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66B1 - 부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부품부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7966B1 KR920007966B1 KR1019860005379A KR860005379A KR920007966B1 KR 920007966 B1 KR920007966 B1 KR 920007966B1 KR 1019860005379 A KR1019860005379 A KR 1019860005379A KR 860005379 A KR860005379 A KR 860005379A KR 920007966 B1 KR920007966 B1 KR 9200079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
- cartridge
- component
- parts
- fi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카아트리지내에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일부 단면도.
제3도는 부착유니트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제4도는 카아트리지의 지지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카아트리지의 부품정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일부 다면도.
제5도는 카아트리지와 위치결정기구와의 관계를 도시한 일부단면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부품 W : 공작물
S1 : 부착스테이션 S2 : 공급스테이션
R : 로보트 C(C1, C2, C3) : 카아트리지
F1, F2, F3 : 부품공급장치 U : 부착유니트
5 : 부품수납구멍 5a : 출입구
22 : 압입기 23 : 압입해드
24 : 압입용 실린더장치 25, 26 : 지지축
30, 31, 32 : 지지링 41 : 지지기구
42 : 클램프클릭 51 : 압출기구
52 : 에어뿜어내는 구멍 53 : 에어파이프
54 : 개폐밸브 61 : 위치결정기구
62 : 위치결정판 63 : 실린더장치
본 발명은, 부품을 공급스테이션으로부터 부착스테이션으로 이송해서, 이 부착스테이션에서 부품을 공작물에 대하여 압입하기 위한 부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착스테이션으로 순차반송되는 공작물에 대하여 부품을 압입하기 위하여, 종래, 예를 들면, 일본국실개소 59-1533호 공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입기를 부품의 공급스테이션과 부착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이동자지하게 설치하여, 부착스테이션에서 부품의 압입을 행한후, 다음의 압입을 위하여 부품을 집어오기 위해서 다시 압입기를 공급스테이션으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여 행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것에 있어서는, 1개의 부품을 압입한 후 반드시 압입기를 공급스테이션으로 되돌리지 않으면 안되므로, 환언하면 1회의 압입마다 공급스테이션과 부착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압입기를 왕복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작업효율이 극히 나쁜것으로 되어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1개의 공작물에 대해서 복수개의 부품을 압입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 작업효율 개선을 위하여 어떠한 대책이 요망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스테이션으로부터 부착스테이션으로의 1회의 부품의 이송 의하여, 부착스테이션에서 복수개의 부품을 압입할 수 있도록한 부품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는, 복수개의 부품을 정렬유지한 카아트리지를 이용해서, 이 카아트리지에 유지된 부품의 수를 1단위로 하여, 부착스테이션에서 이 1단위로된 부품의 수만큼 연속해서 압입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카아트리지에 유지되는 부품의 수를 n개(n은 2이상의 정수(整數)가 된다)로 하면, 공급스테이션과 부착스테이션과의 사이의 이동회동을, 종래의 1/n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복수개의 부품을 정렬유지한 카아트리지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스테이션과 상기 부품을 공작물에 대하여 압입하기 위한 부착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이동자재하게된 부착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유니트가, 부품을 공작물에 대하여 압입하기 위한 압입기와, 상기 카아트리지를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된 상기 카아트리지내의 부품을, 상기 압입후의 압입공간에 향하여 압축하는 압출기구와, 상기 압입용 공간을 향해서 진퇴자재하게되고, 상기 카아트리지내로 부터 압출되는 부품을 이 압입용 공간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공작물(W)을 방송하는 콘베이어로서, 이 콘베이어(1)는, 부품의 부착스테이션 S1에서 소정시간 정지하도록 간헐이송되며, 이 부착스테이션 S1에 있는 공작물 W에 대하여, 부품이 복수개 압입되도록(부착되는)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공작물 W로서는 OHC형의 엔진으로 되는 한편, 부품으로서는 위치결정용의 튜우블러핀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의 캠측을 실린더헤드부에 대하여 부착, 유지하기 위한 베어링부재를, 당해 실린더헤드부에 대하여 소정위치관계가 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부품으로의 위치결정용 튜우블런핀을, 이 실린더헤드부에 대하여 미리 압입하기 위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재가, 1대의 엔진에 대하여 각각 2개소 고정되어서 합계 5개 사용되기 때문에, 1대의 엔진에 대하여 합계 10개의 튜우블러핀이 사용되게 되어 있다. 물론, 이 튜우블러핀은, 그 알단부가 실린더 헤드부에 미리 형성된 10개의 튜우블러핀이 사용되게 되어 있다. 물론, 이 튜우블러핀은, 그 알단부가 실린더 헤드부에 미리 형성된 10개의 위치 결정구멍(2)내에 압입되며, 또 그 타단부에 대하여 뒤의 행정에서 상기 베어링부재에도 감합되므로서, 엔진에 대하여 베어링부재가 소정위치관계로 부착되게 된다.
상기 공작물 W의 반송용 콘베이어(1) 근처에는, 부착스테이션 S1의 옆쪽에 부품의 공급스테이션 S2이 착설된다. 이 양스테이션 S1과 S2의 사이를 이동자재하게 부착유니트 U가 착설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이 부착유니트 U는, 간접형 로보트 R의 아암(3)선단부에 지지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부품의 공급스테이션 S2은, 수평회전되는 인텍스형의 테이블(4)을 구비하고, 이 테이블상에, 둘레방향 등간격마다, 합계 12개의 카아트리지 C(C1,C2,C3)가 배치되며, 이 카아트리지 C는, 부품의 직경(위치 결정구멍(2)의 직경)에 따라서 3종류의 카아트리지 C1,C2,C3로 되는 동시에, 각 카아트리지 C1,C2,C3는 각각 4개씩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카아트리지 C1은, 부품의 직경(외경)이 9mm용의 것으로 되고, 또 C2가 10mm의 것으로 되며, 또 C3가 12mm용의 것으로 되어서, 각 카아트리지 C1,C2,C3의 배치관계는 도시한 바와 같이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카아트리지를 총칭해서 부를때는 "C"의 부호를 사용하고, 상기 종류의 카아트리지를 구별할때에만 "C1""C2" 혹은 "C3"의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 제1도에 있어서, 부품 B이 충전된 카아트리지 C를 실선으로 표시하고, 빈 카아트리지 C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테이블(4)의 주위근처에는, 콘베이어(1)와는 반대쪽에 있어서 3개의 부품공급장치 F1,F2,F3이 설치되고, 이 부품공급장치 F1,F2,F3는, 각각 대응한 카아트리지 C1,C2 혹은 C3대 대하여 5개씩의 부품 B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카아트리지 C는, 제2도~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및 상하가 막히고 전후방향(제2도, 제3도, 제5도 좌우방향)이 개구된 부품수납구멍(5)을 가지며, 이 수납구멍(5)의 일단부개구가 부품 B의 출입구(5a)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출입구(5a)로부터 수납구멍(5)내에, 서로 직렬로 5개의 부품 B이 수납가능하게 되며, 이 수납구멍(5)의 타단부개구로 부터의 빠져나가는 것은, 빠져나감 방지핀(6)에 의해서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카아트리지 C는, 각각 테이블(4)상의 소정위치에 있어서 당해 테이블(4)상에 돌설된 1쌍의 맞춤핀(7)이 카아트리지 C에 개구된 1쌍의 위치 결정구멍(8)에 감합되므로서, 상기 출입구(5a)가 테이블(4)의 직경방향 바깥편쪽을 향하고 있는 위치에서 테이블(4)의 판면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된다.
상기 각부품 공급장치 F1,F2,F3는, 각각 동일구성으로 되어있으므로, 카아트리지 C1에 대한 부품공급장치 F1에 착안하여, 그 일례를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부품공급장치 F1는, 테이블(4)의 외주면 근처에 향해서 뻗은 폭이 넓은 콤베이어( 9)를 가지며, 이 콤베이어(9)의 바로위쪽에는, 좌우 1쌍의 가이드(10), 부품이송대(1 1), 스토퍼(12), 압입실린더(13)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10)와 스토퍼(12)는, 콤베이어(9)의 폭방향 한쪽에 있어서, 이 콤베이어(9)의 반송방향 상류쪽으로 부터, 하류쪽으로 직렬로 배치되며, 또 이송대(11)는, 실린더장치(14)에 의하여 이 콤베이어(9)의 폭방향으로 소정 스트로우크 만큼 왕복구동되어서, 가이드(10)와 스토퍼(11)와의 사이에 진퇴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이송대(11)는, 서로 상부에서 일체화된 좌우 1쌍의 가이드부(11a)를 가지며, 이 좌우 1쌍의 가이드부(11a)간에 형성되는 개수규제공간(11b)이, 부품 B이 직렬로 5개 수납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송대(11)가 제2도 실선위치에 있게 되는 한편 스트로우크 단부에서는, 가이드(10)를 안내로해서 이 콤베이어(9)상에 지지되어서 운반되는 부품 B은, 서로 직렬로 해서 스토퍼(12)로 향해서 반송되며, 가장 선두에 있는 부품 B이 스토퍼(12)에 당접한 상태에서는, 개수규제공간(11b)내에, 직렬로 5개의 부품 B에 수납된다.
이후, 이송대(11)를 제2도 1점쇄선으로 표시한 다른쪽 스트로우크 단부로 향해서 구동하면, 이 이송대(11)에 의해, 직렬로된 5개부품 B이, 이 콤베이어(9)의 폭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다른쪽 스트로우크 단부에 있어서는, 상기 압입실린더(13)와 카아트리지 C1가, 이송대(1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직렬의 배치관계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압입실린더(13)에 의해 상기 다른쪽 스트로우크 단부에 있는 이송대(11)중의 부품 B을 밀어내면, 중간가이드(15)를 개재해서, 카아트리지 C1 내지 5개의 부품이 공급, 수납되게 된다. 또한, 이송대(11)가 다른쪽 스트로우크 단부에 있을때는, 그 셔터부(11C)가 가이드(10)의 하류단부를 막도록되어 있으며, 또, 이 콤베이어(9)는, 이송대(11)가 제2도 실선으로 표시한 한쪽 스트로우크 단부에 있을때에만 소정시간만큼 구동된다.
다음에, 상기 부착 유니트 U에 대해서, 제3도~제5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부착유니트 u는, 로보트 R의 아암(3) 선단부에 지지된 본체(21)를 가지며, 이 본체(21)에, 압입기(22)가 구성되어 있다. 이 압입기(22)는, 본체(22)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뻗는 실린더부(22a)내에 접동자재하게 감합된 압입헤드(23)를 가지며, 이 압입헤드(23) 상단부는, 실린더부(23a)의 상단에 고정된 압입용 실린더장치(24)의 피스톤로드(24a)에 대하여, 나합, 일체화 되어 있다. 상기 압입헤드(23)는, 전체적으로 통형상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그 선단부가 소경부(23a)로 되고, 이 소경부(23a)에는, 그 내주쪽에 있어서 안쪽 지지축(25)이, 또 그 외주쪽에 있어서 통형상의 바깥쪽 지지축( 26)이, 각각 접동자재하게 감합되어 있다. 이 안쪽 지지축(25)는, 그 대직경두부 형상으로된 스토퍼부(25a)에 의해서, 압입헤드(23)에 대하여 소정이상 아래쪽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됨과 동시에 스프링(27)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 바깥쪽 지지축(26)는, 이에 일체화된 게지핀(28)이 압입헤드(23)쪽면에 형성된 가이드구멍 (23b)내에 헐겁게 감합되어서, 이 가이드 구멍(23b)의 스트로우크 범위내에서만 압입헤드(23)에 대하여 상하로 상대변위가 가능하게 되며, 상시에는 스프링(29)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안쪽 지지축(25)의 하단부 외주에는, 서로 상하에 소간격을 내어서, 탄성체로된 O링 형상의 지지링(30),(31)이 감합, 유지되어 있다. 또, 통형상으로 되어서 바깥쪽 지지축(26)의 하단부 내주에는, 탄성체로된 O링 형상의 유지링(32)이 감합, 유지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유지링(30), (31)은, 각각 환형상의 부품 B내주에 대하여 꽉끼이게 감합되어서, 그 탄성력을 이용해서 이 감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유지링(30)은 10mm의 부품 B용으로 되고, 유지링(31)은 9mm의 부품 B용으로 된다. 또, 유지링 (32)은, 12mm의 부품 B의 외주에 꽉끼이게 감합되어서, 그 탄성력을 이용해서 이 감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양지지축(25), (26)은, 압입헤드(23)에 의해 부품 B의 압압(압입)전에, 미리 유지링(30), (31) 혹은 (32)에 의하여 부품 B을 감합, 유지할 수 있도록, 압입헤드(23)가 위쪽 스트로우크 단부에 있는 제2도에 표시한 압입대기 상태에서는, 각 유지링(30), (31) 및 (32)이 각각 압입헤드(2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21)는, 또 카아트리지 C의 유지기구(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지기구(41)는, 본체(21)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지용 오목부(21b)에 대하여 카아트리지 C를 위치시킨 상태로서, 이 카아트리지 C를 좌우방향으로 부터 유지하는 좌우 1쌍의 클램프클릭(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클램프클럭(42)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각 본체(21)에 착설된 지점용(支点用)핀(43)을 중심으로 요동자재하게 되며, 그 각1단부에 형성된 긴구멍(44)내에, 핀(45)이 삽입되어 있다. 이 핀(45)은, 본체(21)에 형성된 가이드구멍(21C)내를 상하 방향으로 접동자재하게 한 접동판(46)에 고정되며, 본체(2 1)에 착설한 실린더장치(47)에 의해서 이 접동판(46) 즉 핀(45)을 상하동시키므로서, 클램프클릭(42)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카아트리지 C는, 상기 유지용 오목부 (21b)내에 위치했을때에, 본체(21)로 부터 돌설된 1쌍의 맞춤핀(48)(제4도 참조)이 감합되는 위치 결정구멍(49)(제2도, 제5도도 참조)을 가지며, 이양자(48), (48)와의 감합에 의하여, 유지용 오목부(21b)의 소정위치에 카아트리지 C가 소정자세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지용 오목부(21b)에 유지된 카아트리지 C는, 그 출입구(5a)가 압입용공간 D 즉 압입기(22)의 합입헤드(23)바로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렬로된 카아트리지 C내의 5개의 부품 B의 배열방향이 압입기(22)의 측선(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되어 있다. 이 카아트리지 C내의 부품 B을 상기 압입용 공가 ㄴD으로 향해서 암출하기 위하여 압출기구(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출기구(51)는, 압축에어를 이용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본체(21)의 후방규제벽(21d) 즉 지지용 오목부(21d)의 후단부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카아트리지 C의 부품 수납구멍(5)내에 후방으로 부터 위치하게 되는 에어뿜어내는 구멍(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에어뿜어내는 구멍(52)에는 에어파이프(53)가 접속되며, 이 에어파이프(53)의 도중에는, 본체(21)에 지지된 전자식의 개폐밸브(54)가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개폐밸브(54)를 열어서 에어뿜어내는 구멍(52)으로 부터 압축에어를 뿜어내면, 카아트리지 C 내의 부품 B은, 전체적으로 출입구(5a)쪽으로 향해서 압출되게 된다. 상기 본체(21)에 유지된 카아트리지 C의 출입구(5a)에 대향해서, 압입용공간 D을 사이에 두고 위치 결정기구(61)가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기구(61)는, 압입용 공간 D을 향해서 진퇴자재 하게 하여 본체(21)에 지지된 위치결정판(62)과, 본체(21)에 지지되어서 이 위치결정판(62)을 왕복구동하는 실린더장치(6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위치결정판(62)은, 그 선단부 즉 압입용공간 D쪽 부분에, 선단부쪽으로 개구하는 유지용 오목부(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지용 오목부(64)는, 부품 B의 외경에 따른 폭을 가지며, 그 안쪽 깊은곳에, 레이퍼 형상으로 되어서 끝쪽이 가는 형상으로된 좌우 1쌍의 계지부(64a)를 가진 동시에, 이 유지용 오목부(64)내에 위치하는 부품 B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수부(下受部)(64b)를 가진다. 이 유지용 오목부(64)는, 그 폭(제5도 상하폭)이 1개의 부품 B의 외격과 동등하며, 또 그 전후길이(제5도 좌우길이)는, 1개의 부품 B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되어 있다. 또, 상기 하수부(64b)의 상면 높이위치는, 본체(21)에 유지된 카아트리지 C의 부품 수납구멍(5)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약간 낮아도 됨)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위치결정판(62)의 선단면이, 본체(21)에 유지된 카아트리지의 앞단면(출입구(5a)가 개구된 단면)에 당접한 상태에서, 유지용 오목부(64)에 압출되어서 부품 B이 상기 테이퍼 형상의 계지부(64a)에 당접했을때에, 이 유지용 오목부(64)내의 부품 B의 중심이, 압입기(22)의 중심(0)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결정판(62)을 압입용공간 D으로 진출시켜서 그 선단면을 카아트리지 C의 앞단면에 당접시킨후, 에어뿜어내는 구멍(52)으로 부터 압축에어를 분출시키면, 카아트리지 C내의 부품 B중, 선두 즉 출입구(5a)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1개의 부품 B이, 유지용 오목부(64)로 압출되어서, 이 압출된 1개의 부품 B은, 계지부(64a)에 당접한 소정위치에서 정지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판(62)내에, 상기 유지용 오목부(6 4)내에 있는 부품 B의 바로 뒤쪽에 있는 부품 B을 향해서 압축에어를 뿜어내는 좌우 1쌍의 에어뿜어내는 구멍(65)이 형성되어서, 카아트리지 C내의 부품 압출용의 에어가 공급된 후 이 에어뿜어내는 구멍(65)으로 부터 에어를 분출시키므로서, 나머지의 부품을 카아트리지 C내로 되돌리도록 해서, 유지용 오목부(64)에는 단지 1개의 부품 B만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결정판(62)은, 직경이 다른 부품 B에 대해서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품 B의 직경이 서로 다른 것에 따라서, 당해 부품 B의 중심이 압입기(22)의 중심선(0)과 일치하도록, 본체(21)에 유지된 카아트리지 C의 앞단면위치가 서로 카아트리지 C1, C2, C3에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즉, 가장 큰 직경의 부품 B용의 카아트리지 C3의 앞단면위치가 가장 압압용공간 D쪽으로 가까운 위치로 되고, 기타직경의 부품 B용의 카아트리지 C(C2, C3)의 앞단면위치는, 부품 B의 직경이 서로 다른것에 따라서 이 카아트리지 C3의 앞단면위치 보도 압입용공간 D쪽으로 진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위치 결정판(62)을 본체(21)에 지지시켜서 카아트리지 C(C1, C2, C3)의 앞단면에 당접시킨 상태에서는, 유지용 오목부(64)에 압출되어서 계지부(64a)에 당접한 부품 B은, 그 직경이 서로 다름을 불문하고, 그 중심이 압입기(22)의 중심선(0)과 반드시 일치되게 된다.
또한, 터언테이블(4)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 C를 클램프 할때에 클램프클릭(42)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4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전체적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나, 설명의 편리상, 외경 9mm의 부품 B을 카아트리지 C1를 이용하여, 부착스테이션 S1에 있는 공작물 W에 대해서 압입하는 경우를 대표로 설명하고, 그 후 10mm, 12mm의 부품 B의 압입에 대하여 그 상위점에 착안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형 9mm로된 부품 B이 직렬로 5개 정렬, 유지된 카아트리지 C1가, 터언테이블(4)을 회전시키므로서, 그 부품 공급장치 F1와는 180°대칭위치에 있는 교환위치 X1(제1도 참조)가 되게 되며, 이 교환위치 X1에 있는 카아트리지 C1를 해칭을 실시하여 표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로보트 R을 이용해서 부착유니트가, 상기 교환위치 X1에 있는 카아트리지 C1를 유지한 후, 부착스테이션 S1에 있는 공작물 W의 소정위치를 향해서 이송한다. 이 이송후 혹은 이송도중에 있어서, 공작물에 대한 부품 B의 압입전체로서,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지된 카아트리지 C1 내의 부품 B이 1개만, 압출기구(51), 위치결정기구(61)를 이용해서, 압입기(22)의 압입공간 D의 소정위치에 압출된다.
그리고, 압입용 실린더장치(24)를 약간 신장시키므로서, 상기 압출된 1개의 부품 B에 대하여 유지링(31)이 감합되고, 이 감합후에, 위치 결정기구(61)의 위치결정판 (62)이 압입용 공간 D로부터 후퇴(제3도 좌표편쪽으로 움직임)하게 된다.
상기 유지링(31)에 유지된 부품 B은, 압입기(22)의 중심(0)이 공작물 W의 위치 결정구멍(2)의 축심과 일치된 상태에서, 압입용 실린더 장치(24)를 더욱 신장 시키므로서 크게 하강된 압입헤드(23)에 의하여, 위치결정구멍(2)에 압입된다. 이 부품 B의 압입후는, 다른 위치 결정구멍(2)에 대하여, 카아트리지 C1내에 부품 B이 있는 한, 당해 카아트리지 C1로 부터의 부품 B의 압출(위치결정)이 행해진후, 상술한 압입이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카아트리지 C1를 이용하여 5회(5개의 부품 B)의 압입이 연속해서 행해진후, 부착유니트 u가 공급스테이션 S2으로 복귀되어서, 그 교환위치 X1에 빈카아트리지 C1가 놓여진다(복귀된다). 그리고, 터언테이블(4)이 30°제1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부품 B이 5개 충전된 새로운 카아트리지 C1를 교환위치 X1에서 유지한후, 재차 부착스테이션 S2에 이동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압입작업이 행해진다. 물론, 실시예에서는, 공작물 W이 10개의 부품 B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카아트리지 C1를 2개 사용(부착 유니트 u의 2회의 왕복)하므로서, 이 공작물 W에 대한 압입작업이 종료된다. 또, 빈것으로된 카아트리지 C1에 대한 부품 B의 공급(보충)은, 부품 B이 충전되어 있는 카아트리지 C1를 부착유니트 u에 의하여 부착스테이션 S1으로 이송하고 있는 타이밍을 가늠해서 행해진다. 즉, 교환위치 X1에 카아트리지 C1가 위치했을때에는, 반드시 빈카아트리지 C1가 부품 공급장치 F1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외형 10mm 혹은 12mm의 부품 B용의 카아트리지 C2 혹은 C3에 대하여는, 그 부품 공급장치 F2 혹은 F3와 180° 대칭위치에 있는 위치를 부착유니트u와의 교환위치(X1에 상당)로 해도 좋으며, 혹은, 터언테이블의 회전(회전각도, 회전시기)을 제어해서, 카아트리지 C1용의 교환위치 X1와 공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카아트리지 C내에 수용하는 부품 B의 수는 적당한 수로 할 수 있다. 또, 부품 B의 종류로서는, 1종류 2종류 혹은 4종류 이상으로 할수도 있다. 또한, 터언테이블(4)상에 있어서, 부착유니트 u가 카아트리지 C를 유지하는 위치를 예를 들면 1회째를 교환위치 X1로하고, 2회째를 그 인근에 있는 위치로부터 유지하도록 해도되며, 혹은 유지하는 위치와 복귀하는 위치가 서로 별개의 전용으로 될 수 있도록, 터언테이블(4)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공급스테이션으로 부터 부착스테이션으로의 1회의 부품의 이송에 의해, 부착스테이션에 있어서 복수개의 부품의 압입을 연속해서 행할 수 있고, 이 결과, 부품을 공급스테이션으로 집으로 가는 회수를 대폭 감소시켜서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Claims (1)
- 복수개의 부품을 정렬유지한 카아트리지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스테이션과 상기 부품을 공작물에 대하여 압입하기 위한 부착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이동 자재하게된 부착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착유니트가, 부품을 공작물에 대하여 압입하기 위한 압입기와, 상기 카아트리지를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된 상기 카아트리지내의 부품을, 상기 압입기의 압입공간을 향해서 압출하는 압출기구와, 상기 압입용 공간을 향해서 진퇴자재하게 되고, 상기 카아트리지 내로부터 압출되는 부품을 이 압출용 공간의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46599 | 1985-07-05 | ||
JP60146599A JPS629838A (ja) | 1985-07-05 | 1985-07-05 | 部品組付装置 |
JP60-146599 | 1985-07-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0996A KR870000996A (ko) | 1987-03-10 |
KR920007966B1 true KR920007966B1 (ko) | 1992-09-19 |
Family
ID=1541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05379A KR920007966B1 (ko) | 1985-07-05 | 1986-07-03 | 부품부착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29838A (ko) |
KR (1) | KR92000796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9685A (ko) * | 2001-10-08 | 2003-04-16 | 이경국 | 장식물 접합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211839A (ja) * | 1982-06-02 | 1983-12-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止め輪插入装置 |
JPS6090642A (ja) * | 1983-10-24 | 1985-05-2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 Ltd | 部品挿入装置 |
-
1985
- 1985-07-05 JP JP60146599A patent/JPS629838A/ja active Granted
-
1986
- 1986-07-03 KR KR1019860005379A patent/KR9200079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29838A (ja) | 1987-01-17 |
KR870000996A (ko) | 1987-03-10 |
JPH0428492B2 (ko) | 1992-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8323557A (ja) | ニードルローラ組み付け装置 | |
DE3260584D1 (en) | Conveying arrangement for automatic lathe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 |
KR920007966B1 (ko) | 부품부착장치 | |
US384247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ball bearings | |
US3959870A (en) | Continuous motion assembly machine | |
US5503191A (en) | Tubular guide and support system | |
US3906607A (en) | Device for relative orientation of parts | |
EP0110594B1 (en) | Strip feeding apparatus | |
CN1005826B (zh) | 罐头盖定向的方法和装置 | |
US6671954B2 (en) | Rubber plug insertion apparatus and rubber plug insertion method | |
US4454642A (en) | Apparatus for compressing a retainer ring to assembly size and retainer ring compressed thereby | |
GB2260921A (en) | Multiple lane ironing and doming apparatus | |
JPH0448894Y2 (ko) | ||
CN221159235U (zh) | 一种用于av插座全自动组装机的输送装置 | |
KR100404023B1 (ko) |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 | |
JPS5911415B2 (ja) | 弾性部品の組付装置 | |
CN216541815U (zh) | 多工位o形圈装配机 | |
JPH10109239A (ja) | クランプ装置 | |
CN117680959B (zh) | 一种配电柜连接端子装配用插针输送机构和自动插针设备 | |
JP2599743Y2 (ja) | カップ状部材供給装置 | |
US5052095A (en) | Assembling method for assembling first and second components | |
JPH0333388Y2 (ko) | ||
WO2021149988A1 (ko) | 터미널 자동 피딩 장치 | |
KR102271935B1 (ko) | 자동차용 풀리의 도금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압입 장치 | |
JP4160897B2 (ja) | ピストンリング組付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82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