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795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795A
KR20230166795A KR1020220079787A KR20220079787A KR20230166795A KR 20230166795 A KR20230166795 A KR 20230166795A KR 1020220079787 A KR1020220079787 A KR 1020220079787A KR 20220079787 A KR20220079787 A KR 20220079787A KR 20230166795 A KR20230166795 A KR 20230166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ver
frame
ai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영
남유영
배준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318,78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81702A1/en
Publication of KR2023016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청정기가 소개된다.
공기청정기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와, 공기가 필터부재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와, 송풍기를 수용하는 바디프레임과, 공기청정기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고 바디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프레임과, 커버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필터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고, 필터프레임이 커버프레임에 체결될 때, 필터부재는 이동이 제한되도록 커버프레임과 필터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커버프레임이 상기 바디프레임에 착탈될 때, 필터부재 및 필터프레임은 커버프레임과 함께 착탈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CLEAR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주위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후,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청정기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기능성필터 등과 같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프리필터는 미세먼지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먼지를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여과 과정에서 먼지가 프리필터에 쌓이면, 프리필터는 물로 세척되어 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프리필터는 필터망과 필터망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일체로 구성되므로, 필터망을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세척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서,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99145 " 공기청정기"(특허문헌 1)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제1 공기정화필터, 제2 공기정화필터, 기능성필터 및 프리필터와, 필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필터, 일 예로, 프리필터는 극세사망과, 극세사망을 지지하는 사출물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극세사망 필터이기 때문에, 먼지가 묻은 극세사망 필터를 공기청정 장치에서 분리하여 세척하는 경우, 극세사망 필터에 대한 세척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고, 극세사망 필터의 세척 후에도 극세사망 필터에 침투한 이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가 묻은 극세사망 필터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경우, 짧은 시간 내에 극세사망 필터를 세척할 수 있으나, 극세사망 필터의 세척 후에도 극세사망 필터에 침투한 이물질이 깨끗하게 세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먼지가 묻은 극세사망 필터를 세척솔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경우, 극세사망 필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는 있지만, 극세사망 필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극세사망 필터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극세사망 필터를 세척하는데 불편하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143097 " 필터 및 공기청정 장치의 프리필터"(특허문헌 2)는 먼지를 여과하는 필터와, 필터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이 일체로 이루어진 필터부를 구비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필터부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이 채용된 프레임과,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가 일체로 엮여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높고, 필터부를 교체하는 경우, 교체되어 버려진 필터부는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플라스틱, 금속 등의 프레임에 필터가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필터부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단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부는 플라스틱, 광섬유, 금속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자연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물세척이 번거로워서 먼지가 쌓인 필터부를 교체하는 경우, 새 제품으로 교체된 후 버려진 필터부는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6-0099145 (2016.08.22 출원공개) 한국 공개특허 10-2019-0143097 (2019.12.30 출원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깨끗한 세척이 가능하고, 필터망을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수용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고 바디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이 상기 커버프레임에 체결될 때, 상기 필터부재는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프레임이 상기 바디프레임에 착탈될 때,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커버프레임과 함께 착탈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리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리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필터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필터 테두리부는 상기 필터 리브부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리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리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커버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커버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커버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커버 고정부에 좌우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필터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고정부와 상기 필터 고정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 테두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커버 안착부; 및 상기 커버 안착부에서 상기 커버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커버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커버 테두리부와 상기 커버 걸림부의 사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커버 안착부에 형성되는 커버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버 맞물림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필터 테두리부에 형성된 필터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맞물림부와 상기 필터 맞물림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12 kgf 내지 16 kgf 범위의 파괴강도를 가지는 필터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의 사이가 연속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부재에서 여과된 공기를 재여과하는 공기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공기필터 및 상기 송풍기가 수용 가능한 챔버를 제공하는 바디부;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커버 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가능한 삽입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속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의 필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물에 의한 세척시, 손으로 문질러서 깨끗한 세척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터부재 만의 사용을 통해 프리필터의 전체적인 무게 및 부피를 줄임으로써, 필터부재를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터부재의 빠르게 손쉬운 교체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상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하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B"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C-C"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D-D"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필터조립체(10)와 청정기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조립체(10)는 외부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조립체(10)는 청정기본체(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조립체(10)가 소정 기간 사용되면, 새로운 필터조립체(10)로 교체될 수 있다.
필터조립체(10)는 청정기본체(2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조립체(10)는 청정기본체(20)의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청정기본체(20)는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필터조립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청정기본체(20)의 전방부에는 필터조립체(10)가 장착될 수 있다.
필터조립체(10)는 필터부재(100), 커버프레임(200) 및 필터프레임(300)을 포함할 수 있고, 청정기본체(20)는 공기필터(400), 바디프레임(600) 및 송풍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재(100)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필터망일 수 있다. 필터부재(100)의 제단 후, 필터부재(100)의 가장자리부에서 실밥이 제거되면, 필터부재(100)의 가장자리부는 매끄럽게 마감될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가요성 재질의 메쉬 원단일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의 사이가 연속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강성을 가지는 프레임부재를 비포함할 수 있으며,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부재(100)는 하나의 연속적인 재질로 단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물에 의한 세척시, 손으로 비벼서 세척될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단순한 물 분사에 의한 세척에 비하여 깨끗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12 kgf 내지 16 kgf 범위의 파괴강도를 가지는 필터망일 수 있다. 필터부재(100)는 여과를 위한 필터망(메쉬 원단)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필터망과 사출물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필터보다 가벼운 무게와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100)는 가벼운 무게와 작은 부피를 가지므로, 필터조립체(10)에서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필터조립체(10)에서 분리된 필터부재(100)는 세척하여 재 사용되거나, 새 제품의 필터부재로 교체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커버프레임(200)은 필터부재(100)의 전방측에 배치되도록 청정기본체(20)의 전방부에 조립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200)은 청정기본체(20)의 전방부, 다시 말해, 바디프레임(600)의 전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프레임(200)은 공기청정기(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프레임(200)은 공기청정기(1)의 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프레임(200)은 청정기본체(20)의 바디프레임(60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커버프레임(200)은 필터부재(100)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프레임(200)은 커버 리브부(210), 커버 테두리부(220), 커버 고정부(230), 커버 안착부(240), 커버 걸림부(250), 커버 맞물림부(260) 및 커버 결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리브부(210)는 격자 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 사이에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는 외부 공기를 청정기본체(2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외부 공기의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는 격자 형태로 서로 연결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는 일방향(일 예로, 세로방향)으로만 배열되거나, 타방향(일 예로, 가로방향)으로만 배열될 수도 있다.
커버 테두리부(220)는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커버 리브부(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프레임(300)의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는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에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커버 리브부(210)의 유입구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필터 리브부재에 의한 간섭없이, 청정기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커버 고정부(230)는 커버 테두리부(220)의 양측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일 수 있다. 커버 고정부(230)에는 필터프레임(300)의 필터 고정부(330)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다. 커버 고정부(230)는 필터 고정부(330)의 외경보다 적어도 더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고정부(230)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커버 고정부(230)는 필터 고정부(330)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커버프레임(200)의 커버 고정부(230)와 필터프레임(300)의 필터 고정부(330) 간의 결합을 통해, 커버프레임(200)의 양측부와 필터프레임(300)의 양측부 간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안착부(240)는 필터부재(10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커버 안착부(240)는 필터프레임(300)의 외곽 가장자리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사각 틀 형상일 수 있다. 커버 안착부(240)는 커버 테두리부(2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조립될 때, 커버 안착부(240)는 커버프레임(200)의 중심측에 조립되는 필터프레임(300)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할 수 있다.
커버 걸림부(250)는 커버 테두리부(220)의 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 걸림부(250)는 커버 테두리부(220)의 양측부, 보다 자세하게, 커버 안착부(240)에서 커버프레임(20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일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조립될 때, 커버 테두리부(220)와 커버 걸림부(250)의 사이에는 필터부재(100)와 필터프레임(300)의 양측부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다.
커버 맞물림부(260)는 커버 테두리부(220)의 상,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 맞물림부(260)는 커버 테두리부(220)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커버 안착부(240)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조립될 때, 커버 맞물림부(260)에는 필터프레임(300)의 필터 맞물림부(360)가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안착부(240)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커버 안착부(240는 필터 맞물림부(360)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커버 결합부(270)는 커버 맞물림부(260)가 형성된 커버 테두리부(220)의 상,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270)는 커버 맞물림부(260)를 감싸도록 커버 테두리부(22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결합부(270)는 커버 맞물림부(260)에 삽입된 필터 맞물림부(360)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 결합부(270)는 삽입홈부(620)의 홈 형상에 대응되도록 커버 테두리부(220)에서 절곡되게 돌출되는 브라켓 형상일 수 있다. 필터조립체(10)가 청정기본체(20)에 조립될 때, 커버 결합부(270)는 바디프레임(600)의 삽입홈부(62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은 커버프레임(200)에 탈착 가능하도록 필터부재(10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은 필터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커버프레임(200)에 조립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조립될 때, 필터프레임(300)은 커버프레임(200)의 커버 안착부(240)의 중심측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체결될 때, 필터부재(100)는 커버프레임(200)과 필터프레임(300) 사이에 위치되므로, 필터부재(100)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은 필터부재(100)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프레임(300)은 필터 리브부(310), 필터 테두리부(320), 필터 고정부(330) 및 필터 맞물림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리브부(310)는 격자 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는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는 일방향(일 예로, 세로방향)으로만 배열되거나, 타방향(일 예로, 가로방향)으로만 배열될 수도 있다.
필터 리브부(310)의 최전방측 면은 필터부재(100)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 리브부(310)와 필터부재(100)는 서로에 대하여 접착되거나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조립될 때,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는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필터 리브부(310)의 최전방측 면은 필터부재(100)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리브부재가 형성하는 홀(즉, 필터 리브부재의 측방 공간)은 다른 구성요소가 구비되지 않는 빈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가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가 중첩되게 배치되므로, 커버 리브부(210)의 유입구를 통과한 외부 공기는, 필터 리브부재에 의한 간섭없이, 청정기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 테두리부(320)는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필터프레임(300)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필터 테두리부(320)는 필터 리브부(31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필터 테두리부(320)는 필터 리브부(31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므로, 필터프레임(300)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필터 고정부(330)는 필터 테두리부(320)의 양측부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조립될 때, 필터 고정부(330)는 커버 고정부(230)에 좌우방향으로 삽입되어 맞물릴 수 있다. 필터 고정부(330)는 커버 고정부(230)의 내경보다 적어도 더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고정부(330)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필터 고정부(330)는 필터 고정부(330)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홈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필터 맞물림부(360)는 필터 테두리부(320)의 상,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 맞물림부(360)는 커버 맞물림부(260)와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조립될 때, 필터 맞물림부(36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버 맞물림부(260)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특히, 커버프레임(200)이 바디프레임(600)에 착탈될 때, 필터부재(100) 및 필터프레임(300)은 커버프레임(200)과 함께 착탈될 수 있다.
공기필터(400)는 필터조립체(10)에서 여과된 공기를 재여과할 수 있다. 공기필터(400)는 헤파필터, 탈취필터, 기능성필터 등과 같이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필터(400)는 바디프레임(600)에서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600)은 필터조립체(10), 공기필터(400) 및 송풍기(700)를 지지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60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600)의 전방부는 필터조립체(10)가 분리 가능하도록 필터조립체(10)를 지지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600)의 내부에는 공기필터(400) 및 송풍기(700)가 수용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600)의 상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공기필터(400)를 통과한 여과된 공기를 외부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600)은 바디부(610)와 삽입홈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610)는 필터조립체(10), 공기필터(400) 및 송풍기(700)를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6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필터조립체(10), 공기필터(400) 및 송풍기(700)를 지지할 수 있다.
바디부(610)의 상부에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바디프레임(600)의 내부로 유입되어 공기필터(40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삽입홈부(620)는 바디부(610)의 가장자리부에 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홈부(620)는 필터조립체(10)의 커버 결합부(270)와 대응되는 형상의 홈 일 수 있다. 필터조립체(10)가 청정기본체(20)에 조립될 때, 삽입홈부(620)에는 필터조립체(10)의 커버 결합부(27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송풍기(700)는 외부 공기를 필터조립체(10) 및 공기필터(400)를 통과시켜 바디프레임(600)의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기(700)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공기청정기(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송풍기(700)는 공기청정기(1) 내부의 필터조립체(10) 및 공기필터(4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송출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다. 송풍기(700)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공기청정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터조립체(10)를 조립하는 경우, 필터프레임(300)은 필터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커버프레임(200)과 결합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 결합될 때, 필터프레임(300)의 양측부는 커버프레임(200)의 양측부에 결합될 수 있고, 필터프레임(300)의 상하부는 커버프레임(200)의 상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재(100)가 커버프레임(200)의 후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터프레임(300)은 커버프레임(200)의 커버 안착부(240)가 주위를 두르는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재(100) 및 필터프레임(300)의 양측부는 커버 테두리부(220)와 커버 걸림부(250)의 사이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프레임(300)의 필터 고정부(330)는 커버프레임(200)의 커버 고정부(230)에 좌우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프레임(300)의 필터 고정부(330)는 커버프레임(200)의 커버 고정부(23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필터프레임(300)의 필터 맞물림부(360)는 커버프레임(200)의 커버 맞물림부(260)에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다시 말해, 필터프레임(300)의 필터 맞물림부(360)는 커버프레임(200)의 커버 맞물림부(26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프레임(300), 필터부재(100) 및 커버프레임(200)이 필터조립체(10)로 조립될 때, 필터프레임(300)의 필터 고정부(330) 및 필터 맞물림부(360)는, 커버프레임(200)의 커버 고정부(230) 및 커버 맞물림부(260)에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맞물릴 수 있다
한편, 필터조립체(10)로부터 필터부재(100)를 분리하기 위해,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의 양측부는 커버프레임(200)의 양측부에서 분리될 수 있고, 필터프레임(300)의 상하부는 커버프레임(200)의 상하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300)이 커버프레임(200)에서 분리되면, 필터부재(100)를 커버프레임(200)에서 분리한 후, 물을 이용하여 필터부재(100)를 세척할 수 있다. 필터부재(100)의 세척시, 필터부재(100)는 가요성 재질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필터부재(100)를 손으로 비벼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된 필터부재(100)는 상술한 필터조립체(10)의 조립 과정을 통해, 필터부재(100)는 필터프레임(300)과 커버프레임(200) 사이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공기청정기 10: 필터조립체
20: 청정기본체 100: 필터부재
200: 커버프레임 210: 커버 리브부
220: 커버 테두리부 230: 커버 고정부
240: 커버 안착부 250: 커버 걸림부
260: 커버 맞물림부 270: 커버 결합부
300: 필터프레임 310: 필터 리브부
320: 필터 테두리부 330: 필터 고정부
360: 필터 맞물림부 400: 공기필터
600: 바디프레임 610: 바디부
620: 삽입홈부 700: 송풍기

Claims (10)

  1.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
    상기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수용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필터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이 상기 커버프레임에 체결될 때, 상기 필터부재는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커버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프레임이 상기 바디프레임에 착탈될 때,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커버프레임과 함께 착탈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리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리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필터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필터 테두리부는 상기 필터 리브부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리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 리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커버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필터 리브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커버 리브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커버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커버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커버 고정부에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필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필터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고정부와 상기 필터 고정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필터부재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 테두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 커버 안착부; 및
    상기 커버 안착부에서 상기 커버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커버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커버 테두리부와 상기 커버 걸림부의 사이에 안착되는,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커버 안착부에 형성되는 커버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버 맞물림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상기 필터 테두리부에 형성된 필터 맞물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맞물림부와 상기 필터 맞물림부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돌기 또는 홈 형상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12 kgf 내지 16 kgf 범위의 파괴강도를 가지는 필터망인,
    공기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의 사이가 연속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에서 여과된 공기를 재여과하는 공기필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공기필터 및 상기 송풍기가 수용 가능한 챔버를 제공하는 바디부; 및
    상기 커버프레임의 커버 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이 가능한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079787A 2022-05-30 2022-06-29 공기청정기 KR20230166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18,782 US20230381702A1 (en) 2022-05-30 2023-05-17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5796 2022-05-30
KR1020220065796 202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795A true KR20230166795A (ko) 2023-12-07

Family

ID=8916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787A KR20230166795A (ko) 2022-05-30 2022-06-29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79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45A (ko) 2015-02-11 2016-08-2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90143097A (ko) 2018-06-20 2019-12-30 (주)더숨 필터 및 공기청정 장치의 프리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45A (ko) 2015-02-11 2016-08-2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90143097A (ko) 2018-06-20 2019-12-30 (주)더숨 필터 및 공기청정 장치의 프리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761B1 (ko) 공기청정기
JP6486497B2 (ja) 空気清浄機
KR101158576B1 (ko) 공기청정기
KR10106407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210129887A (ko)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KR102067737B1 (ko) 물필터 공기청정기
KR20230166795A (ko) 공기청정기
US20230381702A1 (en) Air purifier
KR100464516B1 (ko) 공기청정기
CN217408712U (zh) 清洁设备
KR20120125019A (ko) 공기 청정기
KR100544701B1 (ko) 공기청정기
KR20100052375A (ko) 공기 청정기
KR20160015566A (ko) 공기청정기
KR10056449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장치
KR20030067262A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KR102154920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064074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EP4176957A1 (en)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having same
KR101480306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KR101988945B1 (ko) 제습형 공기 청정기
JP2019007636A (ja) 空気清浄機
KR102154917B1 (ko) 자동차 에어컨 필터를 사용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0551973B1 (ko) 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