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841B1 -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 Google Patents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841B1
KR100599841B1 KR1020050104848A KR20050104848A KR100599841B1 KR 100599841 B1 KR100599841 B1 KR 100599841B1 KR 1020050104848 A KR1020050104848 A KR 1020050104848A KR 20050104848 A KR20050104848 A KR 20050104848A KR 100599841 B1 KR100599841 B1 KR 10059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diaphragm
thermoelectric element
cold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환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신병환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병환, 김종성 filed Critical 신병환
Priority to KR102005010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841B1/ko
Priority to PCT/KR2006/004192 priority patent/WO20070529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25B21/04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rever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1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 F25D2317/065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return through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12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열전소자에 의한 일정 온도범위의 유지는 물론, 각 구성부품이 형성하는 유로를 통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냉장 또는 온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일정 온도범위 내에서 저장하는 반찬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반찬저장고는, 하부 케이스의 상부측으로 소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체 및 제1 격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격판의 상부측으로 하부면에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는 제2 격판이 적층되어 사행형상의 제1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격판의 상부측으로 복수 개의 용기 거치구가 구비된 용기고정 프레임이 적층되어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의 테두리부 내측 공간을 따라 제2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 및 하부 케이스의 테두리부에 내부 및 외부 덮개가 각각 취부되어 상기 내, 외부 덮개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제3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제1 유로상에 냉각판이 위치하도록 방열판, 열전소자, 냉각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제1 유로상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1 송풍수단 및 온도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일정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찬저장고, 열전소자, 방열판, 냉각판, 용기고정 프레임

Description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Structure of food storage for cooling and warming}
도 1은 종래 반찬저장고 구조의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 격판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의 단면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방열판 120...단열재
130...열전소자 140...냉각판
150...제1 송풍수단 151...덕트
152...송풍팬 200...하부 케이스
230...절연체 231, 251...관통공
250...제1 격판 252...배출구
253...흡입구 300...제2 격판
310...격벽 320...핀
400...용기고정 프레임 410...용기 거치구
420...통기공 510...내부 덮개
520...외부 덮개 600...방열팬
700...제어수단 800...블로워팬
900...개스킷 S1....제1 유로
S2....제2 유로 S3....제3 유로
본 발명은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열전소자에 의한 일정 온도범위의 유지는 물론, 각 구성부품이 형성하는 유로를 통하여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냉장 또는 온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은 신선도 유지를 위하여 냉장고에 수용하여 냉장 보관하는 경우가 많으며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전열기구 등에 의하여 데워서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보관 상의 부주의로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등록실용 제 20-0323582 호의 '열전소자를 이용한 반찬저장고'(이하 '선행기술 1')와, 등록실용 제20-0323808호의 '열전소자를 사용한 식품용기'(이하 '선행기술 2') 및 공개특허 제 10-1998-0010274호의 '열전소자를 이용한 식품저장고'(이하 '선행기술 3')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커버(110)와,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방열구(120)로 이루어진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밀폐된 형상으로 마련된 저장부(200)와; 상기 몸체부(100)의 방열구(120)와 상기 저장부(200)의 흡입구(210) 사이에 위치하는 방열팬(310), 방열판(320), 열전소자(330), 냉각판(340) 및 냉각팬(350)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부(300)와; 상기 저장부(200) 내에 마련된 온도검출수단(410)과 연결되어 전원부(500)로부터 상기 열전소자(3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의 경우 커버(110)가 단일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커버(110)를 통하여 열의 손실이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열교환부(300)가 저장부(200) 외측에 일렬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저장부(200)의 일측과 타측에 걸쳐 고르게 열이 전달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상기 저장부(200) 측면에 흡입 및 배출구(210, 220)가 일렬로 배치된 상기 선행기술의 구조에서는 상기 저장부(200) 내로 유입된 공기가 적체되어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음식물의 냉온장 유지에 어려움이 뒤따르게 되는 치명적인 약점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의 경우, 열전도판 하부면에 설치된 열전소자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의 전달이 상기 열전도판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 3의 경우, 저장실에 설치되어 순환수가 통과하는 파 이프에 의한 수냉각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 누수의 우려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전소자의 온도범위 유지기능과 함께 상기 열전소자의 폐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음식물의 냉장 또는 온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일정 온도범위 내에서 저장하는 반찬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반찬저장고는, 하부 케이스의 상부측으로 소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체 및 제1 격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격판의 상부측으로 하부면에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는 제2 격판이 적층되어 사행형상의 제1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격판의 상부측으로 복수 개의 용기 거치구가 구비된 용기고정 프레임이 적층되어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의 테두리부 내측 공간을 따라 제2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 및 하부 케이스의 테두리부에 내부 및 외부 덮개가 각각 취부되어 상기 내, 외부 덮개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제3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제1 유로상에 냉각판이 위치하도록 방열판, 열전소자, 냉각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제1 유로상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1 송풍수단 및 온도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일정 온도범 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팬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송풍수단은 상기 제1 격판 상에 구비된 배출 및 흡입구를 연결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흡입구측에 장착되는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의 테두리부 상면에는 복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상의 일측에는 블로워팬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격판의 하부면에는 상기 격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핀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송풍팬, 열전소자, 블로워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부와 상기 열전소자의 구동을 전환하는 절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200) 상부측에 제2 격판(300) 및 용기고정 프레임(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 및 하부케이스(200)의 테두리부에 각각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가 취부되어 반찬저장고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에는 복수 개의 용기 거치구(410)가 구비 되며, 상기 용기 거치구(410)에 용기가(430)가 거치된다.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로, 280은 방열그릴, 530은 손잡이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는 크게, 절연체(230) 및 제1 격판(2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케이스(200) 상부측에 다시 제2 격판(300)과 용기고정 프레임(4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가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 및 하부케이스(200) 테두리부에 취부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200) 내에는 방열판(110), 단열재(120), 열전소자(130) 및 냉각판(1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절연체(230)와 제1 격판(250) 사이에는 제1 송풍수단(15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격판(300)과 용기고정 프레임(400) 사이에는 블로워팬(800)이 장착되게 된다.
도 3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로, 710은 배터리함, 900은 개스킷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200)는 측판(210)과 바닥판(220)이 결합되어 상자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부측으로 소정크기의 관통공(231, 251)이 형성된 절연체(230) 및 제1 격판(2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절연체(230)는 단열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며, 상부면의 일측에 제1 송풍수단(150)이 안착되도록 안착홈(23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31) 하부측으로는 방열 효과의 향상을 위하여 관통로(233)가 마련되어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격판(250)은 절연체(230)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절연체(230)의 관통공(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25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격판(250) 상에는 상기 제1 송풍수단(150)이 연결되는 배출구(252) 및 흡입구(25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31, 251)을 통하여 상기 하부케이스(200) 상부측으로 방열판(110), 단열재(120), 열전소자(130) 및 냉각판(140)이 순차적으로 적층 결합되며, 제1 격판(250) 상에는 상기 열전소자(130)의 구동에 따른 열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냉각판(140)이 돌출되게 된다.
상기 방열판(110) 및 냉각판(140)에는 방열 및 열전달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핀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열전소자(1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흡열 및 발열작동을 하게 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00) 상부측으로 열전달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열전소자(13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방열판(110)과 함께 상기 하부케이스(200)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방열팬(60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방열팬(600)과 대향되는 하부케이스(200) 타측면에는 방열그릴(280)이 구비되고, 상기 방열그릴(280)과 함께 바닥판(220), 즉 상기 관통로(233)가 형성된 측에도 방열그릴(290)이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전소자(13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13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은 단열재(120) 및 절연체(230)에 의하여 차단됨으로써 열손실의 극소화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단열재(120)는 단열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체(230)에 안착되어 제1 격판(250)의 배출 및 흡입구(252, 253)와 연결되는 제1 송풍수단(150)은 크게 덕트(151)와 송풍팬(152)으로 구성되어 상기 열전소자(130)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을 하부케이스(200) 상부측으로 고르게 순환시키게 된다.
상기 덕트(151)는 상기 제1 격판(250) 상에 구비된 배출 및 흡입구(252, 253)와 연결되고, 상기 송풍팬(152)은 상기 덕트(151)의 흡입구(253)측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 격판(250) 상부측에는 제2 격판(300)이 적층 결합된다.
상기 제2 격판(300)은 상기 제1 격판(250) 상에 구비된 배출구(252)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흡입구(253)로 되돌아 들어가는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면에 소정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 격판(300)에는 소정 높이의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격판(250) 상부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격판(250, 300) 사이에는 밀폐된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밀폐된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송풍수단(150)에 의한 공기의 지속적인 폐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격판(250)과 제2 격판(300) 사이에는 음식물 찌거기나 수분 침투 등에 의한 오염 및 부패 방지를 위하여 개스킷(900)이 장착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격판(300) 상부측에는 용기고정 프레임(400)이 적층 결합된다.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은 도 2와 같이 용기(430)가 거치되는 복수 개의 용기 거치구(410)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의 테두리부 내측 공간을 따라 유로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의 테두리부 상면을 따라 복수 개의 통기공(420)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 테두리부와 제2 격판(300)이 이루는 내측 공간에 형성된 유로 상의 일측에는 블로워팬(800)이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격판(250, 300) 및 용기고정 프레임(400)은 열전소자(130)에 의한 열의 전달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 및 하부케이스(200) 측판(210)의 테두리부에는 각각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가 취부되며, 상기 내부 덮개(510)와 외부 덮개(52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는 손잡이(530)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용기 거치구(410)에 거치된 용기(430) 내의 음식물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내구성 및 단열성이 뛰어난 투명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200) 내의 일측에는 제어수단(700)이 장착된다.
상기 제어수단(700)은 상기 열전소자(130), 송풍팬(152), 방열팬(600) 및 블로워팬(8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부와 상기 열전소자(130)의 흡열 및 발열 구동을 전환하는 절환부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내의 온도를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는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나 장소의 구애를 받지않고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700)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함(7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전원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의 전원 입력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와 함께 가정에서도 전력선과 연결 사용이 가능하도록 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절환부에는 상기 열전소자(130)의 흡열 및 발열 구동을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고, 이에 부가적으로 LED 패널을 장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내의 온도 표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내의 소정위치에는 센서와 같은 온도검출수단이 구비되도록 하여 온도 표시 및 일정범위 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70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도면 상의 부호 표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격판(250) 상에 적층 결합되어 소정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제2 격판(300)의 하부면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 격판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제2 격판(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복수 개의 격벽(310)이 배열되어 사행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 격판(30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격벽(310)과 대응되는 높이로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판(300)이 상기 제1 격판(250, 도 3 참고) 상부측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격판(250, 300) 사이에는 상기 격벽(310)에 의하여 상기 사행형상의 유로, 즉 밀폐된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 격판(300)의 하부면에는 상기 격벽(310)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핀(320)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320)은 상기 제2 격판(300) 하부면의 전열면적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전소자(130, 도 3 참고)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의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의 작동예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의 단면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는 제1 격판(250)과 제2 격판(300) 하부면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제1 유로(S1)가, 상기 제2 격판(300) 상부면과 용기고정 프레임(400) 테두리부 내측 공간 사이의 공간에 제2 유로(S2)가,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 및 하부케이스(200)의 테두리부에 각각 취부된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 사이의 공간에 제3 유로(S3)가 각각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S1) 상에 표시된 기호 "ⓧ"는 지면에서 내부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기호 "⊙"는 지면에서 외부로 나오는 방향으로 각각 정의하고자 한다.
이때, 상기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손잡이(530)에 의하여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제어수단(700, 도 3 참고)의 온/오프 스위치가 온 상태에 위치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에 전원이 공급되면, 열전소자(130), 송풍팬(152, 도3 참고), 방열팬(600) 및 블로워팬(800) 등이 작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열전소자(130)의 흡열 또는 발열 구동을 상기 제어수단(700)에서 +, - 전극을 절환하는 절환부를 통하여 선택함으로써 용기(430)에 저장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냉장 또는 온장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700)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찬저장고 내의 온도를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열전소자(130)의 흡열 구동, 즉 냉장을 위한 과정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1 유로(S1)를 따라 열전소자(130)에서 발생되는 열의 전달이 상기 열전소자(130) 상부측에 적층된 냉각판(140)을 통하여 용기(430)가 거치된 용기고정 프레임(400)과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 사이의 공간에 신속하고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송풍팬(152)에 의한 제1 유로(S1) 내의 공기, 즉 냉기가 강제 순환되게 된다.
상기 제1 유로(S1) 내의 냉기 순환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상기 열전소자(130)의 방열판(110)측에서는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이 일어나게 되며 하부케이스(200) 일측면에 장착된 방열팬(600)과 타측면 및 바닥면에 각각 구비된 방열그릴(280, 290)에 의하여 상기 방열판(110)측에서 발생된 열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는 상기 열전소자(130)에서 발생된 열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제1 유로(S1)와는 별도로 상기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내의 냉기 순환은 제1 유로(S1) 상부측, 즉 제2 격판(300) 상부면으로부터 용기고정 프레임(400)과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측으로 열의 전달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유로(S2) 상에 장착된 블로워팬(800)은 제1 유로(S1) 내를 강제 순환하는 냉기가 가진 열의 남은 에너지를 제2 및 제3 유로(S2, S3)를 따라 강제 순환시키게 되므로, 폐열회수의 극대화와 함께 에너지 절약의 효과까지 거둘 수 있게 된다 하겠다.
이상에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소자의 온도범위 유지기능과 함께 상기 열전소자의 폐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음식물의 냉장 또는 온장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열전소자의 흡열 구동, 즉 냉장 과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열전소자의 특성상 흡열 및 발열 구동의 선택적 절환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상술한 설명 내용과 동일한 구성 및 원리에 의하여 반대 과정인 발열구동, 즉 온장 과정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기에 담기는 다양한 음식물, 즉 밥과 국, 반찬 등 냉장 또는 온장 보관의 필요가 있는 각각의 음식물에 대응되게 밥과 국은 온장, 반찬은 냉장 보관 가능하도록 하는 구획을 적절히 배치되도록 하는 등의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의 냉장 또는 온장 보관을 위하여 열전소자의 구동에 의한 일정 온도범위의 유지와 함께 각 구성부품이 형성하는 유로, 즉 제1 유로를 통하여 공기의 강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유로 내의 냉기가 가진 열의 남은 에너지를 제2 및 제3 유로를 따라 강제 순환시키게 되므로, 폐열회수의 극대화와 함께 에너지 절약의 효과까지 거둘 수 있게 됨은 물론, 반찬저장고 내부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일정 온도범위 내에서 저장하는 반찬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반찬저장고는,
    하부 케이스(200)의 상부측으로 소정크기의 관통공(231, 251)이 형성된 절연체(230) 및 제1 격판(2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격판의 상부측으로 하부면에 복수 개의 격벽(310)이 형성되는 제2 격판(300)이 적층되어 사행형상의 제1 유로(S1)를 형성하며,
    상기 제2 격판의 상부측으로 복수 개의 용기 거치구(410)가 구비된 용기고정 프레임(400)이 적층되어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의 테두리부 내측 공간을 따라 제2 유로(S2)를 형성하고,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 및 하부 케이스의 테두리부에 내부 및 외부 덮개(510, 520)가 각각 취부되어 상기 내, 외부 덮개 사이의 공간을 따라 제3 유로(S3)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지되,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제1 유로상에 냉각판(140)이 위치하도록 방열판(110), 열전소자(130), 냉각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제1 유로상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1 송풍수단(150) 및 온도설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0)에 의해 일정 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팬(600)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수단(150)은 상기 제1 격판 상에 구비된 배출 및 흡입구(252, 253)를 연결하는 덕트(151)와, 상기 덕트의 흡입구측에 장착되는 송풍팬(1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고정 프레임(400)의 테두리부 상면에는 복수 개의 통기공(4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상의 일측에는 블로워팬(80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판(300)의 하부면에는 상기 격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수 개의 핀(3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700)은 송풍팬, 열전소자, 블로워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부와 상기 열전소자의 구동을 전환하는 절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KR1020050104848A 2005-11-03 2005-11-03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KR10059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48A KR100599841B1 (ko) 2005-11-03 2005-11-03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PCT/KR2006/004192 WO2007052907A1 (en) 2005-11-03 2006-10-17 Structure of food storage for cooling and war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848A KR100599841B1 (ko) 2005-11-03 2005-11-03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841B1 true KR100599841B1 (ko) 2006-07-12

Family

ID=3718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848A KR100599841B1 (ko) 2005-11-03 2005-11-03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9841B1 (ko)
WO (1) WO200705290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44B1 (ko) 2008-01-04 2009-05-26 고성욱 국, 찌개 전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100702B1 (ko) 2011-07-06 2011-12-30 김재경 식품보관장치
KR200470531Y1 (ko) * 2013-08-22 2013-12-20 이길순 반찬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6690B2 (en) 2009-11-13 2014-09-09 Maher Pidarow Food tr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007A (ja) * 2002-06-14 2004-01-22 Komatsu Ltd 電子温調庫
KR200323808Y1 (ko) * 2003-04-11 2003-08-19 박종관 열전소자를 사용한 식품용기
KR200323582Y1 (ko) * 2003-05-23 2003-08-14 주식회사 동지하이테크 열전소자를 이용한 반찬저장고
KR20050089435A (ko) * 2004-03-05 2005-09-08 최연홍 음식물 냉온 저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44B1 (ko) 2008-01-04 2009-05-26 고성욱 국, 찌개 전용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100702B1 (ko) 2011-07-06 2011-12-30 김재경 식품보관장치
KR200470531Y1 (ko) * 2013-08-22 2013-12-20 이길순 반찬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2907A1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0882B1 (en) Temperature controlled compartment apparatus
US9605888B2 (en) Refrigerator
EP3290829B1 (en) Refrigerator
KR100599841B1 (ko) 냉온 겸용 반찬저장고 구조
KR101564101B1 (ko) 냉장고
JP4667307B2 (ja) 冷蔵庫
CN211084550U (zh) 冰箱
KR200323808Y1 (ko) 열전소자를 사용한 식품용기
US20100043451A1 (en) Thermoelectric hot/cold pans
KR20080055517A (ko) 순환수를 이용한 다기능 냉/온풍기
JP2008057901A (ja) 冷蔵庫
KR20060058350A (ko) 차량용 냉온장고
WO2012076451A2 (en) Refrigeration appliance
KR20050026600A (ko) 냉온장 보관 장치
CN216822122U (zh) 多功能饭盒
JP4832966B2 (ja) 冷蔵庫
CN110953803B (zh) 一种冰箱及其控制方法
KR200342789Y1 (ko) 간이 냉온장고
KR200323582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반찬저장고
JP3594480B2 (ja) 冷蔵庫
JP3120285U (ja) 保冷・保温容器
KR20130087815A (ko) 음식물 저장용 냉온장고
JP2022047146A (ja) 冷蔵庫
KR200368561Y1 (ko) 저장고를 포함하는 식탁
CN117663583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