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817B1 - 전자악기용 건반 - Google Patents

전자악기용 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817B1
KR920007817B1 KR1019890016373A KR890016373A KR920007817B1 KR 920007817 B1 KR920007817 B1 KR 920007817B1 KR 1019890016373 A KR1019890016373 A KR 1019890016373A KR 890016373 A KR890016373 A KR 890016373A KR 920007817 B1 KR920007817 B1 KR 92000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spring
keyboard
plate
electronic mu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389A (ko
Inventor
이효익
Original Assignee
삼익악기 제조 주식회사
이효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익악기 제조 주식회사, 이효익 filed Critical 삼익악기 제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817B1/ko
Publication of KR91001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용 건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 발췌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의 작동 예시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밑판 2 : 후면밑판
3 : 벽판 4 : 지지판
5 : 조절판 6 : 조절핀
7 : 전면핀 8 : 후면핀
9 : 백건반 9a : 백건반 후단부
10 : 흑건반 11 : 접점
12 : 백건반중량 13 : 햄머
14 : 햄머중량 15 : 햄머대
16 : 창구 17 : 축핀
18 : 스프링축 19 : 햄머스프링
20 : 텃취스프링 21 : 보울트
21' : 조절보울트 22, 23 : 지지편
24 : 텃취레버 25 : 텃취선단부
26 : 햄머안내대 27, 28 : 건반완충대
29 : 조절완충대 30 : 건반완충대
31 : 햄머완충대 32 : 벽판완충대
33 : 텃취완충대 34 : 완충와샤
35 : 스위치 36 : 회로판
A : 햄머대 접속부 B : 텃취레버 접속부
본 발명은 악기에 사용되는 건반을 치는 순간 건반이 잠시동안 무엇에 걸렸다가 급격히 떨어지는 상태 즉 건반을 눌렀을때 다음순간에 접속하였다가 이탈되는 느낌을 연주자의 손에 전달되는 효과(AFTER TOUCH)를 얻도록하는데에 목적이 있는 전자악기용 건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그랜드 피아노(GRAND PIANO)나 엎라이트 피아노(UPRIGHT PIANO)등에는 건반을 칠때 7-7.5㎜ 정도 내려갔을때 무엇인가 걸렸다가 떨어지는 고유의 접속효과인 텃취효과가 있으나,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모든 전자악기용 건반에는 이러한 접속효과(AFTER TOUCH)가 내포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피아노를 가지고 연주했던 연주자가 전자악기용 건반을 가지고 연주하면 접속의 느낌인 텃취효과가 전달되지 않기때문에 연주에 혼돈과 지장을 초래하였다. 이 혼동과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위한 수단으로 전자악기용 건반의 텃취(TOUCH)를 일반피아노와 유사하게 개발하려는 노력이 여러기업의 연구진이나 개인연구가들에 의해 시도되여 왔으며, 실제로 많은 턱학 출원되여 왔었으나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몇 종류에 지나지 않으며, 또한 실제 사용되고 있는 몇 종류 역시 일반피아노와 같은 아프터 텃취(AFTER TOUCH : 접속효과의 전달)효과가 충분히 표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악기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시켜서 일반피아노를 연주하던 연주자로하여 그 혼란을 초래하지 않고 자유자래로 전자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장기간 동안 각종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여 접속효과의 전달(AFTER TOUCH)이 개발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밑판(1)위에 지지판(4)과 조절판(5)을 고정하고 후면밑판(2)은 벽판(3)과 지지편(22)(23)을 일체로 구성하여 입설한 후 조절핀(6)과 전후면핀(7)(8)을 세우고 각건반(9)(10)을 조절핀(6)을 중심으로 작동되게 하여 각건반 후단부(9a)위에는 중량(14)을 구성하여 햄머대(15)와 일체로된 햄머(13)를 접속되게하되 햄머대(15)를 벽판(3)에 구성한 창구(16)로 내통시켜서 벽판(3)뒤에 보울트(21)로 고정한 햄머안내대(26)에 축핀(17)으로 유착하며 벽판(3)의 창구(16) 하부 스프링축(18)에 햄머스프링(19)을 햄머대(15)저면과 지지편(22) 상단에 탄설시켜서 압축과 복원력을 갖게 한다. 후단지지편(23)에는 조절보울트(21')로서 텃취레버(24)의 하부를 결합하여 전후로 유동되게 적정하게 조여서 절곡된 상부 텃취선단부(25)는 햄머안내대(26)에 접속과 이탈이 되도록 코일형 텃취스프링(20)으로서 지지편(22)과 연결고정한 다음 건반(9)(10)의 텃취로서 조절핀(6)을 기점으로 각건반의 후단부(9a)가 상승하여 그위의 햄머(13)가 햄머안내대(26)의 축핀(17)을 기점으로 시이소와 같이 햄머대(15)의 단부는 하향하면서 햄머대 접속부(A)가 텃취레버(24)의 내향만곡 접속부(B)를 접속 텃취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2, 3, 4, 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금속(METAL)재질의 밑판(1)위에 지지판(4)과 조절판(5)을 고정하고 후면밑판(2)에는 벽판(3)을 일체로 굴곡시켜서 세우며 이 지지판(4)과 조절판(5)에는 조절핀(6)과 전후면핀(7)(8)을 입설한다.
다음에 백건반(9)과 흑건반(10)을 중심의 조절핀(6)에 끼우며 전면핀(7)은 백건반(9)을 후면핀(8)은 흑건반(10)을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하여 이들 각건반(9)(10)의 중단하부에 접점(11)을 돌출시키고 각 후단부(9a)위에는 금속 중량(9)(10)체를 삽착하여 햄머대(15)와 일체로 된 햄머(13)를 접속시키는데 이 햄머대(15)는 벽판(3)에 뚫어진 창구(16)로 내통안내시켜서 벽판(3) 후면에 보울트(21)로 고정한 햄머안내대(26)에 축핀(17)으로 유착한다.
벽판(3)의 창구(16)하부에 길게 축설한 스프링 축(18)에는 햄머스프링(19)을 끼우는데 상측은 햄머대(15)의 하부내측으로 버티어 주고 다른 아래쪽은 후면밑판(2)의 지지편(22) 상단에 버티게 탄지시키는데 그 이유는 햄머스프링(19)이 햄머대(15)가 하향하여 압축되었다가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면밑판(2)의 또 다른 지지편(23)에는 텃취(24)의 하단을 조절보울트(21')로서 완충와샤(34)를 사이에 끼워서 조여주고 코일형 텃취스프링(20)의 일단은 텃취레버(24) 중단에 연결 고정하고 다른쪽 하단은 지지편(22)에 고정하여 항상 당겨지는 힘을 갖게 하는데 꺽어진 텃취레버(24)의 상단부인 텃취선단부(25)는 텃취완충대(33)를 부착한 상태로 스프링(20)의 당기는 힘에 의해 항상 햄머안내대(26)에 접속하여 있게 된다.
또한 건반완충대(27)(28)(30)와 조절완충대(29) 및 햄머완충대(31) 벽판완충대(32)등은 건반(9)(10)의 작동시에 충격과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은 장치는 백건반(9)과 흑건반(10)의 배열숫자에 따라서 햄머(13)와 텃취레버(24)등은 같은 장치 각각 구성하고 있게 된다. 특히 제1도 제2도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위 장치가 완료되여 연주하기전의 위치에서는 햄머대(15)의 접속부(A)와 텃취레버(24)의 접속부(B)는 맞닿게 근접하여 있게 되고 접속부(B)는 내향으로 약간 만곡되여 있으며, 건반(9)(10)을 눌렀을때 제3도 및 제5도와 같이 조절핀(6)을 중심으로 건반(9)(10)이 기울어져서 건반의 후단부(9a)가 상승하여 햄머(13)를 밀어올리고, 축핀(17)을 기점으로 햄머대(15)단부는 하향하면서 접속부(A)가 텃취레버(24) 중단부 내향 만곡 접속부(B)를 접속하향함으로 제3도의 일점선 도시와 같이 텃취레버(24)는 좌측(후향측)으로 약간 제쳐지고 제5도의 도시와 같은 상태가 되며 접속부(A)와 (B)가 접속 텃취되는 효과가 건반을 눌러준 연주자의 손에 전달된다. 다시 눌러주었던 건반(9)(10)에서 손을 떼고 복귀하면 원위치되면서 텃취레버(24)는 코일형 텃취스프링(20)에 의해 당겨져서 복원되고 햄머대(15)는 햄머스프링(19)과 햄머중량(14)에 의해 원위치하면서 건반(9)(10)의 후단부(9a)를 눌러서 조절핀(6)을 기점으로 수평으로 원위치하게 된다.
건반(10) 중단하향의 접점(11)은 민판(1) 하부에 부착한 회로판(36)을 접속시키는 스위치(35)를 눌러서 작동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 구성과 작용은 공지된 것임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작용효과를 요약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주자가 백건반(9) 또는 흑건반(10)를 눌러(TOUCH)주면 조절판(5)의 조절핀(6)을 지점으로하여 제3도 및 제5도와 같이 동작하는데 건반(9)(10)은 축핀(17)을 중심으로 한 햄머(13)에 시이소운동을 전달하여 햄머(13)가 햄머대(15) 하부에 탄지된 햄머스프링(19)의 압축되는 힘을 전달하여 텃취레버(24)와 접속하여 작용하면서 햄머대(15) 단부의 접속부(A)가 텃취레버(24)의 내향만곡 접속부(B)와 밀착 접속한다.
이때 텃취레버(24)의 내향만곡 접속부(B)에 햄머대(15)의 단면 접속부(A)가 접하여 지날때 접속하였다가 이탈되는 아프터 텃취(AFTER TOUCH) 효과가 발생하여 텃취레버(24)는 지지편(23)에 하단이 조절보울트(21')로 고정된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텃취레버(24)의 상단 굴곡부 텃취선단부(25)가 제3도의 일점선 표시와 같이 좌측으로 밀린다. 이때에 텃취스프링(20)은 순간적으로 늘어났다가(인장되였다가)복원된다. 복원될대는 텃취선단부(25)는 햄머안내대(26)에 속하여 텃취완충대(33)가 접속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아프터 텃취의 강약은 지지편(23)에 조여주는 보울트(21')의 조절과 완충와샤(34)에 의해 조절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전자악기 건반에서 느낄 수 없었던 일반피아노 건반의 텃취감을 전자악기 건반에서 낼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4)

  1. 도면에 표시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밑판(1) 위에 지지판(4)과 조절판(5)을 고정하고 후면밑판(2)은 벽판(3)과 지지편(22)(23)을 일체로 구성하여 입설한 후, 조절핀(6)과 전후면핀(7)(8)을 세우고 각건반(9)(10)을 조절핀(6)을 중심으로 작동되게 하여 각 건반 후단부(9a) 위에는 중량(14)체를 구성하여 햄머대(15)와 일체로 된 햄머(13)를 접속되게 하되 햄머대(15)를 벽판(3)에 구성한 창구(16)로 내통시켜서, 벽판(3) 뒤에 보울트(21)로 고정한 햄머안내대(26)에 축핀(17)으로 유착하며, 벽판(3)의 창구(16) 하부 스프링축(18)에 햄머스프링(19)을 햄머대(15) 저면과 지지편(22) 상단에 탄설시켜서 압축과 복원력을 갖게 한다. 후단지지편(23)에는 조절 조울트(21')로서 텃취레버(24)의 하부를 결합하여 전후로 유동되게 적정하게 조여서 절곡된 상부 텃취선단부(25)는 햄머안내대(26)에 접속과 이탈이되도록 코일형 텃취스프링(20)으로서 지지편(22)과 연결 고정한 다음, 건반(9)(10)의 텃취(눌름)로서 조절핀(6)을 기점으로 각건반의 후단부(9a)가 상승하여 그위의 햄머(13)가 햄머안내대(26)의 축핀(17)을 기점으로 시이소와 같이 햄머대(15)의 단부는 하향하면서 햄머대 접속부(A)가 텃취레버(24)의 내향만곡 절곡부(B)를 접촉텃취하도록 장치된 전자악기용 건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햄머(13)의 상승작용에 의한 햄머스프링(19)의 작용 및 복원력과 여기에 햄머(13)의 중량(14)을 이용한 전자악기용 건반.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햄머중량(14)을 유지해주는 햄머(13)의 햄머대(15) 단부 접속부(A)와 아프터텃취 효과를 위한 텃취레버(24)의 내향접속부(B)와의 접속과 이동접점을 이용한 전자악기용 건반.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텃취레버(24) 하단을 조절보울트(21')로서 텃취레버(24)의 유동범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고, 텃취스프링(20)의 인장과 복원력이 보조되여 아프터 텃취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전자악기용 건반.
KR1019890016373A 1989-11-10 1989-11-10 전자악기용 건반 KR92000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6373A KR920007817B1 (ko) 1989-11-10 1989-11-10 전자악기용 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6373A KR920007817B1 (ko) 1989-11-10 1989-11-10 전자악기용 건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89A KR910010389A (ko) 1991-06-29
KR920007817B1 true KR920007817B1 (ko) 1992-09-17

Family

ID=1929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373A KR920007817B1 (ko) 1989-11-10 1989-11-10 전자악기용 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8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89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56094A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3341438B2 (ja) 鍵盤楽器
KR970005214B1 (ko) 소프트폐달의 조작에 관계없이 항상 키 터치하는 직립형 피아노
JP2528588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EP0585798B1 (en) Upright piano with key action mechanism responsive to repetition without double strike and loss of sound
JPH07319452A (ja) 鍵盤楽器
US5936172A (en) Musical method for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ianos, and a pedal mechanism therefor
US7164071B2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US4995291A (en) Action mechanism for the piano
KR920007817B1 (ko) 전자악기용 건반
US5079985A (en)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H1049166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2570704Y2 (ja) 鍵盤楽器
JP3270693B2 (ja) 鍵盤装置
JPH0449674Y2 (ko)
KR960003642Y1 (ko) 피아노와 오르간 페달을 겸용 사용케 한 전자악기의 페달장치
JPH06118943A (ja) 鍵盤楽器
JPS6044665B2 (ja) ピアノ用演奏トレ−ニング装置
KR960008769Y1 (ko) 피아노와 올갠을 겸용사용케 한 전자악기의 건반작동장치
JP3373684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H0715020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970004169B1 (ko) 디지탈 피아노의 텃치감 발생 구조
JP3331055B2 (ja) ピアノ演奏補助装置
JPH0627934A (ja) 鍵盤楽器
KR930008331Y1 (ko) 전자건반악기의 건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