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014Y1 -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014Y1
KR920009014Y1 KR2019880022073U KR880022073U KR920009014Y1 KR 920009014 Y1 KR920009014 Y1 KR 920009014Y1 KR 2019880022073 U KR2019880022073 U KR 2019880022073U KR 880022073 U KR880022073 U KR 880022073U KR 920009014 Y1 KR920009014 Y1 KR 920009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an
positive electrode
dust collecting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2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652U (ko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2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014Y1/ko
Publication of KR900011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6Electrode-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음극선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팬히터의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팬히터 2 : 팬가드
3 : 양극판 3a : 집진편
3b : 손잡이 4 : 카트리지
4a : 삽입홈 4b : 돌출구
4c : 안내구 5 : 음극단자
5a : 누름판 6 : 음극선
6a : 음극선걸이구 6b : 스프링
본 고안은 팬히터에 흡입되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전기 방전식 집진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팬히터의 흡기구 전방에 집진 장치를 구성시켜 이에 적용되는 양극판을 손쉽게 장착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팬히터 내부를 흡입하는 모든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팬히터의 집진장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히터에 적용되는 전기 방전식 집진장치를 팬히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일부만을 청정하여 실내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는바, 버너에 공급하는 나머지의 유입 공기를 청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 공기를 통해 외부의 먼지등이 유입되어 버너 및 연소실등에 쌓여 부식을 촉진시키고 이들의 수명을 단축시킴은 물론 불완전 연소의 한 요인이 되며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불어주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게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 개발된 것이 흡기팬 후방의 흡기구에 필터를 부착하여 흡기공기를 청정토록 한 것이었으나 이는 입자가 큰 불순물만을 여과할 수 있을 뿐이지 미세한 불순물까지 청정하여 주는 전기 방전식 집진 장치에는 그 성능이 크게 뒤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팬히터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팬가드(Fan Guard)의 전방에 본 고안의 전기 방전식 집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의 미세한 불순물까지 이에 적용되는 양극판이 집진하여 청정된 공기만이 유입되게 하고 또한 일정기간 사용후 양극판을 손쉽게 외부에서 인출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적용되는 팬히터의 배면 사시도로서 팬히터(1)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팬가드(2)에 집진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집진 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집진편(3a)이 병설된 양극판(3)의 상부에 손잡이(3b)가 마련되고 이 양측판(3)이 결합되는 카트리지(4)의 상단에는 상기 양극판(3)에 대응하는 삽입홈(4a)을 형성하고 그 하부의 삽입홈(4a)사이에 음극선 걸이구(6a)을 돌출시키는 한편 카트리지(4)의 하단에는 내단부에 집진편(3a)수와 동일 갯수의 돌출구(4b)를 형성하여 그 상면에 상호 대향되는 안내구(4c)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음극단자(5)가 누름판(5a)에 의해 고정되며 음극선(6)은 그 하부를 카트리지(4)의 돌출구(4b)에 걸어 그 양단에 스프링(6b)을 개재시켜 음극선 걸이구(6a)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7은 양극단자, 8은 흡기공, 9는 고정나사, 10은 흡기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카트리지(4)의 하부 돌출부(4b)에 음극선(6)의 하부를 걸고 그 양 선단에 스프링(6b)을 개재시켜 제5도와 같이 음극선 걸이구(6a)에 고정한 상태에서 카트리지(4)를 팬히터(1)의 후방일측에 형성된 팬가드(2)의 전방에 고정나사(9)로써 나사체결한 후, 상부에 손잡이(3b)를 조립한 양극판(3)을 상방으로 부터 카트리지(4)에 형성된 삽입홈(4a)에 삽입시키면 양극판(3)의 집진편(3a)하단이 카트리지(4)의 돌출구(46)상면에 돌출된 안내구(4b)사이에 끼워져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양극판(3)이 카트리지(4)에 조립된 상태에서 카트리지(4)를 팬히터(1)의 팬가드(2)에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진 상태에서 흡기팬(10)이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면 흡입 공기의 각종불순물이 양극판(3)의 집진편(3a)과 음극선(6)의 상호 작용에 의해 집진편(3a)에 집진되어 흡입 공기를 여과하게 되고 집진장치를 점검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양극판(3)을 인출하고자 할때에는 양극판(3)의 손잡이(3b)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부드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팬히터 후방 일측에 형성된 팬가드에 전기 방전식 집진 장치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기존 팬히터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팬히터의 내부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의 미세한 불순물까지 여과하여 청정시키고 양극판의 인출이 매우 간편한 것등의 특징을 지닌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팬히터(1)의 후방 일측에 형성된 공지의 팬가드(2)에 전기 방전식 집진 장치를 설치하되, 상기의 집진장치는 집진편(3a)이 병설된 양극판(3)의 상부에 손잡이(3b)가 형성되고 이 양극판(3)이 결합되는 카트리지(4)의 상단에는 상기 양극판(3)에 대응하는 삽입홈(4a)을 형성하고 그 하부의 삽입홈(4a) 사이에 음극선 걸이구(6a)를 돌출시키는 한편, 카트리지(4)의 하단에는 내단부에 집진편(3a)수와 동일갯수의 돌출구(4b)를 형성하여 그 상면에 상호 대향하는 안내구(4c)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음극단자(5)가 누름판(5a)에 의해 고정되며 음극선(6)은 그 하부를 카트리지(4)의 돌출구(4b)에 걸어 그 양단에 스프링(6b)을 개재시켜 음극선걸이구(6a)에 고정하여서 된 팬히터의 전기 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KR2019880022073U 1988-12-30 1988-12-30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KR920009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073U KR920009014Y1 (ko) 1988-12-30 1988-12-30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2073U KR920009014Y1 (ko) 1988-12-30 1988-12-30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652U KR900011652U (ko) 1990-07-02
KR920009014Y1 true KR920009014Y1 (ko) 1992-12-26

Family

ID=1928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2073U KR920009014Y1 (ko) 1988-12-30 1988-12-30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0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652U (ko) 199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20720A1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KR920009014Y1 (ko) 팬히터의 전기방전식 집진장치 설치구조
KR102037660B1 (ko) 차량용 캐빈필터 유닛
KR20040075448A (ko) 공기청정기
KR100733294B1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JP2856585B2 (ja) 空気清浄器
JPH0470924B2 (ko)
KR100225635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930001052Y1 (ko) 석유팬히터의 집진장치 장착구조
CN217218932U (zh) 一种尘盒机构及扫地机器人
KR900008179Y1 (ko) 공기조화기
KR102655745B1 (ko) 휴대 가능한 공기 청정 후드
KR102154920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CN219782441U (zh) 除螨仪的尘杯组件和除螨仪
CN217763576U (zh) 集成灶
KR101556973B1 (ko) 정화유닛 어셈블리
KR900000895Y1 (ko) 공기청정기의 전기 집진부
KR940006239Y1 (ko) 공기정화장치가 부설된 팬히터의 집진카세트 설치구조
KR20000016837U (ko) 슬림형 공기조화기
KR940007913Y1 (ko) 로터리 팬히터의 송풍덕트
JPH0642730Y2 (ja) 空気清浄用フィルター部構造
KR920000600Y1 (ko) 창문형 냉방 공조기의 에어휠터 삽탈장치
JP3426873B2 (ja) 空気清浄機
KR100617627B1 (ko) 진공 청소기의 피씨비 설치 구조
KR0120750Y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