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132B1 - 진동 검출기 - Google Patents

진동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132B1
KR930000132B1 KR1019890004797A KR890004797A KR930000132B1 KR 930000132 B1 KR930000132 B1 KR 930000132B1 KR 1019890004797 A KR1019890004797 A KR 1019890004797A KR 890004797 A KR890004797 A KR 890004797A KR 930000132 B1 KR930000132 B1 KR 93000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bush
terminal
vibration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366A (ko
Inventor
사또시 고무라사끼
아쯔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9214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624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5126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4431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0274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433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0275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433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048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752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0540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7528U/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6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01H11/08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using piez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9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piezoelectric pick-up
    • G01P15/0907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piezoelectric pick-up of the compression mod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G01L23/22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Units comprising pressure-sensitive members combined with ignitors for fir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L23/221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Units comprising pressure-sensitive members combined with ignitors for fir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G01L23/222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combustion engines; Units comprising pressure-sensitive members combined with ignitors for fir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for detecting or indicating knock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ing piezoelectric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동 검출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에의 요부 측단면도.
제2 및 3도는 제각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플레이트 평면도 및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작용 설명을 위한 일부 측면도.
제5 및 14도는 종래으리 진동 검출기의 측단면도.
제7도는 종래의 진동 검출기의 작용 설명을 위한 일부 측단면도.
제8도(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사용된 부쉬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9도(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9도(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된 부쉬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10도(a)는 종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0도(b)는 종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도.
제12(a) 및 제12도(b)는 종래 장치를 나타낸 도시도.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측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18 및 19도는 제각기 제17도의 Ⅲ-Ⅲ선 및 Ⅳ-Ⅳ선에 따르는 평면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쉬 2 : 진동-전기 변환부
3 : 케이스 10 : 충전재
12 : 절연 튜브 24 : 플레이트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노킹을 검지하기 위하여 내연 기관의 진동 검출등에 사용되는 진동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제5도, 제6도, 제10도, 제12도, 제14도 및 제17 내지 19도는 종래의 이런 종류의 진동 검출기를 나타내고 제10 및 12(a)는 평면도, 제10 및 제12(b)는 제10 및 12 (a)의 선분 DD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철계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부쉬(1)는 중심에 장치 볼트의 삽입공(13)이 형성되며 내연기관에 접하는 좌면(1a), 진동-전기 변환부(2)를 맞붙이기 위한 대면(1b) 및 원통부(1c)로 되어 있다. 부쉬 (1)의 외주부에 접착제(14)에 의하여 접착되어 원환상의 수납 공간(3a)을 형성하는 케이스 (3)에는 접속자(3b)가 형성되어 있다. 진동-전기 변환부(2)는 원통상을 이루고 있으며 대면(1b)상에 위치한 압전 소자(5)의 기준 전극이 접속하고 있는 제1전극 터미널 (4), 압전 소자 (5)의 검출신호를 도출하는 제2전극 터미널(6), 이 전극 터미널 (6)의 압전 소자 (5)와 접하지 않는 측에 설치된 절연 시트(7), 압전 소자(5)에 진동 응력을 인가하는 웨이트(8)등으로 이루어지며, 원통부(1c)에 형성된 나사(1d)에 나사 정지 너트(9)로서 맞붙여 있다. 수납 공간 (2a)내에는 진동 - 전기 변환부(2)의 외주 및 상부에 에폭시계의 합성수지로 되는 충전재(10)가 충전되어 있다. 접속자(3b)에는 제2전극 터미널(6)의 절곡편(6a)에 접속되 출력 터미널 (11) 및 제1전극 터미널(4)의 절곡편(4a)에 접속된 접지 터미널(14)이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1c)와 진동 - 전기 변환부(2)사이에는 절연 튜브(12)가 끼워져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부쉬(1)의 볼트 삽입공(13)에서 삽입한 볼트에 의하여 내연기관의 좌면(1a)에 진동 검출기가 고정된다. 내연기관의 운전에 따르는 진동에 따른 웨이트(8)의 관성 응력이 압전 소자(5)에 전달된다. 압전 소자(5)에 생기는 검출 출력은 제1, 제2전극 터미널(4),(6)을 지나 접지 터미널(14)과 출력 터미널(1)사이에서 도출된다.
종래의 진동 검출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4)는 절연 튜브(12)의 말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7도에 나타나듯이 절연 튜브(12)의 단부와 부쉬(1)의 대면(1b)사이에 넣어버리는 것이 있다. 이렇게 되면 플레이트(4)는 중심이 치우쳐 맞붙여지는 압전 소자(5)의 전극면 전면에 접하지 않고 치우친 것으로 되며 정상적으로 쌓아 겹치는 조립이 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압전 소자(5)에서 검출한 신호가 바르게 도출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또한 접속자(3b)에는 출력 터미널(11)외에, 플레이트(4)와 접속되는 접지 터미널이 있지만, 접지 터미널과 플레이트(4)의 위치 엇갈림에 의하여 정확하게 조립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 플레이트(4)가 중심이 치우쳐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 검출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너트(9)의 조립시에 부쉬(1)의 원통부(1c)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응력이 가해지며 부쉬(1)가 이것에 수반하여 회전하고 너트(9)의 조임이 확실하게 행해지지 않고 부쉬(1)를 고정할 필요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제10도에 나타나듯이 이 진동 검출기는 접속자(3b)주변에 비대칭 부분에 있으며 이 부분을 밀어내므로서 회전 멈춤이 가능하지만, 케이스(3)는 열가소성의 수지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비교적 상하기 쉽고 회전 멈춤이 닿는 부분의 기구측의 연구, 작업시의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부쉬(1)와 케이스(3)를,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로서 접합하고 있으므로, 케이스(3)를 고정하여 너트(9)를 조이면, 상기 접착제에 스트레스가 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 케이스(3)이외의 부분으로서 회전 멈춤을 행하고 간단하며 쉬운 작업 및 취급을 가능하게 하는 진동 검출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웨이트(8)의 관성 응력이 유효하게 압전 소자(5)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웨이트(8)의 질량 할당에 압전 소자(5)가 발생하는 검출 신호가 작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웨이트의 질량에 대응한 관성 응력이 압전 소자에 확실히 작용하고 효율좋고 검출신호를 얻을 수 있는 진동 검출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진동 가속기는 너트(9)의 나사 조임에 의하여 원통상의 진동-전기 변환부(2)를 고정하는 것이지만, 웨이트(8), 절연 시트(7), 제2의 터미널(6)는 각각 너트 (9)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기 쉽다. 그 때문에 터미널(6)의 절곡면(6a)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출력 터미널(11)에 대하는 위치가 불안하게 되며, 위치 엇갈림이 크면 너트(9)의 조임 작업을 다시하게 된다.
또, 제1, 제2 터미널(4),(6)은 모두 두께 0.1 내지 0.2mm의 금속판으로 된 것으로 내응력이 작으며, 특히 제2터미널(6)의 회전을 기구에 의하여 저지하도록 하면, 터미널(6)이 변형하여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너트에 의한 진동-전기 변환부의 조임으로 제2터미널의 회전 변위를 지지할 수 있는 진동검출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제1, 제2의 전극 터미널로(4),(6)는 기본 형상이 원환상이므로 부쉬(1)의 원통부(1c)의 원주 방향에 쉽게 회동할 수 있으므로 절곡편(4a,6a)이 서로 접촉할 우려가 있다. 또 출력 터미널(11), 접지 터미널(14)에 대하는 각 절곡편(6a),(4a)의 위치가 바뀌며 오접속을 발생할 염려도 있다. 또 전극 터미널(4),(6)의 불필요한 회동은 너트(9)의 조임시에 같이 회전하기 쉽고 주의하여 작업을 하여도 조임 작업을 다시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특히 전극터미널(4),(6)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 제1,제2전극 터미널은 그 조임만으로 맞붙이는 위치가 결정되며 특별한 위치 결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진동 검출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검출기는 압전 소자의 외주변에 접하는 복수개의 기립 편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준비하고 있고, 부쉬에 공 또는 홈등을 추가하고 너트의 조임시 회전 응력에 의하여 부쉬가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멈춤을 시행할 것이며, 너트의 직경을 웨이트의 직경과 동등 이상으로 하고, 웨이트의 평면 전면에 대하여 너트로서 조이며, 구성 부품을 맞붙이도록 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진동 검출기는 제1터미널의 판두께보다도 두껍게 되는 제2터미널을 갖추고 있고, 너트 조임시에 원환상의 터미널에 회전 토크를 전하지 않는 플레이트가 진동-전기 변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제2의 전극 터미널을 기계적으로 서로 분리하고, 각 전극 터미널로가 접속자에 상대방 터미널에 가깝게 붙지 않도록 격벽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압전 소자와 플레이트가 일체로 된 상태로 조립된다.
본 발명에 있는 부쉬는 공 또는 홈등의 가공에 의하여 멈춤이 행해지고, 그 원통부에서 너트의 조임에 의한 회전 응력이 가하여도 그것에 수반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는 너트는 웨이트의 직경에 대하여 동등 이상의 직경으로 만들고 웨이트의 평면 정면에 대하여 조이도록 해서 웨이트의 관성 응력을 효율좋고 압전 소자에 인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터미널의 판두께가 두꺼워서 너트 조임시에 기구를 사용하여 제2터미널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고, 인 청동판, PPS재 또는 불소수지 등이 견고하거나 또는 마찰 저항이 작은 재료로 되는 플레이트를 끼워넣고 너트의 회전에 따르는 회전력이 터미널로 전달되지 않으며, 격벽에 의하여 제1, 제2전극터미널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특별한 위치 결정 작업을 요하지 않고 전극 터미널이 소정 위치로 조립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원환상의 플레이트(24)는 압전소자(5)의 기준전극에 접하는 것으로, 접지 터미널에 접속되는 접속편(24a)이 기립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24)의 주변에는 압전 소자(5)의 외주변에 접하는 4개의 기립편(24b)이 형성되어 있다. 기립편 (24b)은 제4도에 나타나듯이, 일점쇄선과 실선 사이에서 변형 가능한 용수철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압전 소자(5)와 플레이트(24)의 결합을 적합하게 하고 있다. 조립되어서 양자 위치 관계가 소정대로 확보되며, 올바른 조립이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연 튜브(12)의 선단에 압전 소자(5)의 기준 전극에 접하는 플레이트(24)가 맞붙여진 경우이고, 이 플레이트(24)에 기립편(24b)이 형성되어 있지만, 압전 소자(5)의 출력 전극에 접하는 플레이트(6)가 절연 튜브(12)의 선다에 맞붙이는 경우는 플레이트(6)에 기립편을 설치하면 좋다.
제8도(a)에서 (3) 내지 (13)은 제10도의 종래 장치에 나타난 케이스(3) 내지 볼트용 공(13)과 동일한 부분이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1은 부쉬 좌면(21a)을 이 진동 검출기의 내연기관에 장치했을 때 그것에 접하는 면, 좌면(21b)은 구성부품을 맞붙이기 위한 좌면, 원통부(21c)에는 그 선단에 나사가 설치되어 있어 너트(9)를 조이도록 되어 있다.
이들 부쉬(21) 내지 원통부(21c)는 상술의 제3도의 종래 장치에서의 부쉬(1) 내지 원통부(1c)에 상응하는 부분이다.
22는 상기 부쉬(21)의 좌면(21a)에 설치된 너트(9)의 조임시 부쉬(21)의 회전 멈춤으로 되는 회전 멈춤공이다.
제8도(b)는 부쉬(21)의 좌면(21a)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부쉬(21)를 맞붙임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맞붙이고, 맞붙임 기구의 블록부를 회전 멈춤공(22)에 넣게 된다. 이 상태에서 좌면(21b)에 플레이트(4) 내지 웨이트(8)를 쌓아 겹치고, 웨이트(8)의 위에서 너트(9)를 조인다. 너트(9)의 조임시에, 그 나사를 거쳐 원통부(21c)에 회전 응력이 가해지고, 부쉬(21)는 회전하도록 하지만, 회전 멈춤공(22)에 합쳐진 맞붙임 기구의 오목부에서 지지되며, 부쉬(21)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쉬(21)는 고정되어 너트(9)의 조임이 확실히 행해지며, 확실한 조립이 단시간에 행해진다.
이 제8도에서는 회전 정지공(22)은 2개로하고 있지만 그 직경, 깊이 및 너트 (9)의 조임 토크와 조합을 취하여, 갯수를 적절히 설치하고, 3개, 4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의 갯수에 비례하여 가격이 높게 됨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 회전 정지공(22)은 검출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직경, 깊이, 갯수의 설정이 가능한 것을 실험으로서 확인했지만, 특히 갯수를 많게한 경우에 신중한 설계 및 검출 특성의 확인이 필요하다. 한편, 회전 정기공(22)분 만큼 부쉬(21)가 감소되므로 경량화에 연결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를 제9도에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부쉬(31), 좌면 (31a),(31b), 원통부(31c)는 각각 상기 제1도의 부시(21), 좌면(21a),(21b), 원통부 (21c)와 상응하는 부분이다.
여기서(32)는 상기 제1도의 회전 정기공(22)과 같은 목적으로 설치된 회전 정지 홈이다.
이 회전 정지홈(32)에 맞붙일 기구측의 볼록형을 끼워 합치고, 너트(9)의 조임 토크에 의한 부쉬(31)의 회전을 제지하며, 확실하고 쉽게 너트(9)의 조임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정지홈(32)은 원통부(31c)의 전장에 설치하여도 좋고 가공상에서 판단하면 양호하다.
제11도에서(1 내지 8) 및 (10 내지 13)은 상기 제12도의 종래 장치의 부쉬(1)내지 웨이트(8), 충전재(10)내지 볼트용공(13)이고,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9는 웨이트(8)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만들어진 너트로서 웨이트(8)의 평면 전면에 대하여 조이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너트(9)는 웨이트(8)의 평면 전면에 대하여 조이도록 맞붙여 있으므로 웨이트(8)의 질량에 대응한 관성 응력이 유효하게 압전 소자(5)에 인가되어 작용함으로 압전 소자(5)는 효율좋은 검출 신호를 발생한다. 즉 동일 진동에 대하여 큰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동일 레벨의 검출신호를 얻는데에 작은 웨이트로서 양호하게 된다.
여기서 너트(9)의 직경에 대한 검출 신호의 크기에 대하여 우리가 실제로 실험하여 확인한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설명한다. 지금 웨이트(8)의 외경이 φ 24인 경우, 너트(9)의 외경을 φ 24를 기준으로 하여 φ 22 및 φ 20으로 하면, 각각의 경우일때의 검출 신호는 동일 조건에서 약 11%저하 및 약 17%의 저하로되며, 검출 신호의 저하, 즉 웨이트(8)의 관성 응력의 압전 소자(5)로의 작용 효율이 저하한다.
한편 너트(9)의 두께에 대한 검출 신호의 레벨을 확인하였지만, 이 두께에 대한 검출 신호의 레벨 변화는 작으며, 이 장치의 전체 설계중에 다른 요소의 조화를 취하면서 결정할 수 있는 여유가 있는 것을 알았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출력 터미널(11)과 접속되는 절곡편 (26a)이 형성되어 압전 소자(5)의 상면 전극에 접하여 있는 제2터미널(26)는 압전 소자(5)의 상면 전극에 접하여 있는 제2터미널(26)는 압전 소자(5)의 하면의 기준 전극에 접하고 있는 제1터미널(24)보다도 그 판 두께가 두꺼운(예를들면 0.3mm)재료로 되어 있다. 그 외 제14도에 있어서 동일부분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제2터미널 (26)의 판두께를 두껍게하여 내응력을 크게 하였으므로 너트(9)의 조임 작업시에 제2터미널(26)를 기구에 의하여 위치 확보를 행하여도 제2터미널(26)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제1터미널(24)는 너트(9)에서 먼 부위이므로 너트(9)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지 않으므로 내응력을 생각할 필요가 없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절연 로크를 터미널(6)로 전하지 않는 원환상의 플레이트(20)가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 플레이트(20)의 재질로서는 굳은 재료 또는 마찰 저항이 적은 것이 좋으며 그 예로는, 인청동, PPS재, 불소수지 등을 들을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너트(9)의 회전 토크에 의하여 웨이트(8)가 회전하여도 플레이트(20)를 사이에 끼어넣어 웨이트(8)의 회전은 절연 시트(7), 나아가서는 터미널(6)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터미널(6)의 절곡을 (6a)의 위치는 소정의 위치로 지지된다. 따라서 터미널(6)와 출력 터미널(11)의 상대 위치는 변동되지 않고 양자의 접속도 쉽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20)를 절연시트(7)와 웨이트(8)사이에 끼워 넣었지만, 플레이트(20)는 단자(6)와 절연 시트(7)사이, 또는 웨이트(8)와 너트(9)사이에 끼워넣어도 좋으며,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 제2의 전극 터미널로 (4),(6) 각각의 절곡편(4a)과 (6a)사이에, 전기 절연체로된 격벽(15)이 설치되어 있다. 사이에, 전기 절연체로된 격벽(15)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15)은 수납공간(3a)의 내벽에 일체로, 또는 접착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고, 절곡편(4a)과 (6a), 나아가서는 전극 터미널로 (4)와 (6)을 서로 분리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17도 내지 제19도에 나타낸 바와같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격벽(15)을 설치하였으므로 제1전극 터미널(4)의 절곡편(4a)은 접지 터미널(14)의 위치에, 제2전극 터미널(6)의 절곡편(6a)는 출력 터미널(11)의 위치에 고정됨으로 전극 터미널(4),(6)과 접지, 출력 터미널(14),(11)의 접속을 특별한 위치 결합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서 밝혔듯이, 첫째로, 압전소자의 외주변에 접하는 복수개의 기핍편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어를 압전 소자의 기준 전극에 접하여 설치함으로서 플레이트의 중심이 치우져 조립에 의한 신호 도출 불량을 방지하고 조립이 쉽게 되는 등이 효과가 있다. 둘째로,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가 출력신호를 도출하기 위한 터미널, 압전 소자에 진동에 비례한 응력을 가하는 웨이트를 부쉬에 맞붙이고 부쉬의 원통부 선단에 설치한 나사에 너트를 조임으로서 상기 구성 부품을 부쉬에 고정하도록 한 진동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부쉬에 공 또는 홈등을 설치하고 이것으로 너트 조임시의 부쉬 회전 정지를 행하도록 한것에 의하여 조립이 쉽고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또 경량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압전소자에 응력을 인가하기 위한 웨이트의 평면 전면에 대하여 맞붙임을 행할 수 있는 직경의 너트로하여 압전 소자 터미널 웨이트의 다른 구성 부품을 부쉬에 맞붙인 진동 검출기를 구성하였으므로 웨이트의 관성 응력을 효율 좋은 압전 소자로 인가할 수 있고 진동에 대하여 효율 좋은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째로, 출력 터미널과 접속되는 절곡편이 형성된 제2터미널의 판두께를, 기준 전극측의 제1터미널의 판두께보다도 두껍게 하여 내응력을 크게 하였으므로 진동-전기 변환부를 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고정하는데 있어 기구를 사용하여 제2터미널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제2터미널과 출력 터미널의 상대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섯째로, 마찰 저항이 작은 재료로 되는 플레이트를 진동-전기변환부의 터미널 위쪽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한 것에 의하여 너트의 회전 토크가 터미널에 전하는 것을 방해하며 터미널의 절곡편을 소정 위치에 지지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을 쉽게 하여 가격을 저감할 수 있다. 여섯째로, 압전 소자의 양극에 접속하여 조립되는 제1, 제2전극 터미널을 서로 분리하는 격벽을 설치함으로서 특별한 위치 결정 작업을 요하지 않고 2개의 전극 터미널을 소정 위치에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전극 터미널과 접지, 출력 터미널의 접속도 확실히 이루어지게 된다.

Claims (6)

  1. 중심에 볼트 삽입공(13)을 가지는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쉬(1,21,31)와, 상기 원통부의 외부에 장착된 절연 튜브(12)와, 측부에 접속자(3b)가 형성되고 상기 부쉬의 외주부에 접합되어 원통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3)와, 압전 소자(5) 및 웨이트(8)가 쌓아 겹쳐 형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 고정되어 있는 진동-전기 변환부(2)를 갖추게 되며, 게다가 상기 절연 튜브이 선단에 잇는 상기 압전 소자의 전극에 접하는 원환상의 플레이트(20,24) 주변에, 상기 압전 소자의 외주변에 접하는 복수개의 기립편이 형성되어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기.
  2. 내연기관에 해당 진동 검출기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통하는 공을 그 중심에 가지는 원통부, 이 원통부의 측에 직교하고 상기 내연기관에 고정의 상기 내연기관에 접하는 좌면 및 이 좌면의 이면에 구성 부품을 쌓아 겹치기 위한 좌면을 일체로서 가지는 부쉬, 이 부쉬의 원통부 외주에, 각각 원환상의 진동을 전기 신호롤 변환하는 압전 소자, 전기 신호를 도출하는 전극, 압전 소자에 응력을 인가하는 웨이트 및 상기 전극과 상기 원통부를 절연하는 전연 튜브(12)를 맞붙인 진동 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응력을 상기 원통부에 가했을 때, 상기 부쉬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 멈춤을 위한 구멍(22), 홈(32)등을 상기 부쉬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기.
  3. 내연기관에 해당 진동 검출기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통하는 공을 그 중심에 가지는 원통부, 이 원통부의 측에 직교하고 상기 내연기관에 고정시 상기 내연기관에 접하는 좌면 및 이 좌면의 이면에 구성 부품을 쌓아 겹치기 위한 좌면을 일체로서 가지는 부쉬, 이 부쉬의 원통부 외주에, 각각 원환상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 전기 신호를 도출하는 전극, 압전 소자에 응력을 인가하는 웨이트(8) 및 상기 전극과 상기 원통부를 절연하는 절연튜브(12)를 맞붙인 진동 검출기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에 나사산을 설치하고 여기에 너트를 꽉죄여 상기 좌면 사이에 상기 구성 부품을 붙여 구성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웨이트면에 꽉조이도록 하고, 그 직경을 상기 웨이트 직경과 동등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기.
  4. 중심에 볼트 삽입공을 가지는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쉬와, 측부에 접속자가형성되어 상기 부쉬의 외주측에 겹합하여 원통상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 (3)와, 압전 소자와, 이 압전 소자의 기준 전극측에 접하고 있는 제1터미널(4)과, 상기 접속자내의 출력 터미널에 접속되는 절곡편이 형성되며, 상기 압전 소자의 검출신호를 도출하는 제2터미널과, 웨이트에서 원통상의 진동-전기 변환부와, 상기 원통부에 조여 결합하고, 상기 진동-전기 변환부를 상기 수납 공간내에 고정하는 너트와, 게다가 상기 제1터미널의 판두께보다도 두꺼운 판두께로 되는 상기 제2터미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기.
  5. 중심에 볼트 삽입공을 가지는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쉬와, 측부에 접속자가 형성되어 상기 부쉬의 외주측에 결합하여 원통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와, 압전 소자와, 절곡편이 형성된 터미널과 절연 시트(7)와 웨이트(8)로 되며 상기 원통부에 조여 결합된 너트에 의하여 상기 수납 공간내에 조립되어 잇는 원통상의 진동-전기 변환부(2)와, 상기 터미널의 절곡편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자에 설치되어 있는 출력 터미널(11)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너트(9)와 상기 진동-전기 변환부의 터미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터미널(4)에 전달되는 회전 토오크를 감소시키는 원환상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기.
  6. 중심에 볼트 삽입공을 가지는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쉬와, 측부에 접속자가 형성되어 상기 부쉬의 외주측에 결합하여 원통상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와 압전 소자(5) 및 웨이트(8)를 갖추고, 상기 수납 공간에 수압, 고정되어 있는 원통상의 진동-전기 변환부(2)와, 상기 압전 소자의 기준 전극 및 검출 신호 전극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접속자에 설치된 접지 터미널 및 출력 터미널에 각각 절곡편이 접속되어 있는 제1, 제2전극 터미널(4,6)과, 절연체로서 되며, 상기 제1, 제2 전극 터미널을 서로 분리하여 있는 격벽(15)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검출기.
KR1019890004797A 1988-04-13 1989-04-12 진동 검출기 KR930000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45 1988-04-13
JP88-92145 1988-04-13
JP63092145A JPH01262424A (ja) 1988-04-13 1988-04-13 振動検出器
JP?51265 1988-04-14
JP88-51265 1988-04-14
JP1988051265U JPH01154431U (ko) 1988-04-14 1988-04-14
JP?102749 1988-08-04
JP1988102749U JPH0224336U (ko) 1988-08-04 1988-08-04
JP88-102749 1988-08-04
JP1988102750U JPH0224337U (ko) 1988-08-04 1988-08-04
JP88-120750 1988-08-04
JP?102750 1988-08-04
JP88-104889 1988-08-10
JP?104889 1988-08-10
JP1988104889U JPH0227527U (ko) 1988-08-10 1988-08-10
JP88-105403 1988-08-11
JP?105403 1988-08-11
JP1988105403U JPH0227528U (ko) 1988-08-11 1988-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366A KR890016366A (ko) 1989-11-29
KR930000132B1 true KR930000132B1 (ko) 1993-01-09

Family

ID=2755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797A KR930000132B1 (ko) 1988-04-13 1989-04-12 진동 검출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67114A (ko)
KR (1) KR930000132B1 (ko)
DE (1) DE391187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7349A1 (de) * 1989-03-10 1990-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Beschleunigungsdetektor
FR2703772B1 (fr) * 1993-04-10 1995-05-19 Bosch Gmbh Robert Douille de pression, notamment pour un capteur de cognement.
CZ194096A3 (cs) * 1995-07-03 1998-09-16 Robert Bosch Gmbh Snímač kmitání s přítlačným pouzdrem
JP3516577B2 (ja) * 1996-11-21 2004-04-0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ノッキング検出センサ
FR2762646B1 (fr) * 1997-04-29 1999-07-02 Siemens Automotive Sa Capteur de cliquetis pour un vehicule automobile
FR2775525B1 (fr) * 1998-02-27 2000-05-19 Siemens Automotive Sa Capteur de cliquetis a faible dispersion de sensibilite
FR2775452B1 (fr) 1998-02-27 2000-05-19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ande du rechauffage d'un retroviseur de vehicule automobile
DE10044478C2 (de) * 2000-09-08 2002-11-28 Bosch Gmbh Robert Schwingungsaufnehmer bzw. Isolierscheibe für einen Schwingungsaufnehmer
JP3827087B2 (ja) * 2003-03-26 2006-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ノックセンサの取付構造
US20050022582A1 (en) * 2003-08-01 2005-02-03 Barron Luis F. Engine knock sensor
JP4222196B2 (ja) * 2003-12-01 2009-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気回路機器の破壊防止構造
JP4053514B2 (ja) * 2004-05-26 2008-02-27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ノッキング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05867B2 (en) * 2006-03-07 2007-12-11 Delphi Technologies, Inc. Engine knock sensor
AT505303B8 (de) * 2007-08-02 2009-03-15 Piezocryst Advanced Sensorics Kraft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4672A (en) * 1952-08-30 1955-08-02 Wright Accelerometer
US3060333A (en) * 1959-03-23 1962-10-23 Endevco Corp High capacity accelerometer
US3075099A (en) * 1959-06-03 1963-01-22 Endevco Corp Accelerometer
US3233465A (en) * 1962-07-16 1966-02-08 Cons Electrodynamics Corp Accelerometer
US3389276A (en) * 1965-05-25 1968-06-18 Cons Electrodynamics Corp Piezoelectric instrument transducers
US3390286A (en) * 1966-03-29 1968-06-25 Cons Electrodynamics Corp Hermetically sealed instrument transducer with external sensitivity selection
US3400284A (en) * 1966-07-14 1968-09-03 Cons Electrodynamics Corp Piezoelectric accelerometer
US3487238A (en) * 1967-07-27 1969-12-30 Gulton Ind Inc Ceramic transducer elements and accelerometers utilizing same
CH472668A (de) * 1967-09-05 1969-05-15 Kistler Instrumente Ag Einrichtung mit einer Mehrkomponenten-Piezomesszelle
US3612921A (en) * 1969-03-27 1971-10-12 Bell & Howell Co Annular shear accelerometer
CH522997A (de) * 1969-09-30 1972-05-15 Kistler Instr Corp Piezoelektrischer Wandler
US3714476A (en) * 1971-01-29 1973-01-30 Becton Dickinson Co Compression accelorometer utilizing a lithium niobate piezoelectric crystal
SU737838A1 (ru) * 1975-07-14 1980-05-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409 Пьез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акселерометр
US4225802A (en) * 1978-02-23 1980-09-30 Nippondenso Co., Ltd. Piezoelectric knocking det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3037835C2 (de) * 1980-10-07 1982-11-18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Beschleunigungsaufnehmer
EP0147271B1 (fr) * 1983-12-02 1989-01-11 Regie Nationale Des Usines Renault Capteur d'accélérations axiales
JPH0623730A (ja) * 1992-07-10 1994-02-01 Kubota Corp セラミックスパイプ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67114A (en) 1990-10-30
KR890016366A (ko) 1989-11-29
DE3911875C2 (de) 1994-10-06
DE3911875A1 (de) 198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132B1 (ko) 진동 검출기
US4944179A (en) Vibration detector
JP3516577B2 (ja) ノッキング検出センサ
US6949850B2 (en) Stepping motor
US4960296A (en) Galvanic isolator conduit fitting
US4602506A (en) Combustion pressure sensor arrangement
US4869095A (en) Vibration detecting device
KR920007413Y1 (ko) 진동검출기
US5144837A (en) Acceleration detector
US3919458A (en) Electrical box mounting arrangement
KR19980064358A (ko) 노킹 센서
JP3573325B2 (ja) ノッキング検出センサの取付けアダプタ及びそれを用いたノッキング検出センサユニット
JP3681494B2 (ja) 圧力センサ
KR930005099Y1 (ko) 진동검출기
KR920002624Y1 (ko) 진동 검출기
CN111157153A (zh) 一种智能高精度力敏传感器
KR920003300B1 (ko) 진동 검출기
EP0047660A1 (en) Accelerometers
CN220383269U (zh) 一种倍压盘
JPH0318905Y2 (ko)
JP2000249598A (ja) ノックセンサ
JPH0631395Y2 (ja) 座金型圧力センサ
JP3324511B2 (ja)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JP3556821B2 (ja) ノッキング検出センサユニット
JPH054339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