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920B1 -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920B1
KR102154920B1 KR1020190012663A KR20190012663A KR102154920B1 KR 102154920 B1 KR102154920 B1 KR 102154920B1 KR 1020190012663 A KR1020190012663 A KR 1020190012663A KR 20190012663 A KR20190012663 A KR 20190012663A KR 102154920 B1 KR102154920 B1 KR 10215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ir
leg
filter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058A (ko
Inventor
김찬동
Original Assignee
김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동 filed Critical 김찬동
Priority to KR1020190012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9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한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이용되는 자동차 에어컨 필터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는, 전면 개방부와 공기 배출부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기 통과부를 가지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통과부로 통과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자동차 에어컨 필터; 상기 장착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부; 상기 전면 개방부를 덮으며 상기 자동차 에어컨 필터에 대향되고 공기 유입부를 가지는 전면 덮개; 및 상기 전면 덮개에 구비되며 상기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보기 위한 필터 투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Air cleaning apparatus using car cabin air filt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 장치는, 공기 속의 먼지나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 헤파 필터(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bsorber) 등의 필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공기 청정 장치는, 이에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제거한다.
하지만, 기존의 공기 청정 장치는, 필터의 정화 용량이 정해져 있어 장치의 성능 유지를 위해서 교환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 필터의 가격이 고비용이어서 구입 후 유지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격이 저렴한 자동차 에어컨 필터(즉,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된 필터 장착부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나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이용되는 자동차 에어컨 필터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는, 전면 개방부와 공기 배출부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기 통과부를 가지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통과부로 통과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자동차 에어컨 필터; 상기 장착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부; 상기 전면 개방부를 덮으며 상기 자동차 에어컨 필터에 대향되고 공기 유입부를 가지는 전면 덮개; 및 상기 전면 덮개에 구비되며 상기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보기 위한 필터 투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덮개는, 중심 개방부를 가지는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 상기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에 구비되되 상기 중심 개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투시부가 구비되는 중심부 덮개 몸체; 및 상기 중심부 덮개 몸체와 상기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 사이에 상기 중심 개방부와 연통되는 틈이 형성되도록 서로를 이격시켜 고정하되 상기 중심부 덮개 몸체를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격시켜 고정하는 고정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스페이서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 스페이서는, 상기 중심부 덮개 몸체의 중심을 향해 모이되 그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형태로 커브를 그리며 모이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공기 청정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다리 착탈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리 착탈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케이스 체결공;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 체결공에 상응하게 구비되는 다리 체결공; 및 상기 케이스 체결공과 상기 다리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다리 체결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착탈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위치 안내공; 및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며 위치 안내공에 삽입되는 위치 안내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필터 투시부는, 상기 전면 덮개의 가운데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중앙 관통홀; 및 상기 중앙 관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투시창;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상기 자동차 에어컨 필터가 확대된 상태로 보이도록 볼록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시창은 창 착탈부를 통해 상기 중앙 관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창 착탈부는, 상기 투시창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상기 중앙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 및 상기 삽입 리브의 말단부에 단차져 구비되며 상기 전면 덮개의 내면에 걸리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전면 덮개는 덮개 착탈부를 통해 상기 장착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 착탈부는, 상기 전면 덮개의 내면에 상기 장착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말단부에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 돌기; 및 상기 장착 브라켓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될 경우 상기 결합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스와, 장착 브라켓과, 자동차 에어컨 필터와, 송풍부와, 전면 덮개와, 그리고 투시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가격이 저렴한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장착 브라켓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전 기기 메이커가 만들어 공급하는 고가의 필터에 비해 구입 후 유지 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고, 이와 함께 투시부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볼 수 있어, 자동차 에어컨 필터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앙 관통홀을 전면 덮개에 형성하여 이에 투시창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기술구성으로 제공하므로, 전면 덮개와 투시창을 서로 다른 재질, 즉 전면 덮개는 불투명 재질로 하고 투시창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투시창이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자가 확대된 상태로 볼 수 있어, 필터의 오염도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면 덮개는,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 중심부 덮개 몸체, 그리고 고정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고정 스페이서를 통해 중심부 덮개 몸체가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의 중심 개방부가 중심부 덮개 몸체와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 사이의 사이드 틈과 연통될 수 있어, 전면 덮개가 주변의 물건이나 구조물이나 벽 등에 접하더라도 사이드 틈을 통해 중심 개방부로 공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 청정 장치 중 장착 브라켓을 나타낸 것으로 장착 브라켓의 배면을 향해 바라본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공기 청정 장치 중 전면 덮개를 나타낸 것으로 전면 덮개의 배면을 향해 바라본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공기 청정 장치 중 장착 브라켓을 나타낸 것으로 장착 브라켓의 배면을 향해 바라본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공기 청정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공기 청정 장치 중 전면 덮개를 나타낸 것으로 전면 덮개의 배면을 향해 바라본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장착 브라켓(120)과,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와, 송풍부(140)와, 전면 덮개(150)와, 그리고 투시부(160)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한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130)를 장착 브라켓(12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공기 청정 장치(100)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전 기기 메이커(maker)가 만들어 공급하는 고가의 필터에 비해 구입 후 유지 비용을 상당히 줄일 수 있고, 이와 함께 투시부를 통해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볼 수 있어, 자동차 에어컨 필터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110)는,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100)의 외장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케이스(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개방부(111)와 공기 배출부(11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0)의 전면 개방부(111)는, 장착 브라켓(120)을 규격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거나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를 주기적으로 교환할 때 장착 브라켓(120)이나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의 인입출 통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공기 배출부(112)는,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덮개(150)에 마련된 공기 유입부(P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를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 보다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장착 브라켓(120)은,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즉,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된 필터 장착부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나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 자동차용 에어컨 필터)를 자동차가 아닌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100)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장착 브라켓(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 통과부(121)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공기 통과부(12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14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송풍부(140)의 팬 커버를 이룰 수 있다. 나아가, 공기 통과부(1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창살(12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창살(121a) 사이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장착 브라켓(120)은 브라켓 착탈부(170)를 통해 케이스(110)의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 착탈부(1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보스(171), 케이스 보스(172), 그리고 브라켓 체결 볼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보스(171)는 장착 브라켓(120)에 구비될 수 있고 케이스(110)의 내면 중 후면측 내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그 돌출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과공(171a)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 보스(172)는 케이스(110)의 후면측 내면에 구비될 수 있고 브라켓 보스(171)를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홈(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체결 볼트(173)는 브라켓 보스(171)의 통과공(171a)과 케이스 보스(172)의 너트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너트홈(미도시)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브라켓 착탈부(170)를 제공하므로,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의 규격에 따라 이에 맞는 장착 브라켓(120)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나 형태의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에 대해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브라켓 보스(171)와 케이스 보스(172)에 의해 장착 브라켓(120)의 위치가 케이스(110)의 후면측 내면과 이격된 상태로 놓일 수 있고, 그 이격된 부분을 통해 공기가 유동되면서 케이스(110)의 공기 배출부(112)로 배출될 수 있다.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는,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 상에 마련된 필터 장착부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먼지나 오염물 등을 제거하는 자동차 메이커(car maker) 등에서 제공하는 필터로, 가전 기기 메이커(home appliance maker)에서 제공되는 필터에 비해 저렴하여 가전 기기 메이커에서 제공되는 고가의 필터를 대신하여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100)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1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장착 브라켓(120)의 공기 통과부(121)로 통과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나아가,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브라켓(12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덮개(150)를 열고 케이스(110)의 전면 개방부(111)를 통해 장착 브라켓(120)에 놓인 사용이 완료된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를 인출한 후 새로운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인입시키는 것으로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의 교환이 용이할 수 있다.
송풍부(140)는, 공기 유입부(P10)로 공기를 유입시킴과 함께 공기 배출부(112)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송풍부(14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기를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를 거쳐 공기 배출부(112)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140)는 케이스(110)의 내면 중 후면측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전면 덮개(150)는, 케이스이 전면 개방부(111)를 덮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전면 덮개(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부(P10)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전면 덮개(150)는,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151), 중심부 덮개 몸체(152), 그리고 고정 스페이서(1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151)는 중심 개방부(도 6의 151a)를 가질 수 있고, 중심부 덮개 몸체(152)는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151)에 구비되되 중심 개방부(151a)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스페이서(153)는 중심부 덮개 몸체(152)와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151)를 서로 이격시켜 고정하되 전방으로 이격시켜 고정할 수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151)의 중심 개방부(151a)가 중심부 덮개 몸체(152)와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151) 사이의 사이드 틈(P11)과 연통될 수 있어, 전면 덮개(150)가 주변의 물건이나 구조물이나 벽 등에 접하더라도 사이드 틈(P11)을 통해 중심 개방부(151a)로 공기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페이서(15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고정 스페이서(153)는 중심부 덮개 몸체(152)의 중심을 향해 모이되 그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형태로 커브(curve)를 그리며 모일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틈(P1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가운데로 모이면서 장착 브라켓(120)의 공기 통과부(121)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덮개(150)는,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착탈부(180)를 통해 장착 브라켓(1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착탈부(180)는, 결합 돌기(181)와 파지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181)는 전면 덮개(150)의 내면에 장착 브라켓(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그 말단부에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결합홈(도 6의 181a)을 가질 수 있다. 파지부(182)는 장착 브라켓(12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 돌기(181)가 삽입될 경우 결합 돌기(181)의 결합홈(181a)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 착탈부(180)를 통해 전면 덮개(150)를 탈거하는 것으로,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의 교환이 용이할 수 있다.
필터 투시부(16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된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의 오염도를 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필터 투시부(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덮개(15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투시부(160)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덮개(150)의 일 구성인 중심부 덮개 몸체(15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터 투시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관통홀(161)과 투시창(162)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관통홀(161)은 중심부 덮개 몸체(152)의 가운데 부분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투시창(162)은 중앙 관통홀(16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관통홀(161)에 투시창(162)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어, 전면 덮개(150)와 투시창(162)을 서로 다른 재질, 즉 전면 덮개(150)는 불투명 재질로 하고 투시창(162)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하여 서로 조립할 수 있다.
나아가, 투시창(162)은 창 착탈부(165)를 통해 상기 중앙 관통홀(16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 착탈부(165)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리브(165a)와 걸림 돌기(165b)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리브(165a)는 투시창(162)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며 중앙 관통홀(161)에 삽입될 수 있고, 걸림 돌기(165b)는 삽입 리브(165a)의 말단부에 단차져 구비되며 중심부 덮개 몸체(152)의 내면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투시창(16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가 확대된 상태로 보이도록 볼록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된 자동차 에어컨 필터(130)를 사용자가 확대된 상태로 볼 수 있어, 필터(130)의 오염도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리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바닥에 세울 수 있다
나아가, 다리부(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착탈부(M10)를 통해 케이스(11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 착탈부(M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체결공(M11), 다리 체결공(M12), 그리고 다리 체결 볼트(M1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체결공(M11)은 케이스(11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고, 다리 체결공(M12)은 다리부(190)에 구비되되 케이스 체결공(M11)에 상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리 체결 볼트(M13)는 케이스 체결공(M11)과 다리 체결공(M12)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다리 착탈부(M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위치 안내공(M14)과, 다리부(190)에 구비되며 위치 안내공(M14)에 삽입되는 위치 안내 돌기(M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190)의 체결시에 다리부(190)의 체결 위치를 쉽고 빠르게 조립자가 인지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다리부(19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와 같이 신축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가 소형으로 구성될 경우 공기 청정기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공기 청정 장치 110: 케이스
111: 전면 개방부 112: 공기 배출부
120: 장착 브라켓 121: 공기 통과부
130: 자동차 에어컨 필터 140: 송풍부
150: 전면 덮개부 P10: 공기 유입부
151: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 151a: 중심 개방부
152: 중심부 덮개 몸체 153: 고정 스페이서
160: 필터 투시부 161: 중앙 관통홀
162: 투시창 165: 창 착탈부
165a: 삽입 리브 165b: 걸림 돌기
170: 브라켓 착탈부 171: 브라켓 보스
171a: 통과공 172: 케이스 보스
173: 브라켓 체결 볼트 180: 덮개 착탈부
181: 결합 돌기 181a: 결합홈
182: 파지부 190: 다리부
M10: 다리 착탈부 M11: 케이스 체결공
M12: 다리 체결공 M13: 다리 체결 볼트
M14: 위치 안내공 M15: 위치 안내 돌기

Claims (3)

  1. 전면 개방부와 공기 배출부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공기 통과부를 가지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통과부로 통과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자동차 에어컨 필터;
    상기 장착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의 후면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부;
    상기 전면 개방부를 덮으며 상기 자동차 에어컨 필터에 대향되고 공기 유입부를 가지는 전면 덮개; 및
    상기 전면 덮개에 구비되며 상기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보기 위한 필터 투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덮개는,
    중심 개방부를 가지는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
    상기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에 구비되되 상기 중심 개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투시부가 구비되는 중심부 덮개 몸체; 및
    상기 중심부 덮개 몸체와 상기 가장자리부 덮개 몸체 사이에 상기 중심 개방부와 연통되는 틈이 형성되도록 서로를 이격시켜 고정하되 상기 중심부 덮개 몸체를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격시켜 고정하는 고정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스페이서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고정 스페이서는,
    상기 중심부 덮개 몸체의 중심을 향해 모이되 그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형태로 커브를 그리며 모이는 형상을 가지고,
    공기 청정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다리 착탈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다리 착탈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구비되는 케이스 체결공;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 체결공에 상응하게 구비되는 다리 체결공; 및
    상기 케이스 체결공과 상기 다리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다리 체결 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 착탈부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되는 위치 안내공; 및
    상기 다리부에 구비되며 위치 안내공에 삽입되는 위치 안내 돌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공기 청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필터 투시부는,
    상기 전면 덮개의 가운데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중앙 관통홀; 및
    상기 중앙 관통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투시창;
    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투시창은,
    상기 자동차 에어컨 필터가 확대된 상태로 보이도록 볼록렌즈로 이루어지는
    공기 청정 장치.
KR1020190012663A 2019-01-31 2019-01-31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215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63A KR102154920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63A KR102154920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58A KR20200095058A (ko) 2020-08-10
KR102154920B1 true KR102154920B1 (ko) 2020-09-10

Family

ID=72049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63A KR102154920B1 (ko) 2019-01-31 2019-01-31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9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7711A (ja) * 2009-03-10 2010-09-24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152A (ko) * 2004-04-06 2005-10-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필터오염도를 알 수 있는 공기청정기
KR20120033590A (ko) * 2010-09-30 2012-04-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필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7711A (ja) * 2009-03-10 2010-09-24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58A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0239B2 (en) Air cleaner and its ionizing unit
CA2753065C (en) Vacuum cleaner with recirculated cooling air
KR101158576B1 (ko) 공기청정기
US6162287A (en) Filter for vacuum cleaner
KR101152512B1 (ko) 공기청정기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KR102154920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JP4698276B2 (ja) 空気清浄機
KR102154917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1152459B1 (ko) 공기청정기
KR101295162B1 (ko) 가습 공기 청정기
KR20070065136A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 필터
KR100544701B1 (ko) 공기청정기
WO2008065404A2 (en) Vacuum cleaner filter assembly
KR200466747Y1 (ko) 진공청소기
US20230381702A1 (en) Air purifier
KR20030067262A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KR20100052375A (ko) 공기 청정기
KR101480306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KR101157669B1 (ko) 공기청정기
KR102655745B1 (ko) 휴대 가능한 공기 청정 후드
KR100820587B1 (ko) 공기청정기
KR20230166795A (ko) 공기청정기
KR100492320B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세트
KR101076933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