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750Y1 - 공기조화기의 필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필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750Y1
KR0120750Y1 KR2019950021717U KR19950021717U KR0120750Y1 KR 0120750 Y1 KR0120750 Y1 KR 0120750Y1 KR 2019950021717 U KR2019950021717 U KR 2019950021717U KR 19950021717 U KR19950021717 U KR 19950021717U KR 0120750 Y1 KR0120750 Y1 KR 0120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air conditioner
compartment memb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521U (ko
Inventor
김대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1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750Y1/ko
Publication of KR970010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5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필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먼지접진용 필터를 플라스틱물로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필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0)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필터는, 공기조화기에 결합되는 몸체(21)와 공기는 통과하고 먼지 등의 부유물은 집진되는 통공(23)이 형성되도록 서로 직교하는 수직구획부재(24)와 수평구획부재(25)가 몸체와 일체로 사출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필터
제 1 도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종래 공기조화기 필터의 정면도 및 일부확대도이다.
제 3 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 정면도 및 일부확대도이다.
제 5 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11:흡입구
20:필터 21:몸체
22:필터부 23:통공
24:수직구획부재 25:수평구획부재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되는 공기중에 함유된 먼지 등의 불순물을 집진하는 필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제조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의 필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조화시킨 후 토출시켜 실내공기를 조화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측과 실외측이 한 케이스에 설치된 일체형과 각기 다른 케이스에 설치된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제1도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에는 흡입구(11)가 설치되고, 흡입구(11)의 하측에는 토출부(12)가 설치된다. 흡입구(11)의 전방에는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된 그릴부재(13)가 설치되며, 흡입구(11)에는 필터(20)가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먼지 등의 불순물을 걸러준다.
제2도와 제3도는 불순물을 여과하는 종래 필터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는 정면도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된 몸체(2)의 후측에 필터(1)가 결합설치된다. 필터(1)로는 나이론필터나 부직포가 사용되며, 이들은 몰드물인 몸체(2)의 사출시 삽설되어 몸체(2)에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될 때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부유물을 걸러낸다.
그러나 나이론필터는 재질이 나이론이기 때문에 마찰 저항이 적어 먼지나 부유물 등의 집진효율이 덜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나이론필터보다 미세한 통공을 갖는 부직포 필터는 집진효율은 좋으나 공기저항이 너무 크기 때문에 흡입되는 공기의 량이 적어 공기조화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와 세척소제시 잘 찢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필터는 몸체를 몰딩하기 전에 필터을 삽입한 후 몸체를 사출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가 어렵고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먼지집진용 필터를 플라스틱물로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필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입되는 공기을 여과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필터는, 공기조화기에 결합되는 몸체와 공기는 통과하고 먼지 등의 부유물은 집진되는 통공이 형성되도록 서로 직교하는 수직구획부재와 수평구획부재가 몸체와 일체로 사출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가 채용되는 일반적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부여하겠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과 하측에는 흡입구(11)와 토출부(12)가 각각 마련되고,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열교환기와 팬이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조화시켜 토출시킨다. 흡입구(11)의 전방에는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상측에 결합된 그릴부재(13)가 설치된다. 이때 흡입구(11)에는 필터(20)가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먼지 등의 불순물을 걸러준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부(11)에 결합되는 사각틀 형상의 몸체(21)와 몸체(21)의 후측에 일체로 마련된 필터부(2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20)는 몸체(21)와 필터부(22)가 플라스틱류로 일체로 사출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필터부(22)는 몸체(21)의 후측에 공기는 통과하되 먼지나 부유물 등의 불순물은 집진되는 미세한 통공(23)이 형성되도록 서로 직교하도록 설치된 수직구획부재(24)와 수평구획부재(25)를 포함한다. 즉, 몸체(21)의 후측에 좌우로 긴밀하게 설치된 수직구획부재(24)와 상하로 긴밀하게 설치된 수평구획부재(25)에 의하여 미세한 통공(23)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수직구획부재(24)와 수평구획부재(25)의 표면은 공기와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집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식 등을 통하여 거칠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구획부재(24)가 수평구획부재(25)의 후측에 설치됨으로써 수직구획부재(24)와 수평구획부재(25)는 단층져 집진성능을 증대시킨다.
한편 필터(20)는 집진된 먼지나 부유물 등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력이 있는 고무류을 함유시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팬(미도시)의하여 실내의 공기가 먼지 등과 함께 케이스(10)내부로 흡입되는데, 흡입되는 공기가 통공(23)을 통과하면서 수직구획부재(24)와 수평구획부재(25)의 거칠면에 접하게 되면, 이들사이에 저항이 발생되어 먼지 등의 불순물이 집진된다. 이때 수직구획부재(24)와 수평구획부재(25)는 접착력을 가지고 있어서 집진된 먼지 등은 이들의 표면에 달라 붙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필터는 필터의 제조시 몸체와 필터부를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제조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에 접착력을 부여함으로써 집진된 먼지 등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여 집진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0)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결합되는 몸체(21)와 공기는 통과하고 먼지 등의 부유물은 집진되는 통공(23)이 형성되도록 서로 직교하는 수직구획부재(24)와 수평구획부재(25)가 상기 몸체와 일체로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획부재와 수평구획부재의 공기흡입측면은 공기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거칠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획부재와 수평구획부재의 공기가 유입되는 측면은 단차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필터.
KR2019950021717U 1995-08-22 1995-08-22 공기조화기의 필터 KR0120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717U KR0120750Y1 (ko) 1995-08-22 1995-08-22 공기조화기의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717U KR0120750Y1 (ko) 1995-08-22 1995-08-22 공기조화기의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521U KR970010521U (ko) 1997-03-29
KR0120750Y1 true KR0120750Y1 (ko) 1998-08-01

Family

ID=1942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717U KR0120750Y1 (ko) 1995-08-22 1995-08-22 공기조화기의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7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521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340B2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JP3954754B2 (ja) 吸気ダクト
JPH01168315A (ja) 空気清浄器
KR0120750Y1 (ko) 공기조화기의 필터
JP3975839B2 (ja) 空気清浄機
JP3825562B2 (ja) 空気調和機
JPH11182922A (ja) 機器の外付け用空気洗浄フィルター
JP3787967B2 (ja)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
KR200337081Y1 (ko) 트리플 록킹 수단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JP2002195637A (ja) 空気清浄機
JPH0592118A (ja) 空気清浄器
KR0139102Y1 (ko) 복합형 공조기의 실내기 공기흡입구
CN208920638U (zh) 一种汽车空调蒸发器总成
CN213208197U (zh) 一种空气调节风口的滤网连接结构及其除湿机
KR100580299B1 (ko) 공기청정기
CN218209995U (zh) 一种具有助眠功能的空气净化器
JPH0515718A (ja) 外気導入型空気清浄機
KR200600619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628624B2 (ja) ウエットアンドドライ式掃除機
JPS59217430A (ja) 空気清浄機
CN210131495U (zh) 空气清洗机
JP3363575B2 (ja) 空気清浄機
KR100596529B1 (ko) 공기조화기
JPH0123047Y2 (ko)
KR100225635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