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428B1 - 코넥터 후드 - Google Patents

코넥터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428B1
KR930000428B1 KR1019840005650A KR840005650A KR930000428B1 KR 930000428 B1 KR930000428 B1 KR 930000428B1 KR 1019840005650 A KR1019840005650 A KR 1019840005650A KR 840005650 A KR840005650 A KR 840005650A KR 930000428 B1 KR930000428 B1 KR 93000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block
wall
connector
spac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703A (ko
Inventor
에스. 베텐코오트 죠지
이. 스트릭클러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지 씨. 돌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지 씨. 돌맨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5000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넥터 후드
제1도는 3개의 소켓 코넥터를 구비한 본 발명의 코넥터 후드의 사시도.
제2도는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소켓 코넥터가 인쇄회로 기판에 접속되고, 진동중에 완전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코넥터 후드에 형성된 채널내에 바아가 끼워 맞춰진 상태를 나타낸 다수의 코넥터 후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넥터 후드의 일 벽부의 내표면을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벽부와 한쌍을 이루며 그 표면상에 지지 플랜지가 도시된 코넥터 후드의 타벽부의 내표면을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벽부의 하부 확대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벽부의 하부 단면도.
제7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중앙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스페이서 블록의 평면도.
제9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중앙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스페이서 블록의 평면도.
제11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중앙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스페이서 블록의 평면도.
제13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추가 실시예의 중앙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스페이서 블록의 평면도.
제15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종료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스페이서 블록의 평면도.
제17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종료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스페이스 블록의 평면도.
제17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종료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된 스페이스 블록의 평면도.
제19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종료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된 스페이스 블록의 평면도.
제21도는 코넥터 후드에 사용되는 추가 실시예의 종료 스페이서 블록의 측면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스페이스 블록의 평면도.
제23도는 코넥터 후드에 소켓 코넥터를 구성하기 위해 벽부에 배치된 스페이서 블록들을 도시한 개략도.
제24도는 또 다른 소켓 코넥터를 구성하기 위해 또 다른 방식으로 벽부에 배치된 스페이서 블록을 도시한 개략도.
제25도는 또 다른 방식으로 벽부에 배치된 스페이서 블록들을 도시한 개략도.
제26도는 또 다른 방식으로 벽부에 배치된 스페이서 블록들을 도시한 개략도.
제27도는 장해물이 존재하는 회로기판의 카드 에지 코넥터 위와 아래에서 코넥터에 적합하도록 그 일부구간이 제거된 벽부의 개략도.
제28도는 단일 형성 단계로 부터 벽부 2개와 일련의 코넥터 블록들을 포함하는 성형 모형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넥터 후드 2,3 : 벽부
4 : 상부 5 : 하부
6 : 후방부 7 : 전방부
8 : 플랜지 9 : 립
10 : 개구부 11 : 지지 플랜지
17 : 홈 23 : 스페이스 블록
24 : 결각부 25 : 돌기부
26 : 리세스 27 : 측면 플랜지
28-31 : 중앙 스페이서 블록 34,37 : 종료 스페이서 블록
36,38 : 경사 모서리
본 발명은 인쇄회로 기판의 카드 에지 코넥터에 접속하기 위해 다양한 소정의 재구성 형태로 한개 또는 여러개의 소켓 코넥터를 수용하는 인쇄회로 기판용 케이블 코넥터 후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코넥터 지지하아드웨어 요구 조건을 감소시키고 , 소켓 코넥터와 와이어 형태의 선택 범위를 넓게하고,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또는 처리하는 신호에 대해 팩케이징 스페이스를 제공하고 진동 환경에서 코넥터의 유지 상태를 향상시키며 배선의 외관을 개선하고, 배선이 쉽게 유지되도록 한다. 코넥터 후드들은 주문형 마이크로 프로세서 시스템들의 블록재인 표준 인터페이스 인쇄회로 기판용으로 소켓 코넥터와 함께 사용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기본 시스템들은 계속 증가하는 여러 제작품들에 대한 기본 블록재였다.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들은 입력 및 출력 데이타를 처리하도록 인쇄회로 기판에 장착된다. 넓은 용융 범위를 충족시킬 수 있는 그같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대해 표준화된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표준 버스 겸용 인쇄회로 기판은 카드 에지 코넥터들을 입력/출력 인터페이스에 사용한다. 버스 겸용 인쇄회로 기판은 표준 상태하에서의 입력/출력 상호 연결 시스템에 유용하지만, 진동 상태 또는 쇼크가 발생한 경우에는 카드 에지 코넥터가 정상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게다가, 일부 응용에 있어서, 이러한 코넥터들(매우 일반적으로 평판형 리본 케이블에 결합된 코넥터)가 그들결합 배선 등은 인쇄회로 기판 하우징의 앞부분을 조잡하게 한다. 상기 조합으로 인해 시스템의 모양새가 떨어지고 동작 유지 또는 서비스 동작 등이 방해를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상호 연결에 대해 인쇄회로 기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진동 상태에서 정상으로 유지시키고, 코넥터와 케이블의 선택 범위를 넓게 하고, 시스템의 상호 통신을 개선하고, 케이블의 복잡한 배열을 간단하게 하는 코넥터 후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최소한 한계의 소켓 코넥터를 인쇄회로 기판의 최소한 한개의 카드 에지 코넥터에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코넥터 후드는 한쌍의 절연성 결합 벽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각의 벽부는 상부, 하부, 후방 및 전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하부 및 후방부는 내향으로 연장하여 결합하는 벽부 표면상의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는 해체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마주보는 립들 사이에서 결합 벽부의 전방부를 따라 개구부를 제공하며 ; 벽부 사이에서 스페이서 블록을 맞물기 위해 벽부의 전방부에 인접한 제1맞물림 장치를 포함하고 ; 상기 제1맞물림 장치와 결속하기 위해 제2맞물림 장치를 구비한 다수의 절연성 스페이서 블록을 포함하는데, 상기 스페이서 블록과 상기 립은 결합 벽부내에서 상기 개구부에 인접한 최소한 하나의 소켓 코넥터를 고착시키는데 적합하고 ; 상기 스페이서 블록에 의해 고착된 소켓 코넥터에 전기 접속되도록 하는 케이블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벽부의 플랜지 내에 최소한 하나의 홈을 포함한다.
인쇄회로 기판의 카드 에지 코넥터에 소켓 코넥터들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코넥터 후드는 인접 플랜지를 갖는 한쌍의 결합 벽부와, 벽부의 전방부를 따라 형성된 개구부와, 적어도 한개의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홈을 구비한다.
상기 벽부는 안쪽으로 향한 립과, 상기 벽부간에 스페이서 블록들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상기 립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안쪽으로 연장된 지지 플랜지를 갖는다 . 맞물림 수단을 구비한 스페이서 블록들이 제공되어 벽부의 내표면상에 형성된 맞물림 수단과 결속된다. 스페이서 블록은 벽부내의 결각부속에 키워지는 돌기와, 코넥터 후드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소켓 코넥터들을 보지하도록 하기 위해 벽부상의 지지 플랜지와 상호 결합하는 리세스와 한쪽으로 신장된 플랜지(또는 양쪽으로 신장된 플랜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일련의 이러한 스페이서 블록들은 후드내의 표준 소켓 코넥터들의 소정의 구성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코넥터 후드는 벽부 2개를 함께 결속하는 결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결속 수단으로는 진동 또는 쇼크 상태중에 완전한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우징을 횡단하여 결속되는 크로스-바아같은 지지 수단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후방부에 채널들이 제공한다.
이제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코넥터 후드(1)는 한쌍의 결합 벽부(2,3)를 구비하는데, 각 벽부는 상부(4), 하부(5), 후방부(6) 및 전방부( 7)를 갖는다. 내향 연장하는 플랜지(8)는 각 벽부의 상부, 하부 및 후방부를 따라 제공되며, 다른 벽부의 플랜지에 인접해 있다. 각 벽부(2,3)의 전방부(7)를 따라 내향 연장하는 립(9)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종료되므로써 결합 벽부의 전방부를 따라 개구부(10)를 제공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벽변중 한쪽 벽부(3)상에 제공된 수직 연장 지지 플랜지(11)는 전방부(7)를 따라, 안쪽에서 지향되며 립(9)에서 일정 간격이 이격된다. 수직 지지 플랜지(11)는 벽부(3)의 상부(4)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상부(4)는 도시부호(12)로 표시된 바와 같은 각도로 경사지게 전방부(7)에서 후방향으로 그리고 하향하여 연장되며 반면에 후방부(6)는 상부(4)의 후방 종료점(13)를 넘어서 돌출하므로써, 사용자가 될 수 있는 돌기부(14)를 제공한다. 한쌍의 횡단 채널(15,16)이 후방부(6)내에 형성되므로써, 이후에 기술되겠지만, 진동 성향의 환경하에서 코넥터의 확실한 지지상태를 제공한다. 하부(5)의 플랜지(8)경우, 코넥터 후드의 내부로 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홈(10)들이 제공된다. 코넥터 후드는 평판형 또는 원형 케이블에 유용하다. 도면에는 원형 케이블에 적합한 후드가 도시된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부(2,3)의 하부(5)의 각각의 플랜지내에 제공된 9개의 홈(17)처럼 다수의 홈이 제공될 수도 있는데, 이로 인해 그곳을 통해서 1 내지 9개의 원형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홈(17)들은 횡단립(18)을 구비한 반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있으며, 상기 리브(18)는 벽부(2,3)들의 상호 고정 결합시, 케이블에 대해 압착 및 잠금 수단을 역할을 한다. 평판형 케이블을 사용할때는 반원의 홈은 필요치 않고, 평판형 홈이 쓰인다. 이러한 변형은 도시된 후드를 연삭하거나, 성형에 변형을 가하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벽부(2,3)의 상호 고정 결합은 나사구멍(20)내에 삽입된 리베트 또는 나사와 같은 고정 결합 수단을 사용하므로써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 결합수단은 벽부의 플랜지 (8)내의 구멍(h)속에 끼워 맞춰지고 나사식 삽입물(19)과 결합하거나 또는 리세스( 22)내에 나사부를 형성한다. 또한, 정열핀(21)이 한쪽벽부(2)의 상부 및 후방부의 플랜지(8)상에 제공되어 인접한 벽부(3)의 결합 플랜지내에 형성된 리세스(22)와 일체 결합한다.
코넥터 후드의 소정의 위치에 소켓 코넥터를 위치시키기 위해 일련의 스페이스 블록(23)이 제공된다. 카드 에지 코넥터용 소켓 코넥터들은 상당히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스페이서 블록들을 사용하므로써 코넥터를 소정의 위치에 고착시키는 것이외에도,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표준 소켓 코넥터가 한쌍의 벽부내에 배열될 수 있다. 한쌍의 결합 부분(2,3)사이의 상부와 하부간의 공간에서 전방림(9)에 인접하여, 스페이서 블록을 정열시키고 고착하기 위해 일련의 결각부(24)와 같은 제1맞물림 수단이 벽부의 내부벽에 제공된다. 스페이서 블록(23)은 돌기부(25)와 같은 제2맞물린 수단을 구비하는데, 이것은 결합 벽부의 결각부(24)내에 끼워 맞춰지므로써, 결합 벽부 사이에서 소켓 코넥터를 고착시킨다. 스페이서 블록(23)은 돌기부(25) 이외에도 리세스부(26) 및, 벽부의 지지 플랜지(11)와 인접하는 플랜지(27)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로인해 결합 벽부 사이에서 스페이서 블록이 고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스페이서 블록들의 일례로서, 여러 블록들의 측면도 및 평면도가 제7도 내지 제22도상에 도시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중앙부 스페이서 블록(28)은 돌기부(25)와, 리세스(26)위의 블록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를 구비한다.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블록(29)도 크기가 작은 점만 빼놓고 돌기(25), 리세스(26) 및 양쪽으로 신장된 플랜지(27)를 구비하는 등 상기 중앙부 스페이스 블록과 유사하다.
제3중앙부 스페이서 블록(30)도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가 큰점만 빼놓고 역시 돌기(25), 리세스(26) 및 양쪽으로 신장된 플랜지(27) 등을 구비한다. 제13도 및 제14도에는 중간 크기의 제4중앙부 스페이서 블록(31)이 도시된다.
종료 스페이서 블록(32)은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블록(32)은 돌기가 없는 대신 리세스(26)와, 한쪽으로 연장된 플랜지(27)를 구비한다. 제17도 및 제18도에는 보다 넓은 폭의 유사한 최종부 스페이서 블록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블록(33) 역시 리세스(26)와, 한쪽으로 신장된 플랜지(27)만 구비하며 돌기는 갖고 있지 않다. 제19도 및 제20도에는 리세스(26)와 플랜지(27)를 갖는 또 다른 최종 스페이서 블록(34)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플랜지(27)는 블록(34)의 단부상에 쇼울더(35)를 제공하기 위해 블록의 대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은 블랜지 (27)를 갖는 단부에 대향하는 경사 모서리부(36)를 구비한다. 또한,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된 종료 스페이서 블록(37)은 플랜지를 갖고 있지 않지만, 양쪽 단부상에 경사 모서리부(38)를 구비한다. 두개의 결합 벽부(2,3)를 서로 결합함에 있어서, 스페이서 블록(23)을 사용함으로써, 코넥터 후드(1)내에서의 1개 또는 그 이상의 소켓 코넥터들의 소정의 다양한 배치 구조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부 스페이서 블록(28) 2개를 이용해서 코넥터 후드내에 3개의 소켓 코넥터(C)가 배치될 수 있다. 우선, 돌기(25)를 벽부의 내벽에 형성된 결각부(24)속에 끼워 맞추면서 스페이서 블록(28)을 제위치에 배치시키면, 벽부의 지지 플랜지(11)는 리세스(26)와 꼭맞게 끼워지고 스페이서 블록의 플랜지는 지지 플랜지(11)상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제1소켓 코넥터는 벽부의 상부(4)와 상부 중앙 스페이서 블록(39) 사이에 배치가 가능하고, 제2소켓 코넥터는 상부 중앙 스페이서 블록(39)과 화부 중앙 스페이서 블록(40)사이에 배치가 가능하며, 제3소켓 코넥터는 하부 중앙 스페이서 블록( 40)과 벽부의 하부(5)사이에 배치가 가능해진다.
제24도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 보다 작은 크기의 5개의 소켓 코넥터가 코넥터 후드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보다 폭이 작은 3개의 스페이서 블록(29)이 벽부의 상부(4)와 하부(5)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 경사 모서리가 형서된 스페이서 블록(37)이 상부(45)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하부(5)에 인접하여 종료 스페이서 블록( 32)이 배치된다. 제25도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 2개의 큰 소켓 코넥터와 1개의 작은 소켓 코넥터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실시예에서 종료 스페이서 블록(34)는 벽부의 상부(4)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보다 큰 중앙부 스페이서 블록(30)이 상기 블록(34)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중간 크기의 중앙부 스페이서 블록(31)이 상기 블록(30)과 벽부의 하부(5)사이에 배치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인해, 작은 소켓 코넥터가 블록(34)과 블록(30)사이에 고착될 수 있고 큰 소켓 코넥터는 블록(30)과 블록(31)사이에, 그리고 블록(31)과 하부 (5)사이에 고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스페이서 블록들을 이용해서 소켓 코넥터의 배치 상태를 재배열 할 수 있다. 그 일예로서, 제26도에 도시된 배열과 같이, 코넥터 후드 내에 3개의 큰 소켓 코넥터를 배치시킬 수 있는데 상기 실시예에서, 아래쪽 2개의 소켓 코넥터들을 윗쪽의 소켓 코넥터에 약간 근접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은 재배열은 제26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즉 종료 스페이서 블록(33)은 하부(5)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중간크기의 중앙 스페이서 블록(31)은 상기 블록(33)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켜 위치되고, 폭이 좁은 스페이서 블록(29)은 블록(31)과 벽부의 상부(4)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드 에지 코넥터와 함께 후드내에서 유지되는 소켓 코넥터의 밀착 결합을 장애물이 방해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코넥터 후드(41)가 사용될수 있도록 벽부의 전방부(7)의한 구간 또는 구간들이 제거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부(2,3)의 전방부의 한 구간 또는 구간들(42)이 제거되므로써 중앙 구간(43)은 돌기부의 특성을 지니게 된다. 두개의 중앙 스페이서 블록(29)이 중앙 구간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소켓 코넥터는 상기 블록(29)사이에서 고착 가능하고, 카드 에지 코넥터와 접속이 가능해지며, 카드 에지 코넥터의 위 또는 아래에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장애물은 카드 에지 코넥터와 접속하기 위해 이미 개방된 소켓 코넥터의 배치 상태를 방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넥터 후드들은 쇼크 또는 진돈 상태에 영향 받기 쉬운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이 때문에, 벽부(2,3)에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채널( 15,16)을 이용하여 한 시스템에 코넥터 후드를 적절히 위치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소켓 코넥터를 시스템의 카드 에지 코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44)와 같은 지지수단은 시스템을 포함하는 하우징(45)을 가로질러 채널(15,16)내에 결속되어 꼭 끼워 맞춰진다. 그러므로 코넥터 후드(1)내에 포함된 소켓 코넥터들은 단단히 지지되어, 진동이나 쇼크가 발생했을때 카드 에지 코넥터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코넥터 후드는 표준 인쇄회로 기판(카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표준 패턴으로 한개 또는 다수의 소켓 코넥터들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잇점을 갖고 있다. 이같은 코넥터 후드는 원형또는 평판형의 다중도체 케이블에 적합하다. 또한, 특별히 설계되었지만, 표준화된 일련의 스페이서 블록을 사용하므로 인해 두개의 벽부(2,3)와 일련의 블록(23)과 같은 후드의 구성 요소들은 단일 주형내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 모형품이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두개의 벽부(2,3)와, 일련의 스페이서 블록 즉, 종료 스페이서 블록(32,33,34,37)뿐아니라 중앙 스페이서 블록(28,29,30,31)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련의 그같은 모형품을 성형함으로써 표준 스페이서 블록들이 벽부들을 따라 형성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구성을 만드는데 필용한 블록만을 선택하면 되고, 특수한 소켓 코넥터 또는 다수의 코넥터와 함께 사용하는 코넥터 후드를 구성할 수 있다.
코넥터 후드는 절연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40% 유리가 충전된 폴리카보네이트 물질과 같은 성형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며, 인디시어(indicia)가 결각부에 인접하여 벽부의 내부벽내에 형성되므로써, 인쇄회로 기판내에 소켓 코넥터의 유지를 위한 특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블록을 용이하게 배치시키도록 해주는 코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인쇄회로 기판의 최소한 하나의 카드 에지 코넥터에 적어도 하나의 소켓 코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코넥터 후드(1)에 있어서, 벽부(2,3)상에서 내향하여 연장하는 결합 플랜지(8)를 갖는 상부(4), 하부(5), 후방부(6) 및, 내향하여 위치 설정된 립(9)을 갖는 전방부(7)를 각각 구비한 한쌍의 절연성 결합 벽부(2,3)를 포함하는데, 상기 플랜지(8)는 분리가능하게 함께 고착되어 결합 벽부(2,3)의 전방부(7)를 따라 벽부상의 마주보는 립(9)사이에 개구부(10)를 제공하고 ; 스페이서 블록(23)과 결속하기 위해 벽부(2,3)의 전방부에 인접한 제1맞물림 수단(24)을 포함하고 ; 제1맞물림 수단(24)과 결속하기 위해 제2맞물림 수단(25)을 구비한 다수의 절연성 스페이서 블록(23)을 포함하는데, 상기 스페이서 블록(23)과 상기 립(9)은 결합 벽부(2,3)사이내에서 상기 개구부(10)에 인접한 최소한 하나의 소켓 코넥터를 고착시키는데 적합하고 ; 상기 스페이서 블록(23)에 의해 고착된 소켓 코넥터에 전기 접속되도록 케이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벽부 플랜지 내에 최소한 하나의 홈(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2. 제1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벽부(2,3)는 벽부의 립(9)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 연장함과 아울러 내향하여 위치 설정된 지지 플랜지(11)를 구비하며, 상기 스페이서 블록(23)은 립(9)과 지지 플랜지(11)사이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23)은 리세스(26) 및, 상기 지지 플랜지(11)상에 얹혀지는 최소한 하나의 측면 플랜지(27)를 구비하는데, 지지 플랜지(11)는 상기 리세스(26)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23)은 상기 블록의 각 측면에서 연장되는 두개의 측면 측면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블록(23)은 그 표면에 맞물림 수단으로서의 돌기부(25)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2,3)는 벽부 내표면에 맞물림 수단으로서의 결각부(24)를 구비하는데, 상기 돌기부(25)는 상기 결각부(24)내에 끼워 맞춰지고, 이때 스페이서 블록(23)은 벽부(2,3)내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스페이서 블록(23)은 경사 모서리(36,38)를 구비하여 종료 스페이서 블록(34,36)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경사 모서리(36,38)는 벽부(2,3)상에서 하나의 플랜지(11)상의 쇼울더내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앙 스페이서 블록(28-31) 역할을 하는 스페이서 블록(23)들중의 일부는 리세스(26)와 최소한 하나의 측면 플랜지(27)를 구비하는데, 스페이서 블록(23)의 상기 측면 플랜지(27)는 상기 지지 플랜지(11)상에 얹히며 이때 지지플랜지(11)는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하고, 종료 스페이서 블록(34,37)역할을 하는 최소한 하나의 스페이서 블록(23)은 경사 모서리(36,38)를 구비하는데, 상기 경사 모서리(36,38)는 벽부(2,3)상에서 하나의 플랜지상의 쇼울더내에 끼워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8. 제7항에 있어서, 중앙 스페이서 블록(28-31)역할을 하는 스페이서 블록(23)은 그 표면에 돌기부(25)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2,3)는 그 내부에 결각부(24)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25)가 상기 결각부(24)내에 끼워 맞춰질때 상기 스페이서 블록(23)은 벽부(2,3)내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벽부(3)의 플랜지(8)내에 형성된 홈(17)은 스페이서 블록(23)에 의해 고착된 최소한 하나의 소켓 코넥터에 접속시키기 위해 최소한 하나의 평판형 케이블을 수납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후드.
KR1019840005650A 1983-09-15 1984-09-15 코넥터 후드 KR930000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532,424 US4552426A (en) 1983-09-15 1983-09-15 Multiple connector hood for inter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532,424 1983-09-15
US532424 1990-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703A KR850002703A (ko) 1985-05-15
KR930000428B1 true KR930000428B1 (ko) 1993-01-21

Family

ID=2412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650A KR930000428B1 (ko) 1983-09-15 1984-09-15 코넥터 후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52426A (ko)
EP (1) EP0136853B1 (ko)
JP (1) JPS6077378A (ko)
KR (1) KR930000428B1 (ko)
DE (1) DE3468595D1 (ko)
ES (1) ES292538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669A (en) * 1991-10-29 1992-12-29 Intel Corporatiton Support member that couples an electronic card to a chassis
US20030162435A1 (en) * 2002-02-12 2003-08-28 Glen Holman Cable connector hood and clamp
AU2003249573A1 (en) * 2002-04-26 2003-11-10 Th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Bombay Process for treatment of organic wast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3366C (de) * 1943-08-01 1953-01-15 Aeg Anordnung fuer aufsteckbare Geraete der Fernmeldetechnik mit Schutzkappe
FR977312A (fr) * 1948-11-08 1951-03-30 Dispositif de raccordement par liaisons amovibles ou soudées
US2850712A (en) * 1956-02-02 1958-09-02 New York Trust Company Means for connecting electrodes to conductors
US3611562A (en) * 1969-12-05 1971-10-12 Thomas & Betts Corp Method of attaching microcircuit packs to a panel board
US3692966A (en) * 1970-07-22 1972-09-19 Cooke Eng Co The Multi-circuit patch plug and jack
US3760336A (en) * 1971-03-24 1973-09-18 Bunker Ramo Miniature connector-modular
US3740698A (en) * 1971-05-12 1973-06-19 Honeywell Inf Systems Ribbon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stress relieving means
US3986764A (en) * 1975-03-31 1976-10-19 Gte Automatic Electric Laboratories Incorporated Panel for supporting a pair of elongated mating connectors and selectively locking them together
SE391859B (sv) * 1975-10-02 1977-02-28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vid stativmonterad elektrisk utrustning
CA1063730A (en) * 1975-11-11 1979-10-02 Robert F. Cobaugh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U530795B2 (en) * 1979-04-11 1983-07-2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4343528A (en) * 1980-04-25 1982-08-10 Amp Incorporated Modular interconnect system
US4330935A (en) * 1980-06-10 1982-05-25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contact elements with a housing to form a contact module
US4444450A (en) * 1982-01-28 1984-04-24 Amp Incorporated Flat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and housing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703A (ko) 1985-05-15
EP0136853B1 (en) 1988-01-07
US4552426A (en) 1985-11-12
ES292538Y (es) 1987-10-16
EP0136853A1 (en) 1985-04-10
ES292538U (es) 1987-03-16
JPH0542787B2 (ko) 1993-06-29
JPS6077378A (ja) 1985-05-01
DE3468595D1 (en) 198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5880A (en) Modular faceplate system
US5057026A (en) Electric junction box
KR0182790B1 (ko) 코딩 요소가 있는 접속기 조립체
US5179503A (en) Modular automobile power distribution box
US5433617A (en) Connector assembly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4560227A (en) Fuseholder for blade-type fuses
JP3410951B2 (ja) 電気接続箱
US4806103A (en) High density edgecard connector system
US5785537A (en) Electrical connector interlocking apparatus
EP0113238B1 (en) Assembling constru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US6010373A (en) Electrical connector interlocking apparatus
JP3746202B2 (ja) 分割コネクタ
US6322399B1 (en) Electrical module having coupling means
US5460541A (en) Jack socket assembly
US4752861A (en) Housing for the accommodation of electrical assembly carriers
KR930000428B1 (ko) 코넥터 후드
US5392194A (en) Coding device for assembling plugable electrical assemblies into a module
US5131866A (en) Electrical connector
US4390230A (en) Modular block base and bracket assembly
CN101087048B (zh) 使用通用引线框的标准连接器组件
JPS63140599A (ja) 通信装置用キャビネット装置
JPH081990B2 (ja) 電子機器用筺体
JP6831669B2 (ja) ヒューズモジュール
US4458974A (en) Modular block base and bracket assembly
JPH042492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