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869B1 - 형틀 긴축조임 기구와 그 작동 기구와 이들로 이루어진 형틀 긴축조임장치 - Google Patents

형틀 긴축조임 기구와 그 작동 기구와 이들로 이루어진 형틀 긴축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869B1
KR920010869B1 KR1019900018200A KR900018200A KR920010869B1 KR 920010869 B1 KR920010869 B1 KR 920010869B1 KR 1019900018200 A KR1019900018200 A KR 1019900018200A KR 900018200 A KR900018200 A KR 900018200A KR 920010869 B1 KR920010869 B1 KR 920010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mold
piece
protrud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289A (ko
Inventor
히로시 기다무라
Original Assignee
히로시 기다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기다무라 filed Critical 히로시 기다무라
Publication of KR92000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형틀 긴축조임 기구와 그 작동 기구와 이들로 이루어진 형틀 긴축조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형틀 긴축조임 기구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형틀 긴축조임 기구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로크편과 전진, 후퇴 부재와 틀재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작동기구의 일부 파단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C형 프레임의 A 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9도는, 형틀 긴축 조임 기구의 긴축조임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3도와 동일 위치의 단면도.
제10도는, 작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형틀 2 : 아랫형
2a,3a : 보강부재 3 : 윗형
4 : 제1의 돌출편 4a,5a : 구멍
5 : 제2의 돌출편 6 : 텐션부재
7 : 암나사판 8 : 로크너트
9 : 머리부 10 : 링
11 : 전진, 후퇴 부재 11a : 오목부
12 : 틀재 12a : 돌출자
13 : 로크편 14,15 : 긴축 조임력 입력부
16,17 : 세워진 부재 18 : 걸어맞춤 입력부
19 : 이탈력 입력부 21 : C형 프레임
22 : 틀 23 : 비임
24 : 세로로드 25 : 스프링
26 : 실린더 장치 27 : 지주
28 : 이동대 29 : 기초
31 : 미끄럼대(레일) 32 : 실린더 장치
33 : 실린더 장치(제1누름기기) 34 : 실린더 장치(제2누름기기)
33a,34a : 피스턴 로드 41 : 후크
42 : 메인비임 43 : 가로비임
44 : 아암 45 : 모우터
46 : 나사로드 47 : 실린더 장치
48 : 받침 49 : 클램프
121 : C형 프레임 134 : 실린더 장치
134a : 피스턴 로드
본 발명은, 콘크리이트 파일, 포울(Pole), 휴움(Hume)관등의 단면 원형으로 소정 길이의 제품이나 “U”자 홈등의 단면 원형이 아닌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형틀을구성하는 윗형과 아랫형과 같은 2개의 형을 대향되게 조립한 상태로 긴축력있게 죄는 형틀의 긴축 조임 기구와, 그 긴축 조임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동기구와, 이들 양기구로 이루어지는 형틀의 긴축 조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형틀을 긴축력있게 죄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공소 57-44447호, 동 57-45645호, 동 58-49372호의 각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들은, 형틀을 형성하는 쌍을 이루는 2개의 형의 합접부에 각각 앵글재를 고정하여 돌출편을 형성하고, 양쪽형의 각 돌출편 끼리를 형틀의 긴쪽 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쐐기에 의하여 죄는 형식의 것이며, 상기 다수의 쐐기는 일련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한쪽끝단을 형틀의 긴쪽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같은 긴쪽 방향으로 연속하는 각 쐐기를 하나의 몸체로 이동시켜서 형틀의 긴쪽 방향의 각부에서 상기 조임을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양 형틀의 각 돌출편 끼리를 근접시켜서 형틀을 긴축력 있게 죄게하는 작용과, 이 조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작용과의 양쪽 작용을 쐐기에 의하여 행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쐐기로부터 양 돌출편에 대하여 주어지는 양 돌출편을 근접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은 크게되지 않을 수 없으며, 또한, 쐐기면의 마찰력도 가해지므로 상기 다수의 쐐기를 잡아당기는 힘은 큰 것이 필요하였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잡아당김에 의하여 각 쐐기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에 늘어남이 발생하는 결과, 각 쐐기의 간격과 쐐기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위치의 간격이 일치하지 않게되며, 그 결과, 긴쪽 방향에 균일한 조임이 불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쐐기 간격의 수정은, 다른 쐐기와의 상대 위치를 수정하면서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또한, 쐐기를 잡아당기는 방향과 돌출편 끼리를 근접시키기 위한 힘이 방향에 90도의 차이가 있으며, 이 힘의 방향 변환을 쐐기면에서 행하기 때문에, 쐐기의 잡아당기는 힘에 손실이 많은 불합리함이 있다.
또한, 한쪽끝단에서의 잡아당기는 힘을 다른쪽 끝단까지 전달하기 때문에 쐐기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를 형틀의 긴쪽방향으로 연속시켜서 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형틀을 회전시키기 위한 원형의 링(소위 타이어)나 보강 리브등의 돌출부분에 구멍을 뚫어서 상기 부분을 통과시킬 필요가 있으며, 작업에 시간이 걸리는 동시에 상기 링이나 리브 강도가 저하하는 결함도 있다.
본 발명은, 형틀의 긴쪽 방향에 따른 다수의 위치에서 각각 독립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종래 기술의 결함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형틀의 긴축 조임 기구와 그 작동 기구와 이들로 이루어진 형틀의 긴축 조임 장치의 각 발명을 제공한다.
형틀 긴축 조임 기구의 발명은, 형틀을 형성하는 쌍을 이루는 2개의 형에 별개로 형성되어 상호 대향되는 제1 및 제2의 돌출편 끼리를 긴축력 있게 죄는 기구로서, (a) 상기 양 돌출편의 상호 반대쪽에 개별로 형성됨과 동시에, 형틀 테두리를 따라 여러개로 형성되어 이들이 눌려져 형틀이 긴축력 있게 조여지는 조임력 입력부와, (b) 제1의 돌출편에 형틀의 테두리를 따라 여러개 튀어나와 형성되고, 또한 제2의 돌출편에 동일하게 여러개 뚫려진 여러개의 구멍을 개별로 관통하고, 앞끝단에 머리부분을 가지는 여러개의 텐션부재와, (c) 제2의 돌출편에서의 제1의 돌출편과는 반대쪽에 있어서, 각 텐션부재의 머리부분 아래면과 제2의 돌출편과의 사이에 개별로 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추어 긴축 조임 상태를 유지하는 상호 독립한 여러개의 로크편과, (d) 각 로크편에 다른 로크편에서 독립하고, 각 로크편에 개별로 형성되어, 입력을 받아서, 그 로크편을 텐션부재 머리부의 아래면과 제2의 돌출편과의 사이에 걸어맞추게 하는 걸어맞춤력 입력부와, (e) 동일하게 각 로크편에 다른 로크편에서 독립하고 또한 개별로 형성되며, 입력을 받아서 그 로크편을 상기 걸어맞춤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이탈력 입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형틀 긴축 조임 기구의 작동기구는, (f) 형틀용의 쌍을 이루는 2개의 형에 개별로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돌출편의 상호 반대쪽에 각 끝단부가 임하는 C형 프레임과, (g) 상기 C형 프레임의 끝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양 돌출편의 상호 반대쪽에 형성된 긴축 조임력 입력부에 형틀의 죄는 힘을 가하고, 또한 이 죄는 힘으로 양 돌출편에 상기 C형 프레임을 고정하는 제1누름기기와, (h) 상기 C형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돌출편에 형성되어 전진에 의하여 양 돌출편의 긴축 조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편을 개별로 누르고 전진시키는 제2누름기기와, (i) 상기 C형 프레임의 여러개를 형틀의 긴쪽 방향을 따라 일련으로 지지하는 비임과, (j) 상기 비임을 형틀을 향하여 전진, 후퇴시키는 이동기구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또한, 형틀 긴축 조임장치는 상기 형틀의 형틀 긴축 조임 기구와 그 작동기구를 조립하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형틀 긴축 조임 기구와 그 작동기구는 각각 서브컴비네이션이며, 형틀 긴축 조임 장치는 이들 컴비네이션 관계로 된다. 형틀 긴축 조임 기구는, 양 돌출편의 각 긴축 조임력 입력부으로의 양 돌출편을 근접시키는 방향의 죄는 힘의 입력을 받아 대향하는 2개의 형이 조여진다. 이 상태에서는, 제1의 돌출편에 돌출형성된 텐션부재가 제2의 돌출편을 관통하여 그 머리부가 제2의 돌출편에서 돌출하고 있다.
다음에, 걸어맞춤력 입력부에 입력되는 걸어맞춤력에 의하여, 로크편을 상기 텐션부재의 머리부와, 제2의 돌출편과의 사이에 걸어맞추어서, 상기 조임상태를 유지한다. 이리하여, 형틀을 죄는 힘과 조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힘은, 개별적이고, 또한 다른 부재로 입력된다.
또한, 이들 각 입력은, 형틀의 테두리를 따라 존재하는 여러개의 긴축 조임력 입력부 및 걸어맞춤력 입력부에서, 다른 각 입력부와는 독립하고, 또한 형틀의 테두리에 따른 각 위치에서 동시에 행하여진다. 또한, 탈형시에는 상기의 긴축 조임력 입력부에 상기 조임력과 동일한 힘이 동일하게 입력되고, 이 상태에서, 이탈력 입력부에 로크편의 상기 걸어맞춤을 이탈시키는 힘을 입력하면, 로크편이 텐션부재의 머리부에서 분리하여 형틀의 긴축 조임 유지력이 없어진다.
그리하여, 상기 긴축 조임력과 동일한 힘을 해방함으로서, 양측형은 상호 자유 상태로 되어 탈형할 수 있다. 형틀의 긴축 조임 기구의 작동기구는, 형틀의 양 돌출편을 향하여 이동기구에 의하여 비임을 전진시켜서, 비임에 지지되는 C형 프레임의 각 끝단부를 양 돌출편의 각 반대쪽면에 임하게 한다.
여기에서 C형 프레임의 제1누름기기에 의하여 양 돌출편을 눌러 조이는 힘을 입력하여 형틀을 죄게함과 동시에 C형 프레임을 양 돌출편에 고정한다. 상기 죄는힘에 의하여 양 돌출편은,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대향하는 형이 죄어진다.
이어서, C형 프레임의 제2누름기기에 의하여 로크편을 누르고, 이것을 텐션부재의 머리부분과 제2돌출편과이 사이에 걸어맞추게한다. 이때의 누름 반력은 C형 프레임을 통하여 양 돌출편이 받는다. 이것에 의하여 형틀의 조임 동작이 종료하고, 그후에 제1 및 제2누름기기의 누르는 힘을 해제하며, 이동기구에 의하여 비임을 후퇴시킴으로써, 형틀의 긴축 조임기구의 작동기구는 대기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양 기구의 컴비네이션인 형틀의 긴축 조임 장치는, 상기 양 기구와 각 작용을 조합한 작용으로 된다.
[실시예]
제1 내지 6도는, 형틀의 긴축조임 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1)이 콘크리이트 제품의 원심 주조용의 형틀로서, 단면 원형의 긴 형상을 한 원통 형상을 이루는 주지의 구조를 하고, 대향하는 단면 반원형의 아래형(2)과 윗형(3)으로 구성된다. 위, 아래의 형(2),(3)의 한쪽과 다른쪽의 각각의 대향 테두리부에는 앵글재가 각각 용접되어서 제1의 돌출편(4)과 제2의 돌출편(5)을 형성한다.
제1의 돌출편(4)은, 아래형(2)의 위끝단 테두리부에 용접되고 제2의 돌출편(5)은 윗형(3)의 아래끝단 테두리부에 용접되어, 양 돌출편(4),(5)은 어느것이나 같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양 돌출편(4),(5)끼리의 사이 또는 형(2),(3)사이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밀봉이 되지만, 여기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형틀(1)의 바깥둘레에는 형틀(1)을 회전시키기 위한 링(10)이 형성되며, 또한 위, 아래의 형(2),(3)에는 형틀(1)의 긴쪽 방향에 다른 보강부재(2a),(3a)가 고정되어 있다.
양 돌출편(4),(5)에는, 특히 제3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들을 관통하는 구멍(4a),(5a)이 뚫림과 동시에, 구멍(4a)에는 보울트로 이루어진 텐션부재(6)의 축 부분이 관통하고 있다. 텐션부재(6)은, 제1의 돌출편(4)의 아랫면에 용접된 암나사판(7)에 나사맞춤함과 동시에, 그 아랫면에서 로크너트(8)가 나사맞춤하여 이에 의하여 텐션부재(6)를 제1의 돌출편(4)에 머리부(9)의 돌출 칫수를 조정하여 고정하고 이삳.
그리하여, 텐션부재(6)의 머리부(9)는 양 돌출편(4),(5)의 조임상태에서의 제2의 돌출편(5)의 윗면보다 위쪽 위치에 있으며, 또한 제2의 돌출편(5)의 구멍(5a)은 텐션부재(6)의 머리부(9)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돌출편(5)의 윗면에는, 제2의 돌출편(5)의 긴쪽 방향 즉, 형틀(1)의 긴쪽 방향으로 전진, 후퇴하는 전진, 후퇴부재(11)가 배치되며, 이 전진, 후퇴부재(11)에 걸쳐진 틀재(12)가 제2의 돌출편(5)의 윗면에 용접되어, 이것에 의하여 전진, 후퇴부재(11)가 상기 전진, 후퇴만의 운동을 하도록 유지된다. 전진, 후퇴부재(11)의 끝단부에는 2갈래의 로크편(13)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 로크편(13)은, 양 돌출편(4),(5)의 조임상태에서의 텐션부재(6)의 머리부(9) 아래면과, 제2의 돌출편(5)의 윗면과의 칫수에 알맞는 두께의 칫수를 가지고, 머리부(9)의 아래면과 제2의 돌출편(5)의 윗면과의 사이에, 상기 전진, 후퇴부재(11)의 전진, 후퇴에 의하여 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것이다. 전진, 후퇴부재(11) 윗면에는 오목부(11a)가 형성되며, 틀재(12)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아래쪽의 상기 오목부(11a)에 힘이 가해져서 걸어맞춤하는 돌출자(12a)가 형성되어, 전진, 후퇴부재(11)가 자유로히 전진,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틀재(12)의 윗면과, 이에 대응하는 제1의 돌출편(4) 아래에는 눌림에 의하여 양 돌출편(4),(5)끼리가 조여지는 긴축 조임력 입력부(14),(15)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틀재(12)는 상기 조이는 힘에 의하여 변형하지 않는 강도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전진, 후퇴부재(11)의 양쪽 끝단부에는, 세워진 부재(16),(17)를 일체로 형성하여, 로크편(13)에 가까운 세워진 부재(16)에서의 로크편(13)으로부터 멀리있는면에 걸어맞춤력 입력부(18)를 형성하는 한편, 다른쪽의 상숭부재(17)에서의 로크편(13)에 가까운면에 이탈력 입력부(19)를 형성한다.
걸어맞춤력 입력부(18)는, 로크편(13)을 머리부(9) 아래면에 걸어맞추게 하기 위하여 제1도에서의 오른쪽으로의 누르는 힘이 입력되는 부위이며, 또한 이탈력 입력부(19)는, 로크편(13)을 머리부분(9)의 아래면에서 이탈시키기 위하여 제1도에서의 좌측으로의 누르는 힘이 입력되는 부위이다.
양 돌출편(4),(5)에 대하여 형성된 상기 설명된 각 구성은,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것이 1조를 이루고 있으며, 이 조가 형틀(1)의 긴쪽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각조는 각각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도에는 이조가 3조로 나타나 있다. 이들 각조는, 독립한 것이기 때문에 돌출편(4),(5)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조는 로크편(13) 방향 및 전진, 후퇴 방향이 일부의 조에서는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로크편(13) 방향과 전진, 후퇴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은, 긴축 조임력 입력부(14),(15) 전진, 후퇴부재(11)등과, 형틀(1)의 보강링이나 원심주조의 목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링(소위 타이어)(10)과의 간섭을 피하여 텐션부재(6)를 형틀(1)의 긴쪽 방향에서 동일간격, 기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을 실현시키고 있다.
제1도에서는, 좌 및 중앙 조의 로크편(13)이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의 돌출편(5) 윗면과 머리부(9)와의 사이에 걸어맞추고, 우측조의 로크편(13)이 좌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동일하게 걸어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텐션부재(6)의 배치는, 형틀(1)의 용도등의 조건에 따라 상호 간격을 결정하면 좋으므로, 반드시 동일 간격이 아니더라도 좋다.
다음에, 이 형틀의 긴축 조임 기구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형(2)의 위에 윗형(3)이 얹어놓여진 상태에서 긴축 조임력 입력부(14),(15)에 상,하로부터 조임력을 입력시킨다. 즉, 긴축 조임력 입력부(14)에 아래에서 위로 향한 힘을 입력하고, 긴축 조임력 입력부(15)에 위로부터 아래로 향한 힘을 입력한다. 이들의 대향하는 힘은 상대적으로 대향하는 힘이면 좋다. 이러한 조임력에 의하여 양 돌출편(4),(5)끼리는 조여져서 형틀(1)이 긴축력 있게 죄어진다.
여기에서, 걸어맞춤력 입력부(18)에 걸어맞춤력을 입력한다. 이에따라, 전진, 후퇴부재(11)가 전진하고, 이것과 일체로 로크편(13)도 전진하여 머리부(9)의 아랫면에 삽입된다. 이 상태가 제3도이다.
걸어맞춤력은, 로크편(13)을 텐션부재(6)의 머리부(9) 아래면에 삽입하는 힘이며, 이 상태에서의 상기 머리부(9)의 아랫면과 제2의 돌출편(5) 윗면과의 틈과, 로크편(13)의 두께가 동일 칫수라면, 걸어맞춤력은 그다지 크지 않더라도 족하다. 또한, 로크편(13)의 윗면이 약간 경사하여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걸어맞춤력은 위에 기술한 것보다 증대하는 한편, 형틀(1)의 조임력도 더욱 증대한다.
그러나, 로크편(13)은 상기 조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조임력 자체는 주로 긴축 조임력 입력부(14),(15)에서 입력되는 힘에 의하여 얻는 것이며, 상기 쐐기형상으로서 조임력을 증대시키더라도, 그 비율은 필요한 조임력중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또한, 로크편(13)을 쐐기로한 경우에는, 로크편(13)은 머리부분(9)과 제2의 돌출편(5)과의 사이에 압입된다. 로크편(13)의 걸어맞춤후에 긴축조임력 입력부(14),(15)로의 조임력과 걸어맞춤력 입력부(18)로의 걸어맞춤력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로크편(13)으로 형틀(1)의 조임 상태는 유지된다. 이리하여 이 상태에서 형틀(1)을 콘크리이트등의 성형공정으로 공급한다.
조임 개방은, 상기 조임력 입력부(14),(15)에 조임력을 입력하여 머리부(9)의 아랫면과 제2의 돌출편(5)의 윗면과의 틈을 느슨하게 하고서 이탈력 입력부(19)에 이탈력을 입력하면, 전진, 후퇴부재(11)가 상기와는 반대로 후퇴하여 로크편(13)이 머리부(19) 아래면에서 이탈한다.
이러한 이탈후에 상기 조임력을 느슨하게 하면, 윗형(3)은 아랫형(2)에 스스로의 힘으로 얹어놓여진 것만으로 되므로, 윗형(3)을 매달라 올리면 용이하게 탈형할 수 있다.
전진, 후퇴부재(11)의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에 있어서는 돌출자(12a)가 오목부(11a)에 걸어맞추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외부힘이 입력될때까지는 그 위치를 유지한다.
특히, 탈형시와 같이 전진, 후퇴부재(11)의 후퇴시에 이 위치가 유지되면, 아랫형(2)에 윗형(3)을 씌울때에 텐션부재(6)의 머리부(9)가 로크편(13)에 부딛치지 않고도 잘된다. 이러한 긴축 조임 기구는, 돌출편(4),(5)의 긴쪽 방향에 어떤 여러개가 상호 독립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각부에서 상기 동작을 개별적이고 동시에 행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 작동기구에 대하여 상기 제1 내지 제6도와 제7도 내지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양 돌출편(4),(5)의 상,하에 양쪽 끝단부가 개별로 임하는 C형 프레임(21)이 틀(22)에 굳게고정되어 있으며, 이 틀(22)은 형틀(1)의 측방에서 형틀(1)과 평행으로 가설되는 비임(23)에 세로로드(24)를 통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세로로드(24)에는, 비임(23)과 틀(22)과의 사이에 축소 형성된 스프링(25)이 밖으로 감겨져 있으며, C형 프레임(21)을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 있게 지지하고 있다.
비임(23)의 긴쪽 방향에는 상기 구성에 의하여 C형 프레임(21)이 상호 독립하여 개별로 다수 배치되고 있어서, 그 수는 형틀(1)에 형성된 상기 텐션부재(6), 로크편(13), 걸어맞춤력 입력부(18)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의 수에 대응하고 있다.
비임(23)은 실린더 장치(26)에 의하여 신축 가능한 테레스 코픽타입인 여러개의 지주(27)에 지지되며, 각 지주(27)의 아래끝단은 이동대(28)에 고정되어 있다. 이동대(28)는, 기초(29)상의 미끄럼대(또는 레일)(31)상에 얹어놓여지며, 상기 지주(27)와 고정된 부분과의 사이에는 실린더 장치(32)가 가설되어, 비임(23)을 형틀(1)에 대하여 전진, 후퇴시킨다.
실린더 장치(32)는, 비임(23)의 긴쪽 방향에서 적어도 2개의 지주(27)에 대하여 각각 가설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장치(26),(32)는 다른 공지의 신축기구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C형 프레임(21)에는, 그 아래끝단부에 실린더 장치(33)의 바깥통이 고정되고, 그 피스턴 로드(33a) 앞끝단이, C형 프레임(21)의 위끝단부의 아래면으로 향하여 전진, 후퇴하도록 구성되며, 그것에 의하여 피스턴 로드(33a)의 앞끝단과 C형 프레임(21) 윗끝단부의 아랫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양 돌출편(4),(5)을 조이도록 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C형 프레임(21)의 위끝단부의 아래면이 제2의 돌출편(5)의 긴축 조임력 입력부(15)에 위에서 부딪치고, 실린더 장치(33)의 피스턴 로드(33a)가 제1의 돌출편(4)의 긴축 조임력 입력부(14)에 밑에서 부딪쳐서, 양 돌출편(4),(5)을 조이도록 하고 있다. 이리하여 실린더 장치(33)가 제1누름기기를 구성한다. 이때, C형 프레임(21)의 상,하 이동을 상기 스프링(25)이 변형하여 흡수한다.
상기 양 돌출편(4),(5)의 조임시에는, 실린더 장치(33)에 의하여 C형 프레임(21)이 양 돌출편(4),(5)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C형 프레임(21)에는 그 윗끝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신축하는 실린더 장치(34)의 바깥통이 고정되며, 그 피스턴 로드(34a)가 로크편(13)과 일체인 걸어맞춤력 입력부(18)로 향하여 전진, 후퇴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피스턴로드(34a)의 전진에 의하여 로크편(13)을 텐션부재(6)의 머리부(9)에 걸어맞추는 것이며, 이 실린더 장치(34)가 제2누름기기가 구성하고 있다. 상기 피스톤 로드(34a)의 전진에 기인하는 반력은, C형 프레임(21)이 실린더 장치(33)에 의하여 고정된 양 돌출편(4),(5)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긴축 조임 기구와 작동기구에 의하여 조임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9도에는, 긴축 조임 해제기구가 기재되어 있다. 이 긴축 조임 해제기구는, 형틀(1)의 탈형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성형품의 제조공정에서의 탈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C형 프레임(21)과 동일한 프레임(121)과, 상기 실린더 장치(34)와는 피스턴 로드의 돌출 방향을 반대로한 실린더 장치(134)를 구비하고 있어서, 실린더 장치(134)의 피스턴 로드(34a)에 의하여 로크편(13)과일체인 이탈력 입력부(19)를 누르도록 하고 있다. C형 프레임(121)이 지지되는 기등등에 대해서는, 제7도에 나타내는 각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7도에 나타낸 각 구성과는 실린더 장치(34)의 피스턴 로드(34a)의 돌출 방향이 반대로될 뿐이다. 이리하여 이 긴축 조임 해제기구는 상기 실린더 장치(34)의 피스턴 로드(34a)의 돌출 방향을 바꾼 것 뿐이며, 기타는 동일하게 한 것을 탈형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제9도는, 제3도와 같은 조임 상태에서 피스턴 로드(134a)에 의하여 이탈력 입력부(19)를 눌러서 로크편(13)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각 실린더 장치(26),(32),(34),(134)는 유체압 공급원과의 사이에서 공지의 관통로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으나, 그 관통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각 실린더 장치의 유체압은 공기압, 액압의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본 실시예의 실린더 장치(33),(34),(134)에는 액압(유압)이 공급된다.
이리하여 상기 긴축 조임 기구의 작동기구에서는 실린더 장치(26)에 의하여 지주(27)의 길이가 조절되어 C형 프레임(21)이 형틀(1)의 양 돌출편(4),(5)에 대응하는 높이에 설정되며, 소정 위치에 형틀(1)이 세트된 상태에서 실린더 장치(32)가 축소함으로써 C형 프레임(21)이 양 돌출편(4),(5)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틀(1)에 접근한다.
이러한 동작을 하기 위한 실린더 장치(26),(32)의 제어는, 제어밸브의 수동제어나 시이켄스 제어등의 주지의 제어수단에 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실린더 장치(33)의 피스턴 로드(33a)의 신장에 의하여 양 돌출편(4),(5)의 조임에 의한 형틀(1)의 조임과, 양 돌출편(4),(5)으로의 C형 프레임(21)의 고정을 행한다. 또한, 실린더 장치(34)의 피스턴 로드(34a)에 의하여 로크편(13)을 전진시켜서 제2의 돌출편(5)와 텐션부재(6) 머리부(9)와의 사이에 걸어맞춤으로써, 형틀(1)의 상기 조임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에서, 실린더 장치(33),(34)는 동일한 액압원에 접속되어 있어서, 최초에 실린더 장치(33)로 액압이 공급되며, 이것이 정지되어 조임 상태를 유지한채 다음에 실린더 장치(34)로 액압 공급선이 변환되도록 제어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후에, 피스턴 로드(34a)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피스턴 로드(33a)도 후퇴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형틀(1)의 길이 방향에 다수 배치된 각 C형 프레임(21)에서 독립하여 각각 행하여지는 것이지만, 각 동작 타이밍은 1개소에서 제어함으로써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후에, 실린더 장치(32)를 신장시킴으로써 각 C형 프레임(21)을 동시에 형틀(1)로부터 멀리한다.
이리하여, 이 조임장치에 있어서는 형틀의 긴축 조임을 위한 구성과 조작이, 형틀의 긴쪽 방향에서의 각 부분에서 서로 독립하여 개별로 행하여지는 것이므로, 종래의 기술과 같이 형틀(1)의 긴쪽 방향을 따라 1개의 잡아당김 부재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웜심 주조를 위나 링(소위 타이어)나 보강 리브와 같은 형틀의 바깥둘레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속하는 돌기물에, 상기한 잡아당김 부재를 통과하기 위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형틀 강도를 저하시킬 염려도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부분에 있어서는 독립한 구성을 가지며, 그 조작이 행하여지므로, 상기 링(10)이나 보강 리브등의 돌기물의 바로 곁에 텐션부재(6)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좌,우 방향에 연장되어 있는 형틀(1)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 좌측의 바로곁에 텐션부재(6)를 설치하여 로크편(13)을 그에 다시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여 전진시키는 부위와, 반대로 다른 돌기물의 우측의 바로곁에 텐션부재(6)를 설치하여 로크편(13)을 그에 다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하여 전진시키는 부위를 혼재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로크편(13) 방향에 대응하여 제2누름기기를 이루는 실린더 장치(34) 방향을 개별로 변경시켜서 설정해 두어도 좋다.
이리하여, 로크편(13) 방향과 전진, 후퇴 방향을 각부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긴축조임력 입력부(14),(15)와 텐션부재(6)의 위치 설정의 자유도가 높으며, 예를들면 텐션부재(6)를 형틀(1)의 긴쪽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에 설정하여 각부의 조임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형틀(1)의 테두리에 다른 어떤 위치에 긴축 조임력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텐션부재(6)의 틈을 작게하여 다수의 텐션부재(6)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각부의 구성과조작이 상기와 같이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각부에서 각각 개별로 보존 점검을 하면 좋으며, 다른 부위와의 관련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존 점검이 간단히 된다.
또한, 상기 로크편(13)에 있어서의 텐션부재(6)의 머리부(9)에 접하는 면을 경사면으로 하여, 로크편(13)에 쐐기 기능을 부여하면, 긴축조임력 입력부(14),(15)으로의 입력에 의한 조임에 의해 상기 쐐기 기능에 의한 조임력도 부가할 수 있으나, 이 쐐기 기능에 의한 조임력은 형틀(1)에 필요한 모든 조임력중 근소한 일부로 하고 있으며, 긴축조임력 입력부(14),(15)으로의 입력에 의한 조임이, 피스턴 로드(33a)의 후퇴에 의하여 해방되지 않을 정도로 로크편(13)이 머리부분(9)에 압접하는 경사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 및 제11도는 작동 기구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비임(23)을 매다는 형식의 예이다. 천정 크레인등의 후크(41)에 매달린 매인 비임(42)은 형틀(1)의 윗쪽에 평행되게 위치하고, 이 메인 비임(42)의 긴쪽 방향의 여러 개소에 가로 비임(43)이 지시되며, 이 가로 비임(43)의 양끝단에 형틀(1)의 양쪽에까지 이르는 아암(44)이 형틀(1)의 폭 방향으로의 전진, 후퇴가 자유롭게 지지된다.
양쪽 아암(44)에는, 긴쪽 방향 중앙을 경계로하여 왼 나사로 되어 있어 모우터(45)에 의하여 회전되는 나사로드(46)가 각각 나사맞춤하고 있으며, 모우터(45)의 정,역 회전에 의하여 양쪽 아암(44)의 간격을 변경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양쪽 아암(44)은 테레스 코픽 타입을 이루어 신축이 자유롭게 되어 있어서 내장되는 실린더 장치(47)에 의하여 신축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아암(44)의 신축에 의하여 비임(23)이 형틀(1)의 양 돌출편(4),(5)의 높이에 이르며, 모우터(45)의 구동에 의하여 비임(23)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틀(1)에 대하여 전진, 후퇴한다.
또한, 제10도에서의 (48)은 형틀(1)을 얹어놓는 받침이며, 메인비임(42)에 장착된 클램프(49)(제11도에서는 생략)에 의하여 클램핑되어 메인비임(42)와 함께 이동된 형틀(1)을 조임 위치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각 설명을 아랫형의 돌출편(4)에 텐션부재(6)를 고정하고, 그 머리부(9)를 윗쪽으로 돌출시킨 것이지만, 이것의 상,하를 반대로 해도좋다. 이 경우에는 제3,5,6도에 나타내는 각부재를 상,하 반대로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는, 형틀(1)로서 단면원형의 긴형상의 것을 채용하였으나, 길이는 짧은 것이라도 좋으며, 단면은 원형이 아닌 것 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형틀의 긴축 조임 기구의 발명에 의하면, 형틀을 조이는 힘과, 조임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힘의 입력위치 또는 방향을 분리하고, 또한 텐션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긴축 조임력 입력부와 걸어맞춤력 입력부등과의 여러조의 상호간을 독립시켰기 때문에, 각 텐션부재를 형틀의 테두리를 따라 최적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과 같이 연속하는 각 쐐기 사이에 늘어남이 발생하여 조임력 부족부분이 발생할 염려도 없다.
또한, 형틀의 테두리를 따른 각조의 보존 점검은 각조가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조만의 보존점검으로 족하며, 다른 조와의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존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형틀의 양 돌출편에 텐션부재나 긴축 조임력 입력부등을 형성함으로서 형틀 조임기구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신품인 형틀 뿐만 아니라 중고품이라도 용이한 이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형틀 긴축 기구의 작동기구의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누름기기에 의하여 형틀 긴축 기구의 긴축 조임력 입력부와 걸어맞춤력 입력부를 개별로 누르는 것이므로, 형틀의 조임력과 로크편의 걸어맞춤력을 가장 유효한 방향으로 개별적이고 확실히 부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동력에 마찰 손실이 적으며 또한, 형틀 긴축 조임 기구의 마모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작동기구는, 독립된 여러개의 형틀 긴축 조임 기구에 대하여 개별로 입력하는 것이므로, 각 형틀의 긴축 조임 기구를 연결하기 위하여 형틀의 테두리를 따라 연속하는 부재는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형틀을 회전시키기 위한 링이나 보강리브등의 돌기물에 구멍을 뚫을 필요도 없으므로 형틀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2개의 기구로 이루어진 형틀의 긴축 조임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2개 기구의 각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조임력의 손실이 없게되며, 형틀의 조임이 균일하고 확실하게 되는 동시에 보존 점검도 용이하게 된다.

Claims (3)

  1. 형틀(1)을 형성하는 쌍을 이루는 2개의 틀에 별개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의 돌출편(4),(5) 끼리를 긴밀하게 조이는 형틀의 긴축 조임 기구로써, (a) 상기 양 돌출편(4),(5)의 상호 반대쪽에 개별로 형성됨과 동시에, 형틀(1)의 테두리를 따라 여러개 형성되어 이들이 누름에 의하여 형틀이 조여지는 긴축조임력 입력부(14),(15)와, (b) 제1의 돌출편(4)에 형틀의 테두리를 따라 여러개 튀어나와 형성되며, 또한 제2의 돌출편(5)에 동일하게 여러개 뚫린 여러개의 구멍(4a),(5a)을 개별로 관통하고, 앞끝단에 머리부(9)를 가지는 여러개의 텐션부재(6)와, (c) 제2의 돌출편(5)에서의 제1의 돌출편(1)과는 반대쪽에서, 각 텐션부재(6)의 머리부(9) 아랫면과 제2의 돌출편(5)과의 사이에 개별로 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추어 조임상태를 유지하는, 서로 독립한 여러개의 로크편(13)과, (d) 각 로크편(13)에 다른 로크편(13)에서 독립하고 각 로크편(13)에 개별로 형성되어, 입력을 받아서, 그 로크편(13)을 텐션부재(6)의 머리부(9) 아랫면과 제2의 돌출편(5)과의 사이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력 입력부(18)와, (e) 동일하게 각 로크편(13)에 다른 로크편(13)에서 독립하고 개별로 형성되고, 입력을 받아서 그 로크편(13)을 상기 걸어맞춤에서 이탈시키는 이탈력 입력부(1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 긴축 조임기구.
  2. (f) 형틀용의 쌍을 이루는 2개의 형에 개별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돌출편(4),(5)의 서로 반대쪽에 각 끝단부가 임하는 C형 프레임(21)과, (g) 상기 C형 프레임(21)의 끝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양 돌출편(4),(5)의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 긴축 조임력 입력부(14),(15)에 형틀(1)의 조임력을 가하고, 또한 이 조임력으로 양 돌출편(4),(5)에 상기 C형 프레임(21)을 고정하는 제1누름기기(22)와, (h) 상기 C형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상기 돌출편(4),(5)에 형성되어 전진에 의하여 양 돌출편(4),(5)의조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편(13)을 개별로 누르고 전진시키는 제2누름기기(34)와, (i) 상기 C형 프레임(21)의 여러개를, 형틀(1)의 테두리를 따라 일련으로 지지하는 비임(23)과, (j) 상기 비임(23)을, 형틀(1)을 향하여 전진, 후퇴시키는 이동기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 긴축 조임기구의 작동기구.
  3. 형틀(1)을 형성하는 쌍을 이루는 2개의 형에 개별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 및 제2의 돌출편(4),(5)끼리를 조이는 형틀 긴축 조임 장치로서, (k) 상기 양 돌출편(4),(5)의 서로 반대쪽에 개별로 형성됨과 동시에 형틀(1)의 테두리를 따라 여러개 형성되어, 이들이 눌려짐으로써 형틀(1)이 조여지는 긴축조임력 입력부(14),(15)와, (l) 제1의 돌출편(4)에 형틀(1)의 테두리를 따라 여러개 튀어나와 형성되고, 또한 제2의 돌출편(5)에 동일하게 여러개 튀어나와 형성된 여러개의 구멍(4a),(5a)에 개별로 관통하고, 앞끝단에 머리부(9)를 가지는 여러개의 텐션부재(6)와, (m) 제2의 돌출편(5)에서의 제1의 돌출편(4)과는 반대쪽에서, 각 텐션부재(6)의 머리부(9) 아랫면과 제2의 돌출편(5)과의 사이에 개별로 이탈 가능하게 걸어맞추고, 조임상태를 유지하는 서로 독립한 여러개의 로크편(13)과, (n) 각 로크편(13)에 다른 로크편(13)에서 독립하고 각 로크편(13)에 개별로 형성되어, 입력을 받아서, 그 로크편(13)을 텐션부재(6)의 머리부(9) 아랫면과 제2의 돌출편(5)과의 사이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력 입력부(18)와, (o) 동일하게 각 로크편(13)에 다른 로크편(13)에서 독립하고 개별로 형성되고, 입력을 받아서, 그 로크편(13)을 상기 걸어맞춤에서 이탈시키는 이탈력 입력부(19)와, (p) 상기 양 돌출편(4),(5)의 서로 반대쪽에 각 끝단부가 임하는 C형 프레임(21)과, (q) 상기 C형 프레임(21)의 끝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양 돌출편(4),(5)의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 긴축조임력 입력부(14),(15)에 형틀(1)의 조임력을 가하고, 이 조임력으로 양 돌출편(4),(5)에 상기 C형 프레임(21)을 고정하는 제1누름기기(33)와, (r) 상기 C형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상기 걸어맞춤력 입력부(18)를 눌러 사이 로크편(13)을 개별로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로크편(13)을 텐션부재(6)의 머리부(9) 아랫면과 제2의 돌출편(5)과의 사이에 걸어맞추는 제2누름기기(34)와, (s) 상기 C형 프레임(21)의 여러개를 형틀 테두리를 따라 일련으로 지지하는 비임(23)과, (t) 상기 비임(23)을 형틀(1)을 향하여 전진, 후퇴시키는 이동기구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틀 긴축 조임장치.
KR1019900018200A 1990-07-16 1990-11-10 형틀 긴축조임 기구와 그 작동 기구와 이들로 이루어진 형틀 긴축조임장치 KR920010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504 1990-07-16
JP187504 1990-07-16
JP18750490 1990-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289A KR920002289A (ko) 1992-02-28
KR920010869B1 true KR920010869B1 (ko) 1992-12-19

Family

ID=1620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200A KR920010869B1 (ko) 1990-07-16 1990-11-10 형틀 긴축조임 기구와 그 작동 기구와 이들로 이루어진 형틀 긴축조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06137A (ko)
KR (1) KR920010869B1 (ko)
AU (2) AU619704B1 (ko)
DE (1) DE41225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566B1 (en) * 2001-05-24 2004-03-09 Masco Corporation Lock assembly for a low pressure mold
DE10160441B4 (de) * 2001-12-08 2006-07-06 Max Frank Gmbh & Co. Kg Säulenschalung
US20060208152A1 (en) * 2005-03-15 2006-09-21 Mccracken Robert Clamp for interconnecting components of concrete forming apparatus
AT514938B1 (de) * 2013-10-31 2015-05-15 Schlüsselbauer Johann Ing Außenform einer Gießform zum Herstellen rohrförmiger Betonfertigteile
EP3098045A1 (en) * 2015-05-27 2016-11-30 Kijlstra B.V. Mould for producing concrete tubes
DE102018203764A1 (de) * 2018-03-13 2019-09-19 Peri Gmbh 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5769B (ko) * 1959-09-17
US1687340A (en) * 1925-08-12 1928-10-09 Fisk Rubber Co Beveling and sealing clamp
US3865534A (en) * 1972-01-26 1975-02-11 Nippon Concrete Ind Co Ltd Device for clamping a mold frame used for centrifugal compaction of concrete
US3877674A (en) * 1973-02-16 1975-04-15 Blaw Knox Const Equipment Spring lock means for connecting abutting form panels
US4194717A (en) * 1978-10-18 1980-03-25 Easton John T Wedge and bolt assembly for panel units
JPS55133909A (en) * 1979-04-06 1980-10-18 Hiroshi Kitamura Clamping device for cope and drag flask
US4416440A (en) * 1979-09-24 1983-11-22 Harold M. Bowman Ingot mold and method
JPS5849372B2 (ja) * 1979-10-25 1983-11-04 博 北村 上下型枠の緊締装置
JPS5662113A (en) * 1979-10-25 1981-05-27 Hiroshi Kitamura Clamping device for upper and lower flask
US4484880A (en) * 1981-09-14 1984-11-27 Ludwig Engel Kg Clamping device for clamping the form tools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to form supports
FR2612835B1 (fr) * 1987-03-26 1989-05-26 Coutier Andre Dispositif de bridage pour la fixation amovible des moules de conformation sur les plateaux des presses de moulage
AU2550788A (en) * 1988-10-19 1990-05-14 Enzo Redolfi Riva Form clamp to join panels, in particular, cement casting fo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22567A1 (de) 1992-01-23
DE4122567C2 (ko) 1993-05-27
US5306137A (en) 1994-04-26
AU637533B2 (en) 1993-05-27
AU619704B1 (en) 1992-01-30
KR920002289A (ko) 1992-02-28
AU8783691A (en) 199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869B1 (ko) 형틀 긴축조임 기구와 그 작동 기구와 이들로 이루어진 형틀 긴축조임장치
CN108000702B (zh) 双向先张法预应力混凝土轨道板模具及其应用
JPH029924B2 (ko)
CN110424731B (zh) 一种装配式结构现浇端柱模板组合式加固装置及实施方法
JP3171878B2 (ja) 型枠緊締機構とその作動機構とこれらからなる型枠緊締装置
CN113107196B (zh) 一种梁、墙、板面组合快装早拆结构
CN114378933B (zh) 成组楼梯立模生产系统
JPH0819763B2 (ja) 一体脱型による転用システム梁型枠とその脱型方法
CN210651563U (zh) 一种用于冰箱门体发泡线的新型夹具机构
CN114458003A (zh) 一种再生碳纤维热塑性复合材料建筑模板
JP3329914B2 (ja) 暗渠ブロック製造用型枠
KR920006834B1 (ko) 형틀의 긴축 조임방법 및 그 장치
CN217046848U (zh) 一种整体式隧道弧形预制构件模具
CN218504810U (zh) 一种预制箱梁端模拆模装置
CN210790947U (zh) 一种预制混凝土外挂墙板插放架
CN219953345U (zh) 大断面盾构隧道始发体系
CN218758725U (zh) 一种自适应铝合金模板沉箱底部加固装置
JP2002028917A (ja) 型枠及び型枠の離脱方法
JPH01232005A (ja) 型締装置
KR970004245B1 (ko) 수직 중공 구조물의 내부 거푸집 시공 방법 및 그 장치
CN212835496U (zh) 一种地铁车站模板沿高度方向调节的快拆支撑结构
CN218932900U (zh) 一种湿接缝吊模施工工具
CN215048167U (zh) 一种梁体转运装置
CN219328693U (zh) 自应力混凝土输水管水压试验装置
CN217631240U (zh) 一种应用于填充墙体的模板加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