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040Y1 -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040Y1
KR930000040Y1 KR2019890005209U KR890005209U KR930000040Y1 KR 930000040 Y1 KR930000040 Y1 KR 930000040Y1 KR 2019890005209 U KR2019890005209 U KR 2019890005209U KR 890005209 U KR890005209 U KR 890005209U KR 930000040 Y1 KR930000040 Y1 KR 930000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box door
push button
contro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5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040Y1/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가 사용된 전면조절판넬의 부분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만이 도시된 절개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푸시레버가 스톱퍼를 지니는 톱니 치차와 초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의 푸시레버가 스톱퍼가 결합하여 조절 박스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고안의 푸시레버가 스톱퍼가 결합이 해체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면조절판넬 2 : 조절박스
3 : 조절박스 도어 4 : 스프링
5 : 푸시레버 6 : 관통공
7 : 푸시버턴 하우징 8 : 푸시버턴
9 : 스프링 10 : 구멍
11 : 일방향 톱니 12 : 장공
13 : 톱니 14, 15, 16, 17, 18, 19 : 스톱퍼
20 : 래치트기어 21 : 톱니치차
22 : 스프링 23 : 래치트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전방에 부착되는 조절박스 도어의 확실한 도어개폐 작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절박스 도어에 일방향 톱니를 하부면에 지니고 중앙에 장공을 지니는 푸시레바를 설치하고 조절박스의 일측벽에 원주상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스톱퍼들을 지니는 톱니치차와 그 측면에 돌출된 래치트치차와 결합하는 래치트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가 사용된 전면조절판넬이 도시되는데, 전면조절판넬(1)에는 냉장고의 기능을 조절하는 조절박스(2)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박스(2)의 전방에는 조절박스 도어(3)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조절박스 도어(3)는 스프링(4)에 의해서 열려지게 된다. 조절박스 도어(3)의 한 모서리에는 조절박스 도어의 개폐를 위한 푸시레버(5)가 설치되며, 조절박스(2)에는 푸시레버(5)가 관통하는 관통공(6)이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가 확대되어 도시되는데, 조절박스 도어(3)의 푸시버턴 하우징(7)에는 푸시레버(5)가 후방에 연결된 푸시버턴(8)이 스프링(9)에 의해서 바이어스되게 수용된다. 푸시레버(5)는 푸시버턴 하우징(7)의 구멍(10)으로 부터 후방으로 대략 원호상으로 길게 연장된다. 푸시레버(5)의 선단부의 하부면에는 일방향 톱니(11)가 형성되고 푸시레버(5)의 중앙에는 장공(12)이 형성된다.
조절박스(2)의 관통공(6) 내부의 조절박스(2)의 일측벽(도시않됨)에는 원주상에 톱니(13)를 지니고 원주상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예컨대 60°간격로 떨어진 스톱퍼(제2도에는 스톱퍼(14, 15)만이 도시됨)를 지니며 측면에 래치트 기어(20)를 지니는 톱니치차(2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조절박스(2)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스프링(22)에 의해서 바이어스되는 래치트(33)가 톱니치차(21)의 래치트기어(20)에 밀착 결합된다.
본 고안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의 작동을 제3 내지 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절박스 도어(3)를 닫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절도어박스(3)를 누르면 푸시레버(5)는 조절박스(2)의 관통공(6)을 관통하여 푸시레버(5)의 일방향 톱니(11)는 톱니치차(21)의 톱니(13)와 마주닿게 결합하고 조절박스 도어(3)가 계속 닫히면 톱니치차(21)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제3도에 도시된다.
조절박스 도어(3)가 조절박스(2)와 인접하게 닿으면 푸시레버(5)의 장공(12)에는 톱니치차(21)의 스톱퍼(16)가 삽입되고 래치트(23)는 톱니치차(21)의 래치트기어(20)에 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조절박스 도어(3)로 부터 손을 떼어도 조절박스 도어(3)는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가 제4도에 도시된다.
한편, 사용자가 제4도와 같이 닫혀진 조절박스 도어(3)를 열기 위해서 조절박스 도어(3)의 푸시버턴 하우징(7)에 수용된 푸시버턴(8)을 누르면 푸시버턴(8)은 스프링(9)의 수축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쳐지고 따라서 푸시레버(5)가 후방으로 밀쳐지며 이때 푸시레버(5)의 일방항 톱니(11)는 톱니치차(21)의 톱니(13)와 결합하여 톱니치차(21)를 회전시키며 후비레버(5)의 장공(12)에 걸려있던 스톱퍼(16)는 푸시레버(5)의 가요성으로 인해서 장공(12)을 벗어난다. 이러한 상태가 제5도에 도시된다.
사용자가 제5도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푸시버턴(8)으로 부터 손을 떼면 푸시버턴(8)은 스프링(9)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때는 푸시레버(5)의 장공(12)에 어떠한 스톱퍼도 걸려있지 않으므로 조절박스 도어(3)는 스프링(4)에 의해서 열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 구조는 제3 내지 5도에 도시된 작동을 반복하여 조절박스 도어(3)를 개폐시키며 톱니치차(21)는 래치트기어(20)와 래치트(23)의 결합으로 인해 정화하게 회전하므고 조절박스 도어(3)의 확실한 개폐를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한 모서리에 관통공(6)을 지니는 조절박스(2)와 상기 조절박스(2)의 전방에 스프링(4)에 의해서 열려지게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조절박스 도어(3)를 지니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조절판넬(1)에 있어서, 상기 조절박스 도어(3)의 한 모서리에 구멍(10)을 지니게 형성된 푸시버턴 하우징(7)과, 선단부의 하부면에 일방항 톱니(11)를 지니고 중앙에 장공(12)을 지니는 원호상의 푸시레버(5)가 후방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푸시버턴 하우징(7)에 수용되는 푸시버턴(8)과, 상기 푸시버턴(8)을 바이어스시키게 상기 푸시버턴 하우징(7)에 내장되는 스프링(9)과, 상기 푸시레버(5)의 일방향 톱니(11)와 선택적으로 마주 결합하는 톱니(13)와 원주상 으로 등간격으로 떨어져 위치한 스톱퍼 (14, 15, 16, 17, 18, 19)를 원주상에 지니며 일측면에 래치트기어(20)를 지니는 상기 조절박스(2)의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톱니치차(21) 및 상기 조절박스(2)의 일측벽에 설치되어 스프링(22)에 의해서 상기 톱니치차(21)의 래치트기어(20)에 밀착결합되는 래치트(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KR2019890005209U 1989-04-27 1989-04-27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KR930000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209U KR930000040Y1 (ko) 1989-04-27 1989-04-27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209U KR930000040Y1 (ko) 1989-04-27 1989-04-27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040Y1 true KR930000040Y1 (ko) 1993-01-09

Family

ID=1928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209U KR930000040Y1 (ko) 1989-04-27 1989-04-27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0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3059989A (en) Animal trap
KR930000040Y1 (ko) 전면조절판넬의 조절박스 도어 개폐구조
JPH0913775A (ja) 閉扉保持装置
US3463530A (en) Screen door latch
KR100752053B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JP3540846B2 (ja) ドアガードにおける扉の開放状態保持装置
JPH0122871Y2 (ko)
KR200153572Y1 (ko)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 구조
JP3773309B2 (ja) 着脱装置
JPS6228120Y2 (ko)
KR200271104Y1 (ko) 창문자동잠금장치의 구조
JPS5915587Y2 (ja) 扉開閉装置
KR930005394Y1 (ko) 콤팩트(Compact)뚜껑의 개폐구조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910003308Y1 (ko) 가전제품의 회전형 콘트롤도어 개폐장치
KR900003125Y1 (ko) 리모콘 전지 수납부의 개폐판
GB1185778A (en) Window Fastening Means
KR940007733Y1 (ko) 문 잠금장치
JPS58559Y2 (ja) リストバインダ−
KR860002353Y1 (ko) 카세트도어 개폐장치
KR90000587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오픈 레버장치
KR920007056Y1 (ko) 핸드백 개폐장치
KR970007233A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KR890001369Y1 (ko) 판재가방의 잠금 빗장
JPH05255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