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162B1 -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162B1
KR920008162B1 KR1019870007778A KR870007778A KR920008162B1 KR 920008162 B1 KR920008162 B1 KR 920008162B1 KR 1019870007778 A KR1019870007778 A KR 1019870007778A KR 870007778 A KR870007778 A KR 870007778A KR 920008162 B1 KR920008162 B1 KR 92000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operating
manipulator
holder
oper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701A (ko
Inventor
다쓰시게 마야마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샤시 가부시기가이샤
이바다 사찌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샤시 가부시기가이샤, 이바다 사찌꼬 filed Critical 니혼 덴샤시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더를 구비한 커터나이프를 표시하는 일부파단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횡단평면도.
제3도는 전방동작조작시의 요부 횡단평면도.
제4도는 후방동작조작시의 요부횡단평면도.
제5도는 슬라이더만의 사시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 이외의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더를 표시하는 사시도 및 요부 횡단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더 2 : 슬라이더본체
3 : 전방동작조작체 4 : 후방동작조작체
5 : 전방동작저지후크체 6 : 후방동작저지후크제
7 : 연결돌기 10 : 요동판
11, 13 : 돌기 20 : 홀더
40 : 날본체
본 발명은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그 중에서도 스텝슬라이드형 커터나이프에 적용되는 오토록크 슬라이더(auto-lock slider)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커터나이프 슬라이더로서는 예컨대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화 58년 제136075호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지고 있다. 이것은 날본체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돌기를 구비하여 날본체와 함께 홀더내에서 전후작동이 가능하게 감삽되는 슬라이더본체와, 슬라이더본체에 설치되어 홀더에 다수 형성한 괘지오목부의 하나에 괘합하는 탄성괘지체와, 슬라이더 본체에 전후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중립위치와 이것을 사이에 두고 전방동작위치 및 후방동작위치를 각각 취할 수 있는 슬라이더조작체와, 슬라이더조작체에 설치되어서 이의 중립위치 시에는 탄성괘지체를 홀더의 괘지오목부에 괘합한 상태로 구속함과 아울러 전방동작위치시 및 후방동작 위치시에는 상기한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구속돌기체와, 슬라이더본체와 슬라이더조작체와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슬라이더조작체를 향상중립위치로 가압하는 복원탄성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것을 홀더에 대하여 슬라이더를 로크시키려면, 복원탄성체에 의하여 슬라이더 조작체를 중립위치로 함과 아울러, 아래의 구속돌기체에 의하여 탄성괘지체의 운동을 구속한다고 하는, 이른바 2단구조의 기구로되어 있어 부품수가 많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는 부품수를 적게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한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는 날본체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돌기를 구비하여 날본체와 함께 홀더내부에 전후작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진 슬라이더본체와, 슬라이더본체에 설치되어서 홀더의 표면측으로 돌출하여 전방동작조작시에는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할 수 있는 전방동작조작체와 슬라이더본체에 설치되어서 홀더의 표면측으로 돌출하고 후방동작조작시에는 이면측으로 탄성요동 할 수 있는 후방동작조작체와, 전방동작조작체에 설치되어서 비조작시에는 홀더에 다수 형성된 괘지오목부의 하나에 감입하여 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후방동작을 허용할 수 있는 전방동작저지후크체와, 후방동작조작체에 설치되어서 비조작시에는 홀더에 다수 형성된 괘지오목부의 다른 하나에 감입하여 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전방동작을 허용할 수 있는 후방동작 저지 후크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조작시에는 전방동작조작체와 후방동작조작체를 조작하지 않으므로써 이들이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하지 않고, 전방동작저지후크체가 홀더의 괘지오목부의 하나에 감입하여 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후방동작저지후크체가 홀더의 괘지호목부의 다른 하나에 감입하여 후방동작을 저지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및 날본체는 홀더에 대하여 전후 어느곳으로도 움직일 수가 없어서 소위 오토로크(auto lock)된다. 전방동작 조작시에는 전방동작조작체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밀도록 한다. 그러면 전방동작조작체가 이면쪽으로 탄성요동하여 전방동작저지후크체가 홀더의 괘지오목부로 부터 이탈한후, 후방동작저지후크체가 홀더의 괘지오목부에 대하여 이탈.감입을 반복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및 날본체는 홀더에 대하여 스텝슬라이트(step slide)하면서 앞으로 작동한다.
후방동작조작시에는 후방동작조작체에 손가락을 접촉하여서 밀도록 한다. 그러면, 후방동작조작체가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하여 후방동작저지 후크체가 홀더의 괘지오목부로 부터 이탈한후, 전방동작 저지후크체가 홀더의 괘지오목부에 대하여 이탈.감입을 반복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및 날본체는 홀더에 대하여 스텝슬라이드하면서 뒤쪽으로 동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더를 구비한 커터나이프를 표시하는 일부파단정면도. 제2도는 그의 횡단평면도. 제3도는 전방동작 조작시의 요부횡단면도. 제4도는 후방동작시의 요부횡단평면도. 제5도는 슬라이더만의 사시도이다.
슬라이더(1)는, 슬라이더본체(2)와,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와, 전방동작저지후크체(5)와, 후방동작저지후크체(6)로써 그 주요부가 구성되며, 상기한 전방동작조작체(3)는 돌기(11)와 요동판(10)으로 이루어지고, 후방동작체(4)는 돌기(13)와 요동판(112)으로 복합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본체(2)는 날본체(40)와 연결할 수 있는 연결돌기(7)를 구비하여 날본체(40)와 함께 홀더(20)내부에 전후동작이 가능하게 끼워넣어지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정면이 대략 횡측으로 누운 U형상을 나타내는 기판(8)과, 이 전방표면측으로 돌출설치된 연결돌기(7)와, 기판(8)의 후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9)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슬라이더본체(2)는 그 연결돌기(7)에 날본체(40)의 관통공(41)이 끼어넣어져서 연결된 후, 단면이 대략 C형상을 나타내는 홀더(20)내부에 전후동작이 가능하게 끼워넣어진다. 즉, 홀더(20)의 상부표벽(21), 하부표벽(22), 상벽(23), 하벽(24)안쪽벽(25)에 둘러쌓인 안내중공부(26)내에 끼워넣어진다. 전방동작조작체(3)는 슬라이더본체(2)에 설치되어서 홀더(20)의 표면측으로 돌출하고, 전방동작조작시에는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할 수 있다.
이실시예에서는 전방측에 슬라이더본체(2)의 연결판(9)의 표면측에 한쪽이 지지된 상태로서 연설된 요동판(10)과, 이것의 표면쪽의 연설되어 전방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로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표면을 보유하는 돌기(11)로서 이루어져 있고, 요동판(10)은 홀더(20)상.하표벽(表壁)(21)(22)의 이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돌기(11)는 상하의 표벽(21)(22)사이에 형성된 안내홈(27)으로 부터 표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동작조작체(3)는 슬라이더본체(2)에 대하여 한쪽 지지된 상태로 연설되어 있으므로 그 유단부(후부)가 표리방향으로 탄성요동할 수 있다. 후방동작조작체(4)는 슬라이더본체(2)에 설치되어서 홀더(20)의 표면측에 돌출하고 후방동작시에는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측이 슬라이더본체(2)의 연결판(9)의 표면측과 전방동작조작체(3)의 요동판(10)의 전방측에 한쪽이 지지된 상태로서 연설된 요동판(12)과, 이 표면측에 연결되어서 후방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표면을 보유하는 돌기(13)로써 이루어져 있고, 요동판(12)은 홀더(20)의 상하의 표벽(21)(22)의 이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돌기(13)는 안내홈(27)으로부터 표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후방동작조작체(3)도 슬라이더본체(2)에 대하여 한쪽만이 지지된 상태로서 연결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유단부(전방부)가 표리방향으로 탄성요동할 수 있다. 전방동작저지후크제(5)는 전방동작조작체(3)에 설치되어, 비조작시에는 홀더(20)에 다수 형성된 괘지오목부(28)의 하나에 갑입하여 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후방동작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방동작조작체(3)의 요동판(10)의 후방표면측의 상하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 전후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전방괘합면(14)과 전방으로 나아감에 따라서 점차로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후경사면(15)으로써 이루어지는 후크형을 나타내고 있다. 홀더(20)상하의 표벽(21)(22)의 각각 이면측에는 전후방향의 소정간격마다에 괘지오목부(28)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괘지오목부(28)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전단면(29)과 후단면(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괘지오목부(28)는,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관통함과 아울러, 안내홈(27)에 개방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괘지오목부(28)사이에 형성되는 볼록부와 어울려 이른바 정면요철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전방동작저지후크체(5)는 괘지오목부(28)의 하나에 끼워넣어져서 전방괘합면(14)이 전단면(29)에 괘합하여 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후단면(15)이 동일한 괘지오목부(28)의 후단면(30)에 괘합하지 않고 후방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후방동작저지후크체(6)는 후방동작조작체(4)에 설치되어서 비조작시에는 홀더(20)에 다수형성된 괘지오목부(28)의 다른하나에 감입하여 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전방동작을 허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방동작조작체(4)의 요동판(12)의 전방표면측의 상하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 전후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후방괘합면(16)과, 후방으로 나아감에 다라서 점차로 표면측으로 돌출하는 전방경사면(17)으로 이루어지는 후크형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후방동작저지후크체(6)는 괘지오목부(28)의 다른한쪽에 감입하여 후방괘합면(16)이 후단면(30)에 괘합하여 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전방경사면(17)이 동일한 괘지오목부(28)의 전단면(29)에 괘합하지 않고, 전방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본체(2), 전방동작조작체(3), 후방동작조작체(4), 전방동작저지후크(5), 후방동작저지후크체(6)는 이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슬라이더(1)의 조작하지 아니할 때(즉 평상시)의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전방동작조작체(3) 및 후방동작조작체(4)를 조작하지 않으므로, 이들이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하지 않고, 전방동작저지후크체(5)가 홀더(20)의 괘지오목부(28)의 하나에 감압하여 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후방동작저지후크체(6)가 홀더(28)이 다른하나에 감입하여 후방동작을 저지한다.
즉, 전방동작저지후크체(5)의 전방괘합면(14)이 괘지오목부(28)의 전단면(29)에 괘합하고 후방동작저지후크체(6)의 후방괘합면(16)이 괘지오목부(28)의 후단면(30)에 각각 괘합한다.
따라서 슬라이더(1) 및 날본체(40)는, 홀더(20)에 대하여 전후방 어느쪽으로도 동작할 수 있어서 소위"오토르크"된다. 전방동작조작시에는, 전방동작조작체(3)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밀어낸다. 그러면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방동작조작체(3)가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하여 전방동작저지후크체(5)가 홀더(20)의 괘지오목부(28)에서 이탈한 후, 후방동작저지후크체(6)가 홀더(20)의 괘지오목부(28)에 대하여 이탈하거나 끼워넣는 것을 되풀이 한다.
따라서 슬라이더(1)와 날본체(40)는, 홀더(20)에 대하여 스킵슬라이드(skip-slide)하면서 앞으로 동작한다. 후방동작조작시에는, 후방동작조작체(4)에 손가락을 접촉하고 밀어낸다. 그러면,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후방동작조작체(4)가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하여 후방동작저지후크체(6)가 홀더(20)의 괘지오목부(28)에서 이탈한 후, 전방동작저지후크체(5)가 홀더(20)의 괘지오목부(28)에 대하여 이탈.감입을 반복하다. 따라서, 슬라이더(1)와 날본체(40)는 홀더(20)에 대하여 스킵슬라이드 하면서 후방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슬라이더본체(2)는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동기(7), 기판(8), 연결판(9)으로서 구성하였으나, 이것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하게 설계변경하여도 좋다.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는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요동판(10) (12)과 돌기(11)(13)로서 구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돌기(11)(13)만으로써 구성하여도 좋다. 전동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는 먼저 실시예에서는 요동판(10)(12)만을 연설하였지만, 이것에 국한되지않고, 예컨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돌기(11)(13)의 일부를 연설하거나 혹은 요동판(10)(12)과 돌기(11)(13)의 모두가 일체적이어도 좋다.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는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전방동작조작체(3)를 후방에 후방동작조작체(4)를 전방에 각각 배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예컨대 제7도 및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것들을 반대로하여도 좋다.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는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이들의 각각 대항측(연결판9의 대향측을 의미함)을 슬라이더본체(2)에 연설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각각 반대측을 슬라이더본체(2)에 연설하여도 좋다.
슬라이더본체(2), 전방동작조작체(3), 후방동작조작체(4, 전방동작저지후크체(5), 후방동작저지후크체(6)는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컨대 슬라이더본체(2)의외의 것을,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함과 아울러, 슬라이더본체(2)를 금속으로 제작하여 양자를 결합, 접착, 인서어트등에 의하여 합체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전방동작저지후크체(5)와 후방동작저지후크체(6)는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2개씩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않고 예컨대 하나씩이라도 좋다. 홀더(20)의 괘지오목부(28)는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표리(表裏)에 관통함과 아울러, 안내홈(27)에 개방한 것이 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에컨대 표면측에 관통하지 아니함과 아울러, 안내홈(27)에 개방하지 아니한 움푹한 부분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1) 슬라이더본체, 전방동작조작체, 후방동작조작체, 전방동작저지후크체, 후방동작저지후크체로 구성하고, 이들을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가 있으므로 부품수가 적어져 구조를 극히 간소화할 수 있다.
(2) 전방동작조작체에 전방동작저지후크체를 설치함과 아울러 후방동작조작체에 후방동작저지후크체를 설치하여, 전방동작조작시에는, 후방동작조작체를 조작하여 전방동작저지후크체를 홀더의 괘지오목부로 부터 해제함과 아우러, 후방동작조작시에는, 후방동작조작체를 조작하여 후방동작저지후크체를 홀더의 괘지오목부로부터 해제하도록 하였으므로 역학적으로 극히 직접적이며, 조작성이 충실할 뿐만 아니라, 고장의 염려가 전혀 없다.
(3) 전방동작저지 후크체화 후방동작저지 후크체의 비조작시에는 홀더의 다수의 괘지오목부 중 다른 두 개에 감입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비조작시에 있어서의 홀더에 대한 슬라이더의 불시의 요동 및 유동이 확실하게 저지되어서 안정도가 증대한다.

Claims (12)

  1. 날본체(40)와 연결가능한 연결돌기(7)를 구비하여 날본체와 함께 홀더(20)내부에 전후동작이 가능하게 끼워넣어진 슬라이더본체(2)와, 슬라이더본체에 설치되어서 홀더(20)의 표면측으로 돌출하고, 전방동작조작시에는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할 수 있는 전방동작조작체(3)와, 슬라이더본체(2)에 설치되어서 홀더(20)의 표면측으로 돌출하고, 후방동작조작시에는 이면측으로 탄성요동할 수 있는 후방동작조작체(4)와, 전방동작체에 설치되어 비조작시에는 홀더에 다수형성된 괘지오목부의 하나에 감삽하여 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후방동작을 허용할 수 있는 전방동작저지후크체(5)와, 후방동작조작체(4)에 설치되어 비조작시에는 홀더에 형성한 괘지오목부의 다른 하나에 감삽하여 후방동작을 저지함과 아울러, 전방동작을 허용할 수 있는 후방동작저지후크제(6)로써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를 각각 요동판(10)과 돌기(11)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트의 슬라이더.
  3.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를 각각 돌기(11)마으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4.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를 각각의 요동판(10)만을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5.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를 각각의 요동판(10)을 연설함과 아울러, 각각 돌기(11)의 일부를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6.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를 각각의 요동판(10)과 각각의 돌기(11)의 전부를 일체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7.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를 전방동작조작체(3)를 후방에, 후방동작조작체(4)를 전방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8.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를 전방동작조작체(3)를 전방에, 후방동작조작체(4)를 후방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9.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는 이들의 각각 대향측을 슬라이더본체(2)에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10. 제1항에 있어서, 전방동작조작체(3)와 후방동작조작체(4)를 이들의 각각 반대측을 슬라이더본체(2)에 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11.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본체(2), 전방동작조작체(3), 후방동작조작체(4), 전방동작저지흐크체(5), 후방동작저지후크체(6)를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12.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본체(2), 전방동작조작체(3), 후방동작조작체(4), 전방동작저지 후크체(5), 후방동작저지 후크체(6)을 슬라이더본체(2)이외의 것을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성형함과 아울러 슬라이더본체(2)를 금속으로 제작하여 양자를 합체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KR1019870007778A 1986-05-12 1987-07-18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KR920008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71164 1986-05-12
JP1986071164U JPH0220992Y2 (ko) 1986-05-12 1986-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01A KR890001701A (ko) 1989-03-28
KR920008162B1 true KR920008162B1 (ko) 1992-09-24

Family

ID=1345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778A KR920008162B1 (ko) 1986-05-12 1987-07-18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20992Y2 (ko)
KR (1) KR9200081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1061U (ja) * 1983-12-16 1985-07-10 株式会社 坪米製作所 繰出しナイ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01A (ko) 1989-03-28
JPH0220992Y2 (ko) 1990-06-07
JPS62182167U (ko) 1987-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6399B2 (ja) カッターナイフ
KR930003895Y1 (ko) 메모리카드용 코넥터
KR920001750Y1 (ko) 카아드 코넥터
JPH0376923B2 (ko)
US4060879A (en) Seat belt buckle
JPH10116U (ja) スイッチ装置
EP4012846B1 (en) Connector assembly
KR910000192Y1 (ko) 카아드 자물쇠
KR920008162B1 (ko) 커터나이프의 슬라이더
US4677716A (en) Buckle in particular for a safety belt
KR10025309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록크 슬라이더
JP2007120147A (ja) ラッチ装置
US4400857A (en) Seat belt buckle
JPH0220991Y2 (ko)
JP2002237229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H0612582Y2 (ja) スイッチ装置
JP2001332333A (ja) コネクタ
GB2206832A (en) A knife
GB2053341A (en) Combination lock
KR900002288B1 (ko) 컷터나이프의 슬라이더
JP3286302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KR910005533Y1 (ko) 모니터의 결합장치
CN114388288A (zh) 开关连接器
KR890006868Y1 (ko) 누름버튼의 잠금장치
JPH0733401Y2 (ja) 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