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91B1 - 구름베아링 - Google Patents

구름베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91B1
KR920008191B1 KR1019870011421A KR870011421A KR920008191B1 KR 920008191 B1 KR920008191 B1 KR 920008191B1 KR 1019870011421 A KR1019870011421 A KR 1019870011421A KR 870011421 A KR870011421 A KR 870011421A KR 920008191 B1 KR920008191 B1 KR 92000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rolling bearing
rolling
retainer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374A (ko
Inventor
가즈오 구로이와
Original Assignee
가즈오 구로이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오 구로이와 filed Critical 가즈오 구로이와
Publication of KR88000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7Loose spacing bodies
    • F16C33/3713Loose spacing bodies with other rolling elements serving as spacing bodies, e.g. the spacing bodies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load carrying roll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16C19/16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with angular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2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with loose spacing bodies, e.g. balls, between the bearing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4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with loose spacing bodies between the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60Raceways; Race rings divided or split, e.g. comprising two juxtaposed rings
    • F16C33/605Raceways; Race rings divided or split, e.g. comprising two juxtaposed rings with a separate retaining member, e.g. flange, shoulder, guide ring, secured to a race ring, adjacent to the race surface, so as to abut the end of the rolling elements, e.g. rollers, or the c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4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to a groove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extending toward the inner race
    • F16C33/7843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to a groove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extending toward the inner race with a single annular sealing disc
    • F16C33/784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mounted to a groove i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race and extending toward the inner race with a single annular sealing disc with a gap between the annular disc and the inner r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구름베아링
제1도는 본원 제1의 발명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구름보지기의 요부의 곡률반경이 서로 이웃한 보울의 반경보다 큰 경우의 구름보지기와 보올의 접촉상태도.
제5도는 자유링의 외륜측 단면이 크게되어 있는 경우의 단면도.
제6도는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이 서로 이웃한 보올의 자전축을 잇는 직선상에 있는 경우의 개략도.
제7도는 구름보지기의 요부의 곡률반경이 서로 이웃한 보올의 반경보다 작은 경우의 구름보지기와 보울의 접촉상태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원 제1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0도는 본원 제2의 발명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륜 1A : 요부
2 : 외륜 2A : 요부
3 : 보올 4, 40 : 구름보지기
4A, 40A : 요부 4B, 40B : 좁은홈
4C, 40C : 접촉부 5, 5A, 5B, 5C : 자유링
6, 6B : 커버 6a,6c : 지지레일
7 : 연동날개 8 : 배출구
본 발명은 내륜과 외륜사이에 로울러상의 구름보지기(保持器)를 끼워서 보올 또는 로울러를 설치한 구름 베아링에 관한 것이다.
내륜과 외륜사이에 보올 또는 로울러를 개재시켜서 마찰 저항을 감소하도록 한 구름베어링은 공지이며 또한 이와 같은 구름베아링에는 보올 또는 로울러의 직접접촉에 의한 양자의 마찰력의 경감을 꾀하기 위해 상기 보울 또는 로울러 사이에 보지기를 개재시킨 예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보지기는 내륜 및 외륜 사이에 상기 보울 또는 로울러를 등간격으로 보지(保持)함에는 충분하지만 반면 보지기는 전동중에 주위의 상기 보울, 로울러 내륜 및 외륜등과 마찰되어 미끄러지면서 양륜간을 회전축의 둘레로 공정하고 있다. 이때문에 미끄럼 마찰에 의한 마찰토크(torque)가 증대하고 특히 고속회전시에는 접촉부분에서 발열이 크게 됨과 동시에 동력의 손실도 크며 더우기 접촉부분을 과대하게 마모시켜 유막을 순간적으로 뭉게어 구름의 피로수명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굴러움직이고 있을 때에 보지기와 이것에 접촉하는 보울, 로울러, 내륜 및 외륜등의 미끄럼 마찰을 구름마찰로 바꿈으로써 마찰토크의 감소를 꾀하고 이것에 의한 발열을 적게함과 동시에 구름의 피로수명에도 뛰어난 구름베아링이며, 동시에 동력의 손실이 적은 마모성에 우수한 구름베아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울러 또는 보울 사이에 있으며 로울러 또는 보울과 함께 자전하면서 공전하고 지지레일과 자유링상을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는 것에 의해 내륜 및 외륜과 떨어져 회전하는 구름보지기를 갖는 구름베아링에 있어서, 전동(轉動)중에는 상기 구름보지기의 공전에 의한 원심력을 상기 자유링에 미치게 하여 구름 보지기는 지지레일에서 약간 떨어져 회전하고 상기 자유링과 함께 허공에 뜬 상태에서 회전하는 구름베아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은 내륜과 외륜사이에 복수개의 보울, 또는 로울러를 끼워서된 구름베아링에 있어서, 상기 보올 또는 로울러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보올 또는 로울러를 등간격으로 보지함과 동시에 양단부에는 한쌍의 좁은 홈과 또한 이 좁은 홈에 인접하여 원형의 접촉부가 설치된 구름보지기를 구비하며, 상기 내륜과 외륜사이의 개구부에 위치하며, 상기 외륜의 양측부에 접합하며 그 내륜쪽을 내측으로 굴곡하여 지지레일을 마련하여서 된 커버와, 상기 구름보지기의 양단부에 설치된 좁은 홈 외주에 맞닿아 외륜쪽에서 상기 구름보지기를 지지하는 자유링과를 구비하며, 상기 구름보지기의 접촉부를 상기 커버의 지지레일에 맞닿게 하여 구름보지기를 상기 내,외륜 사이에서 전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2의 발명은 내륜과 외륜사이에 복수개의 보올 또는 로울러를 끼워서 된 구름베아링에 있어서, 상기 보올 또는 로울러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보울 또는 로울러를 등간격으로 보지함과 동시에 양단부에는 한쌍의 좁은홈과 더우기 이홈에 인접하여 원형의 접촉부가 설치된 구름보지기와, 상기 내륜과 외륜사이의 개구부에 있으며, 상기 내륜의 양측부에 접합하며 그 외륜측을 내측으로 굴곡한 지지레일을 설치하여 된 커버와, 상기 구름보지기의 양단부에 마련된 좁은 홈에 맞닿아 내륜쪽에서 상기 구름보지기를 지지하는 자유링과를 구비하여, 상기 구름보지기의 접촉부를 상기 커버의 지지레일에 맞닿게하여 구름보지기를 상기 내,외륜 사이에서 굴러움직일 수 있게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제1의 발명을 제1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구름베아링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1은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이 삽통되는 내륜이고, 이 내륜(1)의 외주측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또한 외륜(2)이 설치되며 상기 내륜(1) 및 외륜(2)의 중앙부에는 대향하여 각각 요부(凹部)(1A),(2A)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이 요부(1A)(2A) 사이에는 자유자재로 굴러 움직이도록 복수의 보울(3)(3)…이 구름보지기(4)를 개재시켜서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보울(3)(3)사이에 배설되는 구름보지기(4)는 로울러형상이고 중앙부분에는 요부(4A)가 형성됨과 동시에 양단부에는 각각 좁은홈(4B)(4B)이 형성되며 더우기 이 좁은홈(4B)(4B)에 인접하여 원형의 접촉부(4C)(4C)가 마련되어 있다.
또 6,6은 상기 내륜(1) 및 외륜(2)과의 사이의 측면 개구부에 설치된 한쌍의 커버이고 상기 외륜(2)의 양측부에 설치된 반원상의 계지홈(2b)에 상기 커버(6)의 계지부(6b)를 강제적으로 압입감합하여 외륜(2)과 일체화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커버(6)(6)는 그 내륜측을 각각 외측으로 굴곡하여 이 굴곡부에 지지레일(6a)(6a)를 형성함과 함께 이 지지레일(6a)(6a)에 구름보지기(4)의 저촉 부(4 C)가 맞닿아 있다(제2도 참조). 즉, 구름보지기(4)는 접촉부(4C)를 개재시켜 외륜(2)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레일(6a)(6a)을 따라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로울러상의 구름보지기(4)의 양단부에 마련된 좁은 홈(4B)(4B)에는 외륜측에서 원형의 자유링(5)이 맞닿아있어 상기 구름보지기(4)는 이 자유링(5)의 내주측을 미끄러지지않고 구르면서 자전하고 동시에 자유링(5)과 함께 회전하여 공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지지레일(6a)의 외경은 보지기(4)의 접촉부(5C)의 공전궤도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내륜(1)의 요부(1A) 및 외륜(2)의 요부(2A)의 곡률반경은 상기 보울(3)의 반경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고 보올(3)은 내륜(1)과 외륜(2)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갖고 배설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륜(1)의 양측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반원상의 복수의 유동체 주입구(7a)(7a)…를 사이에 두고 연동날개(連動羽根)(7)이 마련되며(제1도 참조), 이 주입구(7a)는 상기 커버(6)를 구성하는 지지레일(6a)에 거의 평행으로 상기 내륜(1)의 외주면을 일부절제하며, 이 절제단면(7b)는 구름보지기(4)가 설치된 상기 내륜(1), 외륜(2) 및 커버(6)(6)에 의해 둘러싸인 베아링 내부(20)로 인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이 회전하면 이것에 연동하여 내륜(1)의 양측에 설치된 이 연동날개(7)가 회동하고 주위의 유동체의 헤드를 상승시켜 이것에 의해 윤활유를 포함하는 유동체를 베아링 내부(20)에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6)의 외륜측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통체배출구(8)(8)…가 원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배출구(8)은 상기 커버(6)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베아링내부(20)에서 사용이 끝난 유동체의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날개(7) 및 배출구(8)는 함께 베아링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일측면에만 설치된 경우도 있으며, 그것은 유동체의 순환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된 구름베아링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바,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름보지기(4)는 외륜측에서는 상기 자유링(5)의 내주측에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면서 맞닿아 지지됨과 동시에 내륜측에도 상기 커버(6)에 마련된 지지레일(6a)을 따라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면서 맞닿아 지지되고 구름보지기(4)는 내륜(1) 및 외륜(2)에서 떨어져 상기 내,외륜사이에 놓여 전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내륜(1)에 삽통된 회전축이 회전하면 그것에 연동하여 내륜(1)이 회전하고 내륜(1)이 회전하면 상기 내,외륜 사이에 설치된 보울(3)(3)…이 각각 회전한다. 이때 상기 보울(3)(3)…은 상기 양륜간을 자전하면서 회전하고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보울(3),(3)사이에 보지된 로울러상의 구름보지기(4)도 상기 보올(3)처럼 자전하면서 공전한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륜(1)이 화살표 9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보울(3)은 화살표 10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름보지기(4)는 화살표 11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름보지기(4)는 그 양단부에 마련된 좁은홈(4B)(4B) 및 접촉부( 4C)(4C)를 개재시켜, 외륜측은 자유링(5), 내륜측은 지지레일(6a) 에 지지되어 내륜(1) 및 외륜(2)과 떨어져서 회전하고 자전하면서 공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름보지기(4)에 마련된 요부(4A)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곡률반경은 보올(3)의 반경(즉, 보올 3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곡률반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보올(3)과 구름보지기(4)는 한점(4a)에서 접하므로 구름마찰이 적게 됨과 동시에 고속 회전에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구름보지기(4)는 원심력에 의해 항상 공전축의 중심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밀어붙어져 구름보지기(4)의 자전축은 항상 공전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유지되고 스쿠(skew)는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유링(5)는 외륜측에서 구름보지기(4)의 양단부에 설치된 좁은홈(4B )(4B)에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좁은홈(4B)(4B)에서 지지되어 상기 자유링(5)은 구름보지기(4)의 자전축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같이 구름보지기(4)는 상기 자유링 내주면에 맞닿아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면서 외륜(2)과 떨어져 회전한다. 이때 자유링(5)에는 자유링(5) 자신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과 구름보지기(4)의 공전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이 작용하고 자유링(5) 은 인장력을 받는다. 이 경우 복수의 구름보지기(4)(4)…는 함께 자유링(5)에 원심력을 미치면서 무리를 이루어 동일방향으로 자전하고 동일궤도를 공전한다.
또 구름보지기(4)의 내륜측에서는 양단부에 마련된 접촉부(4C)(4C)를 개재하여 지지레일(6a)(6a)에 맞닿지만 그 접촉방법은 반측면 점접촉이다. 여기서 구름보지기(4)는 지지레일(6a)위를 미끄러지지않고 구르고 내륜(1)과 떨어져서 허공에 뜬 상태로 회전한다. 다시말하면 지지레일(6a)의 외경은 상기와 같이 구름보지기(4)가 회전하여 움직이는 중에서는 그 공전에 의한 원심력을 자유링(5)에 작용하여 지지레일(6a)과는 약간 떨어져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름보지기(4)의 접촉부(4C)의 공전궤도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한편 지지레일(6a)은 구름보지기(4)와의 반측면 점접촉에 의해 구름보지기(4 )(4)…를 보다 부드러운 접촉에 의해 회동시킴과 동시에 그 자전축방향의 중심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하여 움직이는 중에는 구름보지기(4)의 내륜측은 상기 지지레일(6a )위를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면서 지지되고 외륜측은 자유링(5)에 맞닿아 역시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면서 지지되어 공정의 중심이 자동 조절되면서도 자전하면서 공전하고 구름보지기(4)는 자유링(5)가 함께 약간 허공에 뜬 상태로 약간의 마찰력으로 굴러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종류의 구름베아링은 모타에 연결된 터어보(turbo) 압축기의 베아링등으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유동체가 충만되어 있는 밀폐된 분위기속에서 사용되는 일이 많아 이 경우 내륜(1)의 측면에 마련된 연동날개(7)가 회전하면 주위의 유동체의 압력헤드를 상승시켜 주입구(7a)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유동체가 베아링내부(20)로 보내지도록 구성되고 또 베아링내부(20)가 상기 유동체의 유입에 의해 일정 압력 이상으로 되면 사용이 끝난 유동체는 자동적으로 배출구(8)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유동체로서는 액화가스와 윤활유와의 혼합체등이 사용되지만 유동체가 윤활유를 포함할 때는 자동적으로 오일미스트(oilmist)윤활이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돌면서 움직이는 중에는 베아링 내부(20)의 접촉부분에 윤활유를 연동하여 유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한층 적은 마찰력으로 전동하고 구름의 피로수명을 길게 함과 동시에 이 유막쿠션에 의하여 상기 구름보지기(4)는 한층 부드럽게 자동으로 중심이 조절되어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우기 구름보지기(4)와 보울(3), 지지레일(6a) 및 자유링(5)사이에 연동되는 윤활재에 의해 형성된 유막이 접촉부분의 간극을 채워서 압력을 미치게하고 헐거움이 제거되기 때문에 소음이나 진동이 없는 매끄러운 회전을 얻을 수 있다.
더구나 상기의 경우 자유링(5) 자신의 회전 및 구름보지기(4)의 공전에 의한 원심력 때문에 자유링(5)에는 인장력이 생기지만 다음에 상기 자유링(5)의 단면적을 크게하여 내인장력에 여유를 가지게한 예를 제5도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자유링(5)의 외륜측의 단면적이 큰 형상으로 되어 있고 보다 큰 인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이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내륜(1)과 외륜(2) 사이에 큰직경의 개구부(12)를 마련한 이른바 해방형(解放形)의 예로서 상기 실시예와 달리 연동날개(7), 배출구(8)는 가지지 않고 상기 큰직경의 개구부(12)에 의해 자연히 오일미스트 윤활이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구름보지기(4)의, 자전축에 평행한 면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레일(6a)은 구름보지기(4)(4),…의 무리전체가 이동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연동하는 유막의 쿠션에 의해 공전의 중심이 부드럽게 자동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름보지기(4)의 요부(4A)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곡률반경을 보올(3)의 반경보다 크게하여 한점 접촉으로 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다음에 구름보지기(4)의 요부(4A)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곡률반경을 보올(3)의 반경보다 작게하여 구름보지기(4)와 보올(3)이 두점에서 접촉하는 예함하는 단면의 곡률반경을 보올(3)의 반경보다 작게하여 구름보지기(4)와 보올(3)이 두점에서 접촉하는 예를 제7도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구름보지기(4)와 보올(3)은 두점(4b)(4b)에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저속회전시에 있어서도 구름보지기(4)의 자전축을 흔들리지않고 중심이 자동조절되고 구름보지기(4)의 자전축은 그 공전방향에 대하여 항상 직각으로 유지되어 스큐(skew)는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구름보지기(4)의, 자전중심을 인접한 보올(3)(3)의 자전중심을 잇는 직선상에 설치한 예를 제6도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보올(3)(3)의 자전중심(3o)(3o)을 잇는 직선상에 구름보지기(4)의 자전중심(4o)을 설치한다, 이같이 구름보지기(4)의, 자전중심(4o)을 서로 이웃한 보올(3)(3)의 자전중심(3o)(3o)을 잇는 직선상에 설치하면 구름보지기(4)가 보올(3)(3)로부터 순간적으로 압출력을 받아도 상기 압출력은 구름보직(4)의 중심(4o)의 방향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구름보지기(4)는 외륜측으로도 내륜측으로도 이동하는 힘을 받지 않게 되어 구름보지기(4)의 공전궤도는 흐트러지지 않는다.
또 제8도는 고속회전용 앵굴러(angular)보올베아링의 실시예로서 시일드(sh ield)형으로 되어있다. 윤활방법은 그리스(grease)윤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름마찰로 회전하여 마찰열에 의한 온도상승이 적기때문에 고속회전에서도 그리스 윤활로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발열에 의한 재질저하가 적고 구름의 피로수명이 향상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접촉각(θ1)이 작기때문에 구름보지기(4)의 자전축은 제1의 실시예와 같이 공전축에 평행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자유링(5B)은 외륜측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고 외륜측 단면적이 크게되어 있어 내인장력의 강화를 꾀하고 있다. 또 구름보지기(4)가 커버(6)에 설치된 지지레일(6a)에 맞닿는 면은 구름보지기(4)의 자전축에 평행한 면으로 되어 있어 고속회전시에 있어서 경쾌하게 회전하여 움직인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름보지기(4)가 가벼운 접촉력으로 접촉하고 동시에 마찰력이 적은 구름마찰로 전동하기 때문에 그리스 윤활이면서 더구나 발열에 의한 재질저하가 적어 고속에서의 회전을 가능하게하고 있다.
다음에 제9도는 접촉감이 큰 앵귤라 보올베아링의 실시예로서 시일드형, 그리스윤활이다, 이것은 접촉각(θ2)이 크기때문에 구름보지기(4)의 자전축도 기울어져 있는 예이다. 구름보지기(4)는 지지레일(6a)에 반측면 접촉하고 있어 매끄러운 접촉으로 되고 저소음 저진동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그리스윤활이면서 고속에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구나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보올(3) 대신에 원통로울러등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제2의 발명을 제10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6B)(6B)는 내륜(1)의 양측부 외륜측에 설치된 반원상의 계지홈(1b)에 커버(6B)의 계지부( 6d)를 강제적으로 압입감합하여 내륜(1)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커버( 6B)(6B)는 그 외륜측을 각각 내측으로 굴곡하여 그 굴곡부에서 지지레일(6c)(6c)를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지지레일(6c)(6c)에 내륜측에서 구름보지기(40)의 접촉부(40C)(40C)가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지지레일(6c)로 제1의 발명과 달리 외륜쪽에 있고 자유링(5c)은 구름보지기(40)의 좁은홈(40B)(40B)의 내륜쪽에서 맞닿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구나 이 제2의 발명에서는 제1의 발명과 달리 구름보지기(40)의 내륜측은 자유링(5C)의 외주상을 구르고 외륜측은 지지레일(6a)에 지지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구름보지기(40)의 형성은 제1의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름보지기(4)와는 약간 그형상을 달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의 발명에 있어서는 구름보지기(40)의 외륜측은 접촉부(40C)( 40C)를 통하여 상기 지지레일(6c)(6c)에 미끄러지지않고 구르면서 지지되고 내륜측은 자유링(5C)의 외주상을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면서 지지되어 있다. 이때문에 상기 제1의 발명과 달리 외륜측은 고정된 지지레일(6c)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전동중에도 구름보지기(40)은 허공에 뜬 상태로는 되어있지 않다. 즉, 이 제2의 발명에 의하면 구름보지기(40)의 접촉부(40C)는 커버(6B)의 지지레일(6c)에 맞닿아 있지만 내륜(1) 및 외륜(2)는 제1의 발명과 같이 비접촉이기 때문에 종래의 베아링구조와 비교하여 마찰토크등은 작게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의 발명을 앵굴라 보울베아링 시일드형, 그리스 윤활인 고속회전용 베아링으로서도 적용가능하다.
또, 이 제2의 발명에 있어서도 상기 제1의 발명과 같은 각 실시에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즉, 이 제2의 발명에 있어서도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름보지기( 40)의 자전중심을 서로 이웃한 보울(3)(3)의 자전중심(3o)(3o)을 잇는 직선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제4도 또는 제7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름보지기(40)의 요부(40 A)의 곡률반경은 서로 이웃한 보올(3)의 반경(즉, 보올(3)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곡률반경)보다 크게할 수도 있다.
또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자유링(5C)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자유링( 5C)의단면을 외륜측보다 내륜측을 크게할 수 있다.
더우기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베아링내부(20)에 유동체를 보내는 연동날개 (7) 및 사용이 끝난 유동체를 배출하는 배출구(8)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체로서는 액화가스, 윤활유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유동체중에 윤활요를 포함하는 때는 자동적으로 오일미스트윤활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 상기 자유링(5C)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자유링(5C)의 외경은 상기 좁은홈(40B)의 공전궤도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 본원 제2의 발명에 있어서도 보올(3) 대신에 원통로울러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구나 구름보지기(4)(40)는 가급적 경량으로 내마모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전동중에 있어서 접촉부분에 탄성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매끄러운 회전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제1의 발명에 있어서는 보울 또는 로울러 사이에 내륜쪽에 설치된 고정레일과 외륜측에 설치된 자유링에 지지된 구름보지기를 개재시켜 구름베아링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굴러움직일 때는 상기 구름보지기의 공전에 의한 원심력을 상기 자유링에 미치게되어 구름보지기는 상기 내외륜사이에서 지지레일로부터 떨어져 회전하고 상기 자유링과 함께 허공에 뜬 상태로 회전한다. 이때문에 마찰토크의 감소를 꾀할 수 있고 발열이 적고 구름의 피로주명에도 우수한 구름베아링을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동력의 손실이 적은 마모성에도 우수한 구름베아링을 얻을 수 있는등의 효과를 가진다.
또 본원 제2의 발명에 있어서는 내륜측에 설치된 자유링과 외륜측에 설치된 지지레일을 통하여 구름보지기를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구름보지기는 지지레일과는 고속회전시에 있어서도 접촉하지만 내륜 및 외륜과는 제1의 발명과 같이 비접촉이다.
이때문에 종래의 베아링구조와 비교하여 마찰토크를 적게할 수 있고 발열이 적고 구름의 피로수명도 뛰어나며 동시에 동력의 손실이 적은 마모성에 우수한 구름베아링을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18)

  1. 내륜과 외륜사이에 복수개의 보올 또는 로울러를 끼워서 이루어지는 구름베아링에 있어서, 상기 보올 또는 로울러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보올 또는 로울러를 등간격으로 보지함과 동시에 양단부에는 한쌍의 좁은 홈과 또한 이 좁은 홈에 인접하여 원형의 접촉부가 설치된 구름보지기를 구비하며, 상기 내륜과 외륜사이의 개구부에 위치하며 상기 외륜의 양측부에 접합하고 그 내륜쪽을 내측으로 굴곡하여 지지레일을 형성하여서 된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구름보지기의 양단부에 마련된 좁은 홈 외주에 맞닿아 외륜쪽에서 상기 구름보지기를 지지하는 자유링을 구비하여 상기 구름보지기의 접촉부를 상기 커버의 지지레일에 맞닿도록 하여, 구름보지기를 상기내, 외륜사이에서 굴러 움직임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일의 외경은 상기 접촉부의 공전궤도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이 서로 이웃한 보올 또는 로울러의 자전축을 잇는 직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구름보지기와 보올 또는 로울러가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요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보지기와 보올 또는 로울러가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요부단면의 곡률반경이 보올 또는 로울러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곡률 반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보지기와 보올 또는 로울러가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요부단면의 곡률반경이 보올 또는 로울러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7.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링크의 단면에 대하여 외륜측이 내륜측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8.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베아링 내부에 유동체를 보내는 연동날개 및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 베아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가 윤활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구름 베아링.
  10. 내륜과 외륜사이에 복수개의 보올 또는 로울러를 끼워서 이루어지는 구름베아링에 있어서, 상기 보올 또는 로울러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보올 또는 로울러를 등간격으로 보지함과 동시에 양단부에는 한쌍의 좁은 홈과 또한 이 좁은 홈에 인접하여 원형의 접촉부가 마련되어 있는 구름보지기와, 상기 내륜과 외륜사이의 개구부에 위치하며, 상기 내륜의 양측부에 접합하고 그 외륜쪽을 내측으로 굴곡하여 지지레일을 마련하여서 된 커버와, 상기 구름보지기를 양단부에 설치된 좁은 홈에 맞닿아 내륜쪽에서 상기 구름보지기를 지지하는 자유링과를 구비하고 상기 구름보지기의 접촉부를 상기 커버의 지지레일에 맞닿도록 하여서 구름보지기를 상기내, 외륜사이에서 전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링의 외경은 상기 좁은 홈의 공전궤도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이 서로 이웃한 보울 또는 로울러의 자전축을 잇는 직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보지기와 보올 또는 로울러가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요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보지기와 보올 또는 로울러가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이 곡률반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보지기와 보올 또는 로울러가 접하는 부분에 대하여 구름보지기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요부단면의 곡률변경이 보울 또는 로울러의 자전축을 포함하는 단면의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16. 제10항, 제11항,제14항 및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링의 단면에 대하여 내륜측이 외륜측보다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17. 제10항, 제11항,제14항 및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베아링내부에 유동체를 보내는 연동날개 및 배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가 윤활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름베아링.
KR1019870011421A 1986-10-15 1987-10-14 구름베아링 KR920008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43071 1986-10-15
JP24307186 1986-10-15
JP243071 1986-10-15
JP62-226869 1987-09-10
JP62226869A JPS63270916A (ja) 1986-10-15 1987-09-10 転がり軸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374A KR880005374A (ko) 1988-06-29
KR920008191B1 true KR920008191B1 (ko) 1992-09-25

Family

ID=2652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421A KR920008191B1 (ko) 1986-10-15 1987-10-14 구름베아링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264264A3 (ko)
JP (1) JPS63270916A (ko)
KR (1) KR920008191B1 (ko)
CN (1) CN10039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66607Y (zh) 1998-08-21 2000-03-01 上海达邦科工贸有限公司 纯滚动轴承
CN1311403A (zh) * 2000-02-28 2001-09-05 俞大邦 纯滚动轴承三
CN102163785B (zh) * 2010-12-27 2013-05-01 北京控制工程研究所 一种空间应用小型滚动式导电环组件
CN105485173B (zh) * 2014-09-15 2019-10-25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轴承保持架和包括它的轴承
DE102020117373A1 (de) * 2020-07-01 2022-01-05 Hanon Systems Spiralverdichter zur Verdichtung eines Kältemittels und Verfahren zur Ölanreicherung und -verteilung
JP2023072869A (ja) * 2021-11-15 2023-05-25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軸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5714C (ko) *
US3124396A (en) * 1964-03-10 Roller separator for ball bearings
DE381476C (de) * 1923-09-21 Johann Kumpe Lager mit Trag- und Trennrollen
FR379266A (fr) * 1906-09-05 1907-10-31 William Thomas Fleming Coussinet à rouleaux
GB113205A (en) * 1917-05-19 1918-02-14 Heenan And Froude Ltd Improvements in Ball Bearings.
FR1302553A (fr) * 1961-07-18 1962-08-31 Perfectionnements aux paliers à organes de rou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9409B2 (ko) 1991-03-15
CN1003955B (zh) 1989-04-19
EP0264264A3 (en) 1989-03-29
EP0264264A2 (en) 1988-04-20
CN87107012A (zh) 1988-05-18
KR880005374A (ko) 1988-06-29
JPS63270916A (ja) 198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8006A (en) Pinned unitary bearing seal
EP2754907B1 (en) Rolling bearing cage and rolling bearing
US4167860A (en) Universal joint
EP0164968A1 (en) High speed lubricated bearing unit
JP2001208081A (ja) 単列深溝型ラジアル玉軸受
JP4006836B2 (ja) 玉軸受
EP1355072A1 (en) Radial ball bearing retainer
KR920008191B1 (ko) 구름베아링
JP3114438B2 (ja) 転がり軸受
JPH112250A (ja) 自動調心ころ軸受
RU2755749C1 (ru) Роликовый подшипник
GB2320744A (en) Radial bearing cage with axial cylindrical pocket
WO2001020183A1 (en) Self-aligned roller bearing
AU721777B2 (en) Unitary bearing seal
US4799809A (en) Rolling bearing with rolling retainer members
US5474388A (en) Multi-row spherical roller bearing having cages
US4799807A (en) Rolling bearing with rolling retainers
JP3814890B2 (ja) 低摩擦トルクスラスト玉軸受
JP3696673B2 (ja)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SU964288A1 (ru) Многоклиновой радиальный подшипник
JPH06213238A (ja) 転がり軸受用内輪
JP6818644B2 (ja) エンジン用回転軸
JPH01135915A (ja) 転がり軸受
JPH0222496Y2 (ko)
JPS588980Y2 (ja) 円筒ころ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