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086B1 -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086B1
KR920009086B1 KR1019880001543A KR880001543A KR920009086B1 KR 920009086 B1 KR920009086 B1 KR 920009086B1 KR 1019880001543 A KR1019880001543 A KR 1019880001543A KR 880001543 A KR880001543 A KR 880001543A KR 920009086 B1 KR920009086 B1 KR 920009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output
burner
main
main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282A (ko
Inventor
히데오 오까모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8001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6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with provision for a retention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23N5/2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5/00Valves, nozzles or pumps
    • F23N2235/12Fuel valves
    • F23N2235/14Fuel valves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02Controlling two or more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시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시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시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시 설명도.
제6도, 제7도, 제8도는 그 타임챠아트.
제9도는 종래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대 주버너 3 : 소 주버너
6 : 제1타이머 7 : 제2타이머
8 : 능력설정기 12 : 시동 스위치
21, 31 : 전자밸브 81 : 제1출력단자
82 : 제2출력단자 83 : 제3출력단자
본 발명은 대,소 2개의 주버너를 구비한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떠한 능력설정 상태에 있어서도 먼저 가스토출량이 적은 소 주버너에 점화하고, 능력설정에 맞추어 또다른 대 주버너에 불이 옮겨짐으로서 대 주버너의 연소개시 초기에 있어서의 격심한 폭발점화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옥외설치형의 급탕기등에서는 계절이 바뀔 때나 외기온도의 변화등으로 연소능력을 변화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고, 이것은 급탕기에 공급되는 수도물의 온도가 비교적 낮은 조건하에서는 급탕기의 연소능력을 높게 설정하고, 반대로 외기온도가 비교적 높은 조건하에서는 연소능력을 낮게 설정하여 계절이나 외기온도에 적합한 능력으로 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형식의 급탕기로서는, 예를 들면 제9도에 도시한 구조가 있다. 이 형식의 급탕기는, 열교환기(1)내에 크고, 작은 2개의 주버너(2),(3)가 병설됨과 동시에 이들 양 주버너 사이에는 파이롯트 주버너(4)를 설치하여, 이 파이롯트 주버너(4)에서, 대,소 각 주버너(2),(3)중 어느 쪽으로도 불을 옮겨서 점화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스회로 내에는, 상기 각 주버너(2),(3)에 각각 별도로 대응하는 전자밸브 (21),(31)가 끼워져 있으며, 이들 전자밸브(21),(31)의 상류측으로부터는 파이롯트 주버너(4)에 이르는 가스유로가 갈라져 있다.
이것은, 여름철등의 고온조건하에 있어서는, 주버너측의 전자밸브(31)만을 열어서 소 주버너(3)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봄, 가을 등의 중간 온도조건하에서는 대 주버너측의 전자밸브(21)만을 열어서 주버너(2)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다시 겨울철등의 저온조건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 양 전자밸브(31),(21)를 모두 열어 소 주버너(3) 및 대 주버너(2)를 같이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기구가 사용가능 상태로 셋트되어 있는 경우는, 대 주버너(2)나 소 주버너(3)는 소화상태에 있을 때일지라도 항상 파아롯트주버너(4)가 연소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를 낭비하게 된다.
그러므로 파이롯트 주버너(4)에 의한 가스의 낭비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대소 각 주버너(2),(3)에 각각 따로 대응한 점화기(Igniter)를 배설하여 이 점화기에서 불꽃을 발생시켜 주버너에 점화하는, 소위 직접 점화방식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직접 점화방식을 채용하면, 대 주버너(2)를 점화할 때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격심한 폭발점화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 폭발점화는 점화기에서의 방전으로 주버너에 직접 점화할 때, 그 연소량이 아주 클 경우에는 점화 확율이 낮고 씨불에서 주버너에 옮기는 씨불 점화방식에 비하여 주버너의 착화율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접 방견하여 점화시키는 소위 직접 점화의 경우, 특히 대 주버너(2)에의 점화시에 방전개시에서 점화까지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점화전에 다량의 생가스가 대 주버너(2)에서 방출되고 이 대 주버너(2)가 점화할 때에는 상기와 같이 방출된 다량의 가스가 순간적으로 타서 격심한 폭발점화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대, 소 2개의 주버너(2),(3)에의 가스회로를 이들에 각각 대응시킨 전자밸브(21),(31)에 의하여 개폐함과 동시에 직접 점화방식을 채용한 2련 버너식 가스시구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대 주버너(2)의 점화시에 있어서의 격심한 폭발점화를 방지하기 위해 용량은 작은 반면에 큰 폭발점화는 일으키기가 어려운 소 주버너(3)로부터 불이 옮겨지게하여 타측의 대 주버너(2)를 연소시키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한 개념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시동스위치(12)의 투입으로 일정시간 동안 동작하고 또 소 주버너(3)의 근방에 배설한 점화수단(10)과 상기 시동스위치(12)의 투입에 의하여 통저상태로 되는 능력설정기(8)와, 상기 능력설정기(8)의 3개의 출력단자(91),(82),(83)중 어느 출력에 의해서도 밸브가 열리고 또 소 주버너(3)에의 가스회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31)와, 능력설정기(8)의 출력측을 제2출력단자(82)에 셋트한 때만 작동하는 제1타이머(6)와 능력설정기(8)의 출력측을 제2, 제3출력단자(82),(83)에 셋트한 때는 어느 것에 있을지라도 작동하는 제2타이머(7)와, 제2타이머(7)의 출력에 의하여 밸브의 열림이 지연되고, 또 대 주버너(2)에의 회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21)를 구비하고, 소 주버너(3)측의 상기 전자밸브(31)는 제1타이머(6)의 출력에 의하여 밸브가 닫히는 것을 지연시키고 또 제1타이머(6)의 설정시간을 제2타이머(7)의 그것보다 크게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1) 소능력 상태로 셋트한 경우
능력설정기(8)를 제1출력단자(81)측에 셋트한 경우에는 기구의 연소능력은 「소능력 상태」로 설정된다.
능력설정기(8)를 제1출력단자(81)측에 셋트한 상태로 시동스위치(12)를 투입하면 소 주버너(3)의 근방에 배설한 점화수단(10)이 일정시간 작동하고, 동시에 제1출력단자(81)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소 주버너(3)측의 전자밸브(31)가 열린다.
따라서 점화수단(10)의 작동중에, 상기 소 주버너(3)를 점화시키고, 점화수단의 작동죵료후는 소 주버너(3)가 연소상태를 유지한다.
2) 중능력 상태로 셋트한 경우
능력설정기(8)를 제2출력단자(82)측에 셋트한 경우에는 기구의 연소능력은 「중능력 상태」로 설정된다.
능력설정기(8)를 제2출력단자(82)측에 셋트한 상태로 시동스위치(12)를 투입하면 상기 소능력의 경우와 같이 점화수단(10)은 일정시간 작동함과 동시에 제2출력단자(82)에서의 출력으로 소 주버너(3)에 점화하여 이 소 주버너(3)는 연소상태로 된다.
이때, 제2출력단자(82)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제1, 제2타이머(6),(7)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설정시간이 작게 설정되어 있는 제2타이머(7)가 제1타이머(6)에 앞서 타임엎한다.
제2타이머(7)는 타임엎하면 이 제2타이머(7)의 출력으로 대 주버너(2)측의 전자밸브(21)가 스프링의 탄발력을 일으켜 대 주버너(2)측에의 가스회로가 열린다.
그리고 이 대 주버너(2)에는 이미 연소하고 있는 소 주버너(3)에서 불이 옮겨지게 되고 이에따라 이들 양 주버너(2),(3)는 함께 연소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1타이머(6)는 타임엎하고, 이 제1타이머(6)의 출력으로 상기 소 주버너(3)측의 전자밸브(31)은 꺼지는 상태로 되어 이 소 주버너(3)는 연소정지 상태로 된다.
즉, 대 주버너(2)만이 연소하고 가스기구는 중능력으로 작동한다.
3) 대능력 상태로 셋트한 경우
능력설정기(8)를 제3출력단자(83)측에 셋트한 경우에는 기구의 연소능력은 「대능력 상태」로 설정된다.
능력설정기(8)를 제3출력단자(83)측으로 셋트한 상태에서 시동스위치(12)를 투입하면 상기 각 능력상태의 경우와 같이 점화수단(10)은 일정시간 작동함과 동시에 제3출력단자(83)에서의 출력으로 소 주버너(3)측의 전자밸브(31)가 열리고 상기 각 능력상태로 있었던 것과 같은 작동으로 소 주버너(3)는 연소상태로 된다.
또 제3출력단자(83)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제2타이머(7)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잠깐동안 제2타이머(7)가 타임엎하면, 이 제2타이머(7)의 출력으로 대 주버너(2)측의 전자밸브(21)를 스프링힘으로 밀어서 대 주버너(2)측에의 가스회로는 열린다.
그리고, 이 대 주버너(2)에는 이미 설명한 「중능력 상태」의 경우 기재한 것과 같은 작용으로 소 주버너(3)에서 불이 옮겨지게 되어 이들 양 주버너(2),(3)은 모두 연소한 상태(대능력 상태)로 된다.
또 이 대능력 상태로 셋트한 경우에는 소 주버너(3)측의 전자밸브(31)가 꺼지는 신호를 내는 제1 타이머(6)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중능력 상태의 경우와 같이 상기 소 주버너(3)가 소화되는 일은 없고 대,소 각 주버너(2),(3)는 같이 연소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대,중,소 모든 능력상태로 셋트한 경우에도 가스 분출량은 작고 폭발점화는 일어나기 힘든 소 주버너(3)에서 대 주버너(2)에 불이 옮겨져 기구를 연소하게 되므로 대,소 각 주버너(2),(3)에 각각 별도로 직접 점화하는 것에 비하여 대 주버너(2) 점화시에 있어서의 격심한 폭발점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먼저 본 발명을 급탕기에 실시한 경우의 실시예를 제2도로 도시한다.
열교환기(1)에 있어서 물회로(14)의 하류단에 출탕구(15)를 배설한다. 또 가스회로(5)는 그 하류에 있어서 소 주버너(3)측과 대 주버너(2)측 2개의 회로로 나누어지고 각 분기회로에는 전자밸브(31),(21)가 끼워넣어져 있다. 또 소 주버너(3)의 근방에는 이미 설명한 점화수단(10)으로서 점화기(11)를 배설하고 있다.
상기 전자밸브(21),(31) 및 점화기(11)는 제어장치(9)에 의하여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제어장치(9)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회로구성으로 되어 있다.
출탕구(15)의 개폐와 더불어 작동하도록 구성된 시동스위치(12)의 출력은 점화기(11), 능력설정기(8), 제2타이머(7)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화기(11)는 제3타이머(16)의 한시 복귀형 출력접점(161)의 개폐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능력설정기(8)는 이 실시예에서는 3위치 절환스위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제1출력단자(81)에는 제1릴레이(84)를 접속하고 있다. 또 제1출력단자(81)의 출력은 제1미분회로(86)를 통하여 제1 플립플럽(88)의 셋트입력단자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2출력단자(82)에는 제1타이머(6)가 접속하고 있으며 또 이 제2출력단자(82)의 출력은 제2미분회로(87)를 통하여
Figure kpo00001
플립플럽(89)의 셋트 입력단자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립플럽(88)과
Figure kpo00002
플립플럽(89)의 출력은 앤드회로(90)에 인가되어서 그 앤드 출력에 의하여 타이머(91)를 탄발하도록 되어 있다.
능력설정기(8)의 제3출력단자(83)에는, 제2릴레이(85)를 접속하고 있으며 이 제2릴레이(85)나 상기한 제1릴레이(84)의 각 출력접점(851),(841), 또 제1타이머 (6)나 제2타이머(7)의 한시복귀형상개(限時復歸型常開) 출력접점(61),(71)은 모두 병력 접속되어서 전자밸브(31)의 여자코일(3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타이머(7)의 한시복귀형상폐(常閉)접점(72)은, 제1릴레이(84)의 제2상폐 출력접점(842)이나 전자밸브(21)의 여자코일(22)과 직렬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72),(842)을 우회하는 바이페스회로(93)에는 이미 설명한 제4타이머(91)의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911)을 삽입하고 있다.
또 타이머(6)의 설정시간은 제2타이머(7)의 그것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소능력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기구를 소능력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능력설정기(8)를 제1출력단자(81)측에 셋트하면 된다. 능력설정기(8)를 제1출력단자(81)에 셋트한 다음에 시동스위치(12)를 투입하면 제3타이머(16)는 통전상태로 되어서 점화기(11)가 일정시간 동작한다. 즉, 소 주버너(3)를 향하여 일정시간 불꽃을 연속해서 발사하는 것이다.
동시에 제1릴레이(84)는 통전상태로 되고 그 상개 출력접점(841)은 닫힘과 동시에 이 제1릴레이(84)의 상폐 출력접점(842)은 열린다.
따라서, 소 주버너측 전자밸브(31)의 여자코일(82)은 탄지상태로 됨과 동시에 다른쪽의 대 주버너측 전자밸브(21)의 여자코일(22)은 꺼지는 상태로 되고 소 주버너(3)에만 가스가 공급되어 이 소 주버너(3)는 점화기(11)에 의하여 직접 점화된다.
그후 제3타이머(16)는 커지고 점화기(11)는 정지하고 소 주버너(3)는 연소상태를 유지한다. 즉, 기구가 소능력 상태로 동작하는 것이다.
또 상기 동작중에 있어서는 시동스위치(12)의 투입과 동시에 제2타이머(7)가 작동하여 그 출력접점(71), (72)이 개폐 동작하게 되나 이 소능력 상태에 있어서의 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중능력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기구를 중능력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능력설정기(8)를 제2출력단자(82)측에 셋트하면 된다. 능력설정기(8)를 제2출력단자(82)에 셋트한 다음 다시 시동스위치(12)를 투입하면 상기와 같이 점화기(11)가 동작한다.
동시에 제1타이머(6)와 제2타이머(7)도 동작하며 제1타이머(6)의 한시복귀형상폐 출력접점(61) 및 제2타이머(7)의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71)을 닫아서 소 주버너(3)측 전자밸브(31)의 여자코일(32)을 탄지한다. 즉, 소 주버너(3)측의 전자밸브(31)가 열려서 소 주버너(3)가 연소하는 것이다.
또 제2타이머(7)의 복귀형상폐 출력접점(72)이 열려 대 주버너(2)측 전자밸브(21)의 여자코일(22)은 꺼진 상태를 유지한다. 즉 대 주버너(2)에는 가스공급을 하지 않는다.
잠시후 제1타이머(6)보다 짧은 설정시간을 갖는 제2타이머(7)는 타임엎하고 그 한시복귀형상폐 출력접점(72)이 폐성 상태로 복귀하여 대 주버너(2)측 저자밸브 (21)의 여자코일(22)을 탄지한다.
따라서 대 주버너(2)에의 가스공급이 이루어진 상태로 된다. 또 동시에 소 주버너(3)측 전자밸브(31)를 개폐하는 여자코일(32)과 직렬로 끼워넣어진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71)은 열리나, 제1타이머(6)의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61)은 폐성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소 주버너(3)에 대응한 여자코일(32)도 탄지상태로 유지되어 소 주버너(3)는 연소를 계속한다.
따라서 연소상태를 계속하는 소 주버너(3)에서 가스공급을 시작한 대 주버너(2)에 불을 옮겨주므로서 소 주버너(3)와 대 주버너(2)는 모두 연소상태로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타이머(6)는 타임엎하고 그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61)은 열려서 소 주버너(3)측 전자밸브(31)는 연소상태로 탄지하고 있던 여자코일(32)은 꺼진 상태로 된다. 즉, 소 주버너(3)가 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 주버너(2)만이 연소하고 기구는 중능력 상태로 사용할 수가 있다.
대능력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기구를 대능력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능력설정기(8)를 제3출력단자(83)측에 셋트하면 된다. 능력설정기(8)를 제3출력단자(83)에 셋트하여 시동스위치(12)를 투입하면,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점화기(11)가 점화동작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제2릴레이(85)의 출력접점(851)이 닫히고 소 주버너(3)측 전자밸브 (31)를 개폐할 여자코일(32)이 여자되어 소 주버너(3)는 연소상태로 된다. 이때 제2타이머(7)는 동작하여 그 한시복귀형상폐 출력접점(72)를 개폐하는 여자코일 (22)은 꺼지는 상태로 되고 대 주버너(2)에는 곧바로 점화하지는 않은다.
다음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2타이머(7)는 타임엎하고 이 제2타이머(7)의 한시복귀형상폐 출력접점(72)은 닫힘 상태로 복귀하고 여자코일(22)은 여자되어 이에 대응한 대 주버너(2)에 가스공급된다.
그리고 이 대 주버너(2)에는 이미 연소하고 있는 소 주버너(3)에서 불이 옮겨지게 됨에 따라 대 주버너(2)와 소 주버너(3)는 같이 연소한 상태로 된다. 즉 기구를 대능력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의 것은, 기구가 연소하고 있는 도중이어도 능력절환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기술한 제1, 제2 미분회로(86),(87), 앤드회로(90), 제4타이머(91), 바이패스회로(93),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911)이 조합되어 있다.
다음에 기구 연소중에 능력을 절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능력에서 중능력으로 절환하는 경우
소 주버너(3)가 연소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능력설정기(8)를 제2출력단자 (82)에 셋트하면,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1릴레이(84)의 상폐 출력접점(842)은 폐성 상태로 됨과 동시에 제1타이머(6)의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61)이 닫힌다.
따라서 소 주버너(3)와 대주버너(2)는 동시에 연소상태로 되고 잠시후에 제1타이머(6)는 타임엎한 다음에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61)이 열려서 수 주버너(3)가 소화한다. 즉, 대 주버너(2)만이 연소한 중능력 상태로 절환하는 것이다.
중능력에서 대능력으로 절환하는 경우
대 주버너(2)만이 연소하고 있는 중능력 상태에 있어서 능력설정기(8)를 출력단자(83)에 셋트하면, 제2릴레이(85)의 제1출력접점(851)이 닫히고 소 주버너(3)에 가스가 공급되며, 이미 연소하고 있는 대 주버너(2)에서 소 주버너(3)로 불이 옮겨저 이들 대 주버너(2)와 소 주버너(3)는 동시에 연소한다. 즉, 대능력 상태로 절환하는 것이다.
대능력에서 중능력으로 절환하는 경우
대 주버너(2)와 소 주버너(3)가 연소하고 있는 상태에서 능력설정기(8)를 제2 출력단자(82)에 셋트하면, 제2릴레이(85)의 제1출력접점(851)이 개방한다.
또 제1타이머(6)는 탄지하여 그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으로 일정시간만 닫힘상태를 유지하나, 잠시후 제1타이머(6)가 타임엎한 다음에 상기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61)이 개방하고 이에 따라 소 주버너(6)에 는 가스공급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대 주버너(2)만이 연소하게 되고 중능력 상태로 절환하게 된다.
중능력에서 소능력으로 절환하는 경우
대 주버너(2)만이 연소하고 있는 중능력 상태에 있어서 능력설정기(8)를 제1출력단자(81)로 절환하면 제2미분회로(87)에서 「L」신호를 출력하여 이것이
Figure kpo00003
플립플럽(89)에 인가되어서 이
Figure kpo00004
플립플럽(89)에서 「H」출력이 나온다.
또 제1출력단자(81)측에 접속된 제1미분회로(86)에서도「H」신호가 나오고 이것이 제1플립플럽(88)에 인가되어 이 제1플립플럽(88)에서도 「H」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1플럽플럽(89)과 동시에 「H」신호가 나오게 되고 이들 신호의 앤드출력이 앤드회로(90)를 통하여 제4타이머(91)에 인가되어 제4타이머(91)의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911)이 설정시간 만큼 닫힌다.
동시에 제1릴레이(84)가 탄지되어 그 상폐 출력접점(842)은 열리게 되나 여자코일(22)은 상기 제4타이머(91)의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911)의 닫힘 동작에 따라서 여자상태로 유지되어 대 주버너(2)는 연소상태를 유지한다.
또 상기 제1릴레이(84)가 동작함과 동시에 그것이 상개 출력접점(841)이 닫혀 소 주버너(3)에 가스공급을 하고 이 대 주버너(2)에서 불이 옮겨져 양 주버너는 연소한 상태로 된다.
이어서, 제4타이머(91)가 타임엎하면, 그 한시복귀형상개 출력접점(911)이 개방 복귀하고 대 주버너(2)측 전자밸브(21)에 대응한 여자코일(22)이 탄지력을 잃는다. 즉, 대 주버너(2)가 소화하여 소 주버너(3)만이 연소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에서 소능력에의 절환동작이 완료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릴레이(84)를 능력설정기(8)의 3개의 출력단자(81),(82),(83)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2 출력단자 (82)의 출력은 제1타이머(6)와 2타이머(7)에 인가하도록 되어있다. 또 상기 제1릴레이(84)의 상기 폐성 출력접점(841)은 소 주버너(3)에 대응한 여자코일(32)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1타이머(6)의 한시동작형 상폐 출력접점(63)은 상기 제1릴레이(84)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제2타이머(7)의 한시동작형 상개 출력접점(73)은 대 주버너(2)에 대응한 여자코일(22)에의 회로에 직렬로 끼워져 있다.
또 제3출력단자(83)의 출력은 제2타이머(7)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제1타이머(6)는 제2타이머(7)에 의하여 설정시간을 크게 셋트하고 있다.
이것은 능력설정기(8)를 제1출력단자(81)에 셋트하면 제1릴레이(84)의 상계 출력접점(841)을 닫아서 소 주버너(3)를 연소상태로 한다.
또 능력설정기(8)는 제2출력단자(82)에 셋트했을 때에는 상기와 같이 소 주버너(3)는 연소함과 동시에 제1,2타이머(6),(7)가 작동하기 시작하여 먼저 제2타이머(7)가 타임엎하고 그 한시 동작형 상개 출력접점(73)을 닫고, 대 주버너(2)가 연소한 (이 상태에서는 소 주버너(3)와 대 주버너(2)는 같이 연소하고 있다.) 다음에 제1타이머(6)가 타임엎하여 그 한시동작형 상폐 출력접점(63)이 열리고, 제1릴레이 (84)의 상개 출력접점(341)이 열려서 소 주버너(3)를 소화한다.
맨나중에 능력설정기(8)를 제3출력단자(83)에 셋트하면,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소 주버너(3)는 연소하고 동시에 제2타이머(7)는 탄지하며 이 제2타이머(7)의 설정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한시 동작형 상개 출력점점(73)은 닫히고 대 주버너(2)에 가스를 공급하여 이 대 주버너(2)도 연소상태로 된다. 즉, 대 주버너(2)와 소 주버너(3)은 동시에 연소하는 대능력 상태로 되는 것이다.
제5도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이것은 능력설정기(8)의 각 출력단자(81), (82), (83)의 출력신호가 제1 OR회로(51)에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제1 OR회로(51)의 출력은 제1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4)에 인가되어 이 제1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4)에서의 출력으로 점화기(11)를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OR회로(51)의 출력은 제1플립플럽(44)에도 인가되어 있으며 이 제1플립플럽(44)의 출력으로 소 주버너(3)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출력단자(82)의 출력은 제2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5)에 인가하도록 되어있으며, 이 제2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5)의 출력은 제1미분회로(65)에 유도되어 이 미분출력의 반전출력은 제1플립플럽(44)의 리셋트 단자에 인가된다.
맨나중에 제3출력단자(83)은 출력은, 상기 제2출력단자(82)와 같이 제2 OR회로(52)에 인가되어 있으며, 이 OR 출력은 제3의 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6)에 입력되고, 이 제3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6)의 출력은 제2미분회로(66)을 통하여
Figure kpo00005
플립플럽(45)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명 이 제2플립플럽(45)의 출력으로 대 주버너 (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3실시예의 것은 제2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5)가 기술한 기술적 수단에 기재한 제1타이머(6)에 대응하고, 제3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6)는 이미 설명한 기술적 수단인 제2타이머(7)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2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5)의 설정시간은 제3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 (56)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1,제2,제3의 누름버튼(96),(97),(98)을 각각 별도로 투입조작 함으로서 기구의 능력을 절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누름버튼(96)을 투입한 경우의 타임챠이트, 즉 기구를 소능력 상태로 셋트한 경우의 타임챠이트를 제6도에 도시하는 바, 제1누름스위치(96)을 투입하여 제1출력단자(81)에서 출력신호가 나오면, 제1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4)는 출력을 내어 절환기(11)가 일정시간 동작함과 동시에 제1플립플럽(44)이 탄발되어 이에 따라 소 주버너(3)는 연소한다.
다음에 기구를 중능력 상태로 셋트할 제2누름버튼 스위치(97)를 투입합의 경우의 타임챠이트를 제7도에 도시한다.
이경우, 제2투름버튼 스위치(97)를 투입하여 제2출력단자(82)에서 신호가 나오면 상기와 같이 하여 제1플립플럽(44)이 연소상태로 된다.
또 제1누름버튼 스위치(96)의 투입과 동시에 제2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5)나, 제3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6)가 시동하고, 설정시간은 작은 제3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6)가 타임엎한 때에 그 출력신호를 제2미분회로(66)로 검지하고 또 제2미분회로(66)의 미분출력으로 제2플립플럽(45)은 탄발한다. 즉, 대 주버너(2)가 연소한다.
이어서 제2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5)가 타임엎하고, 그 출력이 「L」로 변화하면, 이 변화를 나타내는 제1미분회로(65)에서의 출력으로 제1플립플럽(44)은 리셋트한다. 즉, 소 주버너(3)는 소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 주버너(2)만이 연소한 중능력 상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기구를 대능력 상태로 작동시킬 제3누름버튼 스위치(98)를 투입한 경우의 타임챠이트를 제8도에 도시한다.
제3누름버튼 스위치(98)를 투입하여 제3출력단자(83)에서 신호가 나오면, 제3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6)는 작동하기 시작함과 동시에 기술한 바와같이 소 주버너(3)가 연소한다.
잠시후 제3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6)에 설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이 제3모노멀티바이브레이터(56)에서 L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이 제2미분회로(66)로 검출되어서, 제2플립플럽(45)을 탄발한다. 즉, 대 주버너(2)를 연소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구는 대 주버너(2)와 소 주버너(3)가 모두 연소하는 대능력 상태로 된다.

Claims (1)

  1. 대,소 2개의 주버너(2),(3)에의 가스회로를 이에 각각 별도로 대응시킨 전자밸브(21),(31)로 개폐함과 동시에 직접 점화방식을 채용한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시동스위치(12)의 투입으로 일정시간 동작하고 또 소 주버너(3)의 근방에 배설한 점화수단(10)과, 상기 시동스위치(12)의 투입으로 종전 상태로 되는 능력설정기(8)와, 상기 능력설정기(8)의 3개의 출력단자(81),(82),(83)중 어느 한 출력에의 하여도 밸브가 열리고 또 소 주버너(3)에의 가스회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31)와, 능력설정기(8)의 출력측을 제2출력단자(82)에 셋트한 때에만 작동하는 제1 타이머(6)와, 능력설정기(8)의 출력측을 제2, 제3출력단자(82),(83) 가운데 어느곳에 셋트한 때일지라도 작동하는 제2타이머(7)와, 제2타이머(7)의 출력으로 밸브의 열림이 지연되고 또 대 주버너(2)에의 회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21)를 구비하고, 소 주버너(3)측의 상기 전자밸브(31)는 제1타이머(6)의 출력으로 밸브의 열림을 지연시키고, 또 제1타이머(6)의 설정시간을 제2타이머(7)보다도 크게 설정한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
KR1019880001543A 1987-02-19 1988-02-15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 KR920009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37238A JPS63204021A (ja) 1987-02-19 1987-02-19 二連バ−ナ−式ガス器具の点火装置
JP??62-37238 1987-02-19
JP62-37238 1987-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282A KR880010282A (ko) 1988-10-08
KR920009086B1 true KR920009086B1 (ko) 1992-10-13

Family

ID=12492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543A KR920009086B1 (ko) 1987-02-19 1988-02-15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04021A (ko)
KR (1) KR9200090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282A (ko) 1988-10-08
JPH0327821B2 (ko) 1991-04-17
JPS63204021A (ja) 198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086B1 (ko)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
WO1980000608A1 (en) Combustion control system
US4140067A (en) Furnace control system
JPH033806Y2 (ko)
US4147496A (en) Safety ignition means for burner installations
JPH0113254Y2 (ko)
JPH064211Y2 (ja) ガスコンロ用ガス制御装置
SU158562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озжига котла
CN111828705B (zh) 瓦斯阀及其控制装置与控制方法
JPH0125897Y2 (ko)
SU10006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 розжигом горелки
JPS59231325A (ja) ガス器具の点火制御装置
JPS6238132Y2 (ko)
JPH10281462A (ja) 燃焼装置
KR890002230Y1 (ko) 연소 제어장치
US4125355A (en) Safety control system for gas-fired infrared radiant heater
JPS5842756Y2 (ja) ガス燃焼機器における燃焼制御装置
JPS6347715Y2 (ko)
JPH0213219B2 (ko)
JPS5541387A (en) Device for controlling combustion of gas
JPH0223970Y2 (ko)
JPH0325017Y2 (ko)
JP2659328B2 (ja) グリル装置
JPS6044726A (ja) 燃焼安全装置
JPS61300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