 KR930000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9198A JPH0734093B2 (ja) 1988-10-13 1988-10-13 カメラシステム
JP63-259198 1988-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823A KR900006823A (ko) 1990-05-08
KR930000785B1 true KR930000785B1 (ko) 1993-02-04

Family

ID=1733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692A KR930000785B1 (ko) 1988-10-13 1989-10-13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21812A (ko)
EP (1) EP0363968B1 (ko)
JP (1) JPH0734093B2 (ko)
KR (1) KR930000785B1 (ko)
DE (1) DE6892304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9578A (en) * 1988-10-13 1992-01-07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system
US5177520A (en) * 1988-12-05 1993-01-0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JPH06224530A (ja) * 1993-01-27 1994-08-12 Nikon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
JPH0937119A (ja) * 1995-07-20 1997-02-07 Canon Inc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及び光学付属品
US7567290B2 (en) * 2004-03-29 2009-07-28 Fujifilm Corporation Camera system, camera body, imaging lens unit, and interchangeable lens camera
US7941045B2 (en) 2008-10-30 2011-05-10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body, interchangeable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JP5810661B2 (ja) * 2011-06-17 2015-11-11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
JP5810660B2 (ja) * 2011-06-17 2015-11-11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6192275B2 (ja) 2012-09-13 2017-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機器アクセサリおよび光学機器
CN107431301B (zh) * 2015-02-06 2021-03-30 迈心诺公司 与医疗传感器一起使用的具有伸缩针的连接器组件
US10327337B2 (en) 2015-02-06 2019-06-18 Masimo Corporation Fold flex circuit for LNOP
JP6866236B2 (ja) 2017-05-31 2021-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装置
CN112731739A (zh) 2017-05-31 2021-04-30 佳能株式会社 镜头安装座、配件、相机安装座、相机系统及摄像设备
JP6622852B2 (ja) 2017-05-31 2019-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及びこれを装着可能な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
US10613419B2 (en) 2017-05-31 2020-04-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SG10202103518RA (en) 2017-05-31 2021-05-28 Canon Kk Adapter device,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EP3410192B1 (en) 2017-05-31 2020-01-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lens apparatus, and intermediate accessory
RU2714842C2 (ru) * 2017-05-31 2020-02-19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и аксессуары
RU2724453C2 (ru) 2017-05-31 2020-06-23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ктива,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котором может устанавливаться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ктива, и система камеры
CN108989656B (zh) * 2017-05-31 2021-01-05 佳能株式会社 摄像设备、镜头设备、配件和照相机系统
JP6743090B2 (ja) 2017-05-31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TWI709808B (zh) * 2017-05-31 2020-11-1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安裝件設備和配件
RU2714847C2 (ru) * 2017-05-31 2020-02-19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я и аксессуары
CN108983532B (zh) 2017-05-31 2021-04-16 佳能株式会社 镜头设备、摄像设备和中间配件
JP6552681B2 (ja) * 2017-05-31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撮像装置
RU2755029C2 (ru) 2017-05-31 2021-09-1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Аксессуар,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котором он может устанавливаться, и система камеры
CN208401977U (zh) 2017-05-31 2019-01-18 佳能株式会社 摄像设备和配件
TWI681245B (zh) * 2017-05-31 2020-01-0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安裝設備及用於成像設備的配件
WO2020044496A1 (ja) * 2018-08-30 2020-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レンズ装置、アクセサリ、カメラ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6627U (ko) * 1980-02-26 1981-09-26
US4464034A (en) * 1981-11-13 1984-08-07 Nippon Kogaku K.K.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lens and camera
JPS60243643A (ja) * 1984-05-18 1985-12-03 Asahi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の情報伝達用電気接点構造
JPH0734092B2 (ja) * 1986-07-23 1995-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ーを有するカメラ本体及び付属装置
US4924249A (en) * 1986-12-27 1990-05-08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device for camera
GB2199668B (en) * 1986-12-27 1991-05-22 Canon Kk Connector for a camera
US4860108A (en) * 1986-12-29 1989-08-2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device for an electronic still camera
US4901152A (en) * 1987-08-31 1990-02-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3049T2 (de) 1995-11-23
EP0363968B1 (en) 1995-06-14
JPH0734093B2 (ja) 1995-04-12
DE68923049D1 (de) 1995-07-20
EP0363968A3 (en) 1990-06-06
JPH02103522A (ja) 1990-04-16
EP0363968A2 (en) 1990-04-18
US5021812A (en) 1991-06-04
KR900006823A (ko)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785B1 (ko) 카메라 시스템
US5079578A (en) Camera system
US5404190A (en) Optical apparatus
US5889555A (en) Video camera system and optical accessory
EP2834706B1 (en) Camera and camera accessory
US6608651B2 (en) Camera system with camera side which transmits controllable and uncontrollable functions to lens side
US7599617B2 (en) Camera lens mount apparatus
EP0372459B1 (en) Optical apparatus
US4766453A (en) Bayonet mount structure for interchangeable photographing lens tube
US4464034A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lens and camera
US20110317062A1 (en) Digital camera and interchangeable lens unit
KR950008339B1 (ko) 렌즈 교환 카메라용 리어 콘버터
JP2004117380A (ja)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およびアクセサリー
JPH11142935A (ja) データ転送装置
US5030982A (en) Single lens reflex camera
JPH02163728A (ja) カメラシステム
US4443085A (en) Camera with an interchangeable lens
JPS6155827B2 (ko)
JP7066887B2 (ja) マウントユニット
JP2009111682A (ja) 撮像装置
JP3093252B2 (ja) 撮像装置およびアダプタ装置
JPH02198404A (ja) 光学機器
JP3391978B2 (ja) 撮像装置及び映像機器システム
JP6833525B2 (ja) 撮像装置
EP0649252B1 (en) Video camera using a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and the processing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