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230Y1 - 연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연소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230Y1
KR890002230Y1 KR2019840000159U KR840000159U KR890002230Y1 KR 890002230 Y1 KR890002230 Y1 KR 890002230Y1 KR 2019840000159 U KR2019840000159 U KR 2019840000159U KR 840000159 U KR840000159 U KR 840000159U KR 890002230 Y1 KR890002230 Y1 KR 890002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safety valve
discharge circuit
operation member
bur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0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289U (ko
Inventor
가즈미 다마다
마시히고 고오무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2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 F23N5/105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using electrical or electro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소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동조작부재 2 : 버너유닛트
3 : 가스통로 4 : 전자안전밸브
5 : 열전대 6 : 콘덴서
7 : 방전회로 8 : 절환스위치
9 : 전원회로 10 : 부방전회로
11 : 제어스위치 22 : 점화회로
본 고안은 연소기의 연소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의 닫힘위치와 열림위치, 점화위치 등으로 절환조작이 자유자재로운 수동조작부재를 구비하여 이 조작부재의 점화위치로의 조작에 따라 버너유닛트에 이어지는 가스통로에 위치시킨 전자안전밸브의 열림과 버너유닛트의 점화동작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 조작부재의 열림위치 조작으로 안전밸브의 압압을 해제하여 안전밸브를 버너유닛트에 구비하는 열전대의 기전력으로 그 열림상태가 유지되게 한 연소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류의 장치로서 전자안전밸브의 솔레노이드를 통한 콘덴서 방전회로를 형성하여 수동조작부재에 연이어 작동하는 절환스위치로, 조작부재의 닫힘위치에서의 조작에 따른 콘덴서를 충전시키는 전원회로에서 방전회로로 절환접속하고, 버너유닛트의 점화후 열전대가 소정의 기전력을 발생할때까지의 예열시간이나 콘덴서에서의 방전에 의한 솔레노이드의 통전여자로 안전밸브를 열림상태로 강제홀드하고 조작부재를 예열시간의 경과를 갖지 아니한 열림위치로 절환조작하여 안전밸브의 누름을 풀어도 닫히지 아니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콘덴서는 조작부재의 점화위치에서 이미 방전을 개시하는 것으로 그 방전시간 즉 안전밸브의 강제 홀드시간은 이 조작부재의 점화위치로의 조작후 개스통로내의 공기가 배제되어 버너유닛트는 점화될때 까지의 요하는 퍼지(purge)시간을 상기한 예열시간에 더하여 비교적 길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는 이 조작부재를 점화위치로 조작한 후 점화를 확인하지 않고 곧바로 열림위치로 조작한 경우에 버너유닛트가 점화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안전밸브가 퍼지시간을 포함하여 비교적 장시간 열림상태로 강제홀드 되어 생가스가 방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즉, 수동조작부재의 점화위치에서 밸브열림위치까지의 절환조작을 비교적 짧은 시간에 전자안전밸브의 강제홀드가 풀리도록한 장치를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의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와 점화위치로 절환조작이 자유로운 수동조작부재(1)를 구비하되 이 조작부재(1)의 점화위치에의 조작으로 버너유닛트(2)에 연결되는 가스통로(3)에 위치시킨 전자안전밸브(4)의 누름동작에 따른 밸브의 열림과 버너유닛트(2)의 점화를 부여함과 동시에, 조작부재(1)의 밸브열림 위치에의 조작으로 안전밸브(4)의 누름으로 풀어서 안전밸브(4)를 버너유닛트(2)에 구비한 열전대(5)의 기전력에 의하여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한 연소제어장치로서, 안전밸브(4)의 솔레노이드(4a)를 통한 콘덴서(6)의 방전회로(7)을 설치하고 조작부재(1)에 따라 동작하는 절환스위치(8)에 의하여 조작부재(1)의 닫힘위치로의 조작으로 콘덴서(6)을 충전시키는 전원회로(9)에서 방전회로(7)에 절환접속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방전회로(7)에 솔레노이드(4a)와 병렬의 부방전회로(10)을 접속하고 부방전회로(10)에 조작부재(1)에 연이어 작동하여 그 열림위치에서 닫히는 제어 스위치(11)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도시한 것에서 조작부재(1)는 연소기의 전면의 조작판넬(12)에 설치한 누름버튼(13)이 달린 조작간(14)과, 이와 동축상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버너유닛트(2)와 연결되는 가스통로(3) 내에 삽입된 밸브간(15)과 그 후단의 레버(16)으로 구성되며 밸브간(15)과 버너유닛트(2)에 구비하는 주버너(2a)와 점화버너(2b)와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전자안전밸브(4)의 하류측의 차단밸브(17)와 밸브간(15)에 형성한 작은 직경부로 된 점화밸브(18)를 설치하고 조작간(14)의 도시한 닫힘위치에서의 복귀스프링(14a)에 저항한 압압조작으로 차단밸브(17)는 열려질 중간의 열림위치를 거쳐 차단밸브(17)와 점화밸브(18)의 열림과, 다시 레버(16)를 통하여 안전밸브(4)의 열림이 부여되는 종단의 점화위치로 절환조작토록 한다.
이 점화위치에서 압압조작의 해제는, 조작간(14)의 복귀스프링(14a)에 의한 복귀동작이 조작간(14)의 외주돌기(19)에 걸어맞춤한 스톱퍼(20)에 의하여 열림위치에서 정지되어 누름버튼(13)의 측방에 병설한 소화버튼(21)의 압압조작으로 스톱퍼(20)가 돌기(19)에서 이탈했을때 닫힘위치로 복귀하도록 한 것이다.
이 돌기(19)는 상기한 절환스위치(8)와 제어스위치(11)와의 조작용 캠으로의 기능도 하는 것이다.
절환스위치(8)는 조작부재(1)의 닫힘위치에서의 조작으로 캠돌기(19)에 눌리어 상기한 전원회로(9)측의 항상 닫혀있는 A접점에서 방전회로(7)측의 항상 열려있는 B접점으로 절환되는 것으로 한 것이다.
이 제어스위치(11)는 상기한 부방전회로(10)에 연결된 개폐스위치로 할 수도 있으나, 도시한 바와같이 점화회로(22)를 설치하여 버너유닛트(2)에 점화를 하는 경우는, 제어스위치(11)를 조작부재(1)의 점화위치 조작으로 점화회로(22)를 닫히는 절환스위치로 구성하여 별개의 점화스위치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하는 것은 이 제어스위치(11)를 조작부재(1)의 점화위치에서 돌기(19)에 눌리어 부방전회로(10)측의 항상 닫혀있는 A접점에서 점화회로(22)측의 항상 열려있는 B접점에 절환하도록 하고, 점화회로(22)의 닫힘에 의한 그 출력단의 점화전극(22a)에서 불꽃방전에 의하여 점화버너(2b)를 통하여 주버너(2a)로 불꽃이 옮겨지므로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서 23, 24는 방전회로(7)와 부방전회로(10)에 각각 설치한 저항을 표시한다.
이어서 그 작동을 설명하면, 연소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누름버튼(13)을 눌러 수동조작부재(1)를 상기와 같이 점화위치로 절환한다.
이 동작에 따라 전자안전밸브(4)가 눌리워져 열려짐과 동시에 차단밸브(17)와 점화밸브(18)가 열려지고 동시에 점화회로(22)가 닫히어 점화버너(2b)를 통하여 주버너(2a)로 불꽃이 이동되어 점화되고, 절환스위치(8)를 통한 방전회로(7)의 콘덴서(6)의 방전으로 안전밸브(4)의 강제홀드는 개시되며 주버너(2a)의 점화후, 곧바로 조작부재(1)를 열림위치에 되도록 안전밸브(4)의 누름상태를 풀어도 안전밸브(4)는 열림상태로 강제홀드되나, 이 경우에 조작부재(1)의 점화위치 조작후, 주버너(2a)에 점화될 때까지는 가스통로(3)내의 공기배제를 위하여 버너용량에도 의하게 되나 5초정도의 퍼지기간이 걸릴 경우도 있다.
또 주버너(2a)의 점화후 열전대(5)는 안전밸브(4)를 열림상태를 유지하기에 족한 기전력을 발생할때까지도 5초정도의 예열시간이 필요하며, 방전회로(7)를 통하여 방전에 의한 강제홀드 시간은 콘덴서(6)의 용량이나 저항(23)의 설정으로 예열시간에 퍼지시간을 더하여 다시 약간의 여유를 주어 15초 정도로 설정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과 같은 부방전회로(1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는 조작부재(1)의 점화위치로의 조작후에 주버너(2a)의 점화를 확인하지 않고 무점화상태 그대로 곧바로 조작부재(1)를 열림위치로 되돌리면 안전밸브(4)가 강제홀드에 의하여 15초 정도의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열림상태를 유지하므로 다량의 생가스가 방출될 위험이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작부재(1)를 열림위치로 되돌리면 제어스위치(11)가 닫히어 부방전회로(10)를 통한 방전이 이루어져 상기와 같이 설정된 강제홀드시간 보다도 단시간에 강제홀드가 풀려서 안전밸브(4)가 열리어 생가스의 방출은 가급적 억제된다.
또 통상의 조작순서에 따라 조작부재(1)를 주버너(2a)의 점화 확인 후 열림위치로 되돌린 경우에, 열전대(5)의 예열시간 경과전에 안전밸브(4)의 강제홀드가 풀려서 안전밸브(4)의 불필요한 닫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방전회로(10)에 저항(24)을 설치함으로 부방전회로(10)를 통한 방전 개시에서 강제홀드가 해제될때까지의 시간을 예열시간에 약 5초 정도로 맞추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버너유닛트(2)를 주버너(2a)와 점화버너(2b)를 구비하는 형식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들 버너에 더하여 상시 화염용의 버너를 구비한 형식의 것도 가능하며,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점화회로(22)를 사용, 점화를 하도록 하였지만 압전식 점화기를 사용한 점화를 채택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전자안전밸브(4)의 솔레노이드(4a)를 통한 콘덴서(6)의 방전회로(7)에 솔레노이드(4a)와 병렬의 부방전회로(10)를 접속하고 수동조작부재(1)의 점화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절환하므로서 부방전회로(10)에 설치시킨 제어스위치(11)를 닫혀 부방전회로(10)를 통한 방전을 하도록 한 것으로 방전회로(7)를 통한 콘덴서(6)의 방전에 의한 안전밸브(4)의 강제홀드 시간을 열전대(5)의 예열시간에 버너유닛트(2)의 점화에 필요한 퍼지시간을 더하여 비교적 장시간으로 설정하여도 조작부재(1)의 열림위치 절환으로 비교적 단시간으로 안전밸브 강제홀드가 풀려 오조작에 의한 생가스의 방출을 가급적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밸브의 닫힘위치와 열림위치와 점화위치로 절환조작이 자유로운 수동조작부재(1)를 구비하고 조작부재(1)의 점화위치 조작으로 버너유닛트(2)에 이어진 가스통로(3)에 설치한 전자안전밸브(4)의 열림과, 버너유닛트(2)의 점화를 함과 동시에 조작부재(1)의 열림위치로의 조작으로 안전밸브(4)의 압압을 안전밸브(4)를 버너유닛트(2)에 구비된 열전대(5)의 기전력에 의하여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한 연소제어장치로서, 이 안전밸브(4)의 솔레노이드(4a)를 설치한 콘덴서(6)의 방전회로(7)를 설치하고, 조작부재(1)에 연이어 작동하는 절환스위치(8)에 의하여 조작부재(1)의 닫힘위치로의 조작으로 콘덴서(6)를 충전 하는 전원회로(9)에서 방전회로(7)에 절환접속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7)에 솔레노이드(4a)와 병렬의 부방전회로(10)를 접속하고 부방전회로(10)와 조작부재(1)에 연이어 작동하여 그 열림위치에서 닫히는 제어스위치(11)를 설치시켜서 된 연소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 제어스위치(11)를 조작부재(1)의 점화위치에서 버너유닛트(2)의 점화회로(22)를 닫히는 절환스위치로 구성하여서 된 연소 제어장치.
KR2019840000159U 1983-05-18 1984-01-10 연소 제어장치 KR89000223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073035U JPS59181952U (ja) 1983-05-18 1983-05-18 燃焼制御装置
JP58-73035 1983-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89U KR840006289U (ko) 1984-12-03
KR890002230Y1 true KR890002230Y1 (ko) 1989-04-15

Family

ID=3020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0159U KR890002230Y1 (ko) 1983-05-18 1984-01-10 연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9181952U (ko)
KR (1) KR8900022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5826A (ja) * 1984-07-31 1985-06-11 Rinnai Corp 燃焼器の燃焼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289U (ko) 1984-12-03
JPS59181952U (ja) 1984-12-04
JPH0116930Y2 (ko) 198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1061B2 (en) Safety device for a gas burner
US4505253A (en) Water heater
KR890002230Y1 (ko) 연소 제어장치
JPH0160736B2 (ko)
JPH0223970Y2 (ko)
JPH0136046Y2 (ko)
JPH0933047A (ja) ガス燃焼器
JPH044497B2 (ko)
GB2167209A (en) Operation control apparatus in a combustion device
JPH0213219B2 (ko)
JPH0319444B2 (ko)
JPH0125902Y2 (ko)
KR0116663Y1 (ko) 가스조리기기의 순간점화장치
JPS6347715Y2 (ko)
JPS63226526A (ja) 燃焼制御装置
KR870000587Y1 (ko) 연소 안전장치
JPH0263131B2 (ko)
JPS6347714Y2 (ko)
JP2581727Y2 (ja) 燃焼器の運転制御装置
JPH0345003Y2 (ko)
JPH0251092B2 (ko)
JPH0223980Y2 (ko)
JPH0351656Y2 (ko)
KR920009086B1 (ko) 2련 버너식 가스기구의 점화장치
JPH02325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9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