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489A -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식 - Google Patents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489A
KR920007489A KR1019900014591A KR900014591A KR920007489A KR 920007489 A KR920007489 A KR 920007489A KR 1019900014591 A KR1019900014591 A KR 1019900014591A KR 900014591 A KR900014591 A KR 900014591A KR 920007489 A KR920007489 A KR 920007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response data
diagnostic means
drop bus
multi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아까시
기미다까 이시다
모리히코 다구찌
고끼 와까사
겐이찌 이시마끼
Original Assignee
가가야 세이이찌
후지구라 덴센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가야 세이이찌, 후지구라 덴센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가가야 세이이찌
Priority to KR1019900014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489A/ko
Publication of KR92000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89A/ko

Links

Landscapes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식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대략도
제2도와 제3도는 시스템이 차량의 전기적 부하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때 제1도의 네트웍 시스템에 사용된 접속기의 실시예의 대략적인 측면도.

Claims (18)

  1. 서로 반대되는 양방향으로 데이타를 전달하는 두개의 단을 지니며 차량의 전기적인 부하를 제어하는 멀티드럽 버스와 사익 멀티드럽 버스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의 대응 전기적인 부하를 제어하는 다수의 노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멀티드럽 버스의 상기 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두 방향 중 하나로 질문데이타를 상기 멀티드럽 버스의 상기 두단으로 부터 대응 노오드로 보내고 상기 노오드로 부터 응답 데이타를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어떤 노오드가 상기 응답 데이타를 받아들이고 안받아들였는지를 검출하여 고장이 발생한 상기 멀티드럽버스의 위치를 발견하는 진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웍 시스템에 사용되기 위한 진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단은 상기 질문데이타를 대응 노오드로 보내고 받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이 상기 응답데이타를 받았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고장이 발생한 곳을 발견하는 검사 수단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단은 상기 멀티드럽 버스의 개별적인 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두개의 통신블럭과 상기 질문 데이타를 보내고 상기 응답 데이타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상기 통신 블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장이 발생한 상기 장소를 발견하는 처리 블럭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수단은 통신 블럭과 상기 통신 블럭을 상기 멀티드럽 버스의 상기 두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스위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통신 블럭을 상기 멀티드럽 버스의 상기 두 단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상기 처리 블럭을 상기 두 단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두개의 스위치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차량의 상기 전기적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상기 멀티드럽 버스의 상기 두 단이 단락회로 연결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드럽 버스는 단선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이 차폐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드럽 버스는 쌍선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쌍선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쌍선이 차폐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쌍선이 꼬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쌍선이 꼬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드럽 버스는 동축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멀티드럽 버스의 두 단을 진단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진단 수단으로 부터의 질문 데이타를 반대방향인 양 방향을 통하여 상기 멀티드럽 버스에 연결된 노오드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진단 수단에 의해 상기 두방향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응 노오드로 부터의 상기 질문 데이타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타를 받아들이는 단계, 상기 진단 수단이 상기 대응 노오드로 부터 상기 응답 데이타를 상기 두방향으로 받아들였는지 아닌지를 검사하는 검사단계 및 상기 반응 데이타가 되돌아 오지 않음에 근거하여 상기 멀티드럽 버스의 적어도 한 위치에 고장이 났음을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네트웍 시스템을 진단하는 방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회로 연결기를 사용하여 상기 멀티드럽 버스의 두 단을 같이 연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멀티드럽 버스가 전기적인 부하를 제어하는 양방향 멀트드럽 링으로써 사용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식.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14591A 1990-09-14 1990-09-14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식 KR920007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4591A KR920007489A (ko) 1990-09-14 1990-09-14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4591A KR920007489A (ko) 1990-09-14 1990-09-14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89A true KR920007489A (ko) 1992-04-28

Family

ID=6754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591A KR920007489A (ko) 1990-09-14 1990-09-14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4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92B1 (ko) * 2006-12-26 2009-06-23 한국전력거래소 강제할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92B1 (ko) * 2006-12-26 2009-06-23 한국전력거래소 강제할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3420B (fi) Älykäs ohjausjärjestelmä kulkuneuvon virranjakelua varten
KR840003548A (ko) 플러그 접속기
DE69735639D1 (de) Elektronisches bussystem
KR930018394A (ko) 데이타 처리 콤플렉스의 두 요소간에 동작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데이타 처리 콤플렉스의 두 요소를 상호 연결하는 장치
US5721403A (en) Selective circuit bypass for elevator system
SE9700546D0 (sv) Skyddsanordning för diagnosuttag i distribuerade datornät
US4264893A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KR920007489A (ko) 차량 네트웍 시스템의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식
CN112882978B (zh) 一种串行数据传输装置、方法及数据处理设备
EP0474907A1 (en) A diagnostic apparatus for a vehicl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of diagnosing a vehicle network system
JPS586639A (ja) デ−タ伝送装置
US5730053A (en) Bus system for a printing machine
JPH04180431A (ja) ツイストペア系lanにおける断線回復装置
KR100191678B1 (ko) 통신망 이중화를 위한 통신망 검사방법
KR970006021B1 (ko) 컴퓨터 시스템
JP2907075B2 (ja) ケーブル布線接続監視方式
JPH0191547A (ja) 共通バスシステム
JPH05284116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光リピータ装置
JPH0862276A (ja) ケーブルの特性を検出するための電気機器のモジュール
SU14789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понижени изол ции в кабельной линии св зи
JPS61251248A (ja) 内蔵モデムの試験とモニタ方式
JP2706267B2 (ja) 多重伝送システム
JPS63227234A (ja) バス障害検出・診断回路
JP2001186217A (ja) 系間接続部の断線検出機能を有する多重化制御システム
KR20000032200A (ko) 직렬통신시스템 점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