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935Y1 - 감응형 전환스위치 - Google Patents

감응형 전환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935Y1
KR920008935Y1 KR2019900010208U KR900010208U KR920008935Y1 KR 920008935 Y1 KR920008935 Y1 KR 920008935Y1 KR 2019900010208 U KR2019900010208 U KR 2019900010208U KR 900010208 U KR900010208 U KR 900010208U KR 920008935 Y1 KR920008935 Y1 KR 920008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iece
switch
switching
cam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381U (ko
Inventor
요시오 니시오
유우이찌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야자끼 야스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야자끼 야스히꼬 filed Critical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3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9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50Driving mechanisms with indexing or latch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with means to ensure stopping at intermediate operative position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응형 전환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 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스프링 특성선도.
제4도는 운행기록계를 도시한 정면도.
제5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축 3 : 전환캠
4 : 스프링편 5 : 접촉자
6 : 지지판 8 : 지지점부
8b : 곡면형상
본 고안은 스위치의 전환감도를 향상시켜서 전환절도를 가지게한 감응형 전환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전환스위치를 사용한 예로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차량용의 운행 기록계를 들 수가 있다.
도면에서 13은 운전자의 교대시에 전환조작하는 스위치 노브이고 3채널의 전환에 의해 케이스(14)내에 차트지에 운전자의 교대시기를 세사람까지 기록시킬 수가 있다.
또, 15는 자명타이머(OFF, 1Hr, 2Hr, 3Hr 세트)용의 4채널 스위치 노브이다.
이들의 스위치 노브(13, 15)에는 케이스(14)내에 제5도에 도시한 구동축(1')이 각각 연결되어 있고 이 구동축(1')에는 외주에 전환캠(3')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환캠(3')에 대하여 스프링편(16)의 선단의 원호형상 접촉자(5')를 미끄럼 접촉가능하게 걸어 맞추고 있는 스위치 노브(13, 15)를 미끄럼 접촉가능하게 걸어 맞추고 있고 스위치 노브(13, 15)의 미조작시에 있어서 이 접촉자(5')는 전환캡(3')외 골짜기부(2')에 걸어맞추어 있다.
이 스프링편(16)은 케이스(14)내에 고정된 지지판(17)의 일측면에 외팔보의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이 지지판(17)의, 스프링편(16)에 대한 지지점은 단면부의 에지(18)이고, 스위치 노브(13, 15)를 회전운동시키면 이 스프링편(16)은 이 에지(18)를 지지점으로 하여 휘어, 이 스프링편(16)의 접촉자(5')가 전환캠(3')의 골짜기부(2')로 부터 산부(11')와 미끄럼 접촉변위하여 인접하는 골짜기부(2')에 걸어맞춰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는 스프링편(16)이 외팔보형상이기 때문에 이 스프링편(16)의 휨과 휨 하중과는 비례관계에 있고, 특히 운행기록계와 같은 작은 스위치(13, 15)에 있어서는 회전 운동 조작시의 전환감이 명확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점에 감안하여 본 고안은 스위치 조작시에 있어서의 전환 감도가 양호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스위치축에 전환캠을 설치하고, 이 전환캠에 스프링편의 접촉자를 미끄럼 접촉시키도록 이 스프링편을 지지체에 고정하여 지지점부를 곡면형상으로 형성해서 이 스프링편의 휨시에 이 스프링편의 접착점이 점차 이 스프링편의 앞쪽으로 이행하도록 한 구조를 채용한다.
스프링편은, 전환캠의 회전운동에 수반하여 휘고, 지지체의 곡면형상 지지점부에 대하여 점차 접착점을 이행시킨다.
따라서, 스프링 하중이 2차 곡선적으로 상승하고, 스위치 전환시의 감도를 높일 수가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감응형 전환스위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그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에서 1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노브에 연결한 구동축이고 이 구동축(1)의 외주에는 채널수에 따른 골짜기부(2)를 가지는 전환캠(3)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전환캠(3)에 대하여 스프링편(4)의 선단의 원호형상 접촉자(5)를 미끄럼 접촉가능하게 걸어맞추고 있고 스위치 미조작시에 있어서 이 접촉자(5)는 전환캠(3)의 골짜기부(2)에 걸어 맞추고 있다.
이 스프링편(4)은 고정된 지지판(6)의 일측면에 대하여, 체결부착구(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판(6)의 선단쪽 즉 이 스프링편(4)에 대한 지지점부(8)는 도면의 8a 위치로부터 선단에 걸쳐서 점차 곡률반경을 작게 한 2차 곡선적인 곡면형상(8b)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촉자(5)가 전환캠(3)의 골짜기부(2)에 걸어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이 스프링편(4)은 직선적(도면의 9)이 아니고 약간 휘어서 굴곡한 형상을 나타내서 전환캠(3)을 가압하여 흔들림을 없앰과 동시에 스프링편(4)의 초기하중을 높이고 있다.
그리고 스위치 노브를 회전운동시키면 이 스프링편(4)은 전환캠(3)에 접촉자(5)를 미끄럼 접촉시켜 지지판(6)과의 접착점(8)을 점차 선단방향으로 이행시키면서 휘기때문에 스프링편(4)의 유효길이(L)가 점차 짧아져서 스프링 하중은 이 유효길이(L)의 3승으로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제3도에 그의 흼∼하중선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 특선(10)에 비하여 2차 곡선적으로 스위치 노브의 조작하중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편(4)의 접촉자(5)가 전환캠(5)의 산부(11)에서 인접하는 골짜기부(2)로 이동할 때에 급격하게 하중이 감소하기 때문에(제3도의 12) 스위치의 전환감을 명확하게 느낄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위치의 전환감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마과 동시에 상품 이미지를 높일 수가 있다.

Claims (1)

  1. 스위치축의 전환캠을 설치하고 이 전환캠에 스프링편의 접촉자를 미끄럼 접촉시키도록 이 스프링 편을 지지체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전환스위치에 있어서, 이 스프링편에 대한 이 지지체의 지지점부를 곡면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스프링편의 휨시에 이 스프링편의 접착점이 점차 이 스프링편의 앞쪽으로 이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형 전환스위치.
KR2019900010208U 1989-07-12 1990-07-12 감응형 전환스위치 KR92000893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81171U JPH0320842U (ko) 1989-07-12 1989-07-12
JP81171 1989-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381U KR910003381U (ko) 1991-02-27
KR920008935Y1 true KR920008935Y1 (ko) 1992-12-24

Family

ID=1373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208U KR920008935Y1 (ko) 1989-07-12 1990-07-12 감응형 전환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20842U (ko)
KR (1) KR9200089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662A (ko) * 2002-04-10 2003-10-17 박태근 거품 마사지 롤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5793A (fr) * 1972-02-22 1973-08-22 Hoechst Ag Polybutyral de vinyle stabilise et stabilisant pour polybutyral de viny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662A (ko) * 2002-04-10 2003-10-17 박태근 거품 마사지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0842U (ko) 1991-02-28
KR910003381U (ko) 199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6186A (en) Electric plug connector
KR920008935Y1 (ko) 감응형 전환스위치
JP3921909B2 (ja) レバー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US5565663A (en) Electrical Switch
JP2003115238A (ja) スイッチ操作機構
EP1079402A3 (en) Switch device with broader operable range
US4287401A (en) Mode-indicating mechanisms for push-button operated devices
JP2517748Y2 (ja) スイッチ装置の押釦構造
JPH0516447Y2 (ko)
SU849319A1 (ru) Путевой выключатель
US3719162A (en) Shift indicator mechanism
KR0132134Y1 (ko) 가도식 변속레버의 부트 연결구조
JPH0635309Y2 (ja) スイッチの押し釦装置
JPS5952496B2 (ja) デジタルスイツチ
JPS6322359Y2 (ko)
JPH0449729Y2 (ko)
JPS596584Y2 (ja) プッシュプル・スイッチ
JPH0318267Y2 (ko)
JP2596121Y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H0541922Y2 (ko)
JPS647404Y2 (ko)
JPS60193217A (ja) 薄型スイツチの駆動装置
JPH0635307Y2 (ja) 押釦スイッチ
JPH08335421A (ja) 押しボタン装置
JPH0751959Y2 (ja) 自動変速機のパ−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