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023B1 -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 - Google Patents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023B1
KR100404023B1 KR10-2001-0006711A KR20010006711A KR100404023B1 KR 100404023 B1 KR100404023 B1 KR 100404023B1 KR 20010006711 A KR20010006711 A KR 20010006711A KR 100404023 B1 KR100404023 B1 KR 10040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ssembly
holder
lev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494A (ko
Inventor
오관준
Original Assignee
오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관준 filed Critical 오관준
Priority to KR10-2001-0006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0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5/00Assembling, finishing, or repairing pens
    • B43K15/02Automat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들의 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 니들을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에 삽입하여 니들의 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는 프레임상에 니들을 홀더에 공급하는 니들공급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니들공급수단 일측에 는 니들공급수단에 의해 홀더에 배치된 최전방의 니들 측면을 가압파지하고 이 파지된 니들을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에 삽입시키는 니들삽입수단이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의 지그는 상기 니들공급수단 일측에 베이스가 무한궤도식으로 배치되고, 이 각각의 베이스상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에 피조립체를 수용하여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피조립체에 니들이 삽입될 때 피조립체의 개구부를 니들 삽입방향으로 고정시키고 니들이 삽입된 다음 이 피조립체를 회전시켜 취출토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Assemble apparatus having neddle and the jig}
본 발명은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에 관한 것으로, 니들의 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 니들을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에 삽입하여 니들의 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피조립체를 수용하는 지그를 간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니들이 삽입되는 피조립체 개구부를 니들 삽입방향으로 배치시킨 다음 이 니들이 조립된 어셈블리를 회전시켜 어셈블리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성용 필기구(수성볼펜)는 필기가 되는 촉 단부에 잉크를 배출시키는 니들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는 상기 필기구 촉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니들이 조립된 어셈블리 일 실시예를 상기 필기구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필기구, 특히 수성볼펜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심 단부에 촉이 조립되어 있어 이 촉에서 잉크를 공급하여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촉은 필기구 심에 조립되는 어뎁터와, 일측 단부에 볼이 형성되어 상기 어뎁터에 조립되어 잉크를 배출시키는 니들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필기구의 촉을 조립하는 종래 니들 조립장치는 공급된 어뎁터를 지그에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어뎁터 상부에 니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니들 단부를 가압하여 니들을 조립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니들을 조립하는 종래 니들 조립장치는 피조립체에 니들을 조립할 때 니들 단부를 가압하여 조립하게 되므로 니들 단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필기구의 촉 조립시 니들 단부에 조립되어 있는 볼부분을 가압하여 조립하게 되므로 볼이 손상되어 필기감이 나쁘게 되고, 필기된 잉크의 상태가 고르지 못하는 등 불량필기구를 양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니들의 측면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 니들을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에 삽입하여 니들의 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니들이 삽입된 피조립체를 수용하는 지그를 간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피조립체 개구부를 니들 삽입방향으로 배치시킨 다음 이 니들이 조립된 어셈블리를 회전시켜 어셈블리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의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홀더에 니들을 공급하는 니들공급수단; 상기 니들공급수단 일측에 무한궤도식으로 배치되어 이동하면서, 니들이 삽입되는 피조립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피조립체에 니들이 삽입될 때 피조립체의 개구부를 니들 삽입방향으로 고정시키고 니들이 삽입된 다음 이 피조립체를 회전시켜 취출토록 하는 복수 개의 지그; 상기 홀더에 공급된 최전방의 니들 측면을 파지하고 이 파지된 니들을 이동시켜 상기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의 개구부에 삽입시키는 니들삽입수단; 상기 지그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이 피조립체에 삽입될 때 상기 피조립체가 밀리지 않도록 피조립체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에 니들이 조립될 때마다 이 피조립체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지그를 간헐적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의 지그는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별도 공급되는 어뎁터를 수용하여 파지하는 수용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재; 상기 파지부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파지부재의 정지위치를 지정하고 이 파지부재의 유동을 단속하는 단속수단; 상기 베이스 하부에 연결되어 베이스를 무한궤도식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조립장치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조립장치의 일부분을 단면한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조립장치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조립장치의 니들공급수단과 니들삽입수단을 확대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공급수단의 내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를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조립장치의 평면도,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 어뎁터에 니들이 조립되기 전 상태의 평면도,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 어뎁터에 니들이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조립장치가 니들을 조립한 상태의 측면도,
도 10 은 도 9 에서 어뎁터에 니들이 조립된 상태의 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니들 조립장치 2 : 지그
4 : 홀더 5 : 니들공급수단
6 : 지그 8 : 니들삽입수단
9 : 지지수단 10 : 회전수단
12,16,45,47 : 통로 14 : 롤러
20 : 스톱퍼장치 24 : 핀
28 : 파지부재 29 : 단속수단
30 : 컨베이어수단 32 : 걸림돌기
35 : 인덱스판 41 : 슬라이드부재
43 : 스톱퍼 44 : 가압핀
51 : 니들위치조절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조립장치(1)의 전체 측면도와 정면도를 보이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1)는 하부에 프레임(2)이 형성되고, 이 프레임(2) 상부 일측에 니들(3)을 공급하여 홀더(4)에 일렬로 배치시키는 니들공급수단(5)이 배치되고, 상기 니들공급수단(5) 일측에는 상기 홀더(4)에 배치된 니들(3)을 지그(6)에 수용된 어뎁터(7)에 삽입시키는 니들삽입수단(8)이 구비되고, 상기 니들삽입수단(8)과 이격된 일측에는 별도 공급된 어뎁터(7)를 수용하여 파지하는 지그(6)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6)의 후방에는 상기 니들(3)이 어뎁터(7)에 삽입될 때 상기 어뎁터(7)가 밀리지 않도록 어뎁터(7)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9)이 배치되고, 상기 지그(6) 상부에는 상기 지그(6)에 수용된 어뎁터(7)에 니들(3)이 조립될 때마다 이 어뎁터(7)를 취출할수 있도록 상기 지그(6)를 간헐적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0);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은 운반이 용이하게 저면에 바퀴(2a)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지그(6)의 파지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0) 및 니들(3)을 어뎁터(7)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니들삽입수단(8)을 왕복운동시키는 캠장치(11)가 설치된다. 상기 캠장치(11)는 일반적인 기계장치로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니들공급수단(5)은 상기 프레임(2)상에 니들(3)의 공급을 안내하는 통로(12)가 형성된 레일(13)이 설치되고, 이 레일(13) 단부에 공급되는 니들(3)을 니들삽입수단(8)에 설치된 홀더(4)로 이송시키는 롤러(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블록(15)이 배치된다.
상기 레일(13)의 통로(12)는 레일(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 열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 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레일(13)은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고, 이들 상,하부 사이에 통로(12)가 형성되어 이송되는 니들(3)이 통로(12)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구성된다.
상기 니들공급수단(5)의 통로(12)에 니들(3)을 공급하는 방식은 통상과 같이 진동에 의해 니들(3)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바이브레이션장치(미도시)를 사용하며, 이 니들(3) 공급경로상에 니들(3)의 전후방을 선별하는 선별기(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니들(3)이 필기구의 촉을 구성하는 니들일 경우 이 니들 일단부에는 필기용 볼이 조립되어 있어 상기 선별기는 이 볼이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게 상기 니들을 선별하게 된다.
상기 니들공급수단(5)의 블록(15)은 도 4 내지 도 5 와 같이 레일(13) 단부에 설치되어 레일(13)의 통로(12)를 통해 공급되는 니들(3)을 홀더(4)로 공급할 수 있도록 레일(13)의 통로(12)와 일치되게 통로(16)가 관통되고 이 통로(16) 상부에는 상기 니들(3)을 홀더(4)로 이송시키는 롤러(14)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7)이 상기 통로(16)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블록(15)은 몸체가 상부와 하부로 양분되어 그 사이에 통로(16)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 롤러(14)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7)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4)는 그 샤프트(18)가 모터(19)와 연결되어 이 모터(19)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니들(3)을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15)은 롤러(14) 일측에 니들(3)이 비정상적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다른 원인 등으로 니들(3)의 공급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스톱퍼장치(2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스톱퍼장치(20)는 상기 블록(15) 상부에 형성된 브래킷(21)에 레버(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버(22) 상부에는 상기 레버(22)를 승하강 시키는 레버 승하강장치(23)가 배치된다. 상기 레버(22) 하부에는 승하강하여 블록(15)의 통로(16)에 삽탈되는 핀(24)이 상기 블록(15)에 삽입되며, 상기 핀(24)과 블록(15) 사이에는 상기 레버(22)가 상승할 때 상기 핀(24)을 들어올려 복원시키는 탄성부재(25)가 개재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22)를 승하강 시키는 레버 승하강장치(23)는 여러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그(6)는 판상의 베이스(26)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26)상에는 한 쌍의 지지대(27)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27) 사이에는 별도 공급되는 어뎁터(7)를 내부에 수용하여 파지하는 파지부재(2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재(28) 일측에는 상기 회전수단(10)에 의해 간헐적으로 소정각도 회전할 때 이 파지부재(28)의 정지위치를 설정하는 단속수단(29)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26) 하부에는 복수 개의 베이스(26)를 무한궤도식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파지부재(28)는 도 10과 같이 공급되는 어뎁터(7)를 수용하여 파지하는 수용공(3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상기 회전수단(10)이 직선왕복운동 할 때 이 회전수단(10)에 걸려 간헐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 7 과 같이 복수 개의 걸림돌기(32)가 돌출된다.
상기 파지부재(28)의 걸림돌기(32)는 상기 파지부재(28)의 회전 중심에 복수 개가 형성되는데, 이 걸림돌기(32)는 상기 파지부재(28)를 직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하좌우에 4개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파지부재(28)의 수용공(31)은 그 입구에 홀더(4) 선단부의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홈(33)이 요입되어 이 홀더(4)에 배치된 니들(3)과 어뎁터(7) 개구부가 정확하게 일치되어 니들(3)이 어뎁터(7)에 삽입될 때 편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지부재(28)는 회전하여 상기 수용공(31)에 수용된 어뎁터(7)를 수평상태로 배치시켜 니들(3)이 수평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속수단(29)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요입홈(34)이 형성된 인덱스판(35)이 상기 파지부재(28)의 샤프트(18)에 고정되고, 상기 파지부재(28) 일측 상기 베이스(26)상에 플레이트(36)가 고정되며, 이 플레이트(36)에는 상기 인덱스판(35)핀의 요입홈(34)에 삽탈되는 돌기(37)를 가진 레버(38)가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36)와 상기 레버(38) 사이에는 탄성부재(39)가 개재되어 상기 인덱스판(35)이 회전할 때 회전하는 레버(38)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레버(38)의 돌기(37)가 인덱스판(35)의 요입홈(34)에 다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6)의 컨베이어수단(30)은 무한궤도식으로 구동되는 벨트나 또는 스프로킷에 치합되는 체인(23)이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확한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40)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지그(6)는 파지부재(28)의 수용공(31)이 수직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이 수용공(31)에 수용된 어뎁터(7)에 니들(3)이 삽입된 다음 캠장치(11)에 의해 회전수단(10)이 걸림돌기(32)를 회전시킬 때 파지부재(28)가 회전하여 어뎁터(7)를 수직상태로 배치시켜 취출토록 한다. 이 때 단속수단(29)의 레버(38)는 그의 돌기(37)가 인덱스판(35)의 요입홈(34)에서 벗어나고 파지부재(28)의 회전이 정지될 때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요입홈(34)에 다시 삽입되어 파지부재(28)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각각의 지그(6)는 컨베이어수단(30)에 의해 이동하면서 수용공(31)에수용된 어뎁터(7)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니들(3)이 조립되게 하고 니들(3)이 조립된 어뎁터(7)를 수직상태로 회전시켜 취출토록 한다.
상기 니들삽입수단(8)은 도 4 에서와 같이 어뎁터(7)에 니들(3)을 삽입할 수 있도록 캠장치(11)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부재(41)가 레일(42)에 탑재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41) 선단부에는 니들(3)이 배치되는 홀더(4)가 설치되며, 상기 홀더(4) 일측에는 홀더(4)의 입구를 개폐하는 스톱퍼(4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홀더(4) 내부에 공급된 최전방의 니들(3)을 정지시키고, 상기 홀더(4) 상부에는 홀더(4)에 배치된 최전방의 니들(3a)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니들(3a)이 어뎁터(7)에 삽입될 때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가압핀(44)이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41)는 내부에 상기 니들공급수단(26)의 블록(15)의 각 통로(16)와 일치되게 통로(45)가 형성되어 니들(3)을 홀더(4)에 공급하게 되며, 이 통로(45) 단부에는 상기 홀더(4)를 수용하는 수용부(46)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4)는 니들(3)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41)의 통로(45)와 일치되게 통로(47)가 관통되고, 이 통로(47) 선단부 측벽에 상기 스톱퍼(43)의 돌기(43a)가 삽탈될 수 있도록 개구부(48)가 연통되며, 상기 개구부(48) 후방 상부에는 상기 가압핀(44)이 승하강하여 최전방에 배치된 니들(3) 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절개부(49)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43)는 몸체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지게 형성되고, 일측단부에는 상기 홀더(4) 개구부(48)에 삽입되는 돌기(43a)가 돌출된다.
상기 가압핀(44)은 실린더(50)에 연결되어 이 실린더(50)의 구동에 따라 승하강하여 니들(3)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니들삽입수단(8)은 도 8 과 같이 상기 홀더(4)에 배치되는 최전방의 니들(3a)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니들위치조절수단(51)을 더 갖는다.
상기 니들위치조절수단(51)은 선단부에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면(52a)을 갖는 캠(52)이 상기 슬라이드부재(41)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톱퍼(43)의 몸체 절곡부 소정위치에 롤러(53)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스톱퍼(43)의 돌기(43a)가 상기 홀더(4)에 삽입될 때 롤러(53)가 상기 캠 경사면(52a)과 접면하여 스톱퍼(43)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홀더(4) 최전방에 배치된 니들(3a)의 배치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9)은 상기 파지부재(28) 후방에 배치되어 어뎁터(7)에 니들(3)이 조립될 때 어뎁터(7)가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실린더장치가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회전수단(10)은 선단부에 상기 걸림돌기(32)를 회전킬 수 있도록 걸림턱(10a)이 설치되는데, 상기 걸림턱(10a)은 걸림돌기(32)를 회전시킨 후 원위치로 복귀될 때 다시 상부에 위치한 걸림돌기(32)를 지나칠 수 있도록 일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니들 조립장치가 어뎁터에 니들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니들삽입수단(8)의 스톱퍼(43)를 회전시켜 그의 돌기(43a)가 상기 홀더(4)의 개구부(48)에 삽입되어 도 8a 와 같이 홀더(4) 출구를 폐쇄시켜 니들(3)을배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니들공급수단(5)의 각 통로(12)를 따라 니들(3)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이 공급된 니들(3)은 모터(19)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14)에 의해 하나 씩 순차적으로 홀더(4)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니들(3)이 배치되면 실린더(50) 구동에 의해 가압핀(44)이 하강하여 최전방의 니들(3a)의 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송되는 니들(3)이 비정상으로 이송되어 니들(3)의 이송을 정시킬 때는 스톱퍼장치(20)를 이용하여 니들(3)을 정지시키게 되는데, 이는 실린더(23)가 구동하여 레버(22)를 하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 레버(22) 하부에 위치한 핀(24)이 상기 레버(22)에 의해 하강하여 이송되는 니들(3)을 가압하여 더 이상 이송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니들(3)이 홀더(4)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지그(6)의 파지부재(28) 수용공(31)에는 별도의 공급장치에 의해 어뎁터(7)가 삽입되고, 캠장치(11)에 의해 회전수단(10)이 직선운동하여 지그의 걸림돌기(32)를 회전시켜 어뎁터(7)를 수평상태가 되게 함으로서 어뎁터(7)에 니들(3)을 삽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이와 같이 파지부재(28)에 어뎁터(7)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도 8b 와 같이 홀더(4) 출구를 폐쇄하고 있는 스톱퍼(43)를 회전시켜 출구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41)가 캠장치(11)에 의해 지그(6)로 이동하여 도 10 과 같이 홀더(4) 가 파지부재(28)의 가이드홈(33)에 삽입됨과 동시에 홀더(4) 선단부에 배치된 니들(3a)이 어뎁터(7) 개구부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홀더(4)의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홈(33)에 삽입되므로 니들(3)이 편심되지 않고 어뎁터(7) 개구부에 정확하게삽입된다.
이후, 캠장치(11)에 의해 슬라이드부재(41)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스톱퍼(43)는 회전하여 홀더(4) 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롤러(14)는 니들(3) 하나를 상기 홀더(4) 내부에 공급하게 되면 최전방의 니들(3a)은 상기 스톱퍼(43) 돌기(43a)와 접촉되어 정지되고 이후 가압핀(44)이 하강하여 이 니들(3)을 가압하여 다음 니들 삽입공정을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니들(3)의 다음 고정을 준비할 때 상기 지그(6)는 레버(38)가 회전하여 삽입돌기(37)가 인덱스판(35)의 요입홈(34)에 벗어나게 되면 회전수단(10)이 파지부재(28)를 회전시킴으로서 니들(3)이 조립된 어뎁터(7)를 수직방향으로 배치시켜 취출토록 한다. 이후 상기 어뎁터(7)가 취출되면 파지부재(28)의 수용공(31)에 새로운 어뎁터(7)가 삽입되고, 상기 회전수단(10)이 상기 파지부재(28)를 동일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상기 어뎁터(7)를 수평방향으로 배치시키게 된다. 이 때 레버(38)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이 레버(38)의 삽입돌기(37)가 인덱스판(35)의 요입홈(34)에 삽입되어 상기 파지부재(28) 정지위치를 지정함으로서 어텝터(5)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다음 준비공정이 완료되면 컨베이어수단(30)에 의해 각각의 지그(6)는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이미 설명한 방법으로 어뎁터(7)에 니들(3)을 반복적으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니들(3)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때는 상기 캠(52)의 위치에 따라 스톱퍼(43)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홀더(4)의 출구를 폐쇄하는 스톱퍼 돌기(43a)의 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다시말해, 캠(52)을 스톱퍼(43) 방향으로 많이 이동할수록 그 선단부의 경사면(52a)이 롤러(53)와 접촉하여 돌기(43a)가 홀더(4) 입구에서 벌어진 상태로 홀더(4) 입구를 폐쇄하게 되므로 그 만큼 최전방의 니들(3a)은 홀더(4) 출구에서 더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어뎁터(7)에 조립되는 니들(3a)의 돌출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니들 조립장치가 필기구 촉의 니들과 어뎁터를 조립용으로 사용되면, 니들의 측면을 파지한 상태로 어뎁터에 조립하게 되므로 니들 단부에 조립된 볼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불량필기구 양산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필기구 촉에 사용되는 니들 외에도 다른 분야에 적용되는 니들 조립에도 적용되어 니들 단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되고 홀더에 니들을 공급하는 니들공급수단;
    상기 니들공급수단 일측에 무한궤도식으로 배치되어 이동하면서, 니들이 삽입되는 피조립체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여 상기 피조립체에 니들이 삽입될 때 피조립체의 개구부를 니들 삽입방향으로 고정시키고 니들이 삽입된 다음 이 피조립체를 회전시켜 취출토록 하는 복수 개의 지그;
    상기 홀더에 공급된 최전방의 니들 측면을 파지하고 이 파지된 니들을 이동시켜 상기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의 개구부에 삽입시키는 니들삽입수단;
    상기 지그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니들이 피조립체에 삽입될 때 상기 피조립체가 밀리지 않도록 피조립체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에 니들이 조립될 때마다 이 피조립체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지그를 간헐적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공급수단은
    적어도 한 열 이상의 니들공급용 통로를 갖는 레일;
    몸체 내부에 상기 레일의 통로와 일치되게 통로가 관통되고, 상기 각 통로 상부와 연통되게 수용공간이 요입되어 상기 레일의 일측단부에 배치되는 블록;
    상기 블록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니들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니들을 하나 씩 홀더에 공급하여 배치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샤프트와 연결되어 이 롤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별도 공급되는 어뎁터를 수용하여 파지하는 수용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재;
    상기 파지부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파지부재의 정지위치를 지정하고 이 파지부재의 유동을 단속하는 단속수단;
    상기 베이스 하부에 연결되어 베이스를 무한궤도식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삽입수단은
    상기 니들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니들이 홀더에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에 배치된 니들을 상기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동장치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는 슬라이드부재;
    니들이 공급될 수 있도록 통로가 관통되고, 이 통로 선단부 측벽에 개구부가 연통되고, 상기 개구부 후방 상부에 홀더에 배치된 최전방의 니들의 측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통로와 연통되게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공급되는 니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일렬로 배치시키는 홀더;
    상기 홀더 일측에 왕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자유단부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상기 홀더의 개구부에 삽탈되어 상기 홀더로 공급되는 최전방의 니들을 정지시키는 스톱퍼;
    상기 홀더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홀더에 배치된 최전방의 니들이 지그에 수용된 피조립체에 삽입될 때 이 니들이 이동하지 않도록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핀;
    상기 가압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핀을 승하강 시키는 가압핀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공급수단은
    상기 블록 상부에 형성된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를 승하강 시키는 레버 승하강장치
    상기 레버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 각 통로상에 삽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레버가 하강할 때 상기 통로에 삽입되어 니들을 정지시키는 핀;
    상기 핀과 블록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가 상승할 때 상기 핀을 원위치로복원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톱퍼장치를 더 갖는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수용공 선단부에 상기 홀더의 선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요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단속수단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재의 샤프트에 고정되는 인덱스판;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일측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유단 선단부에 상기 인덱스판의 요입홈에 삽탈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이 인덱스판의 회전을 정지시켜 파지부재를 회전을 단속하는 레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레버가 회전하여 인덱스판을 회전시킨 후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삽입수단은
    선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 측면에 고정되는 캠;
    상기 스톱퍼의 몸체 소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롤러; 및
    상기 스톱퍼가 회전하여 이 스톱퍼 단부에 돌출된 돌기가 상기 홀더 출구에 삽입될 때 상기 롤러가 캠 경사면과 접면하여 스톱퍼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홀더에 삽입된 최전방 니들 배치상태를 가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니들위치조절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9.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상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별도 공급되는 어뎁터를 수용하여 파지하는 수용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상기 회전수단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지부재;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의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재의 샤프트에 고정되는 인덱스판, 상기 베이스상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일측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유단 선단부에 상기 인덱스판의 요입홈에 삽탈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이 인덱스판의 회전을 정지시켜 파지부재의 정지위치를 설정하는 레버,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레버가 회전하여 인덱스판을 회전시킨 후 상기 레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파지부재 단속수단;
    상기 베이스 하부에 연결되어 베이스를 무한궤도식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의 지그.
KR10-2001-0006711A 2001-02-12 2001-02-12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 KR100404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11A KR100404023B1 (ko) 2001-02-12 2001-02-12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11A KR100404023B1 (ko) 2001-02-12 2001-02-12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494A KR20020066494A (ko) 2002-08-19
KR100404023B1 true KR100404023B1 (ko) 2003-11-03

Family

ID=2769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11A KR100404023B1 (ko) 2001-02-12 2001-02-12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66B1 (ko) 2007-08-17 2009-05-07 우리마이크론(주) 프로브카드용 니들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8571B (zh) * 2016-05-27 2017-11-03 苏州凯磊胜自动化科技有限公司 笔筒定位检测装置及方法
CN109807582A (zh) * 2017-12-04 2019-05-28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金属针组装装置
CN109227447B (zh) * 2018-10-24 2024-02-20 江西合力泰科技有限公司 一种通用装针产品夹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0131A (en) * 1977-11-16 1979-06-05 Kinichi Takagi Device for automatically inserting pen core
JPS54138728A (en) * 1978-04-17 1979-10-27 Pentel Kk Machine for assembling writing implement employing ink occluder
JPS552064A (en) * 1978-06-22 1980-01-09 Pentel Kk Cap clamping machine of writing tool
JPH0687292A (ja) * 1992-09-08 1994-03-29 Nippon Rikagaku Kogyo Kk マーカー製造装置
JPH11334280A (ja) * 1998-05-28 1999-12-07 Pentel Kk 多数のワーク先端に保護液を自動的に付着する装置
KR200211819Y1 (ko) * 2000-08-18 2001-01-15 세종기계주식회사 중성심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0131A (en) * 1977-11-16 1979-06-05 Kinichi Takagi Device for automatically inserting pen core
JPS54138728A (en) * 1978-04-17 1979-10-27 Pentel Kk Machine for assembling writing implement employing ink occluder
JPS552064A (en) * 1978-06-22 1980-01-09 Pentel Kk Cap clamping machine of writing tool
JPH0687292A (ja) * 1992-09-08 1994-03-29 Nippon Rikagaku Kogyo Kk マーカー製造装置
JPH11334280A (ja) * 1998-05-28 1999-12-07 Pentel Kk 多数のワーク先端に保護液を自動的に付着する装置
KR200211819Y1 (ko) * 2000-08-18 2001-01-15 세종기계주식회사 중성심 조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066B1 (ko) 2007-08-17 2009-05-07 우리마이크론(주) 프로브카드용 니들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494A (ko) 200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5370A (en) Electronic parts automatic mounting apparatus
US7401401B2 (en) Mounting head of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KR100680040B1 (ko) 자동 임펠러 조립기
NZ524839A (en) Alignment of ink cartridge in holder assures electrical contact
KR100404023B1 (ko) 니들을 갖는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 지그
US4770599A (en) Pick-up head for handling electric components
KR100608419B1 (ko) 고정식 전극칩 제거장치
US6393684B2 (en) Rubber plug fitting apparatus
US6578614B1 (en) Conveyor for combining two-component items
KR101121275B1 (ko) 스티칭머신
CN213246905U (zh) 一种便携式植珠装置
US4370804A (en) Electronic component inserting apparatus
JP3120538B2 (ja) 丸物棒状ワークの搬送装置
KR100965495B1 (ko) 인서트너트 운반용 카트리지
KR200211819Y1 (ko) 중성심 조립장치
KR100528707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정렬장치
KR20000064046A (ko) 중성심 조립장치
KR20040055860A (ko) 단추의 레이저마킹 방법과 장치
JP4145615B2 (ja) 部品挿入装置
JPS61249298A (ja) プリント基板の供給装置
CN117680959B (zh) 一种配电柜连接端子装配用插针输送机构和自动插针设备
KR20050088668A (ko) 튜브용기의 금박 인쇄장치
KR100195804B1 (ko) 매거진 반송장치
KR910000257Y1 (ko) 리이드 프레임 자동 정렬장치
JP2847030B2 (ja) 部品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