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907B1 -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907B1
KR920008907B1 KR1019890017577A KR890017577A KR920008907B1 KR 920008907 B1 KR920008907 B1 KR 920008907B1 KR 1019890017577 A KR1019890017577 A KR 1019890017577A KR 890017577 A KR890017577 A KR 890017577A KR 920008907 B1 KR920008907 B1 KR 92000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creen
horizontal
pwm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003A (ko
Inventor
백동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907B1/ko
Priority to JP2328773A priority patent/JPH0628380B2/ja
Publication of KR91001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편향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분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수평/수직 편향 회로 5 : 마이콤
7 : PWM 제어 출력부 8 : 저역 통과 필터
9 : 편향량 제어부
본 발명은 텔레비젼의 편향 제어 회로계에 있어서, 파우어를 '온'시킬때는 화면의 크기를 점점 크게 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파우어를 '오프'시킬때에는 화면의 크기를 점점 줄여가며 디스플레이시켜주는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텔레비젼의 파우어를 '온'시키면 텔레비젼 내부의 고압이 생성되기까지 일정시간 오디오 및 비데오 신호가 뮤트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급작스럽게 화면의 전체 크기(full size)가 그대로 나타나게 되고 또한 파우어를 '오프'시킬때에는 급작스런 고압의 소멸로 인하여 화면이 한꺼번에 없어지므로써 대형 TV의 경우 파우어 온/오프시에 급작스런 화면의 온/오프로 스풋(spot)현상이나 시각적인 충격등의 영향을 받는 것이었다.
즉 종래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영상처리 프로세서(1)에서 복합 영상신호에서 포함된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수평/수직 편향 회로(2)에 인가시키게 되고 수평/수직 편향 회로(2)에서는 동기신호 입력에 의하여 수평/수직 편향코일(3)에 인가되는 편향전류를 제어하므로써 CRT(4)에 화면이 나타나게 되어 있으며 이때 화면의 생성이나 사라짐은 고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파우어 온/오프시에 고압이 생성되거나 사라지게 되면 이에 따라 급작스럽게 화면이 생성되거나 사라지게 되므로써 스폿(spot)현상이 발생하는등 눈에 자극을 주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파우어 온/오프시에 화면의 크기가 서서히 증가하든가 또는 서서히 사라지게 하여 스폿현상 및 눈의 자극을 주는 현상을 없애도록 한 것으로 파우어 온/오프 신호를 인식하여 수직/수평 편향 전류를 서서히 증감시켜 주므로써 파우어 '온'시 서서히 화면이 증가되어 본래의 화면 크기가 되고 파우어 '오프'시에는 서서히 화면의 크기가 감소되어 완전히 사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같은 목적은 본 발명을 일실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평/수직 편향 회로(2)에서 편향코일(3)에 인가되는 편향 전류를 제어하여 CRT(4)에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텔레비젼의 편향 회로계에 있어서, 파우어 키입력을 인식한 마이콤(5)의 파우어 온/오프 신호 출력은 공지의 전원투입구(6)에 인가시키는 한편 PWM 제어 출력부(7)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상기 파우어 온/오프 신호 출력을 인식하여 PWM 펄스의 듀터비를 일정시간 동안 증감시키는 PWM 제어 출력부 (7)의 PWM 펄스 출력은 저역 통과 필터(8)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게 구성하며 상기 저역 통과 필터(8)의 직류전압을 인식하여 수평/수직 편향 회로(2)에 수평/수직 편향 전류 제어신호를 인가시키는 편향량 제어부(9)를 연결 구성시킨 것이다.
본 발명은 마이콤(5)의 파우어 '온'신호를 PWM 제어 출력부(7)에서 인식하면 PWM 펄스의 듀티비를 일정시간 동안 서서히 증가시키는 한편 파우어 오프 신호 인가시에는 듀티비를 서서히 감소시키게 구성한 후 상기 PWM 제어 출력부(7)의 PWM 펄스를 저역 통과 필터(8)에서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편향량 제어부(9)에 인가시킴으로써 편향량 제어부(9)에서는 저역 통과 필터(8)에서 인가되는 직류 전압 레벨에 따라 수평/수직 편향 회로(2)의 수평/수직 편향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우어 '온'시 수평/수직 편향 전류를 서서히 증가시켜 화면의 크기가 서서히 커지면서 본래의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되고 파우어 오프시에는 수평/수직 편향 전류를 서서히 감소시켜 화면의 크기가 서서히 작아지면서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파우어 '온'시 서서히 화면의 크기가 증가되면서 본래의 화면 크기(full size)인 정상 상태로 되고 파우어 '오프'시에는 서서히 화면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화면이 없어지도록 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마이콤(5)에서는 파우어 키 입력을 인식하여 파우어 '온'시에는 하이레벨의 파우어 신호를 출력시키고 파우어 '오프'시에는 로우레벨의 파우어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마이콤(5)에서 하이레벨의 파우어 신호가 출력되면 파우어 신호는 PWM 제어 출력부(7)에 인가되는 한편 전원 투입구(6)에 인가되게 되며 전원 투입부(6)에서는 하이레벨의 파우어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릴레이(RY)를 '온'시킴으로써 AC 입력이 세트내로 투입되어 메인 전원 공급을 하게 된다.
그리고 PWM 제어 출력부(7)에서는 하이레벨의 파우어 신호가 인가되면 PWM 펄스를 출력시키되 상기 PWM 펄스의 듀티비를 일정시간에 걸쳐 서서히 증가시켜 가며 출력시키게 되며 이때 파우어 신호에 의해 PWM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켜 가며 출력시킬때부터 정상적인 듀티비를 출력시킬때까지의 시간은 세트 생산시 설계에 의해 결정된다.
즉 PWM 제어 출력부(7에서는 파우어 '온'신호를 인식하여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0-t1 기간까지 서서히 PWM 펄스의 듀티비를 증가시켜 가며 출력시키게 되고 t1 기간에서 t2 까지는 정상적인 형태의 PWM 펄스 출력을 출력시키게 된다.
이러한 PWM 제어 출력부(7)의 PWM 펄스 출력은 저역 통과 필터(8)에 인가되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지므로 파우어 '온'시간(t0)부터 PWM 펄스의 듀티비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t1 시간까지는 저역 통과 필터(8)의 직류전압도 서서히 증가하게 되고 t1 시간 이후로부터는 일정전압의 직류 레벨을 출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저역 통과 필터(8)의 직류전압은 편향량 제어부(9)에 인가되어 수평/수직 편향 회로(2)의 수평/수직 편향 전류를 제어하게 되며 저역 통과 필터(8)의 직류 전압레벨에 따라 수형/수직 편향 전류 제어신호를 수평/수직 편향 회로(2)에 인가시키게 된다.
즉 파우어 '온'시점(t0 시점)에서 일정기간인 t1 시점까지 저역 통과 펄퍼(8)의 출력이 서서히 증가하게 되므로 편향량 제어부(9)의 제어신호도 t0-t1 기간에서는 (a)도에서와 같이 서서히 증가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수직 편향 회로(2)의 편향 직류도 서서히 증가하게 되므로 수평/수직 편향코일(3)에서 CRT(4)의 화면 크기를 서서히 증가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파우어 '온'시에는 화면의 크기가 t0-t1 기간까지 서서히 커지게 되고 t1 시간 이후부터 전체 화면 크기로 디스플레이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파우어 '온'시 종래와 같이 한꺼번에 전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서서히 화면 크기가 증가되면서 전체 화면크기로 디스플레이되므로 눈에 자극을 주는 현상이 없어지고 부드러운 화면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파우어를 '오프'시켰을 경우 화면이 서서히 감소되어 사라지는 동작은 상기의 화면 '온'동작과는 반대가 되는 것으로 그 상세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a)도의 t2 시점에서 파우어를 '오프'시키면 마이콤(5)에서는 로우레벨의 파우어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러한 파우어 '오프'신호는 전원 투입부(6)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키고 릴레이(RY)를 '오프'시켜 메인 전원 투입을 차단시키는 한편 PWM 제어 출력부(7)에 인가되어 PWM 펄스의 듀티비를 t3시간까지 서서히 감소시켜 주게 되고 이러한 PWM 제어 출력부(7)의 PWM 펄스출력은 저역 통과 필터(8)를 통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된 후 편향량 제어부(9)에 인가되므로써 수평/수직 편향 전류 제어신호는 t2-t3 기간동안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수직 편향 회로(2)에서 수평/수직 편향코일(3)에 인가시키는 편향전류도 서서히 감소하게 되어 CRT(4)의 화면 크기는 t2 기간에서 최대 화면 크기로 되었다가 서서히 크기가 감소되어 t3 기간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즉 파우어 '오프'시에는 화면의 크기가 서서히 사라지게 되어 완전히 없어지도록 한 것으로써 파우어 '오프'시 종래와 같이 화면이 갑자기 없어져 스폿현상이 발생하였던 것을 서서히 사라지게 하여 없애주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아 같이 본 발명은 텔레비젼은 편향 회로에 있어서 파우어 '온'시 서서히 화면을 증가시켜 가며 전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파우어 '오프'시에는 서서히 화면을 감소시켜 가며 없어지도록 한 것으로써 파우어 온/오프시 스폿현상이나 충격 및 눈에 자극을 주는 현상을 없앨 수 있으며 파우어 온/오프시 부드러운 화면 나타남이나 화면 사라짐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평/수직 편향 회로(2)에서 편향코일(3)의 편향전류를 제어하여 CRT(4)에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는 텔레비젼의 편향 회로계에 있어서, 마이콤(5)의 파우어 온/오프 신호 출력을 감지하여 PWM 펄스의 듀티비를 일정시간 동안 서서히 증감시키는 PWM 제어 출력부(7)와, 상기 PWM 제어 출력부(7)의 PWM 펄스 출려글 직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8)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8)의 직류전압 레벨에 따라 수평/수직 편향 회로(2)의 편향 전류 흐름을 제어하는 수평/수직 편향 전류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편향량 제어부(9)를 연결 구성시킨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KR1019890017577A 1989-11-28 1989-11-28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KR92000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577A KR920008907B1 (ko) 1989-11-28 1989-11-28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JP2328773A JPH0628380B2 (ja) 1989-11-28 1990-11-28 パワーオン/オフ時の画面の大きさ制御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577A KR920008907B1 (ko) 1989-11-28 1989-11-28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003A KR910011003A (ko) 1991-06-29
KR920008907B1 true KR920008907B1 (ko) 1992-10-10

Family

ID=1929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577A KR920008907B1 (ko) 1989-11-28 1989-11-28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28380B2 (ko)
KR (1) KR920008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0559B2 (en) * 2015-04-30 2021-05-11 Psioxus Therapeutics Limited Oncolytic adenovirus encoding a B7 prot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8380B2 (ja) 1994-04-13
JPH03178271A (ja) 1991-08-02
KR910011003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7971A2 (en) Reproduction circuit for skin color in video signals
MY111892A (en) On-screen display generator
KR100257474B1 (ko) 텔레비젼 수신기용 슬립 타이머 장치
JP5041831B2 (ja) 液晶表示装置
KR920008907B1 (ko) 파우어 온/오프시 화면 크기 제어회로
KR920008528Y1 (ko) Tv"오프"시 화상 잔광 제거회로
JPH10290407A (ja) オンスクリーン表示レベル補正装置
KR100201313B1 (ko) 모니터의 클램프 신호 발생회로
JPS6010145Y2 (ja) テレビ受像機
KR960013558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오동작 방지회로
KR200148423Y1 (ko) 영상처리시스템의 고압편향 안정화 회로
JP3068795U (ja) 水平回路保護装置
JP2545816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3276984A (ja) テレビ受像機のキヤラジエネ文字表示回路
JPH06315120A (ja) 節電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175663Y1 (ko) 티브이 오프시 잔광 발생 방지 장치
KR0178183B1 (ko) 클램프 신호 생성 동작 제어방법
KR200180207Y1 (ko) 텔레비전의 osd문자 떨림방지회로
JP2000152029A (ja) 自動利得制御回路
KR200197411Y1 (ko) 모니터의 오에스디 제어회로
KR960006106Y1 (ko)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안정화 회로
KR0127171Y1 (ko) 모니터의 영상클램프 회로
KR970019458A (ko) Osd 신호의 화면표시제어방법
JPH0391371A (ja) 水平偏向回路
KR19980014556A (ko) 수동방식의dpms구동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