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57Y1 - 냉온 소자를 이용한 한쌍의 보온, 보냉용기 - Google Patents

냉온 소자를 이용한 한쌍의 보온, 보냉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57Y1
KR920007157Y1 KR2019900013365U KR900013365U KR920007157Y1 KR 920007157 Y1 KR920007157 Y1 KR 920007157Y1 KR 2019900013365 U KR2019900013365 U KR 2019900013365U KR 900013365 U KR900013365 U KR 900013365U KR 920007157 Y1 KR920007157 Y1 KR 920007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container
plate
heat
w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948U (ko
Inventor
차성환
Original Assignee
차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환 filed Critical 차성환
Priority to KR2019900013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157Y1/ko
Publication of KR920003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온 소자를 이용한 한쌍의 보온, 보냉용기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평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4도는 냉온소자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용기 3 : 발열판
4 : 보올트 9 : 소공
11, 21 : 냉온소자 31, 32 : 좌. 우판재
33 : 세로편 34 : 통기공
M : 모듐 B : 쿨링블럭
본 고안은 공지의 냉온소자를 이용한 보온. 보냉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면 각각의 냉온소자로써 보온. 보냉되는 2개의 용기를 하나의 발열판에 대향지게 결속하되 2개의 냉온소자를 직렬적으로 결속시키므로서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한데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냉온소자를 이용한 보온. 보냉용기로써 김치통으로 사용한예는 실용신안 공고 제90-5557호에 잘 나타나 있으며, 본 고안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0-12254호에서 개량된 냉. 온식수 공급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보온. 보냉용기는 하나의 용기에 하나의 냉온소자를 설치한 후 그 후방에 발열판을 접속시켜 된 것인바, 이때의 발열판은 냉온소자의 특성상 용기의 내부에서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데 비례해 냉기발산 또는 열기발산을 해야만 하는데 그 냉기 또는 열기의 발산이 충분치 못한 경우 열교환 효율이 떨어져 바람직한 보온. 보냉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러므로 종래의 보온. 보냉용기에서는 외부케비넷등에 무수히 많은 통공을 형성하거나, 열교환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내부에는 휀(FAN)을 구동시켜 주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따라 설비가 대형화되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어 만족할만한 것이 못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보온. 보냉용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것들은 모두 어느한쪽 기능만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용기가 하나이므로 보냉을 목적으로 할때는 보온의 기능을 이용할 수 없고, 보온을 목적으로 할때는 보냉의 기능을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가정등에서 보냉김치통 등으로 사용할 때에는 더운 음식을 위한 별도의 보온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또 식수 공급장치등에 사용할 경우 온수나 냉수중 어느한가지의 기능 밖에 이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 불합리한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비점에 대해 개량을 시도하여서된 것으로 두개의 용기를 마련하여 각각의 냉온소자로써 보온. 보냉이 되도록 하되 그 냉온소자와 발열판을 일체화된 하나로 하여 각각의 용기로 부터 나오는 냉기 및 열기가 서로 상쇄되게 하므로써 열교환 효울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여서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로서 전체구성을 보이고 있다. 2개의 용기(1)(2)사이에 발열판(3)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용기(1)(2)에는 상기 발열판(3)과 접촉되는 냉온소자(11)(21)을 수평상으로 형성하여 발열판(3)과 용기(1)(2)를 보울트(4)로써 고정시킨다.
용기(1)(2)의 사이에 형성된 발열판(3)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 우 2개의 판재(31)(32)와 그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수개의 세로편(33)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편(33)에는 지그재그로 무수한 통기공(34)들이 천공되어 있다. 냉온소자(11)(21)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듐(M)과 쿨링브럭(B)이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인 바 이를 제1도 내지 제3도에서와 같이 하나는 모듐(M)이 도면상 좌측 용기(1)의 내측에 위치되게 하면서 쿨링브럭(B)이 발열판(3)쪽에 접촉하도록 하고, 또 하나는 그 반대로 모듐(M)이 발열판(3)에 접촉되면서 쿨링브럭(B)이 우측용기(2)의 내측을 향하도록 고정시켜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용기(1)(2)의 외표면을 감산 단열재이고, 6은 휀이며, C는 용기(1)(2)의 온도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각각의 냉온소자(11)(21)에 전원을 공급하면 어느 한쪽 용기는 냉각되기 시작하여 보냉고가 되고, 어느 한쪽은 가열되어 보온고가 된다. 이는 통상의 냉온소자와 같이 전원의 +, -극을 바꾸어 주므로써 선택 가능한 것이다.
예컨데, 냉온소자(11)(21)에 전원을 공급했을 때 도면상 좌측의 모듐(M)쪽은 따뜻해지고, 우측의 쿨링블럭(B)쪽이 차거워 지면 좌측용기(1)는 좌측의 냉온소자(11)에 의해 내부가 점차 가열 되어 보온기능을 발휘하게되며, 우측용기(2)는 우측의 냉온소자(21)에 의해 내부가 점차 냉각되어 보냉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좌측용기(1)의 내부가 점차 가열될 때, 발열판(3)의 좌측판재(31)는 좌측 냉온소자(11)의 쿨링블럭(B)에 의해 냉기를 발산하게 되며, 동시에 우측용기(2)의 내부는 점차 냉각되면서 발열판(3)의 우측판재(32)는 우측냉온소자(21)의 모듐(M)에 의해 온기를 발산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발열판(3)은 양측판재(31)(32)의 사이에 있는 수개의 세로편(33)으로 인해 좌측판재(31)가 발산하게 되는 냉기와 우측판재(32)가 발산하게 되는 온기를 서로 상쇄시켜 주게된다. 다시 말해서 우측판재(32)의 온기는 좌측판재(31)가 냉기를 버리고 온기를 흡수해야 하는데 결정적으로 도움을 주고 또 반대로 좌측판재(31)의 냉기는 우측판재(32)가 온기를 버리고 냉기를 흡수해야 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측의 냉온소자(11)(21)는 그와 접촉된 각각의 판재(31)(32)에 의해 효율적인 열교환을 하게 되므로 각자 용기내의 보온 또는 보냉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된다.
제5도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한 가정용 보온, 보냉고의 일례로써 좌측용기(1)는 냉각되게 하여 뚜껑(7)을 보유한 김치통으로 하고 우측용기(2)는 가열되게 하여 도어(8)를 가진 보온고로 사용하게 한 것이다. 이때, 본체 케비넷의 무수히 많은 소공(9)은 내부의 발열판(3)으로부터 나오는 열기가 쉽게 밖으로 발산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6도는 또다른 실시예로써 냉. 온식수 공급장치를 보인것인 바 좌. 우측 용기(1)(2)를 모두 수조로 한후 콕크(10)를 마련해 각각의 상부 수통으로 부터 공급받은 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따라 마실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가정용 보온. 보냉고나 냉. 온수식 공급장치를 제작할 경우 두가지 기능 즉, 냉각기능과 가열기능을 한꺼번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가지 기능만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종래의 것에 비해 사용가치가 월등히 높은 것이며, 양쪽 용기에 형성된 냉온소자에 의하여 상호보완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열기의 배출을 위한 팬과 구동모터가 필요없게 되어 전력소모를 줄이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2개의 용기(1)(2)사이에 발열판(3)의 판재(31)(32)를 접촉되게 고정하면서, 상기 판재(31)(32)사이에는 다수의 통기공(34)이 천공된 다수의 세로편(33)을 입설하고, 상기 용기(1)(2)에 각각 형성한 냉온소자(11)(21)의 어느 하나는 모듐(M)이 용기의 내측을 향하고 쿨링블럭(B)이 발열판(3)에 접촉되게 하고, 다른 하나는 모듐(M)이 발열판(3)에 접촉되면서 쿨링블럭(B)이 용기의 내측을 향하게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소자를 이용한 보온. 보냉용기.
KR2019900013365U 1990-08-31 1990-08-31 냉온 소자를 이용한 한쌍의 보온, 보냉용기 KR920007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365U KR920007157Y1 (ko) 1990-08-31 1990-08-31 냉온 소자를 이용한 한쌍의 보온, 보냉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365U KR920007157Y1 (ko) 1990-08-31 1990-08-31 냉온 소자를 이용한 한쌍의 보온, 보냉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948U KR920003948U (ko) 1992-03-25
KR920007157Y1 true KR920007157Y1 (ko) 1992-10-08

Family

ID=1930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365U KR920007157Y1 (ko) 1990-08-31 1990-08-31 냉온 소자를 이용한 한쌍의 보온, 보냉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784B1 (ko) * 1999-06-30 2006-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펄스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784B1 (ko) * 1999-06-30 2006-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펄스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948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4630B1 (en) Thermoelectric heated food service cart
KR980010274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식품저장고
US5444984A (en) Storage cabinet with active dehumidifier
WO2006064432A1 (en) A thermoelectric cooling/heating appliance
KR920007157Y1 (ko) 냉온 소자를 이용한 한쌍의 보온, 보냉용기
JP2500902Y2 (ja) ラジエ―タ型暖房機
US5609033A (en) Water cooling device for water purifiers
WO1998030134A1 (de) Kühlvitrine mit luftumwälzung
KR100599841B1 (ko)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JP2003072897A (ja) 冷温蔵タンク
CA2144442A1 (en) Cooler for plasma cooling bags
GB1261610A (en) Environmental chamber devices
JPH0123100Y2 (ko)
KR19990040938A (ko) 보온병
JPH10148453A (ja) 電子式温冷蔵庫
JPH07260188A (ja) ペルチェ素子を備えた蓄冷式冷風装置
KR200342789Y1 (ko) 간이 냉온장고
JP3039298B2 (ja) 自動販売機のキャビネット
KR970059674A (ko) 식탁겸용 냉온장고
JPH11294922A (ja) 冷温蔵庫
JP3754138B2 (ja) 恒温恒湿装置
JPS6273081A (ja) 温冷収納装置
KR910003017Y1 (ko) 냉. 온수기가 부착된 보온물통
JPH1019452A (ja) 冷凍冷蔵庫の冷蔵室の仕切装置
CN117663583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