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01Y1 -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01Y1
KR920007501Y1 KR2019900004158U KR900004158U KR920007501Y1 KR 920007501 Y1 KR920007501 Y1 KR 920007501Y1 KR 2019900004158 U KR2019900004158 U KR 2019900004158U KR 900004158 U KR900004158 U KR 900004158U KR 920007501 Y1 KR920007501 Y1 KR 920007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tereo
lever
locking
c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146U (ko
Inventor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4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501Y1/ko
Publication of KR910018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1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78Quick-disconnect two-parts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도로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평면에서 본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3 : 프론트판넬용 핸들
4 : 카스테레오 6 : 작동레버
7 : 밀턱부 8 : 가이드핀
14 : 로크레버 15 : 슬라이드공
20 : 걸림턱 21 : 로킹공
본 고안은 차량등의 실내에 카스테레오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한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등에 설치되는 카스테레오을 착탈시키는 수단으로서 카스테레오 장착 케이스에 로킹공을 형성하고 이에 로킹, 해체되는 로킹구를 탄력스프링에 의하여 설치 구성하였다. 그런테, 이와같은 종래 기술은 여러번 사용하게 되면 로킹구의 로킹턱이 마모되거나 탄력스프링의 탄발력이 완화되어 차량의 급정차 또는 진동등에 의하여 카스테레오가 빠져 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프론트판넬용 핸들의 조작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는 작동레버를 탄력설치하고 이 작동레버의 동작에 따라 로킹, 해체되는 로크레버를 회동가능하게 탄력설치하여 카스테레오를 용이하게 착탈시키고 또한 견고하게 결합할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실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기판(1)에 힌지축(2)에 의하여 프론트판넬용 핸들(3)을 설치하고 상기 기판(1)에는 카스테레오(4)를 착탈토록 구성하되 이 카스테레오(4)와 프론트판넬용 핸들(3)에는 신축성 있는 로킹턱(5)(5')를 각각 돌출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카스테레오(4)의 내측벽부에는 직선이동을 하는 작동레버(6)를 설치하되 이의 전방선단에는 밀턱부(7)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카이드핀(8)을 돌출형성하며, 또한 양측부에는 제1가이드공(9)과, 제2가이드공(10)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레버(6)의 제1가이드공(9)에는 재1고정핀(11)으로 삽설하고 또한 상기 제1고정핀(11)과 작동레버(6)의 제1고정핀(12)간에는 제1인장스프링(13)을 고정설치한다.
상기, 작동레버(6)의 후방에는 로크레버(14)를 설치하되 이 로크레버(14)에는 경사면을 갖는 슬라이드공(15)과 삽입공(16)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레버(6)의 제2가이드공(10)과 로크레버(14)의 삽입공(16)에는 제2고정핀(17)으로 삽입하여 설치하되 이들은 상기의 카스테레오(4)내측벽에 설치되게 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6)의 가이드핀(8)은 로크레버(14)의 슬라이드공(15)에 삽입되게 하고 로크레버(14)의 일측단부와 카스테레오(4)의 측면 고정편(18)간에 제2인장스프링(19)을 설치한다. 상기, 로크레버(14)의 일측하단에는 걸림턱(20)을 형성하고, 기판(1)에는 로킹공(21)을 형성하여 이 로킹공(2l)에 상기의 걸림턱(20)이 로킹, 해체토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등의 실내에 고정설치된 기판(1)으로부터 카스테레오(4)을 분해시키기 위한 원리를 도시된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프론트판넬용 핸들(3)을 힌지축(2)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카스테레오(4)의 로킹턱(5)과 프론트판넬용핸들(3)의 로킹턱(5')은 신축성이 있으므로 상호 이탈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판넬용 핸들(3)의 하측부는 작동레버(6)의 밀턱부(7)를 밀어준다. 이때 작동레버(6)는 제1인장스프링(13)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면서 제1및 제2가이드공(9)(10)은 제1및 제2고정핀(11),(17)에서 가이드된다. 또한 가이드핀(8)은 로크레버(14)에 형성된 슬라이드공(15)의 경사면을 따라 후방으로 가이드된다.
상기, 가이드핀(8)이 슬라이드공(15)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로크레버(14)는 제2고정핀(17)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하면서 제2인장스프링(19)에 인장력을 발생시키고 또한 걸림턱(20)은 로킹공(2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후, 기판(1)으로부터 카스테레오(4)를 인출해낸다.
이와같이 하여 카스테레오(4)는 기판(1)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카스테레오(4)의 고장을 수리하거나 또는 별도의 것을 교체한 카스테레오를 기판(1)에 고정시키고자 하려면 기판(1)에 삽입장착한후 프론트판넬용 핸들(3)을 다시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때 로크레버(14)의 걸림턱(20)은 로킹공(21)에 삽입 로킹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원리와 작동순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고 단지 작동순서만 역순서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작동레버(6)와 로크레버(14)에 의하여 카스테레오(4)를 차량등의 실내에 용이하게 착탈시킬수 있고 또한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의 급정차나 진동등에 의하더라도 카스테레오(4)가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차량등의 실내에 기판(1)과 프론트판넬용 핸들(3)을 설치하고, 상기 기판(1)에는 카스테레오(4)를 착탈되게 구성설치하되 상기 카스테레오(4)의 측벽부에는 밀턱부(7)와 가이드핀(8)이 형성된 작동레버(6)를 직선방향으로 가이드 되도록 탄력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6)의 일측부에는 슬라이드공(15)과 걸림턱(20)이 형성된 로크레버(14)를 로킹 및 해체되도록 회동가능하게 탄력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KR2019900004158U 1990-04-09 1990-04-09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KR920007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158U KR920007501Y1 (ko) 1990-04-09 1990-04-09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4158U KR920007501Y1 (ko) 1990-04-09 1990-04-09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146U KR910018146U (ko) 1991-11-28
KR920007501Y1 true KR920007501Y1 (ko) 1992-10-15

Family

ID=1929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158U KR920007501Y1 (ko) 1990-04-09 1990-04-09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5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146U (ko) 199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855B1 (ko) 컴퓨터 케이스의 착탈 장치
KR950028227A (ko) 전자기기의 조작장치
US7267592B1 (en) Latching system for an outboard motor cowl
JP2001308553A (ja) 機器ユニット係止装置
KR920007501Y1 (ko)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EP1132259A3 (de) Klappbare Unterfahrschutzeinrichtung
KR200410238Y1 (ko) 슬라이드 도어의 록킹장치
JP4509696B2 (ja) レバー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5292370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装置
JP2006104771A (ja) リッド開閉装置
KR100466086B1 (ko) 차일드 락 장치
EP1467047A2 (en) Return spring arrangement for handle
JPH07155448A (ja) パチンコ機
KR200142984Y1 (ko) 모니터용 조정놉 케이스 결합구조
KR920002006Y1 (ko) 전자제품의 전면판넬 분리레버장치
JP3501873B2 (ja) ドア装置
KR200235552Y1 (ko) 셀프의 인쇄회로기판 이젝터
KR910009515Y1 (ko) 수동펄스발생기 케이스의 착탈장치
KR920004452Y1 (ko) 카 오디오 세트의 기능부 절첩장치
JP2988775B2 (ja) パチンコ機の機構板における遊技盤固定用締付具の取付構造
KR200232043Y1 (ko) 영상표시기기의도어및도어핸들고정장치
KR100471032B1 (ko) 차량의시트쿠션체결장치
CN116847586A (zh) 具有自动锁定功能的装置
KR200447863Y1 (ko) 고정 장치의 체결 구조
KR850000866Y1 (ko) (비디오 카메라)의 손잡이 록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