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969B1 -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공구 - Google Patents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969B1
KR920009969B1 KR1019850009146A KR850009146A KR920009969B1 KR 920009969 B1 KR920009969 B1 KR 920009969B1 KR 1019850009146 A KR1019850009146 A KR 1019850009146A KR 850009146 A KR850009146 A KR 850009146A KR 920009969 B1 KR920009969 B1 KR 920009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handle
nail
staple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4698A (ko
Inventor
제이. 마사리 2세 도날드
죠셉 헤일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센코 프러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안토니 제이. 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코 프러덕츠, 인코포레이티드, 안토니 제이. 무토 filed Critical 센코 프러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6000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4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25C1/047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1Nail feeding devices
    • B25C1/005Nail feeding devices for rows of contiguous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4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 B25C1/041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fluid pressure, e.g. by air pressure with fixed main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공구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의 고정구를 박는 공구의 분해정면도로서 못(nail)을 박는 요소와 스테이플(staple)을 박는 요소를 모두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스테이플 매거진에 사용되는 공급 모터의 단면도.
제3도는 스테이플 매거진용 공급 모터의 상세도.
제4도는 상단에 적재하는 스테이플 매거진의 상세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못 매거진 및 추종부의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하나 적재상태의 추종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8-8을 따라 취한 못 매거진의 단면도.
제9도는 못을 박는 구조로된 제1도의 공구의 단면도로서 비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와 유사하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선 11-11을 따라 취하여 장치의 추진부위에 있는 접근도어를 도시한 정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공구의 원격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제13도는 제1도의 공구의 분사밸브의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제1도의 공구의 방아쇠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구를 박는 공구 11 : 공기모터
14 : 방아쇠 15 : 세이프티(Safety)
16 : 못 매거진-핸들조립체 17 : 스테이플 매거진-핸들 조립체
19,20 : 받침판 26 : 분사밸브
28 : 고정구 타격봉 32 : 전환부(diverter)
43 : 탄성밴드 52 : 분사밸브스템
75 : 원격밸브 77 : 인서트
90 : 스페이서 110 : 방아쇠 조립체
147 : 접근 도어(door) 154 : 걸쇠 레버
158 : 걸쇠베일(bail) 166 : 스테이플 레일
167 : 추종부 224 : 추종부
본 발명은 고정구 적용 장치, 특히 스테이플 및 못과 같은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 공구에 관한 것이다.
공압식의 스테이플을 박는 공구 및 못을 박는 공구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실린더 몸체를 형성하는 일체로 된 주물과 일체로된 핸들의 형태로서 상기 공구들의 하우징을 제공함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주물들은 필요에 따라 네일러(nailer : 못을 박는 장치) 또는 스테이플러(stapler)를 제공하도록 기계가공되고 결합된다.
통상적인 네일러는 실린더 몸체와 못 타격봉 또는 추진축에 대해 수직을 이루지 않으나 90°보다 작은 예각으로 교차하는 축, 예를들어 추진축에 대해 수직으로 부터 약 30°내지 45°의 벙위에 놓여 있는 축을 지나는 못 매거진(magazine)을 가진다. 매거진의 후미단부는 네일러 핸들의 후미단부를 교차하면서 이에 고정되어 지탱된다. 핸들은 90°보다 작은 예각, 즉 추진축에 대해 수직으로부터 약 5°내지 20°에서 실린더 몸체와 교차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네일러에서 핸들과 매거진은 실린더의 추진축이 못이 박힐 수평면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수평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물론, 이러한 관계는 못을 박을 표면을 어떻게 배치하든 일정하다. 매거진 및 핸들은 그러한 표면에서 멀리 연장하여 사용자가 네일러를 취급함에 있어 편안한 느낌을 주고, 못을 박을 표면에 보다 명확하게 시각적으로 접근하게 하고 표면에 대하여 네일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공압식 스테이플러는 통상 다른 형태를 지닌다. 스테이플 매거진은 핸들과 동일하게 대체로 장치의 추진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브라켓은 핸들의 후미단부에 스테이플 매거진의 후미단부를 고정지지한다.
따라서,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 공구를 제작함에 있어, 이러한 여러 가지 형태를 수용하기 위하여, 네일러용의 일체로된 주물을 한 형태로 만들고 스테이플러용의 일체로된 주물을 다른 형태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다.
네일러 및 스테이플러 각각의 매거진에는 못 또는 스테이플 매거진용의 개별적 장치로서 특별히 설계되는 받침판이 용접되어 있다. 그 장치에는 여러 가지 전면판이 설치되어 각각의 용접된 받침판과 협동하여 타격봉(driver) 통로 및 계속된 타격을 위하여 못 또는 스테이플을 수용하는 타격 스테이션(driving station)을 형성한다. 이들 판들은 장치 및 고정구의 형태가 변함에 따라 네일러와 스테이플러가 크게 다르다.
이러한 다양한 생각 및 형태는 장치 제조자가 네일러 및 스테이플러와 이들의 부품을 개별적으로 제작하고 재고할 것을 요구하며, 이들 대부분의 부품은 호환성이 없다. 스테이플러 및 네일러의 사용자는 각각의 기능 때문에 완전히 별도의 장치를 구매하여야 하고, 각각의 장치를 위한 수선 부품을 별도로 재고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 구조를 가지며, 호환성 있는 공통의 구동 부품으로 못을 박는 능력과 스테이플을 박는 능력을 가지는 개량된 공압식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일러 및 스테이플러에 호환성 있게 사용하는 공기모터 및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별적인 배치 및 경사도로서 스테이플 및 못을 수용하면서 스테이플 매거진 및 못 매거진을 호환성 있게 사용하기 위한 공압식 구동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구를 박는 공구용의 개량된 공기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못과 스테이플을 고정함에 있어서, 다수의 고정구를 동시에 박기 위하여 단일의 “집단”설치대에 다수의 네일러 또는 스테이플러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통의 네일러 또는 스테이플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일체의 하우징 및 핸들 주물을 장착하기 위하여 특별한 장착장치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특별한 장착장치는 필요한 정확도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정확도로 집단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스테이플 및 못을 박는 개량된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 공구에는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 실린더 슬리브를 제공하고, 하강하는 피스톤의 아래로부터의 공기 배출을 허용하고 하강한 피스톤의 위에서 실린더 내부로 공기가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에 일방향 분출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일방향 분출구는 대체로 실린더 슬리브의 주위에서 원주상 홈을 포함하고, 홈에서 실린더 슬리브의 내부로 연장하는 포트와 상통한다. 홈에 장착된 O링이 유입 공기에 대해 포트를 밀폐하지만, 실린더 슬리브에서 포트를 통한 공기 유출을 허용하도록 팽창된다.
슬리브를 형성하기 위해 반경방향 내부로 이동한 다음에 슬리브를 해제하기 위해 반경방향 외부로 이동하는 분할 주물로서 슬리브를 주조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주물 이동은 슬리브에 원주상 O링 홈이 필요함에 비추어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반경방향 이동형 주물들은 그렇게 형성된 슬리브의 라운드(roundness)에 대한 정밀도가 부족하여 슬리브 보어의 기계 가공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라운드를 위한 기계 가공이 전혀 또는 실질적으로 거의 필요없는 슬리브 및 일방향 슬리브 분출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압식으로 고정구를 박는 공구에 있는 실린더를 위해 개량된 일방향 분출구 및 시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 공구에서는 보통 수동으로 작동되는 안전 방아쇠로서 원격 제어 밸브를 조작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아쇠는 통상적으로 롤핀 등에 의해 장치 핸들에 피버트식으로 장착되고, 세이프티 메카니즘(safety machanism)을 포함하며, 방아쇠에 의하여 작동되는 원격밸브의 수리를 위해 분해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이러한 방아쇠는 대체로 하우징 또는 핸들 부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매우 힘든 드릴 및 기계가공 작업으로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내에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고 이로부터 손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개량된 안전방아쇠를 가지는 공압식의 고정구를 박는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공압식의 고정구를 박는 공구는 통상 고정구를 추진하기 위해 피스톤상의 실린더를 가압하도록 이동할때까지 실린더 상단에 안장되는 실린더 슬리브 및 분사밸브 부재를 구비한다.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안장 작용은 실린더 상단의 파손과 잠재적으로는 불량한 압력누출의 원인이 될 것이다. 또한, 주위의 밀폐에도 불구하고 실린더 슬리브가 공구의 하우징에서 위치 변동 또는 상승되는 경향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 슬리브 상단부의 손상 및 마모를 방지하고, 실린더 슬리브의 위치변동을 배제하는 개량된 공압식의 고정구 박는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공압식 네일러는 보통 매거진에서 못이 박힐 수 있는 위치까지 못 이동 경로를 제공하면서 네일러에 매거진을 부착시키는 받침판이 제공된 못매거진을 합체하고 있다. 상기 받침판은 제작시에 1 이상의 용접작용을 필요로하는 용접된 구조물 또는 용접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또는 조립 단계에서 용접작업을 필요로하지 않는 받침판 부재를 가진 매거진과 고정구용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정구를 박는 공구에 있어서, 고정구 매거진에는 통상적으로 일련의 고정구를 매거진을 통해 타격 스테이션까지 추진시키는 고정구 추종부가 제공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긴 강철밴드를 구비하는 정력식(定力式)코일 스프링은 추종부에 부착되며, 일련의 고정구의 후미까지 추종부를 당기면 풀려서 스프링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한다. 이렇게 노출되면 스프링 밴드는 필요한 스프링 작용을 실제로 감소시키거나 또는 결국에는 정지시킬 수 있는 부식 및 오염이 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구 매거진 추종부를 위한 개량된 구동모터를 구비한 고정구를 박는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고정구를 보유한 매거진을 편향시키는 노출되지 않은 스프링 구동식 모터를 가지는 고정구를 박는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공지된 스테이플 장치에서는 스테이플 매거진의 후미단부에 스테이플을 적재한다. 이러한 일은 매거진으로부터 스프링 부하식 추종장치를 퇴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테이플러에서 매거진은 보통 스테이플이 소정의 경로에서 불필요한 이동을 하지 않도록 완전히 폐쇄된다. 따라서, 스테이플러를 뒤집으면 스테이플을 떨어뜨릴 수 있는 상단 개방형 매거진을 회피하기 위하여 매거진의 상단이 아닌 후미단부에서 스테이플을 적재한다. 이러한 장치는 매거진을 폐쇄함으로써 여분의 스테이플 갯수를 관찰하기 어려운 단점과, 스프링 부하식 추종부를 취급하기 어렵게 하거나 또는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이플 추종부를 퇴거하지 않고 적재 가능하며, 시각적 접근성이 개선되고, 스테이플러를 뒤집었을 때 잠재적으로 스테이플이 변위되는 단점이 없이 상단 적재가 가능한 개량된 스테이플 매거진을 제공하는데 있다.
네일러 매거진에는 보통 못을 경로를 통해 타격 스테이션으로 추진시키는 추종부가 있다. 대체로, 이러한 추종부는 못을 적재하는 경로가 명확히 보이게 하기 위하여 매거진에서 후미로 철회되어야 한다. 다른 형태로서, 추종부를 경로의 전방 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못을 적재하며, 새로 적재된 못 스트립의 후미단부에서 스프링의 추종부를 못의 이동 경로내로 추진시킬때까지 인접 경로를 통해 해로 적재된 못 스트립을 따라 당긴다.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러한 추종부는 박히게 될 최종의 못이 타격 스테이션에 있을 때 변위도리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면 최종의 못이 제위치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못이 없는 반사동작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못은 다시 적재하기 전에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진 박히게 될 최종 못을 타격 스테이션의 적절한 위치에 확고히 보호 유지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못을 적재하는 동안에 매거진에서 후미로 퇴거될 필요가 없는 추종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통상적으로 고정구를 박는 공구는 고정구 매거진의 전방단부에 배치되고 전면판과 받침판으로 형성된 고정구 타격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고정구는 매거진으로부터 상기 스테이션으로 이동되어 이 스테이션에서 타격봉과 계합한다. 타격봉은 또한 전면판과 받침판으로 형성된 경로내에서 이동한다.
이따금, 고정구를 박는 동작은 타격 스테이션에서 고정구의 잘못된 정렬 때문에 오동작을 초래하고, 통과 되지 않은 대상 고정구로 인하여 타격봉과 고정구간의 부적당한 접촉 또는 계합을 초래하게 된다.
고정구용 공구에는 대체로 전면판에 접근되어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도어는 틀어박힌 것(jam)을 제거하기위해 타격 스테이션에 접근하도록 개방된다. 상기 도어를 가능한한 확고하게 고정시켜야 하지만 접근을 위하여 개방을 용이하게 하도록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정확한 소정의 치수로된 타격 스테이션을 형성하기 위하여 접근도어를 가능한한 단단히 고정시켜야 하지만 선택적인 접근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종래 구조에서는, 상기 도어는 느슨하게 걸리거나 또는 느슨한 상태로 마모하여 필요한 내측공차를 파괴하고 도한 틀어박히는 문제 및 작동상의 문제점을 야기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구를 박는 공구의 타격 스테이션 접근 도어용의 개량된 걸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공압식으로 구동되는 고정구를 박는 공구에 있어서는 보통 실린더에서 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위의 영역에 선별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실린더내에서 아래로 피스톤을 추진시키는 분사밸브를 사용한다. 이러한 분사밸브의 적절한 실예가 1983년 6월 13일자로 죤 피. 크라쳐(John P. Crutcher)씨가 출원하여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03,84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분사밸브는 적절한 시일들을 유지하는 밸브 시스템에 장착된 너트 또는 리테이너와 그 밸브 시스템에 있는 밸브 부재를 가진다. 너트는 통상적으로 공구를 조립하는 동안에 스템에 나사식으로 체결된다. 밸브 스템에 용이하게 조립 고정되고 가격이 저렴한 개령된 리테이너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을 위해 나사의 기계가공을 요구하지 않고 분사 밸브 스템에 장착되어 시일과 분사밸브 부재를 고정시키는 개량된 분사밸브 리테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압식의 고정구를 박는 공구에서, 추진 피스톤은 통상적으로 실린더내에서 원격 방아쇠 작동식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분사밸브 아래에 배치된다. 장치의 핸들 주물은 통상적으로 상기 원격밸브와 각각의 시일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기계 가공된다. 이러한 시일부는 대체로 O링 형태이며, 밀폐를 위해 특별히 가공된 표면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량된 밀폐 구조를 가지면서 밸브가 장착되는 핸들 또는 몸체의 특별한 기계 가공을 요구하지 않는 공압식의 고정구를 박는 공구용의 원격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압식의 고정구용 공구는 못과 스테이플을 박는 성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선택적 공통부품과 다른 별도의 부품을 가지는 모듈형의 공압식 공구를 포함한다. 이 공구는 공통부품으로써 공기모터, 하우징 및 못 매거진 또는 스테이플 매거진을 수용하는 바닥 어댑터판을 포함한다. 장치에는 하나는 못을 박기 위해, 그리고 하나는 스테이플을 박기 위하 주요한 핸들-매거진 조립체가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네일러의 핸들 및 매거진은 표준 경사의 못 스트립을 수용하도록 보통의 네일러와 동일한 형상이며, 반면에 스테이플러의 핸들 및 매거진은 보통의 스테이플러와 동일하게 여러 가지 경사로 배치된다. 방아쇠, 세이프티 및 원격밸브 장치는 장치의 각 네일러 및 스테이플러 구조 각각에 대해서 동일하다. 이것들은 각각의 핸들-매거진 조립체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개별적인 핸들-매거진조립체간에 교환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공통의 공기의 모터에는 모듈형의 고정구용 공구를위한 작동 장치뿐만 아니라 또한 고정구용 공구를 위한 개량된 공기모터로 만들기 위해 결합되는 여러가지 특이한 형상이 제공된다. 먼저, 실린더 슬리브에는 하강하는 피스톤의 바로 아래에 일방향 분출구가 제공되는데, 분출구는 실린더포트와, 매끄러운 외부의 실린더 슬리브 표면을 둘러싸면서 포트를 덮는 평탄한 탄성밴드를 포함한다. 밴드의 돌기는 실린더 슬리브에 있는 요홈내로 삽입됨으로써 밴드가 축방향으로 활주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밴드는 하강하는 피스톤의 바로 아래에 있는 공기가 포트로부터 유출되게 하지만, 실린더 슬리브내로 공기가 누출되지 않게 하며, 따라서 확실한 피스톤 귀환을 보장한다.
그러한 분출구는 O링 시일을 사용하지 않게 하고 O링이 필요로하는 원주상 밀폐홈을 사용하지 않게 한다. 원주상 홈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실린더 슬리브를 만들 때 반경방향으로 개방된 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종으로 이동하는 주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주형은 초기에 양호한 원형을 제공하며, 따라서 실린더 슬리브 제작비가 크게 줄어든다.
실린더 슬리브 리테이너는 실린더 슬리브의 상단 주위 전체에 배치된다. 상기 리테이너는 실린더 슬리브의 상단으로 향하고, 상단을 밀폐하는 역할을 하고, 분사밸브로 인한 실린더 슬리브의 파손을 방지하고, 슬리브가 하우징에서 위치변동 또는 상승하지 않게 한다.
공기모터의 분사밸브에는 밸스 스템에 나사식으로 체결될 필요가 없는 리테이너 또는 배기밸브가 제공된다. 대신에, 리테이너에는 리테이너와 분사밸브 부품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템에 압축되고 스템에 설치된 요홈내로 삽이보디는 내부로 경사진 칼라가 제공된다.
방아쇠 장치는 각각의 핸들-매거진 조립체의 장착판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판은 공기 모터 하우징에 핸들-매거진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플랜지까지 위로 연장한다. 방아쇠 레버는 외측으로 연장하여 핸들내에 배치되고 공구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원격밸브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방아쇠는 손으로 조작되는 방아쇠 레버, 방아쇠 레버에 피버트 가능하게 장착된 세이프티 결합 레버 및 방아쇠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방판에 있는 구멍내로 삽입되는 걸쇠식 리테이너 또는 방아쇠 덮개를 포함한다. 덮개는 평판에서 방아쇠를 완전히 분해하도록 손으로 퇴거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방아쇠가 제위치에 있는 경우 세이프티결합기능을 유지하는 동안에 개방시켜서 원격밸브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티는 장착판에 장착되어서 어떤 핸들-매거진 구조물의 아래 위치까지 아래로 연장한다. 세이프티가 상향으로 밀려서 방아쇠 걸쇠 레버와 연결될때에만 장치의 원격밸브는 조작되고 공구가 작동할 수 있다. 세이프티의 후미 부재는 상향으로 이동하여서 피버트되지 않은 걸쇠 레버의 단부와 계합하고, 방아쇠의 작동이 원격밸브의 스템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피버트되지 않은 단부를 상승시킨다. 만일에 세이프티가 공구가 적용되는 표면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리지 않으면, 잠금 레버가 상승되지 않으며, 방아쇠 레버가 피버트될 때 원격밸브 스템은 이도하지 않게된다.
각각의 매거진에는, 그것이 못 박기용이든지 스테이플용이든지 관계없이 공기모터의 바닥 어댑터판에 해체가능하게 고정되는 전면판 및 받침판이 제공된다. 전면판에는 만곡부와 경사진 걸쇠면을 포함하는 중심이탈식 걸쇠장치로 고정된 접근도어가 제공된다. 만곡부와 경사면은 결합하여 확실하고도 일정한 장력의 걸쇠를 제공하는데, 걸쇠는 풀려지지 않으며 도어를 정확한 위치에 확실히 쇄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장착된다. 관련된 받침판은 각각의 매거진의 일부를 포함하며, 용접되지 않는다.
스테이플러 매거진에는 스테이플 추종부를 구동하는 개량된 모터가 제공된다. 상기 모터의 풀리와, 풀리내에 있는 코일 스프링 모터를 구비한다. 케이블은 풀리 주위에 감겨져서 매거진의 전단부에 부착된다. 추종부를 후미로 당기면, 케이블은 풀리를 회전시키고 내부스프링을 감아서 추종부를 전방으로 추진하는 에너지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추종부는 자체 추진력을 지니며, 종래에 실시했던 바와 같이 매거진의 전방에서 감긴 스프링 하우징의 외부로 평탄하고 긴 정력스프링 부품을 노출시킬 필요가 없다.
게다가 스테이플러 매거진에는 상단에서 스테이플을 적재하기 위해 추종부 모터를 후미로 당길 때 스테이플 매거진 레일에서 캠식으로 이동되는 피버트식 덮개가 제공된다. 추종부는, 해제된 경우, 스테이플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하고, 덮개는 뒤로 피버트되어 스테이플의 전체를 덮어 공구를 뒤집더라도 스테이플이 변위하지 않도록 보호 유지한다.
각 핸들에 있는 원격밸브는 하우징 인서트, 스템 및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적절한 시일과 함께 스템 및 스페이서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이서트는 스템의 스프링 압력과 시일 탄성에 대향하여 예정된 체결 위치로 삽입되어, 스템과 하우징 내부의 작동 압력 통로를 효과적으로 밀폐한다. 하우징은 O링 시일이 제공되어 핸들에 나사식으로 연결되고, 이에 의하여 전체적인 원격밸브와 공압식 제어회로는 핸들이나 밸브 하우징의 내측표면을 특별히 가공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으로 밀폐된다.
원격밸브가 제위치에 있을 때, 인서트의 후미단부에 있는 포트는 핸들에 있는 가압공기를 인서트에 있는 스템 보어와 연결시킨다. 압축공기는 스템 주위에서 스페이서에 있는 포트를 통과하여, 핸들에 있는 포트와 상통하도록 배치된 하우징 포트까지 진행한다. 핸들의 포트는 원격밸브가 방아쇠에 의하여 작동될때까지 핸들 포트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압축공기를 분사밸브로 보낸다.
방아쇠를 작동시키면, 원격 밸브 스템은 상향으로 밀리고, 하우징 포트를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하고, 스템 밀폐부에 의하여 스템 요부에서 분사밸브를 분리시키며, 결국 공구를 작동시킨다.
본 공구는 상기 장점 및 다른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들면, 스테이플러 및 네일러 모두에 대해 단지 하나의 공기 모터만을 제작할 필요가 있으므로, 본 공구는 공통 및 호환성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제조, 부품재고 및 수선을 용이하게 한다.
다수의 공구를 정확하게 집단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것은 제어 어댑터판에 장착된 핸들이 없는 다수의 모터 하우징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판은 개별적인 분사밸브에 대해 압력을 제어하도록 포트를 지닌다.
공구의 모듈형 구조는 보존, 수선, 또는 체결구 교환을 위해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공구(10)가 도시되어 있다. 모듈형 공구(10)는 공기모터(11)(제9 및 10도), 모터하우징(12), 바닥 어댑터판(13) 및 호환성 있는 못과 스테이플 매거진-핸들 조립체(16,17)는 핸들과 매거진을 구비하고, 각각의 핸들에는 제각기 장착판(F-1,F-2)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판은 개별적인 방아쇠 조립체의 지지대를 제공하고, 공기모터(11)에 매거진-핸들 조립체를 부착하는 장착 플랜지를 형성한다. 그 자체로, 장착판(F-1,F-2)과 상기 플랜지는 개별적인 핸들의 일체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아쇠(14), 세이프티(15) 및 원격밸브(네일러에서 사용된 밸브(75)와 같은)는 매거진-핸들 조립체와 관련되어 있다. 상기 공구(10)는 네일 매거진-핸들 조립체(16)가 장착되었을 때 못을 함께 못질될 표면 또는 재료속에 박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선택적으로는, 스테이플 매거진-핸들 조립체(17)가 장착되었을 때는 스테이플로 고정된 표면 또는 재료에 스테이플을 박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모듈형 공구(10)는 못과 스테이플을 박는데 있어서 공통 부품을 사용한다. 특히 모듈형 공구(10)는 공통 부품으로써 공기모터(11), 공기모터 하우징(12), 어배터판(13), 방아쇠(14), 세이프티(15) 및 원격밸브(75)를 사용한다. 호환성 부품은, 박히게 될 고정구의 종류에 따라, 상술한 공통 부품으로 용이하게 교환가능한 개별적인 매거진-핸들 조립체(16,17)를 구비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방아쇠(14), 세이프티(15) 및 원격밸브(75)는 각각의 매거진-핸들 조립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서로 교환될 있다.
상술한 모듈형 공구(10)의 공통 부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모터(11)는, 제10도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 슬리브(25), 분사밸브(26) 및 피스톤(27)을 구비한다. 피스톤(27)은 표면에 고정구를 박기 위하여 피동 피스톤(27)과 함께 왕복 운동하는 고정구 타격봉(28)에 연결된다.
분사밸브(26)는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할 수도 있으나, 1983년 6월 13일자로 죤 피. 크라쳐씨에 의해 “개량된 분사밸브를 가진 압축공기층”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03,843호에 상세히 기술된 방식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원은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되지 않지만 실예로써 참고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공기모터(11)는 실린더 슬리브(25)의 환형 상단부(31)위로 연장하여 내부로 굽어진 원형 플랜지(30)를 가지는 실린더 슬리브 리테이너(29)를 구비한다. 실린더 슬리브 리테이너(29)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모터 하우징(12)과 연결되고, 이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서 실린더 슬리브 상단부(31)를 지탱한다. 또한, 플랜지(30)는 실린더 슬리브(25)의 상단부(31)와 연결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서 실린더 슬리브의 상향 위치 변동을 억제함을 이해할 것이다.
분사밸브(26)는 실린더 슬리브 리테이너(29)의 상단을 가로질서 분사밸브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환부(32)를 구비한다. 이 전환부는 방아쇠(14)를 조작하여 분사밸브(26)상의 압축공기가 방출될때까지 피스톤(27)상에 있는 실린더 슬리브(25)의 상단으로 압축공기가 유입하지 않게 한다. 이렇게 방출되면, 전환부(32)는 슬리브 시일 및 리테이너(29)와, 특히, 내부로 굽어진 플랜지(3)로부터 미리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된다. 그후에 방아쇠(14)를 해제하면, 분사밸브(26)상의 증가 압력이 방아쇠를 아래로 위치 이동시킨다. 따라서, 전환부(32)는 실린더 슬리브 리테이너(29)의 플랜지(30)와 계합한다. 상기 플랜지는 실린더 슬리브(25)의 상단부(31)와 전환부(32) 사이에서 완충제로써 작용하고, 실린더 슬리브의 파손 및 필연적인 누출을 방지한다.
공기모터(11)에 관한 설명을 계속하면, 실린더 슬리브(25)에는 모터 하우징(12)의 내부에서 하부실 26로 부터 환상의 압력실 35를 밀폐시키는 환상의 시일(34)를 구비한 반경방향 외부로 향한 브라켓(33)이 제공되어 있다. 여기에서, 압력실(35)은 모터 하우징(12)에 있는 포트(37)를 통하여 핸들의 고압공기실(38)과 상통하는데, 고압 공기실은 핸들의 단부(도시되지 않음)에 있는 공기 공급장치에 의하여 일정하게 압축된다. 실린더 슬리브(25)의 상단으로 유입될 때 상기 압력은 피스톤(27)을 하향으로 추진시킨다.
실린더 슬리브(25)의 하단부(39)는 내측에 원주상 홈을 가지지 않은 매끄러운 원통형 외측면(40)으로 되어 있다. 원통형 외측면에는 다수의 요홈(41)과, 실린더 슬리브(25)의 벽을 완전히 관통하는 다수의 포트(42)가 제공된다. 평탄한 탄성밴드(43)에는 돌기(44)가 제공된다. 돌기는 요홈(41)의 내부로 삽입되어서 밴드가 실린더 슬리브(25)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밴드(43)는 외측면(40)에서 실린더 슬리브(25)를 둘러싸면서 포트(42)를 덮어 씌우는 두께축소부(45)를 지닌다. 상기 밴드는 탄성이 있으므로 하강하는 피스톤(27)의 아래에서 포트(42)를 통해 공기가 배출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나, 포트(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없으면, 밴드의 두께 축소부(45)는 포트를 폐쇄하고, 실린드 슬리브 외부로부터 포트를 통해 실린더 슬리브(23)로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브라켓(33)를 포함하는 실린더 슬리브(25)의 형상은 실린더를 성형할 목적으로 실린더 주형들이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실린더를 분리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상호 떨어져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함을 이해할 것이다. 실린더 슬리브에서 원주상 홈이 필요없기 때문에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형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형을 이용함으로써 내부의 실린더 슬리브 원형 형상을 보장하기 위한 기계 가공을 하지 않거나 조금만 기계 가공을 하게 하면서 원형 형상을 유지하는 양호한 주물 또는 패리슨(parison)을 제공한다.
공기모터(11)에 사용된 분사밸브는 제9,10도 및 13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분사밸브는 1983년 6월 13일자로 죤 피. 크라쳐씨가 출원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503,843호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제작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분사밸브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통 실린더 슬리브(25)의 상단에 있는 플랜지(30)에 정착하는 전환부(32)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태는 전환부(32)와 시일(48)의 위에서 분사밸브를 둘러싸는 챔버(47)내에 고압공기가 존재하는한 계속된다. 이러한 고압공기는 압축 공기 통로(49)를 통하여 챔버(47)로 전달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일단 통로(49)가 개방되면 챔버(47)내의 고압공기는 방출되고, 밸브가 압력차를 받게되고, 그 압력차는 전환부(32)를 포함하여 분출 밸브를 실린더 상단으로부터 순간적으로 상승시킨다. 이로써 압력실(35)내의 고압공기가 피스톤 위로 도입하여 그 피스톤을 하방으로 추진시킨다. 공기실(38)내에 있는 고압공기는 포트(37)를 통해 압력실(35)로 들어가는데, 압력실에서 고압공기는 실린더 슬리브 리테이너(29)에 위치한 통로(50)를 통해 전달된다. 그러나 방아쇠를 해제함으로써 공기통로(49)가 압력을 받으면 분사밸브의 하향운동에 조력하는 차압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환부(32)가 실린더의 상단을 밀폐하여 피스톤이 귀환하도록 허용한다.
제13도에서 분사밸브는 전환부(32), 하부의 롤링싱리(48), 상부의 롤링 시일(51) 및 분사 밸브 스탬(52)을 구비한다. 지지부재(53)는 스템 전체에 걸쳐 놓여서 전환부(32)에 대향하는 시일(48)의 내측 원주상 부분을 유지한다. 롤링 시일(51)의 내측 원주상 부분은 배기밸브 또는 분사밸브 리테이너(54)에 의하여 지지부재(53)에서 지탱된다. 따라서, 분사밸브는 상술한 바와같이 고정되는 여러 다른 부재에 만들어진 복합체임이 이해될 것이다.
종래예는 통상적으로 분사 밸브 스템(52)에 제공된 나사선에 일치하는 나선을 가짐으로써 리테이너 또는 배기밸브(54)에 분사밸브 조립체 시스템에 나사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기밸브(54)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배기밸브(54)와 분사 밸브 스템(52)에 나선을 가공할 필요가 있고, 조립과정에서 다른 부품에 관하여 어떤 부품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제13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같이, 분사 밸브 스템(52) 또는 배기밸브(54)에는 나선이 없다. 대신에, 배기밸브(54)에는 약간의 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변의 여러부분이 홈으로 되어 있으면서 내부로 경사진 칼라(55)에 제공된다. 분사밸브 스템(52) 자체에는 칼라 또는 돌출부(55)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내측으로 굽어진 정지부(56)에 제공된다. 분사 밸브(26)를 조립할때, 배기밸브(54)를 분사 밸브 스템(52)상에 간단히 위치시키고, 시일(48,51)과 지지부재(53)를 포함하는 모든 상기 부품을 함께 압착하여 스템상에 압착시킨다. 배기밸브(54)는 칼라(55)의 돌출부가 정비부(56)와 맞물리때 까지 분사 밸브 스템(52)에 가압하고, 이에 의해 배기밸브(54)를 분사 밸브 스템(52)상의 영구 위치에 스냅 체결하고 분사 밸브 부품을 영구 위치에서 유지시킨다.
공기모터(11)의 기능에 관하여 기술하면, 분사 밸브(26)는 압력이 챔버(47)내에 존재하는 한 제9도에 도시된 정상 위치에 있게 된다. 고압공기는 모터하우징(12)에 제공된 통로(49)를 통하여 챔버(47)로 유입한다. 상기 통로(49)는 제9 및 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네일러의 핸들(70)에 있는 포트(61)에 상통하는 위치에 놓인 포트(60)에서 끝난다.
각각의 네일러 및 스테이플러 구조는 호환성 있는 원격밸브를 사용한다. 네일러 및 스테이플러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네일러의 원격밸브(75)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원격밸브(75)는 포트(60,61) 및 통로(49)를 통해 챔보(47)로 압축 공기를 보내기 위하여 핸들(70)(또는 스테이플러의 핸들)에 제공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원격밸브는 분사밸브(26)와 공기모터(1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챔버(47)와 함께 포트(61,60) 및 통로(49)를 통해 대기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9 및 10도는 원격밸브(75)의 전체적인 방향을 도시하는데, 원격밸브의 세부사항은 12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원격밸브는 하우징(76), 인서트(77) 및 작용기 스템(78)을 구비한다. 하우징(76)에는 각각의 O링(81,82)을 수용하는 홈(79,80)이 하우징 둘레에 제공된다. 다수의 포트(82)는 하우징벽의 주위에서 이격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홈(79,80) 사이의 영역까지 연장된다. 하우징(76)의 하단부는 나사(84)로 되어 있으므로 제9 및 10도에 도시된 네일러의 핸들(70)(또는 제1도에서 스테이플러의 핸들)에 있는 구멍 또는 보어(85)에 체결될 수 있다. 보어(85)는 핸들을 지나 고압공기실(38)내로 연장한다. O링(81,82)은 보어(85)내에서 핸들(70)에 하우징(76)을 밀폐시키고, 핸들(70)의 공압공기실(38)과 통로(86)를 차단시키고, 하우징(76)의 나사(84)를 통해 대기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로(49) 사이를 연장하며,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포트(60,61)와 같은 통로와 연결된다.
게다가 하우징(76)에는 인서트(77)를 위한 정착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간 계단(88)을 이루는 비교적 매끄러운 내측보어(87)가 제공된다. 상기 계단(88)과 하우징(76)의 상단부에 있는 요홈(89)에서 멀리 벗어나서 하우징(76)은 원주상으로 가공된 홈, 시이트등이 없는 비교적 매끄러운 내측 표면을 가진다. 보어(87)내에는 작용기 스템(78)의 주위로 연장하는 원주상의 스페이서(90)가 설치된다. O링 시일(91,92)이 스페이서의 위와 아래에 놓이고 또한 작용기 스템(78)의 주위에서 원주상으로 놓인다. 스페이서(90)는 이에 바로 접한 스템의 주위에 있는 압축공기를 포트(83)를 통해 통로(86)로 지나가게 하고 다른 방법으로는 작용기 스템(78)의 위치에 의존하여 포트(93)와 포트(83)를 통해 통로(6)로 배출하는 다수의 포트(93)를 구비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작용기 스텝(78)는 불연속적인 여러 표면을 가진다. 예를들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템(78)은 하단부에서 나팔형 또는 아래로 굽어진 굴곡부(102)와 스페이서(90) 및 시일(92)의 영역에 있는 상단부에서 나팔형 또는 아래로 굽어진 굴곡부(103)를 가진다.
작용기 스텝(78)이 스프링(101)에 의하여 최하부 위치까지 연장될 때, 작용기 스텝(78)이 O링 시일(91)과 계합되어, 작용기 스텝(78)의 하단부에 있는 굴곡부(102)를 따라 압축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작용기 스텝(78)을 둘러싸는 챔버(100)O를 밀폐시킨다. 동시에, 챔버(100)는 포트(93,83)를 통하여 분사 밸브로 이어지는 통로(86)와 상통한다. 포트(9)와 네일러의 핸들(70)에 있는 고압공기실(38)을 통하여 챔버(100)에서는 고압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고정구를 박고자하는 경우, 작용기 스텝(78)은 상방향이나, 또는 스프링(101)의 편향에 대향하여 제12도에서 우측 방향으로 작동된다. 상기 작용은 스템(104)을 O링 시일(92)에 대해 상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의하여 포트(93)로부터 챔버(100)를 밀폐시킨다. 동시에, 스템(105)은 우측 또는 상향으로 이동하여 O링 시일(91)에서 떨어지게 된다. 포트(93)에 존재하는 어떤 압축공기고 원격밸브(75)의 하부를 통하여 작용기 스템(78)의 굴곡부(102)를 경유하여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통로(86,49)는 원격밸브(75)를 통해 챔버(47)로 가는 길을 제공한다. 이는 분사 밸브(26)가 실린더 슬리브(25)의 리테이너(29)에서 신속하게 상승하도록 허용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피스톤을 추진시킨다.
하우징(76)의 내측보어는 비교적 매끄러우며, 밸브를 장착하기 위한 어떤 특별한 기계 가공을 요구하지 않는다. 원격밸브(75)의 내부의 모든 밀폐는 하우징(76)내에서 작용기 스템과 함께, O링 시일(91), 스페이서(90), O링 시일(92) 및 인서트(77)를 조립한 결과로써 발생한다. 인서트와, 특히 요홈(89)과 협동하는 돌기(97,98)는 O링 시일(91,92)과 스페이서(90)를 함께 압축하여 필요한 밀폐 상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격밸브가 정상상태에 있을때, 원격밸브(75)는 공압식 공구를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공압식 공구의 핸들(70)에 있는 압축공기를 분사밸브의 위로 전달한다. 원격밸브는 고정구를 박도록 공기 모터(11)의 분사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분사밸브 위에서 고압공기를 차단시키고 챔버들을 분사 밸브 위에서 개방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원격밸브(75)를 조작하는 방아쇠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9,10,14 및 15도에 방아쇠 조립체(110)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네일러 및 스테이플러의 방아쇠는 동일하므로, 네일러에 관련된 방아쇠만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이플러 방아쇠는 장착판(F-2)에 장착되고, 그와 마찬가지로 네일러 방아쇠는 장착판(F-1)에 장착된다. 방아쇠 조립체(110)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방아쇠(14), 안전자물쇠 레버(112) 및 방아쇠 덮개 또는 리테이너(113)를 구비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아쇠(14)는 핀(114)에 장착되어 있고, 스프링(115)에 의하여 핀(114)를 중심으로 하여 편향된다. 핀(116)은 방아쇠(14)를 관통하여 장착된다. 안전 자물쇠 레버(112)는 제14도에서 핀(116)에 의하여 방아쇠(14)에서 피버트식으로 장착되고, 스프링(117)에 의하여 편향된다.
방아쇠 리테이버(113)에는 각 측면에 걸쇠 부재가 제공된다. 특히, 방아쇠 리테이너(113)는 제14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제각기 걸쇠면(121)을 가지면서 상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레그(119,120)를 구비한다. 상기 걸쇠면(121)은 제14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러그(122)와 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걸쇠면(121)이 제1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러그(122)상에 놓여 있을때, 방아쇠 리테이너(113)는 장착판(F-1)내에서 레그(119,120)의 단부에서 유지된다. 또한 방아쇠 리테이너(113)는 아래로 연장하며 장착판(F-1)의 교대(124)(僑臺)와 협동하도록 굽어질 수 있는 한단부에 걸쇠면(123)를 구비한다. 따라서, 걸쇠면(121,123)은 전면판(F-1)내의 제위치에 방아쇠 리테이너(113)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각기 러그(122) 및 교대(124)와 결합된다.
또한, 방아쇠 리테이너(113)는 각 레그의 단부에 직립핀 유니면(1125)을 구비한다. 개별적인 레그(119,120)의 직립핀 유지면(125)은 핀(114)의 개별적인 단부(126,127)와 결합하고 각기 장착판(F-1)의 표면(128,129)에 대해 제위치에 핀(114)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방아쇠 리테이너의 전방 단부는 경사면(131)이 제공되어 있는 직접러그(130)를 구비한다. 방아쇠 리테이너(113)가 제위치에 삽입될때, 캠 표면(131)은 장착판(F-1)과 연결되고, 리테이너를 제위치에 유지하도록 걸쇠면(123)과 결합되고 교대(124)상으로 러그가 삽입될 수 있을 때 까지 러그(130)를 내부에 이동시킨다.
잠시 방아쇠(14)로 돌아가면, 방아쇠는 핀(116)이 장착되는 2개의 직립측면(132,133)(제14도 및 15도)을 가진다. 또한 안전 자물쇠 레버(112)는 상기 양 측면 사이에 연장하며, 손 접촉면(135)의 말단부위(134)에서 방아쇠(14)를 통해 하향 연장된다. 측면(132,133)은 방아쇠(14)의 시계방향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정지러그(136)(제14도)를 형성하도록 연장한다.
전체 방아쇠 조립체(110)는 방아쇠 리테이너(113)의 하단부(137)를 장착판(F-1)에서 외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공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교대(124)상에 갬 표면(123)을 접촉시킴으로써 직립러그(130)를 약간 피버트시키게 되고, 리테이너를 장착판(F-1)에서 전후로 피버트 시킬 수 있게 한다. 일단 방아쇠 리테이너(113)의 하단부가 장착판(F-1)에서 제거되면, 걸쇠면(121)은 러그(122)와 완전히 분리된 리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하여 아래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이것은 핀(114)이 러그(122)에 걸려 장착판(F-1)에서 벗어나 아래로 당겨지도록 하며, 따라서 전체 방아쇠 조립체(110)는 공구에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필요할때 원격밸브를 용이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도록 접근히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이것은 동일한 방아쇠 조립체(110)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형태의 고정구 매거진-핸들 조립체가 공기모터(11)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1,9 및 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듈형 공구(10)에서 네일러나 스테이플러 모듈에 대해서 동일한 세이프티(15)가 제공된다. 세이프티(15)는 모터 하우징(12)과 어댑터판(13)에서 아래로 연장하는 성형 와이어 세이프티 부재로 되어 있다. 세이프티(15)의 최하단부(15a)는 매거진의 후면판 및 전면판의 최하단부 위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장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성형 와이어 세이프티(15)는 최하단부(15a)(제11도)에서 횡단 만곡부를 형성하면서 매거진의 양 측면 아래로 연장할 것이다. 또한 세이프티(15) 상단부에서 그 성형 와이어는 위로 연장하여 장착판(F-1)(스테이플러에서는 F-2)내로 삽입되고, 세이프티(15)의 상단부가 안전 자물쇠(112)와 결합되도록 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만곡부(15b)를 형성하는 상태에서 전면판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유지된다.
제9도 및 14도에서 모듈형 공구(10)가 제9도와 같은 휴지상태에 있을때, 세이프티(15)의 최하단부(15a)는 그 공구와 관련된 모든 다른 구조 아래로 돌출하고, 따라서 상단부 또는 만곡부(16b)는 방아쇠에 관하여 최하부 위치에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는 방아쇠(14)를 손으로 작동시킬지라도, 공기모터(11)는 안전 자물쇠(112)가 원격밸브(75)의 작용기 스템(78)과 연결될 정도로 이동될 수 없다는 사실에 비추어 기능을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공기모터는 스테이플 또는 못이 박히는 표면(S)(제10도)에 인접하게 공구가 놓일때까지 작동될 수 없다.
공구(10)가 제10도에 도시된 표면(S)을 이동하였을때, 세이프티(15)의 최하단부(15a)는 표면과 접하여서 상향으로 밀린다. 이것은 안전 자물쇠(112)가 작용기 스템(78)에 접촉하거나 또는 스템 바로 아래의 지점과 동일한 거리로 만곡부(15b)를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그후에, 반시계 방향으로 방아쇠(14)를 작동시키면 작용기 스템(78)에서 안전 자물쇠(112)는 더욱 상승하게 되고, 작용기 스템(78)은 원격밸브(75)내에서 위로 이동하며, 이에 의하여 분사 밸브(26)상에서 고압공기가 해제되고 통로(49)를 통해 분사밸브와 원격밸브(29)가 통하게 됨으로써 실린더 슬리브 리테이너(29)에서 분사밸브는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고압공기는 피스톤(27)상에 작용하여서 피스톤과 고정구 타격봉(28)으로 고정구를 아래로 추진시킨다.
상술한 바와같이, 모듈형 공구(10)는 여러 가지 다른 고정구 매거진과 고정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고정구 매거진에는 고정구 타격봉을 위한 통로와 타격되기 직전에 각각의 고정구를 위한 타격 스테이션을 형성하는 전면판 및 후면판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이 매거진은 고장 제거를 허용하기 위하여 타격 스테이션으로 이르는 접근 도어를 구비한다. 접근도어의 형상 또는 치수와 이에 관련된 걸쇠기구는 개별적인 매거진에 따라 변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접근도어는 타격봉 경로와 고정구 타격 스테이션을 변환시키질 않고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도어에 관련된 걸쇠장치에 의하여 확고하게 제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종래 접근도어는 처음부터 느슨하게 끼워지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접근도어와 걸쇠장치는 개별적인 매거진에 제공되어서 접근도어를 정확한 위치에 안전하게 부착시킨다. 걸쇠부품 또는 접근도어의 장착은 걸쇠장치가 외측보다는 내측으로 장착되어서 느슨하게 되는 경향을 가지도록 특정한 걸쇠 구조물에 의해 수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특정한 접근도어 및 걸쇠기구가 제1,10 및 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0도에서, 모듈형 공구(10)는 매거진-핸들 조립체(16)를 가지면 전면판(145) 및 후면판(146)를 구비하는 네일러로써 사용되도록 갖추어져 있다. 전면판(145)에는 핀(148)으로써 접근도어(147)가 피버트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면판(145)은 경사면(151)(제10도)을 가지면서 아래로 매어달린 2개의 캠러그(149,150)를 구비한다. 접근도어(147)에는 걸쇠레버(154)가 피버트 가능하게 장착되는 핀(153)을 장착한 직립러그(152)가 제공된다. 걸쇠레버(154)는 가령 드릴링에 의해서 탄성 스프링식 걸쇠베일(158)의 상단 만곡부(157)를 유지하도록 된 아래로 굽어진 측면(155,156)을 가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 및 하단 만곡부는 걸쇠를 폐쇄할때 핀 또는 피버트(153)로부터 접근도어(147)를 향하여 내부로 배치되는 측을 가진다. 따라서, 걸쇠는 도시된 바와같이 쇄정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는 중심 이탈식 걸쇠로 되어 있다. 접근도어(147)을 열 필요가 있을때는, 단지 걸쇠레버(154)를 제10도에서 보았을때 아래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만곡부(157)를 상승시키고, 러그(149,150)의 경사진 캠 표면(151)에서 하단 만곡부(159)를 분리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전방으로 만곡부(157)를 이동시킨다.
제11도에서, 하단 만곡부(159)는 전면판(145)상에 장착된 러그(149,150) 사이에서 연장하며, 접근도어(147)의 후미면과 연결되어 도어를 닫힌상태로 유지한다. 하부 만곡부(159)가 접근도어(147)와 러그(149,150)의 캠 표면(151) 사이에 삽입될때, 접근도어(147)는 폐쇄위치로 추진된다. 걸쇠장치의 하단 만곡부(159) 또는 다른 부품이 마모되면, 경사진 캠 표면(151)을 따라 약간 내측으로 하단 만곡부(159)를 당김으로써 접근도어(147)를 정확한 위치의 쇄정 상태로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굽어진 걸쇠 베일(158)이 허용하는 탄성은 하단 만곡부(159)에서의 스프링 장력을 내측으로 추진시키는 경향으로 유지하며, 이에 따라 폐쇄위치에 접근도어(147)를 유지하는 일정한 스프링 편향력을 제공하게 된다.
모듈형 공구와 관련된 접근도어 및 걸쇠나 네일러로써 결합된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스테이플 또는 다른 형태의 적합한 고정구용의 접근도어 및 걸쇠도 유사하게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핸들 집합체(17)(제1도)를 이용하는 스테이플러로써 결합되는 경우, 본 발명은 고정구 타격봉(28) 아래의 타격 스테이션으로 스테이플을 전방으로 추진시키기 위한 개량된 스테이플 공급 모터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테이플 매거진(18)(제1도)은 모터하우징(12)의 부착판(13)에 부착되어 전방 및 후방 받침판(19,20)을 구비하는데, 받침판 사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배치되는 타격 스테이션(21)을 형성한다. 다수의 스테이플(12)이 운방체(23)에 의하여 타격 스테이션을 향하여 전방으로 추진되고, 스테이플은 피버트식 스테이플 덮개(24)에 의해 덮여있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 매거진(18)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제2 내지 4도를 참고로 운반체(23)와 구동모터(165)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테이플 매거진(18)은 제2도에서 도시된 화살표(A) 방향으로 활주 운동이 가능하도록 스테이플(22)이 배치되어 있는 스테이플 레일(166)을 구비한다. 운반체(23)는 일련의 스테이플(22)에 있는 최종의 스테이플(S-1)과 접촉하기 위하여 스테이플 레일(166)에 끼워진 U형상의 스테이플 추종부 또는 추진기(167)를 구비한다. 운반체(23), 특히 추종부(167)에는 스테이플 매거진(18)내로 스테이플을 추가로 삽입하기 위하여 후미로 당겨져서 연결될 수 있는 수동 조작시 탭(168)이 부착된다. 스테이플 매거진(18)은, 예를들어, 스테이플 레일(166)에서 스테이플을 안내하고 게다가 전체 스테이플 매거진(18)의 구조적 강도를 위하여 안내부재(169,170)를 구비할 수 있다.
운반체(23)에는 탭(168)의 몸체와 나사식으로 연결된 볼트(171)에 의하여 스테이플 공급 모터 또는 구동 모터(165)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 모터는 스프링 단부(174)에는 기둥(173a)에 고정된 평면 코일 스프링(173)을 둘러싸는 풀리(172)를 구비한다.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지점(175)에서 풀리(172)에 고정된다. 케이블(176)은 매거진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홈(177)에서 풀리에 감겨있다. 탭(168)을 후미로 잡아당기면 풀리에 케이블(176)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풀린다. 이렇게 풀리는 경우, 평면 코일 스프링(173)이 코일 형태로 감기거나 긴장되는 경향이 있다. 그 다음에 스테이플은 스테이플 레일(166)에 적재되고, 운반체는 해제되어 스테이플(22)의 최종 스테이플(S-1)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 전체 집단이 타격 스테이션(21)를 향하여 전방으로 추진된다. 이러한 특별한 구조의 공급모터로 인하여 종래 사용했던 정력(定力)의 평탄한 스프링이 감기고 풀리는 문제점이 배제되는바, 종래의 스프링은 그것이 하우징으로부터 연장하기 때문에 스테이플러의 요소들 및 주의 환경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았었다. 운반체(23)에 고정되어서 동기 스프링을 둘러싸는 풀리(172)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구동부를 깨끗하고 매끄럽게 작용하는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모든 구동 요소들이 매거진의 상단보다는 측면에 장착됨으로써 스테이플 레일(166)에 스테이플을 상단에서 적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단 적재식 스테이플 매거진(18)의 특정한 세부사항이 제1 내지 제4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스테이플 매거진(18)에는 후미 단부에서 핀(202)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피버트식 스테이플 덮개(24)가 제공된다(제3 및 제4도). 스테이플 덮개(245)의 전방 단부도 그러한 핀(도시되지 않음)으로 스테이플 매거진(18)의 전방 단부에 유사한 방법으로 동축상으로 연결된다. 스프링(203)은 제3도에 반시계 방향으로 스테이플 덮개(24)를 추진한다.
스테이플 덮개(24)는 측면부(204) 및 상단부(205)를 구비한다. 덮개가 정상적인 폐쇄 상태에 있을때, 상단부(205)는 스테이플 레일(166)의 최소한의 부분을 덮고, 체결장치(10)가 전복될지라도 레일에서 스테이플이 이탈하지 않게 한다.
스테이플 덮개(24)의 측면부(204)는 대체로 매거진의 전방 단부에서 후미 방향으로 곧게 연장된다. 그러나, 스테이플 매거진(18)의 후미단부 부근에서 측면부(204)는 스테이플 레일(166)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부(206)를 이룬다.
제3도에서, 스테이플 덮개(24)의 측면부(204)는 추종장치가 스테이플 레일(166)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도록 추종부 모터 풀리(172)에서 충분하게 떨어져 있다. 스테이플 레일(166)에 스테이플을 추가로 적재하고자 할 때는 탭(168)을 손으로 움켜쥐어서 후미로 당긴다. 이것은 풀리(172)를 후미로 이동시키며, 후미에서 풀리는 스테이플 덮개(24)의 내향한 경사부(206)와 접촉하고, 전체 덮개를 제3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P)까지 외측으로 피버트식으로 이동시킨다. 위치에서, 스테이플 덮개(24)의 상단부(205)는 스테이플 레일(166)의 측면으로 이동하고, 스테이플 레일(166)에 스테이플을 추가로 놓을 수 있는 적절한 틈새가 제공된다. 일단 이러한 과정이 완료되면, 추종부(167)(제2 및 4도)는 해제되어서 스테이플 레일(166)상의 스테이플을 전방으로 추진한다. 풀리(172)는 스테이플 덮개(24)의 경사부(206)를 해제시킬때, 덮개는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작동 위치까지 스프링 편향력에 의해 귀환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 레일(166)의 후미 단부에서 추종부 포착홈(207)이 제공된다. 적재하기 위하여 스테이플 덮개(24)가 피버트식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위치까지 추종부를 후미로 당길때, 추종부의 요소(208)는 추종부 포착홈(207)내로 삽입되어서, 전체 추종 장치를 후미에서 유지하게 되며, 스테이플 덮개(24)를 피버트식 이동시켜 개방하여 적재한다. 그후에 탭(168)은 아래로 밀리고, 요소(208)는 최종부 포착홈(207)에서 퇴거되고, 추종부(167)는 스테이플 레일(166)에 새로이 적재된 최후미의 스테이플과 접하게 된다. 동시에 풀리(172)는 스테이플 덮개(24)의 경사부(206)에서 퇴거되어 덮개를 폐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듈식 공구(10)를 뒤집힌 위치에서 조작할지라도 스테이플이 우연히라도 떨어지지 않는 상단 적재식 매거진을 제공한다.
못 매거진(16a) 및 못 추종 장치의 세부사항이 제1도 및 제5 내지 8도에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다.
못 매거진(16a)은 최후미 못(N-1)을 가지는 못 고정구들의 스트립(N)(제5도)을 수용 및 안내하기 위한 신장된 못 적재소 또는 못 경로(221)를 형성하는 못 매거진 몸체(220)를 구비한다. 못 스트립(N)은 보통 산업상 공지된 바와같이 조립 이전의 임시로 집합된 못 스트립으로 알려져 있다.
못 경로(221)는 전방단부(222)에서 개방되고, 스테이플에 반하여못을 위해 적절한 형태인 점을 제외하면 상기에 기술한 스테이플러의 타격 스테이션(21)과 유사한 타격 스테이션(219)와 상통한다. 타격 스테이션(219)은 못 매거진(16a)의 전면판(145) 및 후면판(146)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타격 스테이션에는 스테이플 매거진에 관하여 기술한 것과 유사한 걸쇠 수단을 가지는 접근도어(147)가 제공된다. 못 경로(221)는 또한 못 스트립을 수용하기 위해 후미 단부(223)에서 개방된다. 못 매거진 몸체(220)는 핸들(70)에 연결되는 프레임(224)에 작동상 연결되고, 또한 프레임(224)은 못 추종 장치를 위한 가이드 또는 지지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5도에서, 추종부(230)에는 추종부 블레이드(231)가 장착된다. 추종부(230)에 있는 탭(232,233)을 쥐고 후방으로 당김으로써 고정구를 적재할 수 있다.
추종부(230)는 못 매거진 몸체(220)를 따라 전후 왕복 방향으로 추종부(230)를 안내하기 위하여 프레임(224)과 활주 관계로 배치된 상단의 가이드(234,235)를 구비한다. 또한, 추종부(230)는 못 매거진(16a)에 추종부(230)를 활주 가능하게 장착하는데 조력하기 위하여 못 매거진 몸체(220)의 외측면과 활주 가능하게 접촉하는 측면의 가이드(236,237)를 구비한다. 가이드(234 내지 237)는 일체식 추종부(230)를 형성하기 위하여 탭(232,23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종부 블레이드(231)는 못 경로(221) 내부에서 추종부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추종부(230)에 장착된다. 덧붙여, 추종부 블레이드(231)는 제6 및 7도에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횡단 운동이 가능하게 추종부(230)에 장착된다. 추종부 블레이드(231)에 체결되는 사나(240)는 측면 가이드(236)에 대향하여 스프링(241)에 의해 스프링 부하를 받는다. 보통 스프링(241)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로(221)의 측면에 대향하여 그리고 상단으로 추종부 블레이드(231)를 추진한다. 따라서, 나사(240)는 추종부(230)에 추종부 블레이드(231)를 장착시킨다. 또한, 추종부 블레이드(231)에는 블레이드 안내부로써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프레임(224)과 못 매거진 몸체(220)(제6 및 7도) 사이에서 활주 가능하게, 그리고, 못 매거진 몸체(220)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연장 돌출물(224,245)이 제공된다.
못 매거진 몸체(220)에는 요홈(242)이 제공되고, 프레임(224)에는 슬롯(243)이 제공된다. 요홈(242) 및 슬롯(243)은 일반적으로 못 매거진(16a)의 후미단부(223)의 부근에 배치되고, 못 적재하기 위해 블레이드를 후미로 당길 때 추종부 블레이드(231)의 일부를 수용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할때에, 추종부(230)는 못 스트립(N)의 최종 못(N-1)으로 향하여 전방으로 추종부(230)를 끌어 당기기 위하여 하우징(246)(제9도)에 내장되는 정력 스프링(247)에 부착된다. 상기 스프링은 타격 스테이션(219)으로 못을 순차적으로 편의시킨다. 못을 추가로 적재하고자 할때는 탭(232,233)을 움켜주고 추종부 블레이드(231)와 함께 추종부(230)를 후미로 끌어 당긴다. 추종부 블레이드(231)가 요홈(242)에 인접한 지점까지 후미로 이동하고 돌출물(244,245)을 지탱하는 블레이드 부분이 슬롯(243)에 인접할때 까지 추종부 블레이드(231)는 못 경로(221)를 봉쇄한다. 이 지점에서, 스프링(241)은 추종부 블레이트(231)를 요홈(242)내로 밀어낸다. 돌출물(244,245)을 지탱하는 추종부 블레이드(231)의 부분은 측방으로 슬롯(243)에 들어가게 된다.
이 지점에서는 못 경로(221)에서 횡으로 퇴거된 추종부 블레이드(231)는 못 경로(221)의 후미 단부를 봉쇄하지 않으며, 못 스트립(N)은 매거진(16a)의 후미 단부(223)로부터 경로(221)의 요홈내로, 그리고, 블레이드(23)를 지나서 적재될 수 있다. 일단 못 스트립(N)을 적제한 후에는 나사(240)를 내부로 밀어서 요부 및 슬롯(243)으로부터 추종부 블레이드(231)를 해제한다. 추종부(230)는 못 경로(221)내에 있는 추종부 블레이드(231)가 최종 못(N-1)과 접촉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못이 일렬로 이동될 수 있는 타격 스테이션(219)으로 전체 못 스트립(N)을 밀게된다.
또한, 추종부 블레이드(231)는 타격 스테이션(219)에서 최종 못(N-1)과 확고히 접촉하고 보호 유지한다. 타격 스테이션(219)에서는 추종부 블레이드(231)를 위한 횡단하는 요홈이 없기 때문에, 최종의 못은 매거진에서 경로(221)를 따라 후미로 떨어지거나 경사지는 일이 없이 확고하게 보호 유지된다. 동시에, 후미로 횡단하는 요홈(242) 및 슬롯(243)은 적재를 위해 경로(211)에 어떤 장해물이 없도록 추종부 블레이드(231)를 수용한다.
이에 따라 못은 매거진에서 후미로 추종부를 이탈시키지 않고 매거진(16a)의 후미 단부에서 적재될 수 있다.
공구(10)의 모듈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각각의 매거진-핸들 조립체(16,17)는 어댑터판(13)과 각각의 전면판(F-1,F-2)에 의하여 모터 하우징(12)에 용이하고 호환성 있게 고정된다. 특히, 어댑터판(13)은 게다가 종속하는 러그(185)를 구비하고, 제10도에 도시된 못 매거진의 전면판(145) 및 후면판(146)과 같은 매거진의 전면판 및 후면판을 제공하여 볼트(186)로서 어댑터판(13)에 있는 모터 하우징의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전면판 및 후면판(145,146)의 상단부는 강도를 위해 위로 연장하여 어댑터판(13)내로 삽입된다. 또한, 제9 및 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70)과 같은 각각의 매거진의 핸들이 장차판(F-1,F-2)의 플랜지로 부터 하우징 주물내로 연장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모터 하우징(12)에 고정된다. 이런 관점에서, 핸들(70)은 방아쇠(14)의 정지 러그(136)와 접촉하기 위한 정지 교대(188)(제14도)를 제공한다. 스테이플 매거진과 다른 체결구의 매거진을 위한 핸들을 모터 하우징(12)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유사하게 제작되고, 원격 밸브(75)는 각각의 핸들에 제공되며 또한 각각의 핸들간에 호환 가능하다.
못 매거진-핸들 조립체(16)에서는, 못 매거진은 30° 내지 45°의 범위에서 수평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며, 반면에 핸들은 수평에서, 즉 고정구 타격봉(28)에 의하여 정해진 추진축과 공기 모터(11)의 실린더 슬리브(25)의 측에 대하여 수직으로부터 약 5° 내지 20°의 범위에서 상향으로 연장한다.
동시에, 스테이플 매거진-핸들 조립체(17)는 고정구 타격봉(28)에 의해 정해진 추진축과 실린더 슬리브(25)의 종축에 대하여 대략적인 수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모듈형 공구(10)는, 못 또는 스테이플을 박기 위해서 매거진 및 핸들의 특정한 형태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못 또는 스테이플이나 다른 형식의 체결구를 추진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동시에 못 또는 스테이플을 박기 위해 어떤 부품을 장착하든지에 관계없이, 공구(10)에 여러가지 호환성 부품과 함께 안전한 세이프티를 제공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인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원 발명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이 숙련된 자라면 사용시에 본 발명의 공구(10)가 어떤 방향이라도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상단, 하단, 하향, 상향등과 같은 술어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단지 첨부 도면과 관련되어 사용된다.

Claims (5)

  1. 개별적인 매거진으로부터 스테이플 및 못과 같은 고정구를 선택적으로 추진하여 박는 모듈형 공압식 공구에 있어서, 실린더(25), 피스톤(27) 및 분사밸브(26)를 구비하는 공기 모터(11), 고정구를 박도록 상기 피스톤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고정구 타격 수단(28), 상기 공기 모터(1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타격 수단(28)이 통과하여 연장하는 개방 단부를 가지는 공기 모터 하우징(12), 전방 및 후미 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16a 또는 18), 전방 및 후미 단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70), 상기 핸들(70)의 전단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을 상기 공기 모터(11) 및 상기 공기 하우징(12)과 작동적으로 상호 연결시키도록 된 장착판(F-1 또는 F-2)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어 그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어댑터판(13)을 구비하며, 상기 매거진(16a,18)과 상기 핸들(70)은 그들 각각의 후미 단부에서 함께 부착되고 전단부에서는 상호 독립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판(F-1,F-2) 및 상기 핸들의 전단부는 상기 모터 하우징(12)의 측면에 분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어댑터판 수단(13)은 각각의 고정구들을 상기 타격 수단(28) 아래의 타격 스테이션을 형성하는 위치로 순서적으로 공급하는 작동 위치에서 개별적인 못 매거진(16a)과 스테이플 매거진(18)을 작동가능하게 수용하고 부착하는 수단(18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들은 상기 어댑터판 수단(13)을 통해서 연장하는 상기 타격 수단(28)에 의하여 상기 타격 스테이션에서 타격될 수 있으며, 상기 개별적인 매거진들(16a,18)의 전단부가 상기 어댑터판 수단(13)에 장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 및 못과 같은 고정구들을 선택적으로 추진하여 박는 모듈형의 공압식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적인 매거진이 각기 전면판(145,19) 및 후면판(146,20)을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판 수단(13)의 상기 외표면 상의 상기 수용 및 부착 수단(185)는 그것에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18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의 공압식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매거진(16,17)과 상기 공기 모터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핸들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매거진은 못(16a)을 작동가능하게 보호 유지하고 다른 한 매거진(18)은 스테이플을 작동가능하게 보호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의 공압식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F-1,F-2)에는 상기 공기 모터(11)를 작동하는 분리가능한 방아쇠 수단(110)을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된 요홈 수단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의 공압식 공구.
  5. 제4항에 있어서, 못 매거진(16)이 상기 어댑터판 수단(13)에 작동 가능하게고정된 후면판(146)이 구비하고, 상기 못 매거진(16a)의 상기 후면판(146)이 용접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의 공압식 공구.
KR1019850009146A 1984-12-07 1985-12-05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공구 KR920009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9533 1984-12-07
US06/679,533 US4688710A (en) 1984-12-07 1984-12-07 Modular tool having interchangeable handle and magazine uni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4698A KR860004698A (ko) 1986-07-11
KR920009969B1 true KR920009969B1 (ko) 1992-11-09

Family

ID=2472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146A KR920009969B1 (ko) 1984-12-07 1985-12-05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공구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4688710A (ko)
EP (1) EP0184468B1 (ko)
JP (1) JPH0649278B2 (ko)
KR (1) KR920009969B1 (ko)
CN (1) CN1010197B (ko)
AT (1) ATE61269T1 (ko)
AU (1) AU578764B2 (ko)
CA (1) CA1259451A (ko)
DE (2) DE3582021D1 (ko)
DK (1) DK566085A (ko)
ES (1) ES8700121A1 (ko)
FI (1) FI854802A (ko)
GR (1) GR852944B (ko)
IN (1) IN166485B (ko)
MY (1) MY100437A (ko)
NO (1) NO160337C (ko)
NZ (1) NZ214211A (ko)
PT (1) PT81616B (ko)
ZA (1) ZA8587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2562A (en) * 1989-07-14 1991-11-05 Senco Products, Inc. Portable power fastening tool
JPH049704U (ko) * 1990-05-15 1992-01-28
US5163596A (en) * 1990-11-08 1992-11-17 Fastech, Inc. Portable pneumatic tool employing improved magazine feed, eject and jam-clearing technique
US5642849A (en) * 1995-12-01 1997-07-01 Lih Jie Industrial Co., Ltd. Barrel unit with a removable cover plate for a nail driving gun
US6260519B1 (en) * 1997-12-31 2001-07-17 Porter-Cable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fastener driving tool accelerator plate
US6045024A (en) * 1997-12-31 2000-04-04 Porter-Cable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fastener driving tool intake reed valve
USD410182S (en) 1997-12-31 1999-05-25 Porter-Cable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fastener driving tool
US6158643A (en) * 1997-12-31 2000-12-12 Porter-Cable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fastener driving tool piston and piston ring
US6006704A (en) * 1997-12-31 1999-12-28 Porter-Cable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fastener driving tool fuel metering system
US6016946A (en) * 1997-12-31 2000-01-25 Porter-Cable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fastener driving tool shuttle valve
US6041603A (en) * 1997-12-31 2000-03-28 Porter-Cable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fastener driving tool accelerator plate
US6189759B1 (en) * 1999-08-06 2001-02-20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Fastener driving device with enhanced magazine latch assembly
US6056182A (en) * 1999-08-26 2000-05-02 Chen; Wilson Staple ejection device for a power stapler
US6149046A (en) * 1999-11-01 2000-11-21 Basso Industry Corp.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ejecting mechanism from hitting pushing member in a magazine of a power stapler
US6076722A (en) * 1999-12-07 2000-06-20 Besco Pneumatic Corp. Secure device for pivotally securing a top cover on a power stapler
US6454151B1 (en) * 2000-07-17 2002-09-24 Lin Wang-Kuan Power stapler
JP2002086367A (ja) * 2000-09-14 2002-03-26 Max Co Ltd 釘打ち機
JP3757786B2 (ja) * 2000-11-17 2006-03-22 日立工機株式会社 釘打機のマガジン装置
TW498822U (en) * 2000-12-26 2002-08-11 Apach Ind Co Ltd Positioning mechanism for panel of nailing gun
US6318617B1 (en) * 2001-04-27 2001-11-20 Cheng-Tsung Cheng Box nailing machine with a position-adjustable nail stopper
US6325268B1 (en) * 2001-04-30 2001-12-04 Lin Chi Liang Vibration controlling construction of a quick-release member for a fastening element driving tool
US6409068B1 (en) * 2001-11-21 2002-06-25 Yun Chung Lee Quick detachable fastener cover structure for fastening tool
EP1350604A3 (en) * 2002-04-05 2007-07-25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Fastener driving device
US6854631B2 (en) * 2002-04-05 2005-02-15 Stanley Fastening Systems, L.P. Pneumatic tool with self-sealing diaphragm valve system
US6926186B2 (en) * 2002-07-22 2005-08-09 North American Green, Inc. Fastener insertion device
US7025242B1 (en) * 2002-09-18 2006-04-11 Black & Decker Inc. Adjustable angle magazine
US20060102683A1 (en) * 2002-09-18 2006-05-18 Schnell John W Adjustable angle magazine with pick-off pivot assembly
US6609647B1 (en) * 2002-11-14 2003-08-26 Basso Industry Corp. Staple positioning device for stapling gun
US6641020B1 (en) * 2003-02-07 2003-11-04 Bentley Fastening Tools Co., Ltd. Nail box device for a nailing gun
US6910611B2 (en) * 2003-08-18 2005-06-28 Basso Industry Corp. Apparatus for adjusting width of drive channel of nailer
US7083074B2 (en) * 2003-12-24 2006-08-01 Apach Industrial Co., Ltd. Fastening structure for cover and top seat of magazine of stapling gun nose
US7641089B2 (en) * 2004-04-02 2010-01-05 Black & Decker Inc. Magazine assembly for nailer
CN100339188C (zh) * 2004-10-25 2007-09-26 力偕实业股份有限公司 打钉枪高稳定性钉槽顶盖结构
US20060191973A1 (en) * 2005-02-25 2006-08-31 Basso Industry Corp. Nail stopper for a skew nailing gun
JP5034177B2 (ja) * 2005-05-25 2012-09-26 マックス株式会社 打込み工具の安全装置
US20070090148A1 (en) * 2005-10-20 2007-04-26 Jeil Tacker Co., Ltd. Coil nailer for construction finish material
US20070095875A1 (en) * 2005-11-03 2007-05-03 Pneutools, Incorporated Single-blow pneumatic nailing tool
US20070251970A1 (en) * 2006-02-28 2007-11-01 Cox Pamela L Spring-loaded desktop stapler with interchangeable staple cartridges
US7946464B2 (en) * 2006-05-01 2011-05-24 Laboratoire Primatech Inc. Actuator housing having a releasable actuator cartridge for use on hardwood flooring pneumatic nailers
JP4569520B2 (ja) * 2006-05-23 2010-10-27 日立工機株式会社 打込機
JP2007069345A (ja) * 2006-11-16 2007-03-22 Hitachi Koki Co Ltd 空気式打込機
US8899460B2 (en) * 2007-06-12 2014-12-02 Black & Decker Inc. Magazine assembly for nailer
TWI434754B (zh) * 2007-08-17 2014-04-21 Rexon Ind Corp Ltd Nailer rotation device
TW200909147A (en) * 2007-08-21 2009-03-01 Rexon Ind Corp Ltd Spiking guide unit of nail gun
CN101396816B (zh) * 2007-09-27 2010-09-22 力山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可切换推钉片的推钉装置
US20100078461A1 (en) * 2008-09-30 2010-04-01 Roger Shen Stapler Gun
US8444035B2 (en) * 2010-08-18 2013-05-21 Q.E.P. Co., Inc. Pneumatic staple or nail gun with dual trigger mechanism
US11229995B2 (en) 2012-05-31 2022-01-25 Black Decker Inc. Fastening tool nail stop
US9649755B2 (en) 2012-05-31 2017-05-16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having angled dry fire lockout
US9498871B2 (en) 2012-05-31 2016-11-22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raving spring curl trip actuator
US9486904B2 (en) 2012-05-31 2016-11-08 Black & Decker Inc. Fastening tool nosepiece insert
US9643305B2 (en) 2012-05-31 2017-05-09 Black & Decker Inc. Magazine assembly for fastening tool
US9827658B2 (en) 2012-05-31 2017-11-28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having latched pusher assembly
US9469021B2 (en) 2012-05-31 2016-10-18 Black & Decker Inc. Fastening tool nail channel
US10414033B2 (en) 2012-10-04 2019-09-17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hall effect mode selector switch
US9662777B2 (en) 2013-08-22 2017-05-30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Pneumatic fastener driver
US10434634B2 (en) 2013-10-09 2019-10-08 Black & Decker, Inc. Nailer driver blade stop
CN103894973B (zh) * 2014-04-11 2015-12-16 河北万迪机械制造有限公司 射钉枪
US10173310B2 (en) 2015-02-06 2019-01-0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Gas spring-powered fastener driver
GB2556471B (en) * 2015-05-27 2021-09-22 Koki Holdings Co Ltd Driving machine
DE112018002197T5 (de) * 2017-04-28 2020-01-09 Koki Holdings Co., Ltd. Treiber
US20200086469A1 (en) * 2017-06-04 2020-03-19 JBT America, LLC Universal Pressure Tool for Fastening
CN109227206B (zh) * 2017-07-04 2024-03-22 浙江金火科技实业有限公司 空调节止阀阀杆全自动加工车床
US11110577B2 (en) 2017-11-16 2021-09-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neumatic fastener driv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5268A (en) * 1959-10-05 1962-05-22 Modernair Corp Pneumatically-operated fastener driving machine
US3037207A (en) * 1960-04-06 1962-06-05 Swingline Ind Corp Fastening device
GB1068755A (en) * 1964-08-24 1967-05-10 Signode Corp Pneumatically operated fastener driving tool
US3672029A (en) * 1970-09-30 1972-06-27 Eaton Yale & Towne Fastener driving apparatus
US3708096A (en) * 1971-04-28 1973-01-02 Textron Inc Pneumatically actuated fastener driving device with improved piston return air system
US4011785A (en) * 1971-06-16 1977-03-15 Bliss & Laughlin Ind., Inc. Nail and powered nailer
US3834602A (en) * 1973-01-26 1974-09-10 Fastener Corp Fastener driving tool
US4033499A (en) * 1975-10-20 1977-07-05 Butler David J Fastener applicators
DE2601836C3 (de) * 1976-01-20 1982-03-04 Joh. Friedrich Behrens AG, 2070 Ahrensburg Ventilanordnung für einen Druckluftnagler
IT7904909V0 (it) * 1979-08-09 1979-08-09 Fasco Srl Meccanismo di scatto per pistola chiodatrice a valvola in testa
US4304349B1 (en) * 1979-10-09 1996-02-27 Duo Fast Cord Fastener driving tool
DE3125860C2 (de) * 1981-07-01 1983-12-15 J. Wagner Gmbh, 7990 Friedrichshafen Elektrisch betriebenes Handarbeitsgerät
US4467952A (en) * 1983-01-03 1984-08-28 Senco Products, Inc. Latch assembly for the front gate of the guide body of an industrial fastener driving tool
DE3341980A1 (de) * 1983-11-21 1985-07-04 Hilti Ag, Schaan Druckluftnag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88710A (en) 1987-08-25
CN85109408A (zh) 1986-07-16
JPS61182782A (ja) 1986-08-15
CN1010197B (zh) 1990-10-31
FI854802A (fi) 1986-06-08
NO160337C (no) 1989-04-12
PT81616B (en) 1987-01-07
JPH0649278B2 (ja) 1994-06-29
DK566085D0 (da) 1985-12-06
PT81616A (en) 1986-01-02
ZA858747B (en) 1986-07-30
KR860004698A (ko) 1986-07-11
AU578764B2 (en) 1988-11-03
ES549670A0 (es) 1986-10-01
EP0184468A1 (en) 1986-06-11
GR852944B (ko) 1986-02-13
DE3582021D1 (de) 1991-04-11
DK566085A (da) 1986-06-08
CA1259451A (en) 1989-09-19
DE8534353U1 (de) 1986-05-22
NO160337B (no) 1989-01-02
ATE61269T1 (de) 1991-03-15
MY100437A (en) 1990-09-29
NO854735L (no) 1986-06-09
EP0184468B1 (en) 1991-03-06
FI854802A0 (fi) 1985-12-04
ES8700121A1 (es) 1986-10-01
AU5020485A (en) 1986-07-10
IN166485B (ko) 1990-05-19
NZ214211A (en) 198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969B1 (ko) 고정구를 박는 공압식공구
US4197974A (en) Nailer
CA1138151A (en) Fastener driving tool
US8220686B2 (en) Actuator pin guide for a fastener driving tool
EP0830239B1 (en) Fastener length adjustable canister-type magazine for a fastener driving tool
EP0644020A2 (en) Fastener driving device
US8152038B2 (en) Nose assembly for a fastener driving tool
WO2006062521A1 (en) Fastener driving device with automatic dual-mode trigger assembly
US6926186B2 (en) Fastener insertion device
US4294391A (en) Fastener driving tool
US4251017A (en) Fastener driving tool
US2714209A (en) Closure means for staple driveway
AU2017290144B2 (en) Cordless concrete nailer with removable lower contact trip
US20090057367A1 (en) Pneumatic tool actuation device
WO2005118226A1 (en) Arcuate fastener nailing device for hardwood flooring
US20090114697A1 (en) Magazine for wired-collated fasteners with automatic loading
US20220355460A1 (en) Gas spring fastener driving tool with removable end cap for performing maintenance or service
JPH10193280A (ja) 固着具打込機の給送装置
JPH08112779A (ja) 空気圧式固着具打込機
CA2562970C (en) Arcuate fastener nailing device for hardwood flooring
JP2006341334A (ja) 打込み工具におけるコンタクトトップ収納構造
JPS6442055A (en) Disk driving device
JP2001200876A (ja) 釘打機におけるプッシャー用ゼンマイバネ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