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072Y1 - 회전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072Y1
KR920007072Y1 KR2019900009033U KR900009033U KR920007072Y1 KR 920007072 Y1 KR920007072 Y1 KR 920007072Y1 KR 2019900009033 U KR2019900009033 U KR 2019900009033U KR 900009033 U KR900009033 U KR 900009033U KR 920007072 Y1 KR920007072 Y1 KR 920007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writing
cylindrical portion
mountai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9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541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츠카사 야마모토
타다요시 에비누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900009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072Y1/ko
Publication of KR920000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식 필기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전식 필기구의 제1실시예 구성의 단면도.
제 2 도 (a)는 본 고안에서의 선단캡 주위의 평면도, (b), (c)는 각각 본 고안에서의 제2캠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 및 핑면도, 제 3 도는 제1실시예에서의 제1캠과 제2캠의 동작설명용 전개도, 제4도는 제1도의 뒷쪽 부위구성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 5 도는 제2실시예 구성의 단면도.
제 6 도는 제3실시예 구성의 단면도.
제 7 도는 제3실시예 중 보올펜에서의 제1캠과 제2캠의 동작설명용 전개도.
제 8 도는 제4실시예 구성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단캡 2 : 앞쪽원통부
3 : (샤아프펜슬용, 보올펜용) 필기부재 4 : 산형상캠면
5 : 바닥부 6 : 한쪽경사면
6a : 다른쪽 경사면 7 : 걸림부
8 : 스프링 9 : 제1캠
10 : 산형상돌출부 11 : 제2캠
12 : 뒷쪽원통부 13 : 볼록부
14 : 걸림부 15 : 걸림부
16 : 절결부 17 : 칸막이
18 : 마아커 19 : 샤아프펜슬필기부재용 내경부
20 : 플라스틱제 보올펜필기부재용 내경부
21 : 금속제 보올펜필기부재용 내경부
22 : 척 23 : 필심
24 : 펜끝
본 고안은 한쪽방향으로 회전조작을 되풀이해서 필심을 소정 길이만큼씩 원통부의 선단캡으로부터 조금씩 조출시키는 한편,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조작해서 수납위치로 수납시킬 수 있는 회전식 샤아프펜슬, 또는 한쪽방향으로 회전조작해서 펜끝을 원통부의 펜끝으로부터 돌출시켜 그 상태를 유지하다가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조작해서 수납위치로 수납시킬 수 있는 회전식 샤아프펜슬과 회전식 보올펜 또는 마아커(marker)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양쪽머리형 회전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식 필기구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 56-154385흐로 제안된 것을 들 수 있는 바, 이는 외통과 이 외통내에 수용된 필심송출기구를 갖추고서 뒷쪽을 향해 밀어부치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필심호울더에 의해 필심송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상기 외통이 축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앞쪽원통부와 뒷쪽원통부로 분할되어 이들 앞쪽원통부 및 뒷쪽 원통부가 길이방향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또 원통부분의 끝면에 형성되어 캠면을 이루는 곡선 부분과 이곡선부분에 미끄럼접촉하는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캠구동부를 이루면서, 이 캠구동부의 곡선부분과 슬라이더 어느 한쪽이 뒷쪽원통부에 회동하지 못하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필심송출기구의 필심호울더를 보유지지하는 연결부재에 축방향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캠구동부의 곡선부분과 슬라이더가 앞쪽원통부와 뒷쪽원통부를 매개로 길이방향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연결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짐과 더불어 앞쪽원통부를 앞쪽원통부에 대해 회동시키면 캠구동부를 매개로 축방향으로 전후진 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부재에 보유지지된 필심호울더의 앞끝부위가 끝까지 후퇴한 위치에서 앞쪽원통부의 내벽면상을 계단부에 닿을 때까지 축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안내되어지는 조임용 부싱에 끼워져 있다가 상기 끝가지 후퇴한 위치에서 조임용 부싱으로부터 이탈해서 벌려지는 한편, 앞쪽외통 앞끝부위근처에서 필심이 필심호울더와 동축상으로 설치된 필심제동부제에 마찰되어 걸려져 제동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예는 구성이 극히 복잡해서 고장이 나기 쉽고, 값도 비싸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 회전식필기구는 이상과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캡(1)을 가진 앞쪽원통부(2)내에 필기부재(3)가 끼워지고,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가 제1위치로 되는 한편 한쪽경사면(6)의 윗쪽부위에 제2위치가 정해지도록 된 걸림부(7)를 갖고서 스프링(8)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지는 제1캠(9)이 앞쪽윈통부(2)의 내면에 회전하지 못하고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면서, 이 제1캠(9)내에 필기부재(3)의 뒷쪽부위가 끼워지며, 상기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에 미끄럼접촉하는 산형돌출부(10)를 가진 제2캠(11)이 앞쪽원통부(2)에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만할 수 있도록 부착되면서 이 제2캠(11)이 제1캠(9)에 끼워짐과 더불어, 앞쪽원통부(2)의 내면에 형성된 블록부(13)의 양쪽끝면에 제2캠(11)에 형성된 걸림부(14,15)가 축방햐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끼워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회전캠식 샤아프펜슬에다 적용하게 되면, 제1캠(9)의 걸림부(7)에 제2캠(11)의 산형돌출부(10)가 걸려진 제2위치(수납시의 위치로써 척(22)이 열림)에 있을 때 앞쪽 원통부(2)에 대해 제2캠(11)을 회전조작하여 이 제2캠(11)의 산형돌출부(10)가 제1캠(9)의 결림부로부터 이탈해서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의 한쪽경사면(6)을 지나 바닥부(5)에 이르게한 다음, 그 상태에서 다시 제2캡(11)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조작을 되풀이하게 되면,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제2캠(11)의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와 다른쪽 경사면(6a)의 스트로크(A)에 상당하는 위치사이에서 미끄럼왕복회전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캠(9)이 스프링(8)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의해 앞·뒷쪽으로의 이동을 되풀이하게 된다.
이렇게 제1캠(9)이 앞쪽으로 되풀이 이동하게 되면, 이 제1캠(9)에 끼워진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3)가 앞·뒷쪽으로의 이동을 되풀이하게 됨으로써 척(22)이 개폐되어져 선단캡(1)으로부티 필심(23)이 소정길이만큼씩 조출되어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필심(23)을 끌어들이기 위해 제2캠(11)을 다른쪽방향으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이 제2캠(11)의 산형돌출부(10)가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로 부터 한쪽경사면(6)을 거쳐 걸림부(7)에 걸려지게 되는바, 이때 산형상돌출부(10)에 의해 제1캠(9)이 스프링(8)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앞쪽으로 이동해서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3)를 앞쪽으로 조금 이동시켜 척(22)을 벌려주게 되는 데,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필심끝을 누르게 되면 필심(23)이 선단캡(1)내로 끌어들여지게 된다.
한편 보올펜에다 적용하게 되면, 제1캠(9)의 산형상캠면(4) 바닥부(5)에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걸러진 제1위치(수납시의 위치)에 있을 때 앞쪽원통부(2)에 대해 제2캠(11)을 한쪽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로 부터 한쪽경사면(6)을 거쳐 걸림부(7)의 제2위치까지 한쪽방향회전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캠(9) 및 이 제1캡(9)에 끼워진 보울펜용 필기부재(3)가 스프링(8)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이동해서 펜끝(24)이 선단캡(1)으로부터 돌출시켜짐과 더불어 이러한 돌출상태가 산형상돌출부(10)와 걸림부(7)가 걸어맞춰져 유지되게 됨으로써, 펜끝(24)으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펜끝(24)을 끌어들이기 위해 제2캠(11)을 다른쪽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걸림부(7)로부터 이탈해서 제1캠(9)의 한쪽경사면(6)을 거쳐 바닥부(5)인 제1위치까지 한쪽방향회전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캠(9) 및 제1캠(9)에 끼워진 보올펜용 필기부재(3)가 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해서 펜끝(24)이 선단캡(1)내로 끌어들여지게 되는 바, 이렇게 끌어들여진 상태가 산형상돌출부(10)가 바닥부(5)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유지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첩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샤아프펜슬에 적용한 회전식 필기구의 제1실시예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2도(a)는 본 고안에서의 선단캡 주위의 핑면도, 제2도(b),(c)는 각각 본 고안에서의 제2캠의 일부단면도 및 평면도, 제3도는 제1실시예에서의 제1캠과 제2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먼저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쪽원통부(2)의 앞끝부위에 선단캡(1)이 나사결합으로 장착되면서, 이 선단캡(1)내에는 내부에 필심보유지지부를 구비함과 더불어 필심안내파이프(25)를 가진 슬라이더(26)가 설치되어져 있는 바, 여기서 이 슬라이더(26)대신 선단캡(1)의 앞끝내면에 직접 필심보유 지지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 앞쪽원통부(2)내에 끼워지면서 선단캡(1)내에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3)는 내부에 필심(23)이 수용되는 필심탱크(27)와 이 필심탱크(27)의 앞쪽부위에 연접된 척(22), 이 척(22)의 바깥둘레에 끼워진 척링(28), 이 척링(28)에 앞끝이 닿게 되면서 선단캡(1)내에 착탈될 수 있도록 설치된 연결부재(29), 이 연결부재(29)와 필심탱크(27)사이에 끼워진 척조임용 스프링(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29)의 외주면에는 연결부(29a)가 형성되어 이 연결부(29a)가 제2도(a)에 도시된 것과같이 선단캡(1)의 뒷쪽에 개방시켜진 연결구멍(1a)내에 끼워져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3)가 선단캡에 연결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3)의 뒷쪽부위는 제1캠(9)내에 끼워지되 뒷쪽에 축방향으로 근소한 간극(31)이 마련되도록 끼워져 있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가 제1위치(샤아프펜슬용 필기위치)로 되는 한편 다른쪽경사면(6a)이 샤아프펜슬의 스트로크(A)로 됨과 더불어 상기 한쪽경사면(6)의 상부에 제2위치(샤아프펜슬 수납시의 위치)가 정해지도록 하는 걸림부(7)를 갗추면서, 연결부재(29)와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8)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진 제1캠(9)이 앞쪽원통부(2)내면에 키(32)와 키홈(33)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축방향으로 이동만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져 있다.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에 미끄럼접촉하는 산형상돌출부(10)를 가진 제2캠(11)에 형성된 걸림부(14,15)는 앞쪽원통부(2)의 뒷부위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13)의 양끝면에 걸려져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회전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여기서 상기 걸림부(14,15)중 한쪽의 걸림부(14)는 상기 볼록부(13)의 한쪽끝면에 닿게 되는 절결부(16)에 의해 형성시켜진 돌출편으로 되어 있는 한편, 다른 걸림부(15)는 볼록부(13)의 다른쪽끝면 및 앞쪽원통부(2)의 끝면에 닿으면서, 앞·뒷쪽원통부(2,12)사이를 칸막이하는 역할을 하는 플랜지부로되어 있다(제1도 및 제2도(b),(c)참조.)
제2캠(11)은 제1캠(9)에 끼우져 장착되면서, 이 제2캠(11)의 뒷쪽부위에는 뒷쪽원통부(12)가 회전시켜 착탈시킬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어져 있는 바, 여기서 이 제2캠(11)에다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뒷쪽원통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 뒷쪽원통부(12)의 안쪽계단부에는 지우개고무(34)가 보유지지되면서 이 뒷쪽원통부(12)의 씌워지도록 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의 참조부호 19∼21은 제1캠(9)내에 끼워지는 필기부재(3)의 외경에 각기 대응하도록 제1캠(9)의 내부공간의 직경을 달리하는 계단형상으로 된 내경부들로서, 그중 19는 샤아프펜슬용 내경부이고, 20은 프라스틱제 보올펜필기부재용 내경부이며, 21은 금속제 보올펜필기부재용 내경부인바, 이들은 범용성을 높이기 위해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캠(9)의 걸림부(7)에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걸려진 제2위치(수납시의 위치로서 척이 벌어짐)에 있을 때 앞쪽원통부(2)에 대해 뒷쪽원통부(12) 및 제2캠(11)을 회전조작해서,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를 제1캠(9)의 걸림부(7)로부터 이탈시켜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의 한쪽경사면(6)을 지나 바닥부(5)에 이르게 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제2캠(11)을 같은 방향으로 되풀이 회전조작하게 되면,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와 다른쪽경사면(6a)이 스트로크(A)에 상당하는 위치사이에서 미끄럼왕복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1캠(9)이 스프링(8)의 탄발력에 대항하거나 탄발력에 의해 앞·뒷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되풀이하게 된다.
이렇게 제1캠(9)이 앞·뒷쪽으로 되풀이 이동하게 되면, 제1캠(9)에 끼위진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3)가 앞·뒷쪽으로 되풀이 이동해서 척(22)을 개폐시키게 됨으로써, 선단캠(1)으로부터 돌출되어지는 슬라이더(26)의 필심안내파이프(25)로부터 필심(3)이 소정길이만큼씩 조출되어져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필기압이 너무 크면 슬라이더(26)와 샤아프펜슬용 필기부개(3)가 스프링⑻에 대항해서 뒷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스프링(8)이 과대필기압을 흡수해서 필심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의 뒷쪽으로의 이동은 연결부재(29)의 연결부(29a)가 선단캡(1)에 닿을 때까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참조부호 B는 쿠션값이다.
한편 필심(23)을 끌어들이기 위해 뒷쪽원통부(12) 및 제2캠(11)을 다른쪽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이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로부티 한쪽경사면(6)을 지나 걸림부(7)에 걸려지게 되어 샤아프펜슬용 필기부재(3)를 앞쪽으로 조금 이동시켜 척(22)을 벌리게 되는 바,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필심끝을 누르면 필심(23) 및 슬라이더(26)의 필심안내파이프(25)가 선단캡(1)내로 끌어들여지게 된다.
또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제1캠(9)의 걸림부(7)에 걸려진 상태로 있게 되면 스프링(8)의 조금 축소시켜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8)의 탄발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하될 염려가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를 제1캠(9)의 바닥부(5)인 제1위치(필기시의 위치)로 되돌려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척(22)이 벌려지면 필심(23)의 물어잡음이 해재되게 되나, 통상적인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필심(23)이 선단캡(1)내의 필심 보유지지부에 보유지지되기 때문에 필심(23)이 선단캡(1)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2개의 샤아프펜슬이 뒷쪽원통부(12)에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진 양쪽머리형으로 된 예인바, 각 샤아프펜슬은 필심(23)의 직경을 달리하거나 또는 색을 달리하는 것으로 되어도 좋다. 여기서 참조부호 17은 양 샤아프펜슬을 연절하도록 뒷쪽원통부(12)내에 설치된 칸막이이고, 그 이외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샤아프펜슬파 보올펜을 뒷쪽원통부(12)에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양쪽머리형으로 만든 예이다.
제7도는 제3실시예중 보올펜쪽에서의 제1캠과 제2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로서, 샤아프펜슬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기에 여기서는 보올펜에 대해서만 설며하기로 한다.
이 제3실시예에서의 보올펜은,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가 제1위치(보올펜 수납시위치)로 되는 한편 한쪽경사면(6)상부에 제2위치(보올펜 필기시의 위치)를 결정하는 걸림부(7)를 갖고서 선단캡(1)의 안쪽계단부와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8)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지는 제1캠(9)이, 앞쪽원통부(22)의 내면에 키(32)의 키홈(33)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고 축방향으로의 이동만 할 수 있도록 끼워맞취지면서, 이 제1캠(9)내에 보올펜용 필기부재(3)의 뒷끝부위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그 이외에는 상기 샤아프펜슬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올펜에 있어서, 상기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에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걸려진 제1위치(수납시의 위치)에 있을 때 앞쪽원통부(2)에 대해 뒷쪽원통부(12) 및 제2캠(11)을 한쪽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제2캠(11)의 산형상동돌출부(10)가 제1캠(9)의 상형상캠면(4)의 바닥부(5)로 부터 한쪽경사면(6a)을 지나 걸림부(7)인 제2위치까지 1방향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캠(9) 및 이 제1캠(9)에 끼워진 보올펜용 필기부재(3)가 스프링(8)에 탄발력에 대항해서 앞쪽으로 이동해서 팬끝(24)이 선다나캡(1)으로부터 돌출되고 나서 이러한 돌출상태가 산형상돌출부(10)와 걸림부(7)의 걸림으로 유지시켜지게 되어, 펜끝(24)으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펜끝(24)을 끌어들이기 위해 뒷쪽원통부(12) 및 제2캠(11)을 다른쪽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캠(11)의 산형상돌출부(10)가 걸림부(7)로부터 이탈해서 제1캠(9)의 한쪽경사면(6)을 지나 바닥부(5)인 제1위치까지 1방향회전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캠(9) 및 이 제1캠(9)에 끼워진 보올펜용 필기부재(3)가 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뒷쪽으로 이동해서 펜끝(24)이 선단캡(1)내로 끌어들여지게 되고, 이렇게 끌어들여진 상태가 산형상돌출부(10)와 바닥부(5)의 걸어맞춰짐에 따라 유지시켜지게 된다.
제8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샤아프펜슬과 마아커(18)을 뒷쪽원통부(12)에다 착탈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양쪽머리형이 되도록 한 샤아프펜슬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기에 여기서는 마아커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4실시예에서 마아커(18)는 뒷쪽원통부(12)내에 바닥면을 이루는 칸막이(17)가 형성되어 이 뒷쪽원통부(12) 내에 잉크흡장체(36)가 수용되면서, 이 잉크흡장체(36)에 삽입된 침출펜체(侵出pen體;37)가 뒷쪽원통부(12)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켜지는 한편, 뒷쪽원통부(12)에 캡(35)이 착탈될 수 있도록 씌워져, 캡(35)을 벗기고서 침출펜체(37)로 마아킹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샤아프펜슬과 샤아프펜슬의 조합, 샤아프펜슬과 보올펜의 조합, 샤아프펜슬과 마아커의 조합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보올펜과 보올펜의 조합, 보올펜과 마아커의 조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선단캡(1)을 가진 앞쪽원통부(2)내에 필기부재(3)가 끼워지고, 산형상캠면(4)의 바닥부(5)가 제1위치로 되는 한편 한쪽경사면(6)의 상방부에 제2위치를 결정하는 걸림부를 갖고서 스프링(8)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치는 제1캠(9)이 앞쪽원통부(2)내면에 회전은 못하고 축방향으로의 이동만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지면서 이 제1캡(9) 내에 상기 필기부재(3)의 뒷쪽부위가 끼워지며, 상기 제1캠(9)의 산형상캠면(4)에 미끄럼접촉하는 산형상돌출부(10)를 갖는 제2캠(11)이 앞쪽원통부(2)에 제2캠(11)에 형성된 걸림부(14,15)가 축방향이동을 하지 못하고 회전만 할 수 있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예에 비해 구성이 극히 간단해져 값싸게 제조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고장의 발생도 대폭 줄일 수가 있게된다.

Claims (4)

  1. 바닥부(5)가 제1위치로 되는 한편 한쪽경사면(6)의 윗쪽부위의 걸림부(7)가 제2위치로 되는 산형상캠면(4)을 가지고서 스프링(8)에 의해 뒷쪽으로 밀어부쳐져 선단캡(1)을 가진 앞쪽원통부(2)의 내면에 회전하지못하고 축방향으로 이동만 할 수 있도록 끼워맞춰진 제1캠(9)내에 필기부재(3)의 뒷부위가 끼워짐과 더불어, 상기 제1캠(9)외부에는 이 제1캠(9)의 상기 산형상캠면(4)에 미끄럼접촉하는 산형상돌출부(10)를 가진 제2캠(11)이 끼워지면서 이 제2캠(11)의 외면에 형성된 전후 2개의 걸림부(14,15)가 상기 앞쪽원통부(2)의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13)의 양쪽끝면에 걸려 축방향이동은 못하고 회전만 할 수 있도록 끼워져 구성된 제1회전식필기부와, 이 제1회전시 필기부의 상기 제2캠(11)에 뒷쪽원통부(12)가 연결되면서 이 제2뒷쪽원통부(12)에 그의 제2캠(11) 이 연결되는 구성의 제2회전식 필기부로 이루어져, 굵기, 색깔종류가 다른 필기부가 양쪽머리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걸림부(14,15)가, 그중 앞쪽걸림부(14)는 상기 앞쪽원통부(2)의 내면에 형성된 불록부(13)의 앞쪽 끝면에 닿도록 절결부(16)에 의해 돌출시켜진 돌출편으로 되어 있는 한편, 뒷쪽걸림부(15)는 상기 볼록부(13)의 뒷쪽끝면 또는 앞쪽원통부(12)의 끝면에 닿아 앞·뒷원통부(2, 12)를 칸막이 지우는 역할을 하는 플렌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필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쪽원통부(12)와 제2회전식 필기구의 제2캠(11)이 연결되는 부위내에 칸막이(17)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필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필기부재(3)가 끼워지는 상기 제1캠(9)의 내경부(19∼21)가 외경이 다른 각 필기부재(3)에 대응하기 위해 내경을 달리하는 계단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필기구.
KR2019900009033U 1990-06-26 1990-06-26 회전식 필기구 KR920007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033U KR920007072Y1 (ko) 1990-06-26 1990-06-26 회전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033U KR920007072Y1 (ko) 1990-06-26 1990-06-26 회전식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41U KR920000541U (ko) 1992-01-27
KR920007072Y1 true KR920007072Y1 (ko) 1992-10-02

Family

ID=1930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9033U KR920007072Y1 (ko) 1990-06-26 1990-06-26 회전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0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41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2272B2 (ja) シャ−プペンシル
JP3885315B2 (ja) シャ−プペンシル
EP1013474B1 (en) Side knock-type ball point pen
JPH0215669Y2 (ko)
KR920007072Y1 (ko) 회전식 필기구
JP2557187Y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とボールペンの多芯筆記具
JP5070942B2 (ja) 複式筆記具
JP2505737Y2 (ja) 回転式筆記具
JPS6130916B2 (ko)
JP2579188B2 (ja) 乾燥防止機構を有するキャップレス筆記具のリフィール機構
GB2143781A (en) Writing instrument
JP2003154787A (ja) 筆記具のレフィール出没機構
JP2550233Y2 (ja) 多芯筆記具
JP4086828B2 (ja) 器具
JPS6217265Y2 (ko)
JPS6222396Y2 (ko)
JP2665397B2 (ja) 筆記具用詰め替えユニット
JP3611215B2 (ja) 複式筆記具
JPH0671180U (ja) 筆記具
JPH0528073Y2 (ko)
KR960005200Y1 (ko) 봉상물 조출용기
JP2024000379A (ja) 出没式筆記具
JPS6150800B2 (ko)
JPS6345338Y2 (ko)
JPS615079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