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949B1 - 동기신호 분리회로 - Google Patents

동기신호 분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949B1
KR920006949B1 KR1019890010378A KR890010378A KR920006949B1 KR 920006949 B1 KR920006949 B1 KR 920006949B1 KR 1019890010378 A KR1019890010378 A KR 1019890010378A KR 890010378 A KR890010378 A KR 890010378A KR 920006949 B1 KR920006949 B1 KR 920006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rtical
input
circuit
synchron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001A (ko
Inventor
신욱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949B1/ko
Priority to US07/446,874 priority patent/US5097334A/en
Publication of KR91000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04N5/10Separation of line synchronising signal from frame synchronising signal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기신호 분리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R22 : 저항 Q1-Q8 : 트랜지스터
C1-C8 : 콘덴서 G1-G4 : 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
D1-D2 : 다이오드 ZD1 : 제너다이오드
본 발명은 모니터회로에 있어서 동기신호 분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동기신호의 입력상태에 따라 우선순위에 입각해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분리 송출하는 동기신호 분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중 동기방식을 채택하는 모니터에서는 동기신호 공급형태에 적응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컴퓨터의 출력단에서 동기신호를 출력하는 형태는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즉 복합동기신호가 출력될 수도 있고 합성동기신호가 출력될 수도 있으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영상신호는 영상신호에 수평동기(H-sync)신호와 수직동기신호(V-sync)가 합성된 것을 의미하고, 영상신호와 합성되지 않고 순수하게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만 합성된 경우는 합성동기 신호라 한다.
상기한 세가지 경우를 적절히 판별하여 모니터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송출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한 세가지 신호방식에 따라서 별도의 커sor터(connector) 혹은 스위치를 사용하여 절환하여야 했다. 다시말하면, 입력에 따라서 신호원을 적절히 선택해야 하였는데, 이와같이 각종의 입력신호를 기계적으로 선택하게 되면 순간 서지(surge)로 인한 회로 동작의 불안정 상태가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동기신호의 입력상태에 따라 우선 순위에 입각해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자동으로 분리 송출토록하여 회로동작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동기신호 분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서, 복합영상신호를 소정 증폭한 후 클램핑하여 영상신호를 제거하고 동기신호만을 검출하여 상기 모니터의 편향에 맞는 정 혹은 부상태로 변환한 제1검출신호(S1)를 출력하는 제1검출부(10)와, 합성동기신호 혹은 독립적인 수평동기신호의 정 혹은 부입력상태에서 무관하게 항상 상기 모니터의 편향에 맞는 정 혹은 부상태로 변환한 제2검출신호(S2)를 출력하는 제2검출부(30)와, 상기 제2검출신호(S2)를 검출시 상기 제1검출신호(S1)를 차단하여 상기 제2검출부(30)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우선순위 결정부(20)와, 상기 제1검출신호(S1) 혹은 상기 제2검출신호(S2)를 반전 증폭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수평동기발생부(43)와,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저역필터링하여 수직동기신호 성분을 검출하는 필터부(41)와, 상기 저역필터링된 수직동기 성분을 상호 배타적으로 두가지 상태를 갖는 모드 판별신호에 따라 위상반전시켜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거나 순수 수직동기신호를 직접적으로 출력하는 수직동기발생부(42)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첫 번째 경우로 제1입력단자(1)를 통하여 복합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제2 및 제3입력단자(2, 3)로는 입력신호가 없다고 가정한다.
미약한 복합영상신호에서는 충분한 이득의 동기신호를 분리해내기 어렵다. 그러므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커플링 콘덴서(C1)를 거친 복합영상신호를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 Q2)를 거치면서 일정 정도 증폭한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제2커플링 콘덴서(C2)와 고정바이어스저항(R6, R7) 및 클램핑용 제3트랜지스터(Q3)를 거치면서 영상신호성분이 제거되고 순수 동기신호만 남게 된다. 상기 동기신호를 편의상 제2검출신호(S1)라 한다. 상기 제1검출신호(S1)는 버퍼용 제2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1)의 한 입력단자로 공급된다.
예를들어 제1 및 제2출력단(4, 5)에 연결된 임의의 모니터가 편향 동작을 실시함에 있어 항상 정(positive)상태의 신호를 필요로 한다고 가정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상기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동기신호는 부(negative)의 상태를 취하므로 상기 제1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1)의 다른 입력단자를 항상 정상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배타적 논리합 특성에 의해 정의 상태를 갖는 제1검출신호(S1)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검출신호(S1)는 저항(R18)을 거쳐 제7트랜지스터(Q7)로 인가되어 반전 증폭되어 제1출력단자(4)을 통해 주(main)편향회로로 수평동기신호를 송부한다.
또한 상기 제7트랜지스터(Q7)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여파기(41)에서는 상기 제1검출신호(S1)로부터 수직동기신호 성분을 검출한다. 상기 여파기(41)는 두 저항(R20, R21) 및 두 콘덴서(C7, C8)로 이루어져 고주파를 필터링하여 수평동기신호 성분을 제거하고 수직동기신호 성분만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수직동기신호 성분은 제8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와 콜렉터를 통해 반전 증폭되어 제4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4)의 하단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4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4)의 타단은 제3입력단자(3)에 접속되어 수직동기신호나 하이 혹은 로우모드신호를 입력토록 되어 있으나 전술한 가정에서는 복합영상신호만 입력된다고 하였으므로 수직동기신호는 입력되지 않았다고 볼 때 상기 제4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4)의 출력단으로 상기 제1검출신호(S1)로부터 분리된 수직동기신호 성분이 상기 제3입력단자(3)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 최종적인 상태가 결정된 수직 동기신호가 발생되어 제2출력단(5)을 통해 상기 주편향회로로 송부된다.
여기서 상기 하이 혹은 로우모드신호는 상기 제8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를 통해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 성분의 레벨을 선택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 두 번째 경우로 복합영상신호 입력이 없이 제2입력단(2)으로는 수평동기신호(H-syne)가 입력되고 제3입력단(3)으로는 수평동기신호(V-syne)가 각각 독립적으로 입력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 입력단자가 상기 제2입력단(2)에 접속된 버퍼용 제2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2)는 다른 입력단자를 접지되도록 하여 상기 제2입력단(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입력단(2)으로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는 정 혹은 부상태를 가진다. 그런데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출력단(4, 5)에 연결된 임의의 모니터가 편향 동작을 실시함에 있어 항상 정상태의 신호를 필요로 한다고 가정하게 되면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정 혹은 부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모니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상기 주편향회로로 송부되는 수평동기신호가 정상태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입력단(2)으로 정 혹은 부상태의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2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2)에서는 이를 전술한 바와같이 완충하여 저항(R12)을 통해 제5트랜지스터(Q5)로 인가한다. 상기 제5트랜지스터(Q5)에서는 상기 완충된 신호를 반전 증폭한다.
상기 반전 증폭된 신호는(R13)과 콘덴서(C6)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에서 저역필터링되는데, 만일 상기 수평동기신호가 부상태로 입력되었다면 제너다이오드(ZD1)를 도통시키게 되지만 정상태로 입력되었다면 상기 제너다이오드(ZD1)를 도통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전자의 경우 도통된 제너다이오드(ZD1)와 저항(R14)을 통해 스위칭용 제6트랜지스터(Q6)을 턴온시키게 되지만 후자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다. 그런데 상기 제6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단에는 제3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3)의 한 입력단자가 접속되고 다른 입력단자로는 전술한 제2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2)에서 완충된 신호가 입력되므로, 상기 제3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3)의 출력단으로는 항상 정상태의 신호가 출력되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7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와 콜렉터를 통해 반전 증폭된 결과 제1출력단(4)을 통해 상기 주편향회로로 수평동기신호가 송부된다.
또한 상기 고주파 성분의 수평동기신호는 지역성분을 필터링 하는 상기 여파기(41)를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제8트랜지스터(Q8)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상기 제8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단에 한단이 접속된 제4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4)는 상기 제3입력단(3)을 통한 다른단으로 입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게 되어 제2출력단(5)을 통해서 상기 주편향회로로 송부된다.
세번째 경우로 상기 제2입력단자(2)로 합성동기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전술한 수평동기신호 입력시와 마찬가지 동작과정을 거쳐 제7트랜지스터(Q7)에서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게 되지만, 다른점은 상기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여파기(41)를 이용하여 저역 성분인 수직동기신호를 검출해내어 상기 제8트랜지스터(Q8)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8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로부터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성분과 상기 제3입력단자(3)을 통해 공급되는 하이 혹은 로우모드신호를 제4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4)에서 배타적으로 논리합하여 제2출력단자(5)를 통해 최종적인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주편향회로로 송부한다.
네번째 경우로 제1입력단자(1)로 복합영상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2입력단자(2)로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고 제3입력단자(3)로 수직동기신호가 분리 입력되거나 상기 제1입력단자(1)로 복합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상기 제2입력단자(2)로 합성동기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3입력단자(3)로는 하이 혹은 모우드신호가 입력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복합영상신호와 독립적인 동기신호가 동시에 입력될시에는 상기 복합영상신호중의 동기신호와 합성동기신호간의 우선순위 결정문제가 대두되어지는데 여기서는 합성동기신호를 우선으로 한다.
즉 상기 제2입력단자(2)에 입력되는 합성동기신호로 인하여 제2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2) 출력단이 하이 상태로 될 경우 우선순위결정부(20)의 제4트랜지스터(Q4)가 동작되어 상기 제1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1)로부터 출력되는 제1검출신호(S1)가 상기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에미터를 거쳐 바이패스되므로 차단되어 제7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단으로는 제2입력단(2)을 통해 입력되어 제3익스크루시브오아게이트(G3)에서 출력된 제2검출신호(S2)가 전달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다중 동기방식에서 복합영상신호와 합성동호 및 분리동기신호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우선 순위에 의해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 송출함으로써 제품을 고급화 및 자동화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모니터회로에 있어서, 복합영상신호를 소정 증폭한 후 클램핑하여 영상신호를 제거하고 동기신호만을 검출하여 상기 모니터의 편향에 맞는 정 혹은 부상태로 변환한 제1검출신호(S1)를 출력하는 제1검출부(10)와, 합성동기신호 혹은 독립적인 수평동기신호의 정 혹은 부 입력상태에 무관하게 항상 상기 모니터의 편향에 맞는 정 혹은 부상태로 변환한 제2검출신호(S2)를 출력하는 제2검출부(30)와, 상기 제2검출신호(S2)를 검출시 상기 제1검출신호(S1)를 차단하여 상기 제2검출부(30)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우선순위 결정부(20)와, 상기 제1검출부신호(S1) 혹은 상기 제2검출신호(S2)를 반전 증폭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수평동기발생부(43)와,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저역필터링하여 수직동기신호 성분을 검출하는 필터부(41)와, 상기 저역필터링된 수직동기 성분을 상호 배타적인 두가지 상태를 갖는 모드 판별신호에 따라 위상반전시켜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거나 순수수직동기신호를 직접적으로 출력하는 수직동기발생부(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신호 분리회로.
KR1019890010378A 1989-07-21 1989-07-21 동기신호 분리회로 KR920006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378A KR920006949B1 (ko) 1989-07-21 1989-07-21 동기신호 분리회로
US07/446,874 US5097334A (en) 1989-07-21 1989-12-06 Synchronizing signal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0378A KR920006949B1 (ko) 1989-07-21 1989-07-21 동기신호 분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001A KR910004001A (ko) 1991-02-28
KR920006949B1 true KR920006949B1 (ko) 1992-08-22

Family

ID=1928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378A KR920006949B1 (ko) 1989-07-21 1989-07-21 동기신호 분리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97334A (ko)
KR (1) KR920006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6803B2 (en) * 2005-04-07 2009-08-18 Aten International Co., Ltd.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7460A (en) * 1983-03-18 1984-10-03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Polarity reversing circuit for tv sync signals
US4709267A (en) * 1985-11-07 1987-11-24 Rca Corporation Synchronizing circuit with improved interlace arrangement
KR900002792B1 (ko) * 1987-07-30 1990-04-30 주식회사 금성사 동기신호 자동 선택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001A (ko) 1991-02-28
US5097334A (en) 199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949B1 (ko) 동기신호 분리회로
US3182122A (en) Noise protection circuit
KR100307010B1 (ko) 클램프회로와동기분리기를결합한다중입력텔레비전수상기
DK165094B (da) Fjernsynsmodtageapparat til modtageanordninger til behandling af videotekst- og/eller billedskaermtekstsignaler
KR0130820B1 (ko) 수평, 수직동기변환회로
KR960012593B1 (ko) 방송방식별 신호의 색채복조 자동절환회로.
KR0170737B1 (ko) 비디오 뮤트시에 복합 동기 신호 출력회로
KR960006538B1 (ko) 영상기기에 있어서 동조안정화장치
KR850003313Y1 (ko) 영상및 음성신호 절환 입출력회로
KR970001669B1 (ko) 영상기록재생기의 번역 자막 제거장치
KR0139175B1 (ko) 고화질 텔레비젼용 동기신호분리 및 필드검출회로와 그 방법
KR890004764Y1 (ko) 비데오 스위칭 회로
KR950005658B1 (ko) 폐쇄회로 텔레비젼(cctv)시스템의 카메라 구동장치
KR920006264Y1 (ko) 위성방송 수신기의 문자 표시회로
KR830000753Y1 (ko) 동기분리회로(同期分離回路)
KR910002116Y1 (ko) 오디오, 비디오 입력신호 자동 절환회로
KR940000538Y1 (ko) 브이씨알의 재생모드시 자화면 자동 전환회로
KR960004817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필터 접속용 스위칭 장치
KR930003975Y1 (ko) 비디오신호의 동기신호 보호회로
KR100205335B1 (ko) 외부 동기 신호 자동 판별 회로
KR960004128B1 (ko) 영상합성 동기신호 판별에 의한 클램프 신호 자동절환회로
KR920008528Y1 (ko) Tv"오프"시 화상 잔광 제거회로
KR950004214Y1 (ko) 다중화 회로
KR890003767B1 (ko) 동기신호분리 집적회로
KR0119500Y1 (ko) 방송방식 자동판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